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369B1 -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369B1
KR102374369B1 KR1020150108668A KR20150108668A KR102374369B1 KR 102374369 B1 KR102374369 B1 KR 102374369B1 KR 1020150108668 A KR1020150108668 A KR 1020150108668A KR 20150108668 A KR20150108668 A KR 20150108668A KR 102374369 B1 KR102374369 B1 KR 10237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electrochemical device
anode material
lithium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784A (ko
Inventor
선양국
오승민
황장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3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 카본 복합 음극 재료 및 수열 합성을 위한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는 간단한 수열합성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고, hard carbon과 Si/SiOx 복합체로 구성되어 기존 실리콘 재료의 문제점인 부피 팽창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고용량 고출력의 전기화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NEGATIVE ACTIVE MATERIAL FOR ELECTROCHEMICAL DEVICE}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 카본 복합 음극 재료 및 수열 합성을 위한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특히 휴대용 일렉트로닉스의 분야, 예를 들어, 노트북 또는 휴대전화에 사용된다. 또한 수송 수단 분야, 예를 들어, 자전거 또는 자동차 분야에서의 리튬 이온 배터리의 사용 또한 최근 연구 개발되고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화학 및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소 중에서 180 Wh/kg 이하의 가장 고에너지 밀도를 가진다. 리튬 이온 배터리에 사용되는 음극 재료 (애노드)는 거의 흑연 탄소이다. 흑연 탄소는 "리튬 이온"에 사용되는 리튬 금속과 비교하여 안정한 주기성 및 매우 높은 정도의 취급 안전성을 갖는다. 음극 재료에 흑연 탄소를 사용하는 것은 리튬의 층간 삽입 및 방출과 관련된 호스트(host) 재료의 부피 변화가 적다는 면에서, 즉, 전극이 대체로 안정하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이에 따라, LiC6의 한정된 화학양론의 경우에 있어, 흑연 탄소에의 리튬의 층간 삽입시 약 10%의 부피 증가가 측정된다. 하지만, 흑연 탄소는 흑연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화학 용량, 즉, 이론적으로 372 mAh/흑연g을 가진다는 점에 단점이 있는데, 이는 리튬 금속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3862 mAh/리튬g의 전기화학 용량의 약 1/10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대체 재료, 특히 합금 중에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 (Lindsay et al. in J. Power Sources 119 (2003), 84), 주석 ([Winter et al. in Electrochim . Acta 45 (1999), 31]; [Tirado in Mater. Sci . Eng . R-Rep. 40 (2003), 103]) 또는 안티몬 (Tirado in Mater. Sci . Eng . R-Rep. 40 (2003), 103) 기재의 2원 합금, 구리-주석 (Kepler et al. in Electrochem Solid-State Lett 2 (1999), 307) 또는 구리-안티몬 (Yang et al. in Electrochem . Solid-State Lett . 2 (1999), 161) 기재의 3원 합금, 또는 주석 산화물 (Huggins in Solid-State ion. 152 (2002), 61) 기재의 금속 산화물이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합금 재료는 높은 이론적 비용량, 예를 들어, 주석의 경우 994 mAh/g을 가진다. 이렇게 높은 이론적 용량이 가역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금속성 리튬과 비교하여, 합금 기재의 애노드 재료는 리튬 증착 동안 수지상 결정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흑연 재료와는 대조적으로, 합금 기재 애노드 재료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기재의 전해질과 함께 사용시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저온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합금은 주기 동안, 즉, 리튬의 층간 삽입 및 방출 동안의 큰 부피 팽창이라는 단점을 가지는데, 이는 200% 초과, 때때로는 심지어 최대 300%까지도 팽창한다 (Besenhard et al. in J. Power Sources 68 (1997), 87).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 재료로 규소 또한 연구되어 왔는데, 규소 또한 주석처럼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리튬과 이원 화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Weydanz et al. in Journal of Power Sources 82 (1999), 237]; [Seefurth et al. in J. Electrochem. Soc . 124 (1977), 1207]; [Lai in J. Electrochem . Soc. 123 (1976), 1196]). 리튬과 규소의 이러한 이원 화합물은 매우 높은 리튬 함량을 가진다. 이론적인 최대 리튬 함량은 Li4 .2Si로, 약 4400 mAh/규소g라는 매우 높은 이론적 비용량을 가진다 (Lupu et al. in Inorg . Chem . 42 (2003), 3765). 이러한 이원 화합물은 Li/Li+에 대하여 (즉, 비교물질로 작용하는 금속성 리튬의 전위에 대하여), 흑연 중 리튬의 층간삽입 화합물의 < 500 mVs과 유사하게 낮은 전위에서 형성된다. 그러나, 규소의 경우 앞에서 설명한 이원 합금의 경우에서와 같이, 리튬의 층간삽입 및 방출은 최대 323% 이하일 수 있는 매우 큰 부피 팽창 문제를 나타낸다. 이러한 부피 팽창은 미세 결정 상에서 심한 기계적 응력을 유도하여, 입자가 무정형이 되게 하고 전기적 접촉의 손실에 의해 파괴되게 한다. ([Winter et al. in Adv . Mater. 10 (1998), 725]; [Yang et al. in Solid-State Ion. 90 (1996), 281]; [Bourderau et al. in J. Power Sources 82 (1999), 233]). 이러한 기계적 응력은 특히 매우 높은 비가역 용량(최대 50% 또는 그 이상)이 발생하는 최초 충방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 이 재료를 음극으로 사용할 수 없게 만들었다.
규소의 지지 물질에 대한 접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 예를 들어, 수 시간 동안의 강한 밀링 ([Dimov et al. in Electrochim . Acta 48 (2003), 1579]; [Niu et al. in Electrochem . Solid State Lett . 5 (2002), A107]), 기상으로부터의 탄소 코팅 (Wilson et al. in J. Electrochem . Soc. 142 (1995), 326), 및 각각의 전구체의 치밀 혼합물의 열분해 ([Larcher et al. in Solvently State ion. 122 (1999), 71]; [Wen et al. in Electrochem . Commun 5 (2003), 165])가 사용되어져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의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새로운 구조의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를 제공한다.
[화학식] -C-[(1-y)Si + ySiOx] (0<x<2, 0<y<1)
본 발명은 또한,
실란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탄소 전구체를 수열 합성기에서 혼합하는 단계;
수열 반응 시키는 단계; 및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란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는 아미노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전구체는 활성탄, 활성탄 섬유, 탄소나노튜브,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hol), 셀룰로오스(cellulose) 및 피치(pitch)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열 반응 시키는 단계는 80 ℃ 내지 200℃ 에서 1 시간 내지 10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화학 소자는 이차 전지, 커패시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는 간단한 수열합성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고, hard carbon과 Si/SiOx 복합체로 구성되어 기존 실리콘 재료의 문제점인 부피 팽창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고용량 고출력의 전기화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코인셀에 대해 초기 충방전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코인셀에 대해 수명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카본 실리콘 복합체의 제조
Silane을 작용기를 기본으로 가지는 고분자 물질과 탄소(C)를 갖는 Carbon Source를 사용하여 수열합성기를 통해 합성하고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Hard Carbon 과 Si/SiOx 복합체의 음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 전지 제조
직접체로서 Li 금속을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음극활물질 및 바인더로서 PAA, 아세틸렌 블랙을 혼합하여 음극 및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초기 충방전 특성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코인셀에 대해 초기 충방전 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 수명 특성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코인셀에 대해 수명 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Claims (7)

