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307B1 -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307B1
KR102372307B1 KR1020200005640A KR20200005640A KR102372307B1 KR 102372307 B1 KR102372307 B1 KR 102372307B1 KR 1020200005640 A KR1020200005640 A KR 1020200005640A KR 20200005640 A KR20200005640 A KR 20200005640A KR 102372307 B1 KR102372307 B1 KR 10237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area
work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096A (ko
Inventor
이상덕
박재현
원종운
이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0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3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는, 이동장치에 의해 인양되거나 이동되는 작업물에 탈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고, 조명이나 소리로 알람을 형성하며, 상기 작업물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알람부;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작업물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작업물의 단면적으로부터 소정 면적의 범위까지 위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센서알람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높이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보 장치{alarm system}
본 발명은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만 등의 작업환경에서는 다수의 컨테이너와 크레인이 마련되고, 특히 크레인의 작동으로 컨테이너를 운반 시 크레인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으로 인해 작업자의 주의력이 낮아질 수 있음은 물론, 공중에 인양된 컨테이너가 작업자의 눈높이보다 높아 시야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가 운반되는 이동경로와 같이 낙하 위험영역을 이동하는 작업자는 안전사고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위험영역에 대한 경고가 필요한 실정이며, 일반적으로는 위험영역에 대한 경고를 바닥에 마크(스티커, 페인팅) 등으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작업장을 배회 시 위험 표시를 인식하도록 하나, 작업자는 주변 소음 등에 의해 주의력이 낮아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의식적으로 지나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알람을 위한 조명이 설치되는 경우 바닥면에 인접하게 설치된 지주 등에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어, 컨테이너의 이동에 연동되기 어려우므로, 위험영역에 부합되지 않거나, 알람 소리가 지속적으로 울려 안전 불감증이 발생되는 바와 같이,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리프팅 시 낙하 위험 영역(구역)을 조명이나 소리로 안내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에 연동하여 알람이 이루어져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경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는, 이동장치에 의해 인양되거나 이동되는 작업물에 탈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고, 조명이나 소리로 알람을 형성하며, 상기 작업물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알람부;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작업물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작업물의 단면적으로부터 소정 면적의 범위까지 위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센서알람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높이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알람부는, 조명을 조사하거나 소리를 발산 시, 상기 위험영역의 외곽을 기준으로 상기 위험영역의 외부에 대비하여 상기 위험영역의 내부에서의 조명의 세기를 크게 형성시키거나, 조명의 범위를 넓게 형성시키거나, 소리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알람부는, 상기 조명을 레이저로 조사하거나, 상기 소리를 평면파로 발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알람부는, 조명으로 알람 시 상기 위험영역의 범위로 조사하는 조명의 범위가 상기 작업물의 높이 변화에 관계없이 상기 위험영역의 크기로 바닥면에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인입하지 않는 평시에는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 구동을 차단하거나 알람 구동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인입 시 구동이 차단된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을 구동시키거나 구동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조명을 깜박이 모드(on/off 반복) 또는 흔들기 모드로 형성시켜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장치는 크레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물은 컨테이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작업물에 자력으로 탈부착되고, 상기 위험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업물의 단면적으로부터 소정 면적은, 상기 작업물의 하단면적의 사방으로 5cm 범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알람부를 구동시키는 설정 높이는, 상기 몸체부가 바닥면으로부터 2m 이상의 이격 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알람부는, 단색성의 