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529B1 - 혁신적인 구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카드 머신 - Google Patents

혁신적인 구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카드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529B1
KR102372529B1 KR1020187032320A KR20187032320A KR102372529B1 KR 102372529 B1 KR102372529 B1 KR 102372529B1 KR 1020187032320 A KR1020187032320 A KR 1020187032320A KR 20187032320 A KR20187032320 A KR 20187032320A KR 102372529 B1 KR102372529 B1 KR 10237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d forming
shaft
forming module
followe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593A (ko
Inventor
브람 반데르요익트
매튜 테오발트
Original Assignee
엔브이 미쉘 밴 데 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 미쉘 밴 데 윌리 filed Critical 엔브이 미쉘 밴 데 윌리
Publication of KR20180126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32Jacquard driving mechanisms
    • D03C3/36Griffe operat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3Devices for lubricating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쉐드 형성 요소의 선택적 이동을 위한 쉐드 형성 모듈(1)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영역에서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리프팅 요소와,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며,
- 축(A)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구동된 샤프트(2)로부터 축(B)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샤프트(3)로 일정한 전달 비에 따라 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
- 상기 제2 샤프트(3)의 이동을 상기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3 축(C) 주위의 진동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수단 - 상기 변환 수단은 제3 축(C) 주위로 진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종동자 구성 요소를 포함함 - ;
- 상기 이동 영역에서 상기 종동자 구성 요소와 상기 리프팅 요소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연결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 수단은 폐쇄가능한 하우징(30) 내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수단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개구를 통해 유체 기밀식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혁신적인 구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카드 머신
본 발명은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리프팅 요소와, 리프팅 요소를 구동하기 위해 진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1 및 제2 구동 수단이 제공된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리프팅 요소를 사용하여 쉐드 형성 요소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쉐드 형성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쉐드 형성 모듈을 구비한 자카드 머신, 이러한 쉐드 형성 모듈을 구비한 위빙 머신, 및 특히 이러한 자카드 머신을 구비한 위빙 머신에 관한 것이다.
위빙 머신에 직물을 위빙할 때, 날실은 각 주기마다 씨실이 도입되는 레벨에 대하여 연속적인 위빙 사이클 중에 위치된다. 연속적인 위빙 사이클에서 날실의 위치는 이 경우에 위빙 공정이 소정의 위빙 패턴을 갖는 직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쉐드 형성으로 알려진 위빙 머신 상의 씨실 레벨에 대한 날실의 위치 설정은 쉐드 형성 장치 또는 쉐드 형성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공지된 쉐드 형성 장치는 하나 이상의 후크를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하지 않도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선택 시스템을 포함한다. 후크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프팅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운반되거나 또는 운반되지 않으며, 역 위상으로 쌍을 이루어 위아래로 움직이는 적어도 2 개의 리프팅 요소로 구성된 리프팅 요소 세트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리프팅 요소(나이프)는 예를 들어 나이프 그리드와 같은 리프팅 수단을 통해 조정 가능한 진폭에 따라 서로에 대해 역 위상의 상하 운동으로 구동된다. 쉐드 형성 장치는 예를 들어 쉐드 형성 장치의 2 개의 대향 측면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적어도 2 세트의 나이프 그리드를 포함한다.
쉐드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카르단 샤프트 또는 드라이브를 통해 위빙 머신의 메인 모터를 통해 구동된다. 제어 동작은 연속 회전 동작이다. 리프팅 요소를 위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 회전 운동을 리프팅 요소를 정확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적절한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나 알려진 구동 시스템은 이 변환이 변환 지점으로 알려진 여러 위치에서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것은 유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한 접근법이 아니다. 다른 변환 지점은 변환 지점에서의 마모 수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 및/또는 조기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변환 지점은 항상 이동 영역에 가깝게 위치하며, 이 이동 영역 주위에 퍼져있기 때문에, 쉐드 형성 장치의 모듈성 또는 확장성(scalability)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흔히, 변환 지점은 위빙 머신의 직물 영역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변환 지점이 오일 배스에 위치할 때, 오일 누출이 발생하면, 더럽고 그리고/또는 손상된 직물이 생길 수 있다.
