KR102376073B1 - 복합 난연보조제 - Google Patents

복합 난연보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073B1
KR102376073B1 KR1020210110749A KR20210110749A KR102376073B1 KR 102376073 B1 KR102376073 B1 KR 102376073B1 KR 1020210110749 A KR1020210110749 A KR 1020210110749A KR 20210110749 A KR20210110749 A KR 20210110749A KR 102376073 B1 KR102376073 B1 KR 102376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ame retardant
flam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1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14Macromolecu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0Organic materials containing nit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난연보조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에 대한 독성의 염려가 없으며, 복합 작용에 의한 난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난연보조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난연보조제{Complex flame retardant supplement}
본 발명은 복합 난연보조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에 대한 독성의 염려가 없으며, 복합 작용에 의한 난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난연보조제에 대한 것이다.
플라스틱은 다양한 제품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으나, 플라스틱 제품에 요구되는 품질에 차이가 있어,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시 수지에 첨가되어 품질을 개선하는 다양한 첨가제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 제품을 형성하는 수지는 난연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난연성을 요하는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그 제조 시 원료가 되는 수지에 난연제, 난연보조제 등이 첨가되게 된다. 상기 난연보조제는 난연제 등과 함께 수지에 첨가되어 수지의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인데, 일 예로 하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인계 난연보조제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제10-22573971호(2021. 05. 21. 등록) "인계 난연보조제"
하지만, 인계 난연보조제는 탈수, 탄화반응에 의한 char를 형성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화염의 확대를 저지하나, 인을 포함하여 안정성에 대한 다툼이 있고, 내수성에 대한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난연보조제는 개별 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복합 작용에 의한 난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난연보조제들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환경에 대한 독성의 염려가 없으며, 복합 작용에 의한 난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난연보조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상된 난연성을 가지면서도,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는 복합 난연보조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난연제는 멜라민시아누레이, 다이메티콘,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글리세롤알파모노올레이트, 1,2-벤젠디카르복실애씨드, N-페닐말레이미드,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프로페노익애씨드벤질에스테르 및 비스(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난연제는 상기 복합 난연보조제는 멜라민시아누레이트 40 내지 60중량부, 다이메티콘 40 내지 60중량부,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글리세롤알파모노올레이트 5 내지 15중량부, 1,2-벤젠디카르복실애씨드 3 내지 7중량부, N-페닐말레이미드 3 내지 7중량부,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3 내지 7중량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5 내지 15중량부, 프로페노익애씨드벤질에스테르 15 내지 20중량부 및 비스(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0.01 내지 1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난연제 20 내지 50중량부, 난연보조제 5 내지 15중량부 및 가교제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보조제는 제2항의 난연보조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환경에 대한 독성의 염려가 없으며, 복합 작용에 의한 난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상된 난연성을 가지면서도,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난연보조제를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난연보조제는 난연제 등과 함께 수지에 첨가되어 수지의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멜라민시아누레이트 40 내지 60중량부, 다이메티콘 40 내지 60중량부,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40 내지 80중량부, 글리세롤알파모노올레이트 5 내지 15중량부, 1,2-벤젠디카르복실애씨드 3 내지 7중량부, N-페닐말레이미드 3 내지 7중량부,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3 내지 7중량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5 내지 15중량부, 프로페노익애씨드벤질에스테르 15 내지 20중량부 및 비스(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0.01 내지 1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연보조제는 입자 형태를 가지며, 일정 크기를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mm의 평균 입도를 가지며,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다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난연보조제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고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완성되었다.