특성으로 빛과 전파의 양면 특징을 통해 조명을 조사하면서도 바닥면에 대한 상기 몸체부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알람부는, 조명이나 소리로 알람을 형성하는 알람부; 및 바닥면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알람부는, 상기 작업물의 단면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보 장치는, 컨테이너와 같은 작업물을 이송하는 항만 환경에서 작업물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졌을 때 작업물 하부 구간을 낙하 위험영역으로 설정하고, 낙하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인입(출입) 시 이를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 알람 시 작업물의 높이 변화에 관계없이 작업물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알람을 이루어 위험영역에 대한 알람이 불필요하게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알람 소리가 위험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진입시에 알람을 형성하여 위험성에 대한 안전 불감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가 작업물에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의 조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가 작업물에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의 조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100)는, 몸체부(110), 센서알람부(120),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 장치(100)는, 간략하게는 크레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컨테이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물(10)의 낙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에게 조명이나 소리로 안내하여 안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크레인 각각에 의해 다수의 컨테이너가 인양 시, 위험영역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조명 및/또는 알람 소리 등은 하나의 작업공간에서 여러 영역(컨테이너가 인양된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어, 위험영역과 비 위험영역에 대한 구분없이 알람이 작업자에게 전달되어 안전 불감증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본 실시예의 경보 장치(100)가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 장치는, 스프레더(spreader)(트라이포드(삼각대) 다리 사이에 Y 혹은 T 형태로 장착된 연장대)와 같이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 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보 장치(100)의 몸체부(110)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센서알람부(120)와 제어부를 커버할 수 있으며, 이동장치에 의해 인양되거나 이동되는 작업물(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이동장치가 아닌 작업물(10)에 탈부착될 수 있어, 낙하 위험이 있는 작업물(10)의 유무에 따라 센서알람부(120)의 알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가 없어 위험률이 낮은 상태에서는 불필요하게 알람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볼트/나사 또는 클램핑 장치와 같은 구속 부재로 작업물(10)(컨테이너의 바닥, 스프레이 등일 수 있음)에 착탈될 수 있으나,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몸체부(110)의 탈부착은 앞서 언급된 방식과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테이너와 같은 작업물(10)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라면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몸체부(110)는 작업물(10)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한 위험영역에 대하여 센서알람부(120)가 대향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어 작업물(10)의 바닥면이나 측면 둘레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는, 조명의 설계 등에 따라 작업물(10)의 바닥면 중앙에 하나가 착탈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고(도 1 참조), 작업물(10)의 각 모서리에 마련되어 하나의 작업물(10)에 다수개의 몸체부(110)가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때 몸체부(110)는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작업물(10)의 한 면에 부착되는 구조를 이루고, 조명이 조사되는 방향은 바닥면을 향하도록 이룰 수 있으므로, 모든 면이 평면을 이루는 박스 형의 구조와 달리, 하나의 면만 평면을 이루고 조명이 조사되는 하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사용의 편의성을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몸체부(11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박스 형 구조를 이루어 내부에 제어부와 같은 구성이 커버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달리 몸체부(110)의 내측에 마련되는 센서알람부(120)와 제어부가 노출될 수 있게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10)에 마련되는 센서알람부(120)와 제어부는, 몸체부(110)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알람부(120)의 조명이 효율적으로 조사될 수 있게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몸체부(110)에 센서알람부(120)와 제어부가 마련되는 것은 볼팅, 본딩과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외에 다양한 