삭제
따라서, 유럽 특허 공개 EP 0 297 586은 진폭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2 개 초과의 조정 지점을 갖는 각도 비틀림으로 (완전하게) 회전하는 운동을 2 회 4 변환하는 것을 개시한다. EP 1 705 272는 (완전하게) 회전하는 운동을 회전하는 진동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2 개의 지점을 갖는다. 여기서 진폭은 앞뒤 모두 좌우로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모든 변환 지점을 포함하는 쉐드 형성 모듈의 전체 구동 부분을, 바람직하게는 쉐드 형성 모듈의 이동 영역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그룹화하여, 종래 기술의 단점이 간단한 방식으로 해소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일 특허 공개 제DE 25 07 486호에는 변환 지점이 그룹화되어 이동 영역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쉐드 형성 모듈이 기재되어 있다. 리프팅 요소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연결 로드에 의해 변환 지점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변환 지점 및 하나의 연결 로드가 각 개별 리프팅 요소에 해당한다. 하우징 내의 폐쇄된 오일 조에 변환 지점을 배치할 때, 각각의 연결 로드는 하우징의 상향 및 하향 이동 출력 샤프트를 형성한다. 위아래로 또는 앞뒤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가 있는 하우징은 완벽하게 누출이 없고 내구성 있게 밀봉되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리프팅 요소를 사용하여 쉐드 형성 요소의 선택적 이동을 위한 쉐드 형성 모듈로서, 조정 가능한 이동 진폭에 따라 이동 영역에서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리프팅 요소와,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며,
- 축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구동된 샤프트로부터 축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샤프트로 일정한 전달 비에 따라 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
- 상기 제2 샤프트의 이동을 상기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3 축 주위의 진동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수단 - 상기 변환 수단은 적어도 다음의 구성 요소들:
· 상기 제2 샤프트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구성 요소;
· 상기 제3 축 주위로 진동 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종동자 구성 요소, 및
· 상기 구동 구성 요소와 상기 종동자 구성 요소 사이의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구성 요소(19)를 포함함 - ;
- 상기 이동 영역에서 상기 종동자 구성 요소와 상기 리프팅 요소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연결 수단
을 포함하는, 상기 쉐드 형성 모듈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폐쇄가능한 하우징 내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수단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개구를 통해 유체 기밀식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변환 수단을 위한 윤활유, 예를 들어 윤활 오일의 저장을 위해 제공된다.
"유체 기밀식"이라는 표현은 연결 수단이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될 때 하우징에 제공될 수 있는 유체가 개구를 통해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폐쇄가능한 하우징에 변환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은 오일 수조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함께 윤활될 수 있고, 이는 직물의 오염 또는 손상의 위험이 없는 수명과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구현된 개구(들)는 개구의 에지와 연결 수단의 주변 사이의 거리가 완벽하게 유체 기밀식으로 밀봉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달 수단은 또한 폐쇄가능한 하우징 내에 제공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달 수단과 변환 수단은 동일한 하우징 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달 및 변환 수단을 위해 윤활유, 예를 들어 윤활 오일을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달 및 변환 수단이 별도의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경우, 양 하우징은 각각의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전달 수단 또는 변환 수단을 위한 윤활유, 예를 들어 윤활 오일을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모든 입력 및 출력 축은 완전 회전 운동 또는 진동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은 보다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환 수단과 연결 수단에 의해 브리징되는 이동 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는 이동 영역의 폭의 1/4보다 크다. 특히, 변환 수단과 이동 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는 이동 영역의 폭의 1/3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영역의 폭의 절반보다 크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동 영역은 수평면 상의 리프팅 요소의 돌출부의 (가능한 한 최소의) 둘러싸는 직사각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시스템은 리프팅 요소의 이동 진폭을 조정하기 위한 제1 조정 수단 및 제2 조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수단은 2 개의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를 포함하고, 종동자 구성 요소는 제3 축을 따라 연장되는 종동자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자 샤프트는 이들 구동 로드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조정 수단 및 제2 조정 수단은 종동자 샤프트의 일 단분 및 타 단부에 각각 제공되어, 제1 조정 수단은 제1 구동 로드와 제3 축을 따라 연장되는 종동자 샤프트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고, 