상기 멜라민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CAS No. : 37640-57-6)는 수지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으로, 40 내지 6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멜라민시아누레이트는 난연보조제에 사용되는 질소계의 공지 화합물인데, 인계와 달리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고, 사용 중 또는 화재시에도 독성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응집되는 경우 난연성 및 수지의 가공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가지므로, 상기 멜라민시아누레이트를 코팅하여 응집을 방지하고 수지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다이메티콘(Dimethicone, CAS No. : 9006-65-9)은 수지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으로, 40 내지 6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다이메티콘은 난연보조제에 사용되는 실리카계의 공지 화합물인데, 인계와 달리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고, 사용 중 또는 화재시에도 독성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응집되는 경우 난연성 및 수지의 가공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가지므로, 상기 다이메티콘을 코팅하여 응집을 방지하고 수지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다이메티콘은 난연성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표면장력이 작은 특성으로 수지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Perfluoroethylene propylene copolymer, CAS No. : 25067-11-2)는 수지의 난연성,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40 내지 8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는 산소와 결합하기 어려운 불소를 포함하여 자체 소화성이 있으며, 절연성이 뛰어나고 유전율이 낮아 주파수 변화에 따른 영항이 적어 전기적 특성이 뛰어나며, 수지의 내열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글리세롤알파모노올레이트(Glycerol alpha monooleate, CAS No. : 111-03-5)는 수지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5 내지 15중량부 범위에 사용된다. 전열성 및 저유전율의 전기적 특성을 가진 전선 및 케이블에서 많은 정전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선 등이 사용된 계측 기계의 정밀도를 저하시키게 되는데, 상기 난연보조제에 글리세롤알파모노올레이트가 추가 사용됨으로써 절연성, 저유전율 특성 이외의 정전기를 방지하는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1,2-벤젠디카르복실애씨드(1,2-benzenedicarboxylicacid, CAS No. : 68515-48-0)는 수지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으로, 5 내지 15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N-Phenylmaleimide, CAS No. 941-69-5) 및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Methylhexahydrophthalic anhydride, CAS No. : 25550-51-0)는 수지와의 상용성(compati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N-페닐말레이미드 및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각각은 3 내지 7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2-(3,4-epoxycyclohexyl)-ethyltriethoxysilane, CAS No. : 10217-34-2)은 난연보조제를 구성하는 구성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5 내지 15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페노익애씨드벤질에스테르(Propenoicacidbenzylester, CAS No. : 2495-35-4)는 난연보조제 입자를 코팅하여 응집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15 내지 2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비스(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bis(3,5,5-Trimethylhexanoyl) peroxide, CAS No. : 3851-87-4)는 중합을 촉진하는 구성으로, 0.01 내지 1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연 수지 조성물은 비극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극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난연제 20 내지 50중량부, 난연보조제 5 내지 15중량부, 디스테아릴티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2중량부,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0.1 내지 2중량부 및 가교제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난연 수지 조성물은 예컨대 전선 및 케이블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전선, 케이블 등의 피복제 원료로, 비극성 폴리올레핀 수지 65중량부와 극성 폴리올레핀 수지 3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극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극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제는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어 난연성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5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지된 종래의 난연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난연보조제는 상기 난연제와 함께 상기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어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설명한 난연보조제가 사용되게 된다.
상기 디스테아릴티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3,3-thiodipropionate)는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어 산화방지의 기능을 부여하며,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Hydroxyphenylbenzotriazole)은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어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가교시켜 절연목적을 위해 물성 및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지된 종래의 가교제(예컨대, Dicumyl Peroxide 등)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난연보조제의 제조
1. 난연보조제 1
(1) 물(Diw) 1000중량부가 들어 있는 반응기(A)에 지방산 10중량부와 수산화나트륨 2중량부를 첨가하고 200rpm으로 교반하고 80℃로 승온하여 지방산염을 형성하고, 상기 반응기(A)에 멜라민시아누레이트(수중유화된 형태(Latex)로 사용) 50중량부, 다이메티콘(수중유화된 형태(Latex)로 사용) 50중량부 및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수중유화된 형태(Latex)로 사용) 60중량부를 첨가시킨 후, 비스(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0.2중량부를 첨가하여 질소 퍼징하였다.
(2) 반응기(B)에 글리세롤알파모노올레이트 7중량부, 1,2-벤젠디카르복실애씨드 7중량부, N-페닐말레이미드 4중량부,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3중량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10중량부, 프로페노익애씨드벤질에스테르 17중량부를 첨가하여 생성한 혼합물을 반응기(A)에 첨가하고 반응시켰다.
(3) 상기 (2) 과정에서 반응이 완료된 반응액에 묽은 황산을 가하여 응집시키고 응집물의 온도를 100℃까지 상승시켜 입자의 강성을 부여한 후, 함수율이 1% 이하가 될 때까지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분쇄하여 입자상의 난연보조제 1을 얻었다.
2. 난연보조제 2
다이메티콘을 사용하지 않고, 멜라민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난연보조제 2를 얻었다.
3. 난연보조제 3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를 사용하지 않고 멜라민시아누레이트 80중량부 및 다이메티콘 8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난연보조제 3을 제조하였다.
4. 난연보조제 4
글리세롤알파모노올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난연보조제 4를 제조하였다.
5. 난연보조제 5
1,2-벤젠디카르복실애씨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난연보조제 5를 제조하였다.
6. 난연보조제 6
N-페닐말레이미드 및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난연보조제 6을 제조하였다.
7. 난연보조제 7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난연보조제 7을 제조하였다.