방식이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몸체부(110)는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다양한 착탈구조, 결합구조, 형상/형태 등을 이룰 수 있고,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경보 장치(100)의 낙하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거나 감소되도록 범퍼 기능을 이룰 수 있는 탄성 재질(실리콘, 고무 등)이 외측에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재질 또한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몸체부(110)는, 후술되는 제어부가 위험영역에 대한 조명 알람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도 있고, 이때 모터의 축은 센서알람부(120)에 연결되어 조명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조명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알람부(120)는, 조명 및/또는 소리로 위험을 알람(경고)할 수 있으며, 작업물(10)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한 몸체부(110)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고, 몸체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센서알람부(120)는, 알람과 감지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알람부(121)와 센서부(122)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알람과 감지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라이더(121)(laser rada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센서알람부(120)는, 경보 장치(100)가 설정 높이 이상에서 작업자에게 위험영역이 인식되도록 알람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가 알람부(121)를 구동시키는 설정 높이는, 일반적인 성인 키와 동일하거나 높게 이루어지는 높이로서, 몸체부(110)가 바닥면으로부터 1.5m 이상 바람직하게는 2m 이상의 이격 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작업장을 이동 시 작업물(10)이 바닥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경우는 작업자의 눈높이 범위 내에서 작업물(10)을 인식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작업물(10) 하부로 지나갈 수 없는 높이일 수도 있으므로, 불필요한 구동으로 인한 센서알람부(120)의 전력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과도한 위험영역 표시로 인한 안전 불감증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센서알람부(120)가, 라이더(121)를 포함하는 경우, 라이더(121)는 레이저 광선이 전파에 가까운 성질을 가진 것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단색성의 특성에 따라 빛과 전파의 양면 특징을 통해 조명을 조사하면서도 바닥면에 대한 몸체부(110)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격거리의 감지 및 조명의 조사는, 공지된 메카니즘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작동원리는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라이더(121)는, 빛과 전파의 양면을 활용하여, 조명을 조사하면서도, 단색성의 특성에 따라 한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조명을 조사 시 레이저의 형태로 조사할 수 있어, 위험영역으로 조명을 조사 시 위험영역과 비 위험영역에 대한 경계면을 기준으로 위험영역 내부에는 후술되는 알람부(121)와 동일/유사하게 위험영역의 내부에서의 조명의 세기를 크게 형성시키거나, 조명의 범위를 넓게 형성시킬 수 있어, 레이저에 의한 조사가 위험영역 내에서 위험영역 전체에 조사되도록 하거나 이에 준하게 조사되도록 할 수 있고, 비 위험 영역에 대하여는 위험영역에 대비하여 레이저 조사가 작게/좁게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조명이 조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비 위험영역의 경우,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거나 레이저가 조사되더라도 위험영역에 대비하여 조명의 수/세기 등이 낮아 작업물(10)이 대향하는 바닥면이 아닌 영역으로 작업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다만 위험영역에 대한 조명의 조사는, 위험영역 전체에 대하여 조사할 수도 있으나, 위험영역의 외곽으로서 비 위험영역과의 경계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으며, 경계면에 대한 조명의 조사는 1cm, 5cm, 10cm 등과 같이 그 두께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명으로 조사되는 경계면의 두께는, 작업물(10)의 높이 변화에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물이 2m 높이일 때는 두께가 2cm, 작업물이 5m 높이일 때는 두께가 5cm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작업물(10)의 높이가 증가되면 조명으로 인한 경계면의 표시 두께도 증가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여러 형태가 가능하다.
더불어 작업물(10)이 대향하는 바닥면인 위험영역에 해당하지는 않으나, 작업물(10)이 인접한 영역은 준 위험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어, 작업물(10)이 멀리 떨어진 완전한 비 위험영역에 대비하여 소정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음을 경고할 수도 있다.
즉 레이저에 의한 조명은, 위험영역, 준 위험영역(작업물(10)의 위치는 아니나 작업물(10)에 인접한 영역), 비 위험영역(작업물(1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영역)으로 구분되어 경고할 수도 있다.
이때 조명의 세기 등으로 다수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험영역으로 조사되는 조명의 세기가 가장 크고, 준 위험영역의 조명의 세기가 위험영역에 대비하여 낮게 형성되고, 비 위험영역에서는 조명이 조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영역을 구분하여 경고할 수 있다.