제2 조정 수단은 제2 구동 로드와 종동자 샤프트 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쉐드 형성 모듈은 2 개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제1 조정 수단 및 제2 조정 수단은 각각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의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수단은 2 개의 진동 가능한 샤프트 및 2 개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종동자 구성 요소는 제3 축을 따라 연장되는 종동자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자 샤프트는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을 통해 이들 진동 가능한 샤프트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조정 수단 및 제2 조정 수단은 각각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이 제공된 자카드 머신에 관한 것이다. 자카드 머신은 헤들(heddle)이 2개 이상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개방 쉐드 자카드 머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이 제공된 위빙 머신에 관한 것이다. 위빙 머신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머신을 포함한다.
삭제
이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의 다수의 가능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설명의 목적은 명확한 예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을 나타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적용 영역 또는 청구항에서 청구된 특허권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참조 번호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하우징이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연결 수단은 2 개의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를 포함하고, 종동자 구성 요소는 구동 로드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3 축을 따라 연장되는 종동자 샤프트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쉐드 형성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쉐드 형성 모듈 상에 제공될 수 있는 대안적인 구동 시스템을 도시하며, 연결 수단은 2 개의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를 포함한다.
도 4는 하우징이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연결 수단은 두 개의 진동 가능한 샤프트 및 두 개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종동자 구성 요소들은 제3 축을 따라 연장되는 종동자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자 샤프트는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을 통해 이들 진동 가능한 샤프트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쉐드 형성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모듈의 도면이다.
도 7은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는 도 4에 도시된 모듈의 표현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나이프의 형태로 비-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리프팅 요소를 사용하여 쉐드 형성 요소의 선택적인 이동을 위한 쉐드 형성 모듈(1)에 관한 것이다. 조정 가능한 이동 진폭에 따라 이동 영역에서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2 세트의 리프팅 요소가 제공된다. 이동 영역(Z)은 도 2에서 해칭된 영역으로 도시되고, 수평면 상의 리프팅 요소의 돌출부의 (최소 가능한) 둘러싸는 직사각형(enveloping rectangl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리프팅 요소를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해, 쉐드 형성 모듈(1)에는 구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구동 시스템은 아래 나열된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 축(A)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구동된, 바람직하게는 회전하는 샤프트(2)로부터 축(B)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샤프트(3)로 일정한 전달 비에 따라 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
- 상기 제2 샤프트(3)의 이동을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3 축(C) 주위의 진동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수단; 및
- 이동 영역(Z)에서 상기 종동자 구성 요소(변환 수단 중 하나)와 상기 리프팅 요소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연결 수단(7, 9; 8, 10).
상기 변환 수단은 적어도 다음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 상기 제2 샤프트(3)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구성 요소(18);
· 상기 제3 축(C) 주위로 진동 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종동자 구성 요소, 및
· 상기 구동 구성 요소(18)와 상기 종동자 구성 요소 사이의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구성 요소(19).
본 발명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1)에서, 연결 수단에 의해 브리징되는 변환 수단과 이동 영역(Z) 사이의 최단 거리(Dshrt)는 이동 영역(Z)의 폭(Dbew)의 1/4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3보다 크며, 절반보다 큰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 시스템의 다수의 구성 요소, 즉 전달 수단 및 변환 수단을 쉐딩 형성 요소로부터 일정 거리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이동 영역의 폭은 1200 mm와 1530 mm 사이이므로, 변환 수단은 이동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300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80 mm 이다.
