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475B1 -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도포 부재 및 도포기 - Google Patents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도포 부재 및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475B1
KR102374475B1 KR1020197021267A KR20197021267A KR102374475B1 KR 102374475 B1 KR102374475 B1 KR 102374475B1 KR 1020197021267 A KR1020197021267 A KR 1020197021267A KR 20197021267 A KR20197021267 A KR 20197021267A KR 102374475 B1 KR102374475 B1 KR 102374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applicator
porous core
core
liquid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276A (ko
Inventor
사비나 르페브레
프랑수아 고티에
Original Assignee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filed Critical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Publication of KR2019010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795Porous or permeable material, e.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 B29C67/205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comprising surface fusion, and bonding of particles to form voids, e.g. sinter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2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of moulding techniques on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795Porous or permeable material, e.g. foam
    • B29C2045/14803Porous or permeable material, e.g. foam the injected material entering minute 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8Coat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4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filler
    • B29K2467/003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503/00 - B29K2507/00, as filler
    • B29K2509/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94Geometrical properties
    • B29K2995/0097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부재(16)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소결물로 다공성 코어(18)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코어(18) 상에 셸(20)을 오버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셸(20)은 액상 화장품을 상기 코어로 들어가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오리피스(22) 및 상기 코어에 의해 액상 화장품을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서 오리피스(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도포기 부재(16) 및 그러한 도포기 부재(16) 및 저장소(12)를 포함하는 도포기(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도포 부재 및 도포기
본 개시 내용은 화장품, 특히 액상 또는 반액상인 화장품, 예를 들어 화장용 오일, 향수, 액체 파운데이션 또는 특히 립 메이크업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체로 채워지게 되는 폼 패드(foam pad)를 포함하는 액체 도포기들이 알려져 있다. 액체는 액체에 담궈진 패드와 사용자, 특히 사용자의 피부 간 접촉에 의해 도포된다. 그렇지만, 도포되는 액체의 양은 사용자가 패드 상에 가함으로써, 패드를 압착하고 패드에 함유된 액체를 방출하는 압력에 따른다. 그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게 액체가 흐를 위험이 상당하다.
따라서 도포되는 액체의 양 조절이 더 잘 될 수 있게 하는 도포기 부재 및 그러한 도포기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 내용은 그러한 문제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 내용은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 소결물(sintered material)로 다공성 코어(porous core)를 만드는 단계; 및
- 상기 다공성 코어 상에 셸(shell)을 오버몰딩(oevrmolding)하는 단계로서, 상기 셸은 액상 화장품을 상기 코어로 들어가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오리피스(inlet orifice) 및 상기 코어가 액상 화장품을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dispenser orifice)를 갖는, 상기 오버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공성 코어"라는 용어는 액체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코어를 통과해 흐를 수 있게 하기 위한 개방 공극들을 갖는 코어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공성 코어가 소결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다공성 코어는 강성이거나 거의 압착되지 않을 수 있고, 그것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민감하지 않다. 그에 따라, 다공성 코어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어떠한 압력 하에서도, 변형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변형되지 않음으로써, 압착되어 액체가 코어에 의해 방출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다공성 코어 상에 셸이 오버몰딩되기 때문에, 코어와 셸 간에 밀폐가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도포기 부재는 다공성 코어를 주형에 넣고 주형 내에 고화되면 셸을 형성할 유체 물질을 사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유체 물질이 주형 내에 사출되는 압력은 주형과 다공성 코어 간 유체 물질을 가압하게 하여, 코어 내부 다공성 구조를 상하게 하지 않고 코어와 오버몰딩된 셸 간 밀폐를 이룬다.
액상 화장품 유입구 오리피스는 액상 화장품이 다공성 코어에 침투할 수 있게 하고, 액상 화장품 디스펜서 오리피스는 사용자가 디스펜서 오리피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코어를 피부에 접촉시킴으로써 도포기 부재를 피부 상에 위치시킬 때 액상 화장품을 코어에서 빠져 나갈 수 있게 하여 공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액상 화장품은 액상 화장품용 유입구 오리피스와 디스펜서 오리피스 간을 통과해가게 된다.
그 다음 오버몰딩된 셸의 디스펜서 오리피스를 통해 액상 화장품이 공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오버몰딩된 셸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코어의 부분들만 액상 화장품을 공급하게 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오버몰딩된 셸 상이 더러워지지 않게 되고 깨끗한 도포기 부재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디스펜서 오리피스를 통해 볼 수 있고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다공성 코어의 부분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오버몰딩된 셸은 복수의 유입구 오리피스 및/또는 복수의 디스펜서 오리피스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오리피스들의 치수 설정은 액체의 도포에 대한 최적의 유동률을 정의하게 한다.