8. 난연보조제 8
프로페노익애씨드벤질에스테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1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난연보조제 8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난연도 평가
1.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난연제 40중량부, 난연보조제 7중량부 및 가교제 2중량부를 혼합하여 1/16 인치의 두께를 가지는 난연도 평가 시료 1 내지 9를 준비하였다. 베이스 수지로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를 65: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난연제로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였고, 가교제로 디큐밀 페록사이드를 사용하였고, 난연도 평가 시료 1 내지 8은 각각 난연보조제 1 내지 8을 사용하였고, 난연도 평가 시료 9은 난연보조제로 멜라민시아누레이트와 다이메티콘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2. 난연도 평가 시료 1 내지 9에 대하여 적정비, 목면 연소, 연소율 및 난연도를 UL94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3. 표 1을 보면,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및 다이메티콘 자체를 사용한 경우 연소율이 가장 떨어지며,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및 다이메티콘이 적절하게 코팅된 경우 향상된 난연성을 가지며,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거나, 구성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경우 연소율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난연도 평가 시료 적정비 목면 연소 연소율(초) 난연도
1 0/10 0/10 3 V0
2 0/10 0/10 6 V0
3 0/10 0/10 3 V0
4 0/10 0/10 4 V0
5 0/10 0/10 4 V0
6 0/10 0/10 12 V0
7 0/10 0/10 10 V0
8 0/10 0/10 14 V0
9 0/10 0/10 20 V0
<실시예 3> 전기적 특성 평가
1.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의 준비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난연보조제 10중량부 및 가교제 2중량부를 혼합한 후 성형하여 필름 형태의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 1 내지 3을 준비하였다. 베이스 수지로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를 65: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가교제로 디큐밀 페록사이드를 사용하였고,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 1 내지 3은 각각 난연보조제 1, 3 및 4를 사용하였다.
2. 유전율 평가
(1) Dielectric Analyzer를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 1 내지 3에 대하여 8GHz에서 유전율을 측정하였다.
(2) 상기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 1 내지 3의 유전율 측정 결과를 보면,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 1 및 3이 2에 비해 유전율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난연보조제에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 저유전율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정전기 발생 평가
(1) 플라스틱에 정전기가 발생하면 먼지가 달라붙게 되므로, 인위적으로 먼지가 부유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후,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 1 내지 3을 상기 환경에 노출시킨 후, 상기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 1 내지 3에 붙어있는 먼지의 양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2) 상기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 1 내지 3의 정전기 발생 평가 결과를 보면, 전기적 특성 평가 시료 3이 1 및 2에 비하여 먼지의 양이 현저히 많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난연보조제에 글리세롤알파모노올레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정전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기계적 물성 평가
1. LDPE 95중량부 및 난연보조제 4중량부를 사용하여 마스터배치 시료 1 내지 9를 준비하였다. 마스터배치 시료 1 내지 9는 각각 난연보조제 1 내지 8을 사용하였고, 마스터배치 시료 9는 난연보조제로 멜라민시아누레이트와 다이메티콘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2. 분산성 평가
(1) 마스터배치 시료 1 내지 9에 대하여 SEM으로 분산 형태와 분산 입자 크기를 확인하여, 분산성을 평가하였다. 분산성은 SEM 이미지를 확인하여 입자가 응집되어 100um 이상의 입자가 대략 20% 이상 있는 경우 분산성이 나쁘다고 평가하였다.
(2) 분산성 평가 결과, 마스터배치 시료 6 내지 9는 분산성이 나쁨으로 평가되고, 마스터배치 시료 1 내지 5는 분산성이 좋음으로 평가되어, 형성된 난연보조제 제대로 코팅되지 않고 수지와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 등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 분산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3. 가공성 평가
(1) 마스터배치 시료 1, 2, 6 및 7에 대하여 Thermofisher사의 rheodrove7 단일 스크류(다이 직경은 1.5mm로, L=20d임)를 이용하여 시편을 일정 전단속도(~400s-1)로 압출하여 시험하였다. 시험평가 항목으로 압출 시작으로부터 90분이 지난 후 압력을 측정하고(압출기의 압력계 이용 측정), 용융균열 제거 시간(압출 초기에 배출되는 Strand의 상태에서 용융 균열 현상이 육안 감지 가능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현상이 제거됨)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다이 출구면에서 압출된 플라스틱이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시간을 확인하여 마스터배치 1, 2, 6 및 7에 대하여 빌드업이 먼저 발생하는 순서를 확인하였다.