전달 수단 및 변환 수단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윤활유, 예컨대 윤활유가 상기 전달 및 변환 수단을 윤활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의 폐쇄가능한 하우징(30)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폐쇄가능한 하우징은 위빙 머신의 직물 구역 위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셋업는 윤활제가 직물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더럽힐 위험이 더 이상 없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쉐드 형성 모듈(1)은 첨부된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1)은 공급되는 날실 방향으로 바라본 위버의 관점에서 볼 때 좌우측의 2 개의 대향 측면 상에, 나이프 그리드의 형태로,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이동 가능한 2 개의 리프팅 수단(5, 6)을 구비한다. 조정 가능한 운동 진폭에 따라 리프팅 요소를 위아래로 위상으로 그리고 역 위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듈(1)은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커넥팅 로드(20)를 통해 리프팅 요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진동 레버(11, 12)를 포함한다.
공급된 날실 방향으로 보는 위버의 관점에서 본 모듈(1)의 전방 및 후방에서 이들 나이프 그리드(5, 6)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해, 구동 가능하고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4-바 메커니즘은 여기서 제1 조정 수단(7), 제1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9) 및 이 구동 로드(9)에 연결된 제1 진동 레버(11)에 의해 전방에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된 4-바 메커니즘은 제2 조정 수단(8), 제2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10) 및 상기 구동 로드(10)에 연결된 제2 진동 레버(1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조정 수단(7, 8)을 통해, 나이프 그리드(5, 6)의 최종 이동은 구동 로드(9, 10)에 의해, 이 한정된 운동을 실행하고 이를 나이프 그리드(5, 6) 상에 부과하는 제1 및 제2 진동 레버(11, 12)로 설정 및 전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4-바 메커니즘은 운동을 시작한다; 이들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메인 구동 샤프트에 일 단부에서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다른 단부를 통해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연결 로드에 연결된다.
상기 2 개의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9, 10)는 변환 수단의 구성 요소에 의해 구동되고, 즉 제3 축(C)을 따라 연장되는 종동자 샤프트(4)의 형태로 제3 축(C) 둘레에서 진동 운동할 수 있는 종동자 구성 요소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종동자 샤프트(4)의 일 단부에 설치된 제1 조정 수단(7)은 제1 구동 로드(9)과의 연결을 보장하고, 종동자 샤프트(4)의 타 단부에 설치된 제2 조정 수단(8)은 제2 구동 로드(10)와 종동자 샤프트(4) 사이의 연결을 보장한다. 연결을 구현하려면, 제1 및 제2 조정 수단에는 구동 로드(9, 10)가 고정되는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대신에, 구동 로드(9, 10)가 결합될 수 있는 별개의 커플링 지점(25)이 제공될 수 있다. 리프팅 요소의 진폭은 2 개의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9, 10)의 일 단부에 위치된 회전 지점(베어링)을 이동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슬롯 내의 구동 로드(9, 1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롯 내의 각각의 구동 로드(9, 10)의 회전 지점(베어링)은 원하는 위치에 클램핑될 수 있거나, 또는 구동 로드(9, 10)를 상기 조정 수단(7, 8) 상의 다른 결합 지점(25)에 고정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종동자 샤프트(4)는 제3 축(C)을 중심으로 진동 운동이 가능한데, 왜냐하면 종동자 샤프트(4)는 커플링 부재(19)를 통해, 회전 가능한 제2 샤프트(3)에 고정된 구동 구성 요소(18)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쉐드 형성 모듈(1)에서, 구동 구성 요소(18)는 축(B)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 가능한) 샤프트(3)가 통과하는 편심 드릴링된 구멍을 갖는 디스크(편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셋업으로, 제2 샤프트(3)는 편심 샤프트로 간주된다. 커플링 부재는 구동 로드(19)에 의해 형성된다. 이 구동 로드(19)는 디스크(18)에 연결되어, 제2 샤프트의 회전 운동에 의해, 구동 로드(19)는 진동 운동을 실행하고, 이 진동 운동은 상기 종동자 샤프트(4)에 부여되고, 이로써 이는 또한 진동 운동을 실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심(18) 및 편심 샤프트(3)는 크랭크 및 크랭크 샤프트가 있는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종동자 샤프트(4)는 2 개의 부분(4a, 4b)으로 구성되며, 이 경우 부분들(4a, 4b)은 각각 일 단부가 조정 수단(7, 8)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공통 종동자 레버(21)에 연결되며, 이는 또한 커플링 구성 요소(19)와의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종동자 구성 요소로 간주될 수도 있다.