코어가 다공성이기 때문에, 밀폐는 코어 상에 셸을 오버몰딩하는 단계 동안 기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셸을 형성하는 물질은 코어의 개방 공극들에 약간 침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코어 상에 셸을 고정시키기 위한 많은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도포기 부재 상에 가하는 압력과 관계 없이, 액상 화장품이 깨끗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액상 화장품 도포기 부재가 얻어진다.
상기 다공성 코어를 만드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코어를 기계 가공(machin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코어가 소결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다공성 코어는 강성이고 용이하게 기계 가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다공성 코어의 표면 상에 돌출부들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예로서, 다공성 코어 상에 셸이 오버몰딩되면, 오버몰딩된 셸에서 디스펜서 오리피스들을 통해 이러한 돌출부들이 돌출될 수 있다. 오버몰딩된 셸 외측에 배열되는 돌출부들의 표면들은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표면을 형성한다.
돌출부들은 오버몰딩된 셸에서 돌출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액상 화장품을 공급하는 기능을 모양 기능 및/또는 실용적 기능, 예를 들어 도포 중 마사지와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버몰딩된 셸은 돌출부들 간, 다공성 코어의 특정 부분을 커버할 수 있고, 패턴 이를테면 로고 또는 장식을 형성할 수 있다. 셸의 외측면은 매끄러울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셸의 외측면은 예를 들어 도포 중 마사지를 위한 표면 상태 또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소결물은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들은 화학적으로 거의 불활성인 포화 지방족 폴리머들이다, 즉 그것들은 그것들과 접촉하게 되는 물질들과 거의 또는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저가, 무취 그리고 비독성인 폴리올레핀이고, 폴리프로필렌은 저가의 강한 폴리올레핀이다.
소결물은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는 불활성인 물질이고 또한 코어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될 때 사용자에게 상쾌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오버몰딩된 셸은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들은 화학적으로 거의 불활성인 포화 지방족 폴리머들이다, 즉 그것들은 그것들과 접촉하게 되는 물질들과 거의 또는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저가, 무취 그리고 비독성인 폴리올레핀이고, 폴리프로필렌은 저가의 강한 폴리올레핀이다.
다공성 코어 및 오버몰딩된 셸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때, 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얻어지는 밀폐에 더하여, 화학적 결합이 또한 셸이 다공성 코어 상에 오버몰딩되는 동안 다공성 코어와 셸 간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에 따라 다공성 코어와 오버몰딩된 셸 간 밀폐가 향상된다.
오버몰딩된 셸은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CTA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들은 그것들의 매우 광택이 나는 표면을 나타내는 외관 효과에 더하여, 또한 특히 코어가 보일 수 있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 셸이 투명하게 만들어질 수 있게 한다. "PCTA"라는 용어는 다른 (프탈산의) 이염기산과 공중합되는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비결정질의 코폴리에스테르 군을 망라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다공성 코어 및 오버몰딩된 셸이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때, 기계적으로 얻어지는 밀폐에 더하여, 화학적 결합이 셸이 다공성 코어 상에 오버몰딩되는 동안 다공성 코어와 셸 간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때 다공성 코어와 오버몰딩된 셸 간 밀폐가 향상된다.
오버몰딩된 셸은 가요성 폴리머, 예를 들어 시퀀싱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폴리머는 특히 오버몰딩된 셸을 투명하게 만들어, 다공성 코어 및 액상 화장품이 오버몰딩된 셸을 통해 보일 수 있게 하게 한다. 가요성 폴리머는 또한 도포 시 유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으로 편안함을 준다.