(2) 표 2를 보면, 다이메티콘, N-페닐말레이미드,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 내압감소와 용융 균열 제거 시간이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스터배치 1, 2, 6 및 7에 대하여 빌드업이 먼저 발생한 순서대로 나타내면, 마스터배치 2, 마스터배치 6, 마스터배치 7, 마스터배치 1의 순서대로 빌드업이 나타나, 내압감소와 용융 균열 제거 시간에 대한 평가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마스터배치 시료 start(bar) 90분(bar) 용융균열 제거시간(분)
1 293 231 18
2 293 264 53
6 293 245 38
7 293 241 26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베이스 수지에 첨가되는 난연보조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비극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극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보조제는 입자 형태를 가지고,
    상기 난연보조제는 멜라민시아누레이트 50중량부, 다이메티콘 50중량부, 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 60중량부, 글리세롤알파모노올레이트 7중량부, 1,2-벤젠디카르복실애씨드 7중량부, N-페닐말레이미드 4중량부,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3중량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10중량부, 프로페노익애씨드벤질에스테르 17중량부 및 비스(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0.2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난연보조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0749A 2021-08-23 2021-08-23 복합 난연보조제 KR102376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749A KR102376073B1 (ko) 2021-08-23 2021-08-23 복합 난연보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749A KR102376073B1 (ko) 2021-08-23 2021-08-23 복합 난연보조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073B1 true KR102376073B1 (ko) 2022-03-18

Family

ID=8093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749A KR102376073B1 (ko) 2021-08-23 2021-08-23 복합 난연보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699B1 (ko) 2023-12-21 2024-05-20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560A (ko) * 2002-06-24 2005-02-21 아사히 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2009132935A (ja) * 2009-02-05 2009-06-18 Polyplastics Co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90054058A (ko) * 2016-09-14 2019-05-21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수지 부착 동박
KR101992429B1 (ko) * 2019-05-14 2019-06-25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난연보조제 및 이를 이용하는 난연 수지 조성물
KR102212525B1 (ko) * 2019-08-27 2021-02-04 주식회사 나노폴리켐 몰딩용 고내열성 난연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560A (ko) * 2002-06-24 2005-02-21 아사히 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2009132935A (ja) * 2009-02-05 2009-06-18 Polyplastics Co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90054058A (ko) * 2016-09-14 2019-05-21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수지 부착 동박
KR101992429B1 (ko) * 2019-05-14 2019-06-25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난연보조제 및 이를 이용하는 난연 수지 조성물
KR102212525B1 (ko) * 2019-08-27 2021-02-04 주식회사 나노폴리켐 몰딩용 고내열성 난연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699B1 (ko) 2023-12-21 2024-05-20 주식회사 퍼시픽인터켐코포레이션 첨가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429B1 (ko) 난연보조제 및 이를 이용하는 난연 수지 조성물
US20100086268A1 (en) Fire Resistant Thermoplastic or Thermoset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tumescent Specialty Chemical
JP6599353B2 (ja) ジアリルイソシアヌレート架橋助剤を有する架橋性ポリマー組成物、それ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れから作製された物品
EP2915845A1 (en) Polyolefi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7511087B2 (en) Sheath composition and cable using the same
TWI752979B (zh) 難燃劑組合物及難燃性合成樹脂組合物
CN108117693B (zh) 一种户外高电压电器元件用无卤阻燃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TWI732886B (zh) 難燃劑組合物及難燃性合成樹脂組合物
KR102376073B1 (ko) 복합 난연보조제
CN113861594A (zh) 用于石墨烯电热膜的阻燃耐高温pvc薄膜及其制备方法
JPH0390092A (ja) 難燃剤
KR102376072B1 (ko) 질소계 난연보조제
CN111592711B (zh) 用于热收缩管的高效无卤阻燃eva材料及制备方法
CN109749334A (zh) 一种氙灯抗uv的无卤阻燃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067863A (ko) 폴리프로필렌 난연수지 조성물 및 압출 튜빙 성형품
JP2007217474A (ja) 複合水酸化マグネシウム粒子含有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102257397B1 (ko) 인계 난연보조제
KR102534085B1 (ko) 다기능성 난연 보조제
CN108250573B (zh) 一种耐热氧老化的无卤环保阻燃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57396B1 (ko) 실리콘계 난연보조제
JPH07228710A (ja) 高い表面電気抵抗および高い耐燃性を有する絶縁製品
KR102509716B1 (ko) 다기능성 가공 첨가제
KR102665698B1 (ko) 난연제 조성물
KR102665699B1 (ko) 첨가제 조성물
KR100674748B1 (ko) 수직 난연재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전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