제1 축(2)의 회전으로 인해, 제2 샤프트(3)는 제2 샤프트(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샤프트(2)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제1 구동된 샤프트(2)로부터 제2 샤프트(3)로의 일정한 전달 비에 따른 이동을 전달하기 위해, 전달 수단, 바람직하게는 베벨 기어가 제공된다. 이동은 일정한 전달 비에 따라 전달된다.
도 6은 하우징과 함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모듈을 도시한다. 하우징은 하나의 입력 샤프트인 회전 샤프트(2) 및 두 개의 출력 샤프트인 진동 종동자 샤프트(4)의 두 단부(4a 및 4b)를 가지고 있다. 조정 수단(7 및 8)은 하우징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 전달 수단 및 변환 수단은 동일한 하우징 내에 있다.
도 3은 상술한 쉐드 형성 모듈(1) 상에 제공될 수 있는 대안적인 구동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구동 시스템과의 차이점은 구동 구성 요소와 종동자 구성 요소 사이의 연결을 위한 커플링 요소로서 캠(23) 및 롤러(24)의 사용이다. 그 결과로서, 종동자 샤프트 및 종동자 레버는 사용되지 않고, 캠 종동자 샤프트 및 캠 종동자 레버(22) 대신에 사용된다. 구동 구성 요소는 제1 구동된 샤프트(2)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회전 가능 샤프트(3)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된 날실의 방향으로 바라보는 위버의 관점에서 바라본 좌우 2 개의 대향 측면 상의 모듈(1)에는 2 개의 리프팅 수단(5', 6')이 제공되며, 상기 리프팅 수단은 나이프 그리드의 형태로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모듈(1)의 전방과 후방에 있는 이들 나이프 그리드(5', 6')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해, 공급된 날실의 방향을 바라보는 위버의 관점에서 볼 때, 진동 요소(15, 16) 및 커넥팅 로드(17)를 통해 나이프 그리드(5', 6')의 단부에 연결된 진동 가능한 샤프트(13, 14)가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가능한 샤프트(13, 14)는 연결 수단의 일부를 형성한다. 연결 수단은 또한 2 개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이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조정 수단(7, 8)에 의해 나이프 그리드(5', 6')의 최종 이동을 설정할 수 있다. 이들 2 개의 4-바 메커니즘은 2 개의 샤프트(13, 14) 사이의 영역에 위치되며, 전달 수단 및 변환 수단과 함께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2 개의 4-바 메커니즘 및 따라서 진동 가능한 샤프트(13, 14)는 제3 축(C)을 따라 연장되는 종동자 구성 요소인 종동자 샤프트(4)에 의해 구동된다. 이 종동자 샤프트(4)는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된다. 종동자 샤프트(4)는 커플링 부재(19)를 통해 회전 가능한 제2 샤프트(3)에 고정된 구동 구성 요소(18)에 연결되기 때문에, 이 종동자 샤프트(4)는 제3 축(C)을 중심으로 진동 운동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구성 요소(18)는, 축(B)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 가능한) 샤프트(3)가 통과하는 편심 드릴링된 구멍을 갖는 디스크(편심)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제2 샤프트(3)는 편심 샤프트로 간주된다. 커플링 부재(19)는 구동 로드(19)에 의해 형성된다. 이 구동 로드(19)는 디스크에 연결되어, 구동 로드(19)가 진동 운동하여, 종동자 샤프트(4)에 이를 부여하여, 이는 진동 운동을 실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심부(18) 및 편심 샤프트(3)는 크랭크 및 크랭크 샤프트를 갖는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 있다.