아울러 작업물(10)에 대한 위험영역 표시가 작업물(10)에 대한 크기 범위 내외, 즉 작업물(10)의 하단면적의 사방으로 5cm 범위를 포함하여 작업물(10)의 크기에 대한 오차 범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위험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수의 작업물(10)에 의해 형성되는 위험영역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불감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을 참조하면 센서알람부(120)가, 레이저에 의해 위험영역의 범위로 조사하는 조명의 범위가 작업물(10)의 높이 변화에 관계없이 작업물(10)의 단면적에 대비되는 크기로 위험영역의 크기로 조사하도록 할 수 있어, 위험영역 표시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모터 등의 작동으로 인해 조명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더불어 라이더(121)는, 조명 이외에도 후술되는 알람부(121)와 동일/유사하게 소리를 통한 알람이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는 알람부(121)에서 후술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센서알람부(120)는, 작업물(10)의 높이 변화에 관계없이 위험영역 표시가 일정하게(작업물(10)에 대한 하부 단면적에 대응되게)이루어지도록 하되, 작업물(10)에 대한 높이 상승에 따라 알람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어 작업물(10)의 높이가 상승하면 점진적으로 조명의 세기(크기 등 포함)를 크게 할 수도 있고, 이와 더불어 또는 개별적으로 소리 크기를 크게 하여 위험의 정도에 대한 인식을 달리 이루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센서알람부(120)의 센서부(122)는, 라이더(121)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련될 수 있는데, 여기서 센서부(122)는 작업물(10)의 단멱적(사이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알람부(120)가 라이더(121)를 포함하면 센서부(122)가 작업물(10)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지 않고 작업물(10)의 단면적 만을 감지할 수 있고, 센서알람부(120)가 알람부(121)를 포함하여 위험 알람과 높이 변화 감지를 개별로 수행하는 경우 센서부(122)가 높이 변화를 감지하면서도 작업물(10)의 단면적을 함께 감지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다.
라이더(121)와 달리, 센서알람부(120)가 알람과 감지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알람부(121)와 센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알람부(120)가, 앞서 언급된 라이더(121)와 같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알람부(121)와 센서부(122)로 이루어져 다양한 변형예 가능하며, 이외에도 공지 기술이 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라이더(121)와 알람부(121)는 다양한 변형예에 따라 구분된 것이므로, 이격거리 감지의 기능이 부가되거나 제외되는 차이 이외에는, 라이더(121)와 알람부(121)의 조명에 대한 작동 및 기능이 동일/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더(121)와 알람부(121) 각각에 대한 기능이 서로 제한되지 않음을 언급하여 두며,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을 언급하여 둔다.
따라서 알람부(121)는, 라이더(121)와 동일/유사한 작동 메카니즘을 가질 수도 있어, 알람부(121)는 레이저 조사를 통해 사용자에게 위험을 인식시키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소리로 알람을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알람부(121)는, 조명을 조사하거나 소리를 발산 시, 위험영역의 외곽을 기준으로 위험영역의 외부에 대비하여 위험영역의 내부에서의 조명의 세기를 크게 형성시키거나, 조명의 범위를 넓게 형성시키거나, 소리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부(121)는, 조명을 레이저로 조사하고, 소리를 평면파로 발산할 수 있으며, 변형예에 따라 조명만 작동시키거나 소리만을 발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조명과 소리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위험영역에 대한 알람이, 일반 LED 등과 같은 조명으로 이루어지면 위험영역에 대한 표시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위험영역과 비 위험영역의 경계가 모호하여 위험영역과 비 위험영역에 대한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어, 작업자의 위험영역에 대한 위험성 인지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알람부(121)의 조명이 레이저로 조사되며, 레이저는 지향성 조명으로 이루어져, 즉 직진성이 좋으므로 위험영역에 대한 표시가 위험 영역 내에 한정되어 조사될 수 있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준 위험영역(비 위험영역) 범위에 대하여도 부가적으로 일부 추가될 수도 있어, 위험영역, 준 위험영역/비 위험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센서부(122)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센서알람부(120)가 라이더(121)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부(122)가 작업물(10)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지 않고 작업물(10)의 단면적(사이즈) 만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서알람부(120)가 알람부(121)를 포함하여 위험 알람과 높이 변화 감지를 개별로 수행하는 경우, 센서부(122)가 높이 변화를 감지하면서도 작업물(10)의 단면적을 함께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센서부(122)가, 작업물(10)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한 몸체부(110)의 높이를 감지하는 경우, 센서부(122)는 거리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리센서는 라이더(121)와 유사하게 파장의 변화를 통해 이격 거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22)가, 작업물(10)의 단면적을 감지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 레이저 레이더 등으로 이루어져 작업물(10)의 이미지/3D형상 감지를 통해 작업물(10)의 단면적을 감지할 수 있고,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센서부(122)는 근접센서 등을 포함하여 작업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도 있어, 제어부로 작업자의 접근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작업자의 유무에 따라 제어부가 센서알람부(120)의 구동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부(122)는, 앞서 언급된 센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센서가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는, 몸체부(1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작업물(10)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하여 작업물(10)의 단면적으로부터 소정 면적의 범위까지 위험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고(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오차 범위를 포함하도록 작업물(10)로부터 5cm 범위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음, 센서알람부(120)로부터 몸체부(110)의 높이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감지되면, 센서알람부(120)의 알람을 구동/변경시킬 수 있다.