오버몰딩된 셸은 2.0 밀리미터(mm)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m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 mm 미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오버몰딩된 셸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다. 소정의 전체 크기에 대해, 체적 대부분을 코어가 차지한다. 그에 따라 큰 체적의 코어를 갖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액체의 공급 시 높은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오버몰딩된 셸은 상기 도포기 부재를 저장소 상에 체결시키기 위한 파스너 스커트(fastener skirt)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포기 부재를 액상 화장품을 함유하는 저장소 상에 체결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파스너 스커트가 오버몰딩된 셸와 일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즉 파스너 스커트가 오버몰딩된 셸과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한 도포기 부재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품 도포기를 제조하기 위해 함께 조립되어야 하는 부품들이 적어진다. 이는 조립 단계들을 적게 한다. 그에 따라 도포기의 제조가 간략화된다. 대안적으로, 도포기 부재는 페룰(ferrule)에 의해 저장소에 체결된다. 오버몰딩된 셸은 또한 립(lip) 또는 개스킷과 같은 저장소와 도포기 간 밀폐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의 벽들은 강성 또는 가요성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은 소결물로 만들어진 다공성 코어 상에 셸을 오버몰딩함으로써 얻어지는 액상 화장품 도포기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은 공급할 액상 화장품용 도포기를 제공하며, 상기 도포기는 공급할 상기 액상 화장품을 함유하기 위한 저장소 및 위에서 정의된 바에 따른 도포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기 부재는 상기 저장소 상에 조립된다.
본 발명의 그 외 다른 특성들 및 이점들이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본 발명의 구현 예들에 대한 이하의 내용으로부터 분명해지며, 도면들에서:
-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액상 화장품 도포기의 단면도이다;
- 도 2는 도 1 도포기의 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상 화장품 도포기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은 액상 화장품 도포기(10)의 단면도이다.
도포기(10)는 넥(14)을 갖는 저장소(12) 및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저장소의 넥(14) 상에 조립되는 도포기 부재(16)를 포함한다. 저장소(12)는 강성인 벽들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저장소(12)는 가요성인 벽들을 가질 수도 있다. 저장소(12)에는 액상 화장품이 함유된다.
도포기 부재(16)는 소결물로 만들어진 다공성 코어(18)를 갖는다. 소결물로 만들어진 다공성 코어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읽는 사람이 참고할 수 있는 문서 WO 2008/021539에 정의된 바에 따라 상표 Porex™로 판매되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다공성 코어를 언급할 수 있다. 다공성 코어(18)는 개방 공극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공극들은 7 마이크로미터(㎛) 내지 300 ㎛ 범위 ,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150 ㎛ 범위에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총 체적에 대한 빈 체적의 비로서 정의되는 공극간극률이 10 vol% 내지 70 vol% 범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 vol% 내지 50 vol%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도포기 부재(16)는 또한 다공성 코어(18) 상에 오버몰딩된 셸(20)을 갖는다. 예로서, 셸(20)은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공성 코어(18) 상에 오버몰딩된 셸(20)은 액상 화장품을 다공성 코어(18)로 들어가게 하기 위한 유입구 오리피스(22) 및 다공성 코어(18)에서, 즉 다공성 코어(18)에 의해 액상 화장품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 오리피스(24)를 제외하고, 전체 다공성 코어(18)를 커버한다.
도 1의 단면도에서, 다공성 코어(18) 상에 오버몰딩된 셸(20)은 세 개의 디스펜서 오리피스(24)를 갖는다.
도 2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코어(18) 상에 오버몰딩된 셸(20)은 일곱 개의 디스펜서 오리피스(24)를 갖는다.
도포 동안, 즉 액상 화장품이 저장소(12)에서 도포기(10) 밖으로 공급되는 동안 액상 화장품의 유향에서, 도포기 부재(16)가 저장소(12) 상에 조립되어, 액상 화장품을 다공성 코어(18)로 들어가게 하기 위한 유입구 오리피스(22)는 다공성 코어(18)로부터 상향으로 배열되고, 액상 화장품 디스펜서 오리피스들(24)은 유입구 오리피스(22)에 관해 하향으로 배열된다. 그에 따라, 도포기 부재(16)가 저장소(12) 상에 조립될 때, 유입구 오리피스(22)가 저장소(12)의 넥(14)에 의해 획정되는 개구를 향해 배열되고, 디스펜서 오리피스들(24)이 도포기(10) 외측에서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공성 코어(18)는 다공성 코어(18)의 표면 상에 돌출부들(26)을 갖는다. 다공성 코어(18) 상에 셸(20)이 오버몰딩되면, 오버몰딩된 셸(20)에서 디스펜서 오리피스들(24)을 통해 이러한 돌출부들(26)이 돌출된다. 돌출부들(26)의 표면들은 오버몰딩된 셸(20) 외측에 배열되고 그것들은 함께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표면을 형성한다.