종동자 샤프트(4)는 진동 운동을 수행하는 소위 종동자 레버(21*)에 연결된다. 종동자 레버(21*)는 플랫 바로 구현된다. 종동자 레버(21*)와 종동자 샤프트(4)의 연결 지점(회전 지점)은 대략 종동자 레버(21*)의 중심에 위치된다. 종동자 레버(21*)의 일 단부는 제1 바(26)를 통해 제1 진동 가능한 샤프트(1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종동자 레버(21*)의 제2 단부는 제2 바(27)를 통해 제2 진동 가능한 샤프트(14)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종동자 레버(21*)는 상기 연결 지점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조정 수단(7, 8)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제1 조정 수단(7)은 종동자 레버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는 제1 바(26)의 방향으로 종동자 샤프트(4)와 함께 회전 지점 아래로 연장되는 참조 부호(21*)에 의해 지시되며, 제2 조정 수단(8)은 제2 바(27)의 방향으로 종동자 샤프트(4)와 함께 회전 지점 위로 연장되는 종동자 레버(21*)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도면 부호(21*)로 표시된 종동자 레버는 연결 부품이다.
따라서, 하나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은 제1 바(26)와 진동 가능한 샤프트(13) 사이에 제1 조정 수단(7), 제1 바(26) 및 제1 연결 요소(28)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은 제2 바(27)와 진동 가능한 샤프트(14) 사이에서 제2 조정 수단(8), 제2 바(27) 및 결합 구성 요소(29)로 구성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진폭은 제1 및 제2 조정 수단(7, 8)에 의해 조정된다. 제1 및 제2 조정 수단(7, 8)을 통해, 나이프 그리드(5', 6')의 한정된 움직임은 바(26, 27)를 통해 제1 및 제2 연결 요소(28, 29)로 설정 및 전달될 수 있고, 이는 이 한정된 움직임을 수행하고 이를 진동 가능한 샤프트(13, 14)를 통해 나이프 그리드(5', 6')에 부여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조정 수단(7, 8)은 종동자 레버(21*) 상에 제공된 별개의 커플링 지점(도 4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들 커플링 지점에서, 제1 및 제2 바(26, 27)는 종동자 레버(21*)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조정 수단(7, 8)은, 커플링 지점 대신에, 제1 및 제2 바(26, 27)의 회전 지점(베어링)이 고정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요소의 진폭은 제1 및 제2 바(26 및 27)의 일 단부에 위치된 회전 지점(베어링)을 이동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슬롯 내의 각각의 바(26, 27)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슬롯 내의 각각의 바(26, 27)의 회전 지점(베어링)은 원하는 위치에 클램핑되거나, 또는 바(26, 27)를 다른 고정 지점에 대해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2 샤프트(B) 둘레의 제2 샤프트(3)의 회전은 제1 축(2)의 회전에 의해 수행된다. 제1 샤프트(2)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제1 구동된 샤프트(2)로부터 제2 샤프트(3)으로 일정한 전달 비에 따른 이동을 전달하기 위해, 전달 수단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베벨 기어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동은 일정한 전달 비에 따라 전달된다.