  1. 삭제
  2. 실란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와 탄소 전구체를 수열 합성기에서 혼합하는 단계;
    수열 반응 시키는 단계; 및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하드카본과 Si/SiOx 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는 아미노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인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전구체는 활성탄, 활성탄 섬유, 탄소나노튜브,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hol), 셀룰로오스(cellulose) 및 피치(pitch)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인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열 반응 시키는 단계는 80 ℃ 내지 200℃ 에서 1 시간 내지 10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인 음극 재료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50108668A 2015-07-31 2015-07-31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4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668A KR102374369B1 (ko) 2015-07-31 2015-07-31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668A KR102374369B1 (ko) 2015-07-31 2015-07-31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784A KR20170014784A (ko) 2017-02-08
KR102374369B1 true KR102374369B1 (ko) 2022-03-14

Family

ID=5815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668A KR102374369B1 (ko) 2015-07-31 2015-07-31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0958B (zh) * 2018-10-11 2020-09-15 大同新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硅碳负极材料制备方法及装置
CN115231548B (zh) * 2022-09-20 2023-01-13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高容量改性天然高分子基硬炭材料及其制备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5811A1 (en) 2012-12-20 2014-06-26 Umicor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5064983A (ja) * 2013-09-24 2015-04-09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電池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486B1 (ko) * 2012-05-03 2014-10-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본 황 복합체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카본 황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5811A1 (en) 2012-12-20 2014-06-26 Umicor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5064983A (ja) * 2013-09-24 2015-04-09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784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1179B1 (en) Anode comprising silicon-based material and carbon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1437074B1 (ko)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그 음극활물질 및 이를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KR20030047037A (ko) 극판,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및 극판 제조방법
CN115799601A (zh) 锂离子电池
KR101488043B1 (ko) 고용량 리튬이차전지의 활성화 방법
WO2021008429A1 (zh) 二次电池及其相关的电池模块、电池包和装置
CN108933276B (zh) 锂二次电池
US11757087B2 (en)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
US20110059372A1 (en) Posi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2019526915A (ja) 多孔質ケイ素材料および導電性ポリマーバインダー電極
KR20140058928A (ko) 비수계 고용량 리튬 이차전지
CN107528065B (zh) 锂二次电池
KR102374369B1 (ko) 전기화학소자용 음극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17748A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20012024A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142533B1 (ko) 금속계 아연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172296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8539151B (zh) 二次电池用电极材料及二次电池
KR102615856B1 (ko) 리튬 이차전지 음극재
JP5318921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黒鉛粒子
KR20190042850A (ko) 리튬 이차 전지
KR102214227B1 (ko)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JP2023547000A (ja) シリコンカーボン負極材料、負極極板、二次電池、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及び電力消費装置
KR102234705B1 (ko) 복합음극활물질,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08183220B (zh) 一种锂电池三元复合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