돌출부들(26)은 오버몰딩된 셸(20)에서 돌출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오버몰딩된 셸(20)은 돌출부들(26) 간, 다공성 코어(18)의 특정 부분을 커버할 수 있고, 패턴 이를테면 로고 또는 장식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오버몰딩된 셸(20)은 도포기 부재(16)를 저장소(12) 상에 체결시키기 위한 파스너 스커트(fastener skirt)(28)를 갖는다. 도포기 부재(16)의 파스너 스커트(28)는 셸(20)이 다공성 코어(18) 상에 오버몰딩되는 동안 형성된다. 파스너 스커트(28)는 각각 저장소(12)의 넥(14)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내부 리브(rib)(32)를 갖는 자유단(30)을 갖는 복수의 탄성 탭을 포함한다.
또한 도포기(10)는 액상 화장품이 도포기 부재(16)와 저장소(12) 간에서 오가는 것을 막기 위해 저장소(12)의 넥(14)과 도포기 부재(16) 간에 배열되는 밀폐 개스킷(34), 더 구체적으로 저장소(12)의 넥(14)과 오버몰딩된 셸(20) 간에 배열되는 환형의 밀폐 개스킷(34)을 갖는다. 밀폐 개스킷(34)은 별도의 부품일 수 있거나 그것은 셸(20)의 일체로 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도포기(10)는 또한 파스너 스커트(28)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고 파스너 스커트(28)의 탄성 탭들이 방사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파스너 페룰(38)을 갖는다. 파스너 페룰(38)은 저장소(12)의 탄성 탭들을 넥(14) 상에 도포기 부재(16)를 체결시키기 위한 구성에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파스너 페룰(38)은 파스너 탭들을 포함하고 도포기 부재(16)를 축 방향으로 홀딩하게 할 수 있으며, 그때 이 부재는 어떠한 파스너 탭도 갖지 않을 것이다.
예로서, 오버몰딩된 셸(20)은 0.8 mm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고, 다공성 코어(18)는 대체로 형상이 약 15 mm의 직경 및 돌출부들(26)을 무시하고 약 7 mm의 최대 높이를 갖는 원통형일 수 있다. 유입구 오리피스(22)는 약 6 mm의 직경을 나타낼 수 있고, 디스펜서 오리피스들(24)은 각각 약 2 mm의 직경을 나타낼 수 있다.
도포기 부재(16)를 제조하는 방법(100)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단계(102) 동안, 다공성 코어(18)가 소결물로 만들어진다. 다공성 코어(18)는 폴리프로필렌의 비드들을 소결 주형에 소결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소결 주형은 다공성 코어(18)의 돌출부들(26)에 상응하는 오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들(26)은 셸(20)의 외측면에 맞춰질 수 있거나 그것들은 외측면을 너머 연장될 수 있다, 예로서 그것들은 외측면을 너머 최대 5 mm, 또는 최대 2 mm 또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1 mm만큼 연장될 수 있다.
그 후, 제2 단계(106)에서, 다공성 코어(18) 상에 셸(20)이 오버몰딩된다. 그 후, 다공성 코어(18) 상에 셸(20)을 오버몰딩하기 위해 다공성 코어(18)가 사출 주형에 넣어지고 셸(20)을 형성할 물질이 사출 주형과 다공성 코어(18) 간, 사출 주형 내에 사출된다.
오버몰딩에 대한 파라미터들 자체는 알려져 있고 사출물의 함수로서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출물은 그것이 사출 주형의 벽들과 다공성 코어(18) 간 사출 주형에 침투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유동적이다, 즉 그것의 점도가 충분히 낮다. 사출물은 또한 압력을 받아 사출되는 영향으로 다공성 코어(18)의 모든 개방 공극을 폐쇄하는 것을 막기에 충분히 높은 점성을 나타낸다.
제2 단계(104) 동안, 도포기 부재(16)를저장소(12) 상에 체결시키기 위한 파스너 스커트(28)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사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소결 주형은 오목부들을 포함할 필요가 없고 폴리프로필렌 비드들을 소결한 후 얻어지는 소결물로 만들어지는 다공성 부분은 대체로 형상이 예를 들어, 원통형일 수 있다. 그 다음 다공성 부분의 면 상에 돌출부들(26)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단계(102)와 제2 단계(106) 간에 수행되는 기계 가공 단계(104) 동안 다공성 소결물이 기계 가공된다. 이는 다공성 코어(18)를 얻게 한다.