도 7은 하우징과 함께 도 4에 도시된 모듈을 도시한다. 하우징은 하나의 입력 샤프트인, 회전 샤프트(2) 및 2 개의 출력 샤프트인, 2 개의 진동 샤프트(13 및 14)를 포함한다. 전달 수단 및 변환 수단뿐만 아니라, 연결 수단의 일부, 즉 연결 수단(21*), (26), (27), (28), (29) 및 진동 가능한 샤프트(13, 14)의 부분은 이 실시예에서 동일한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조정 수단(7), (8) 또는 (28), (29)은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Claims (17)

  1. 비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리프팅 요소를 사용하여 쉐드 형성 요소의 선택적 이동을 위한 쉐드 형성 모듈(1)로서,
    조정 가능한 이동 진폭에 따라 이동 영역에서 역 위상으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 세트의 리프팅 요소 및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영역은 수평면 상의 리프팅 요소의 돌출부의 둘러싸는 직사각형에 의해 형성되며,
    축(A)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구동된 샤프트(2)로부터 축(B)이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샤프트(3)로 일정한 전달 비에 따라 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
    상기 제2 샤프트(3)의 이동을 상기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이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3 축(C) 주위의 진동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수단 - 상기 변환 수단은 적어도 다음의 구성 요소들:
    · 상기 제2 샤프트(3)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구성 요소(18);
    · 상기 제3 축(C) 주위로 진동 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종동자 구성 요소, 및
    · 상기 구동 구성 요소(18)와 상기 종동자 구성 요소 사이의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구성 요소(19)를 포함함 - ;
    - 상기 이동 영역에서 상기 종동자 구성 요소와 상기 리프팅 요소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 수단은 폐쇄가능한 하우징(30) 내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수단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개구를 통해 유체 기밀식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 시스템은 상기 리프팅 요소의 이동 진폭을 조정하기 위한 제1 조정 수단(7) 및 제2 조정 수단(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폐쇄가능한 하우징(30)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 및 상기 변환 수단은 동일한 하우징(30)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과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브리징된 상기 이동 영역(Z) 사이의 수평 돌출부를 따라 측정된 최단 거리(Dshrt)는 상기 이동 영역(Z)의 폭(Dbew)의 1/4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과 상기 이동 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이동 영역의 폭의 1/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과 상기 이동 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이동 영역의 폭의 절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달 및 변환 수단을 위한 윤활제의 저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2 개의 구동 가능한 구동 로드(9, 10)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자 구성 요소는 상기 제3 축(C)을 따라 연장되는 종동자 샤프트(4)을 포함하며, 상기 종동자 샤프트(4)는 이들 구동 로드(9, 10)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조정 수단(7) 및 제2 조정 수단(8)은 상기 종동자 샤프트(4)의 일 단부 및 타 단부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제1 조정 수단(7)은 상기 제3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구동 로드(9)와 상기 종동자 샤프트(4)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조정 수단(8)은 상기 제2 구동 로드(10)와 상기 종동자 샤프트(4)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쉐드 형성 모듈은 2 개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정 수단(7) 및 상기 제2 조정 수단(8)은 각각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2 개의 진동 가능한 샤프트(13, 14) 및 2 개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자 구성 요소는 상기 제3 축(C)을 따라 연장되는 종동자 샤프트(4)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자 샤프트는(4)는 상기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진동 가능한 샤프트(13, 14)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조정 수단(7) 및 제2 조정 수단(8)은 각각의 조정 가능한 4-바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드 형성 모듈(1).
  13. 제1항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1)을 포함하는 자카드 머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카드 머신은 헤들(heddle)이 2개 이상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개방 쉐드 자카드 머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 머신.
  15. 제1항에 따른 쉐드 형성 모듈(1)을 포함하는 위빙 머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빙 머신은 자카드 머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 머신.