물론 높이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와 작업자가 접근하는 신호가 모두 충족되는 경우, 센서알람부(120)를 구동시켜, 불필요하게 알람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불어 제어부는, 작업물(10)에 대향하는 위험영역과 작업물(10)이 낙하되더라도 작업물(10)로부터 멀리 떨어져 비 위험영역을 이룰 수 있는 안전영역은 물론 위험영역과 안전영역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준 위험영역으로서 작업물(10)에 인접한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준 위험영역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센서알람부(120)에 의한 조명이 일부 조사되거나 낮은 세기로 이루어져 위험영역에 해당되는 조명으로 조사되지 않고 조사 범위가 작게 이루어지거나 세기가 낮게 형성되어 위험 정도가 낮게 이루어지는 영역임을 작업자에게 알람(경고)할 수 있다.
이때 준 위험영역은, 작업물(10)의 측면 단면적의 넓이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준 위험영역은 위험영역의 외곽으로부터 작업물(10)의 측면 단면적에 해당하는 범위로 확장된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작업물(10)의 측면 단면적은 기 설정된 면적(예를 들어 컨테이너의 좌우 들레면 각각의 단면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센서부(122)의 이미지 센싱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를 통해 감지된 수치를 통해 제어부가 준 위험영역으로 설정하여 센서알람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진입하지 않는 평시에는 센서알람부(120)의 알람 구동을 차단할 수 있어 조명이나 소리가 꺼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인입(진입)하면 구동이 차단된 센서알람부(120)의 알람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위험영역 진입을 알람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진입하지 않는 평시에는 센서알람부(120)의 알람 구동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명이 켜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조명이 켜진 상태는 빛의 세기가 낮게 이루져 조명의 강도가 낮을 수도 있으며,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인입하면 센서알람부(120)의 알람 형식을 변경할 수 있어, 조명을 깜박이 모드(on/off 반복) 또는 흔들기 모드(조명 방향 변경)로 형성시켜 센서알람부(120)의 알람 형식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험영역 진입을 알람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는, 작업물(10)의 높이 변화에 관계없이 위험영역이 일정/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센서알람부(120)의 각도변경을 통해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물(10)의 이격거리가 커질수록 조명이 조사되는 빛의 면적은 확장될 수 있어 높이 변화에 따라 작업물(10)에 대향하는 면적과 상이한 영역으로 조명이 조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이가 높아질수록 조명이 조사되는 각도를 작게 형성하여, 위험영역이 작업물(10)의 형상(사이즈)에 동일/유사하게 일정한 형상(사이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와 같은 작업물(10)을 이송하는 항만 환경에서 작업물(10)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졌을 때 작업물(10) 하부 구간을 낙하 위험영역으로 설정하고, 낙하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인입 시 이를 경고할 수 있으며, 위험 알람 시 작업물(10)의 높이 변화에 관계없이 작업물(10)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알람을 이루어 위험영역에 대한 알람이 불필요하게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알람 소리가 위험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진입시에 알람을 형성하여 위험성에 대한 안전 불감증을 해소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작업물 100: 경보 장치
110: 몸체부 120: 센서알람부
121: 라이더, 알람부 122: 센서부

Claims (10)

  1. 이동장치에 의해 인양되거나 이동되는 작업물에 탈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고, 조명이나 소리로 알람을 형성하며, 상기 작업물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알람부;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알람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높이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물이 대향하는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작업물의 단면적으로부터 소정 면적의 범위까지 위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작업물에 인접한 영역은 준 위험영역, 상기 작업물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영역은 비 위험영역으로 구획되며,