대안적으로, 코어(18)는 특히 그것의 돌출부들(26)을 갖는 형상으로 직접 몰딩된다. 또한, 소결 주형이 다공성 코어(18)에 오목부들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계 가공 단계(104)는 임의적이고 다공성 코어(18)가 만들어지는 제1 단계(102)에 따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공성 코어(18)가 다공성 코어(18)의 돌출부들(26)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들을 갖는 소결 주형에 몰딩함으로써 얻어지더라도, 그 후 예를 들어 돌출부들(26)을 마감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기계 가공 단계(104)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공성 코어(18)의 개방 공극들이 공급될 액상 화장품의 함수로서, 특히 상기 액체의 점성의 함수로서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공급할 액상 화장품의 제형을 다공성 코어(18)의 개방 공극들의 함수에 따라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 내용은 특정 구현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에 관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언급된 다양한 구현 예의 개별적인 특성들이 추가 구현 예들에서는 조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적이라기 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유입구 및 액상 화장품 공급 오리피스들의 수 및 위치들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들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고 도면들에 도시된 둥근 원통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포기 부재를 저장소 상에 체결시키기 위한 기술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스너 스커트가 저장소의 넥 상에 돌려서 조여질 수 있다.

Claims (11)

  1.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부재(16)를 제조하는 방법(100)으로서,
    - 소결물(sintered material)로 다공성 코어(porous core)(18)를 만드는 단계(102); 및
    - 상기 다공성 코어(18) 상에 셸(shell)(20)을 오버몰딩(oevrmolding)하는 단계(106)로서, 상기 셸(20)은 액상 화장품을 상기 코어로 들어가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오리피스(inlet orifice)(22) 및 상기 코어가 액상 화장품을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서 오리피스(dispenser orifice)(24)를 갖는, 상기 오버몰딩하는 단계(106)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코어(18)는, 상기 디스펜서 오피리스(24)를 통해 돌출되고 오버몰딩된 상기 셸(20)의 외측면을 너머 연장되는 돌출부들(26)을 가지며, 오버몰딩된 상기 셸(20)의 외측에 배열되는 상기 돌출부들(26)의 표면들은 함께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10)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코어(18)를 만드는 단계(102)는 상기 다공성 코어(18)를 기계 가공(machining)하는 단계(104)를 포함하는, 방법(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결물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방법(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결물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유리를 포함하는, 방법(1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버몰딩된 상기 셸(20)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방법(100).
  6.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버몰딩된 상기 셸(20)은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방법(100).
  7.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버몰딩된 상기 셸(20)은 가요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방법(10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버몰딩된 상기 셸(20)은 2.0 mm 미만 두께를 갖는, 방법(100).
  9. 청구항 1에 있어서, 오버몰딩된 상기 셸(20)은 상기 도포기 부재(16)를 저장소(12) 상에 체결시키기 위한 파스너 스커트(fastener skirt)(28)를 포함하는, 방법(100).
  10.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부재(16)로서, 상기 부재는 코어(18) 및 셸(20)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기 부재(16)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도포기 부재(16).
  11. 공급될 액상 화장품용 도포기(10)로서, 상기 도포기는 공급할 상기 액상 화장품을 함유하기 위한 저장소(12) 및 청구항 10에 따른 도포기 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기 부재는 상기 저장소 상에 조립되는, 도포기(10).
KR1020197021267A 2016-12-23 2017-12-21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도포 부재 및 도포기 KR102374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3332A FR3061065B1 (fr) 2016-12-23 2016-12-23 Procede de fabrication d'un organe d'application de produit cosmetique liquide, organe d'application et applicateur
FR1663332 2016-12-23
PCT/FR2017/053760 WO2018115759A1 (fr) 2016-12-23 2017-12-21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organe d'application de produit cosmétique liquide, organe d'application et applica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276A KR20190100276A (ko) 2019-08-28
KR102374475B1 true KR102374475B1 (ko) 2022-03-15

Family

ID=5845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267A KR102374475B1 (ko) 2016-12-23 2017-12-21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도포 부재 및 도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358876A1 (ko)
EP (1) EP3558647B1 (ko)
JP (1) JP2020501838A (ko)
KR (1) KR102374475B1 (ko)
CN (1) CN110325351A (ko)
FR (1) FR3061065B1 (ko)