  17. 삭제
KR1020187032320A 2016-04-08 2017-04-10 혁신적인 구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카드 머신 KR102372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BE-2016/5243 2016-04-08
BE2016/5243A BE1024030B1 (nl) 2016-04-08 2016-04-08 Jacquard met vernieuwd aandrijfsysteem
PCT/IB2017/052050 WO2017175205A1 (en) 2016-04-08 2017-04-10 Jacquard machine with innovative driv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593A KR20180126593A (ko) 2018-11-27
KR102372529B1 true KR102372529B1 (ko) 2022-03-08

Family

ID=5601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320A KR102372529B1 (ko) 2016-04-08 2017-04-10 혁신적인 구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카드 머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440248B1 (ko)
KR (1) KR102372529B1 (ko)
CN (1) CN108884605B (ko)
BE (1) BE1024030B1 (ko)
ES (1) ES2886044T3 (ko)
PT (1) PT3440248T (ko)
WO (1) WO2017175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9847B (zh) * 2021-03-23 2022-11-01 绍兴佳宝纺织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伺服电机直驱提花机的动力传动与减速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896Y1 (ko) * 2002-01-15 2002-04-20 나재흠 세폭직기(자카드)의 캠 구동 동력전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90945A5 (ko) * 1975-01-31 1977-08-31 Sulzer Ag
DE3721932A1 (de) 1987-07-02 1989-01-19 Grosse Webereimaschinen Gmbh Doppelhub-offenfach-jacquardmaschine
JPH08302536A (ja) * 1995-05-08 1996-11-19 Kayaba Ind Co Ltd 経糸選択装置
FR2790269A1 (fr) * 1999-02-25 2000-09-01 Icbt Diederichs Sa Machine a tisser equipee d'une mecanique jacquard
FR2802219B1 (fr) * 1999-12-14 2002-10-18 Staubli Sa Ets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pour metier a tisser de type jacquard
CN2591056Y (zh) * 2002-10-11 2003-12-10 弘生集团有限公司 电子提花机的摆动装置
DE10318806A1 (de) * 2003-04-17 2004-11-11 Picanol N.V. Antrieb für Webschäfte einer Webmaschine
BE1016559A4 (nl) 2005-03-21 2007-01-09 Wiele Michel Van De Nv Jacquardinrich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896Y1 (ko) * 2002-01-15 2002-04-20 나재흠 세폭직기(자카드)의 캠 구동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86044T3 (es) 2021-12-16
BE1024030A1 (nl) 2017-10-31
CN108884605A (zh) 2018-11-23
KR20180126593A (ko) 2018-11-27
PT3440248T (pt) 2021-09-03
CN108884605B (zh) 2021-07-09
BE1024030B1 (nl) 2017-11-06
EP3440248B1 (en) 2021-07-14
EP3440248A1 (en) 2019-02-13
WO2017175205A1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55146A (en) Knitting machinery
CN1847700B (zh) 把输入轴第一旋转运动调节成输出轴第二旋转运动的装置
EP1705272B1 (en) Jacquard machine
KR101157818B1 (ko) 레노 직물 제조 장치
KR102372529B1 (ko) 혁신적인 구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카드 머신
CS275707B6 (en) Double-lifting jacquard machine with an open shed
JP5080113B2 (ja) 直線編機
RU2315829C2 (ru) Зевообраз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ткацкий станок жаккардового типа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US4549414A (en) Knitting machine to produce figured fabrics
EP1920094B1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 leno fabric on a weaving machine
EP0834611B1 (en) Device for inserting alternately-interposed wefts on a crochet galloon machine for warp weaving, and article of manufacture thus obtained
CN111793875B (zh) 梭口形成装置和包括所述装置的提花织机
US6510871B2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leno fabrics
KR200407423Y1 (ko) 이격공간을 이루는 더블 편직물 경편장치
CN110168156A (zh) 织边装置
KR20180124139A (ko) 직기용 쉐드 형성 모듈
EP0534403A1 (en) Electromechanical device to control terry loop formation in terry looms
US1562268A (en) Heddle-frame movement
US751154A (en) Yarn-dyeing machine
KR100569200B1 (ko) 워터제트 직기의 동체분할구조
US769062A (en) Loom for weaving looped or pile fabrics.
KR200235282Y1 (ko) 실린더의 회전장치
CN117661174A (zh) 梭口形成装置及装备有该装置的提花织机
US669916A (en) Loom.
GB2079333A (en) Shedding mechanism, particularly for a circular l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