WO (1) WO20181157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5937A1 (en) 2000-03-06 2001-09-13 Porex Technologies Corporation Porous plastic media with antiviral or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FR2876557A1 (fr) 2004-10-18 2006-04-21 Techpack Int Sa Stylo distributeur d'un produit cosmetique fluid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6737U (en) * 1990-10-03 1999-08-11 Mitsubishi Pencil Co Liquid cosmetic brushing device for hair use
JP3810929B2 (ja) * 1998-10-16 2006-08-16 株式会社資生堂 塗布具付容器
FR2805720B1 (fr) * 2000-03-03 2002-08-16 Oreal Dispositif comprenant un applicateur et/ou un organe d'essorage magnetique
FR2832598B1 (fr) * 2001-11-26 2006-01-27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et/ou d'application d'un produit
ATE341960T1 (de) * 2002-07-17 2006-11-15 Oreal Applikatoraufsatz und vorrichtung zum aufbewahren und auftragen eines kosmetischen produkts welches einen solche aufsatz umfasst
AU2003293928A1 (en) * 2003-01-14 2004-08-10 Unilever Plc Applicator for liquid cosmetic compositions
JP4238721B2 (ja) * 2003-12-22 2009-03-18 三笠産業株式会社 キャップ用成形型、キャップの射出成形方法及びキャップ
JP3909775B2 (ja) * 2004-06-22 2007-04-25 堀 弥生 液体供給装置
FR2875110B1 (fr) * 2004-09-10 2006-12-22 Oreal Dispositif d'application d'un produit muni d'un organe d'application amovible
BRPI0715689A2 (pt) 2006-08-18 2014-12-23 Porex Corp Composição, aplicador, aparato, métodos para produção de um material polimérico, para a produção de um aplicador, para aplicar uma composição a uma superfície, para a produção de um aparato, elastômero, 1,3-dienos, plástico, poliolefinas, meio de barreira e polietileno
FR2929249B1 (fr) * 2008-03-27 2012-02-17 Rexam Pharma La Verpilliere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contenu dans un reservoir
JP5263873B2 (ja) * 2008-05-02 2013-08-14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FR2934572A1 (fr) * 2008-07-31 2010-02-05 Thea Lab Embout pour flacon de conditionnement de liquide a distribuer goutte a goutte.
US20140224897A1 (en) * 2011-03-11 2014-08-14 Guillaume GARAGNON Applicator device for liquid or volatile products
CN102241296B (zh) * 2011-06-16 2013-09-25 深圳市通产丽星股份有限公司 具振动按摩功能的软管包装容器
RU122257U1 (ru) * 2012-05-22 2012-11-27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Полянск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нанесения средств по уходу за ногтями и телом
JP6154211B2 (ja) * 2013-06-26 2017-06-28 伸晃化学株式会社 塗布容器
US9456678B1 (en) * 2016-02-17 2016-10-04 Hooshmand Harooni Roller applicator with LED
FR3056418B1 (fr) * 2016-09-23 2021-04-16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5937A1 (en) 2000-03-06 2001-09-13 Porex Technologies Corporation Porous plastic media with antiviral or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FR2876557A1 (fr) 2004-10-18 2006-04-21 Techpack Int Sa Stylo distributeur d'un produit cosmetique fl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61065B1 (fr) 2021-05-07
FR3061065A1 (fr) 2018-06-29
EP3558647A1 (fr) 2019-10-30
EP3558647B1 (fr) 2022-12-21
US20190358876A1 (en) 2019-11-28
WO2018115759A1 (fr) 2018-06-28
CN110325351A (zh) 2019-10-11
KR20190100276A (ko) 2019-08-28
JP2020501838A (ja)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781B2 (en) Dispenser endpiece comprising two assembled-together parts and a coating of flocking
US6334727B1 (en) Applicator and applicator assembly equipped with such an applicator
US6158912A (en) Flexible wall cosmetic container
US20020014254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having an applicator area with privileged feed
KR100649052B1 (ko) 물질을 포장하고 적용하는 장치
US11571058B2 (en) Cosmetic applicator with a firm base and an attached cushioning member
US5879095A (en) Dispenser for a product of liquid-to-pasty consistency,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tip
US7435027B2 (en) Multi-reservoir container with applicator tip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918619B2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up skin or lips
JP2013052302A (ja) パッケージ及びアプリケータ具
JP2002028026A (ja) 収容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US20200288841A1 (en) Liquid dermatological agent dispensing device
KR20140094538A (ko) 화장품 도포 요소 및 이와 같은 요소를 포함하는 포장 및 도포 세트
KR102374475B1 (ko)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도포 부재 및 도포기
KR200383301Y1 (ko) 화장품 도포용 팁
JP3109917U (ja) 液体化粧料塗布具の構造
JP2017522921A (ja) 化粧用又は皮膚用製品をパッケージ及び塗布する装置
US6652176B2 (en) Reservoir and applicator unit
KR102508282B1 (ko) 복수의 화장료를 표현할 수 있는 화장용구
US3549269A (en) Foamed plastic headed applica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