    구획된 영역별로 조명의 세기와 범위가 크고 작게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영역을 구분하여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알람부는,
    조명을 조사하거나 소리를 발산 시, 상기 위험영역의 외곽을 기준으로 상기 위험영역의 외부에 대비하여 상기 위험영역의 내부에서의 조명의 세기를 크게 형성시키거나, 조명의 범위를 넓게 형성시키거나, 소리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알람부는,
    상기 조명을 레이저로 조사하거나, 상기 소리를 평면파로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알람부는,
    조명으로 알람 시 상기 위험영역의 범위로 조사하는 조명의 범위가 상기 작업물의 높이 변화에 관계없이 상기 위험영역의 크기로 바닥면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인입하지 않는 평시에는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 구동을 차단하거나 알람 구동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위험영역에 작업자가 인입 시 구동이 차단된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을 구동시키거나 구동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 형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명을 깜박이 모드(on/off 반복) 또는 흔들기 모드로 형성시켜 상기 센서알람부의 알람 형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크레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물은 컨테이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작업물에 자력으로 탈부착되고,
    상기 위험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작업물의 단면적으로부터 소정 면적은, 상기 작업물의 하단면적의 사방으로 5cm 범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알람부를 구동시키는 설정 높이는, 상기 몸체부가 바닥면으로부터 2m 이상의 이격 거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알람부는,
    단색성의 특성으로 빛과 전파의 양면 특징을 통해 조명을 조사하면서도 바닥면에 대한 상기 몸체부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알람부는,
    조명이나 소리로 알람을 형성하는 알람부; 및
    바닥면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알람부는,
    상기 작업물의 단면적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장치.
KR1020200005640A 2020-01-15 2020-01-15 경보 장치 KR10237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40A KR102372307B1 (ko) 2020-01-15 2020-01-15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40A KR102372307B1 (ko) 2020-01-15 2020-01-15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96A KR20210092096A (ko) 2021-07-23
KR102372307B1 true KR102372307B1 (ko) 2022-03-10

Family

ID=7715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40A KR102372307B1 (ko) 2020-01-15 2020-01-15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3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7785A1 (en) * 2010-03-11 2013-07-25 David McIntosh Overhead hazard warning systems
JP2019201268A (ja) * 2018-05-15 2019-1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9784A (ja) * 1992-02-21 1993-09-07 Shimizu Corp クレーン下方の安全監視システム
KR20190118931A (ko) * 2018-04-11 2019-10-21 이인옥 타워 크레인 전체 높이 측정 기법을 이용한 작동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7785A1 (en) * 2010-03-11 2013-07-25 David McIntosh Overhead hazard warning systems
JP2019201268A (ja) * 2018-05-15 2019-1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96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0242B2 (en) Mobile plant proximity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JP6274665B2 (ja) 高所作業車用上部衝突防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衝突防止方法
US9679461B2 (en) Safety device
GB2553137B (en) Anti-entrapment device for scissor lifts
KR101788689B1 (ko) 건설기계의 안전경고장치
KR101547564B1 (ko) 지게차용 안전거리표시장치
JPH11286393A (ja) 車台の張り出し部材のための障害物回避及び衝突防止システム
CA3030997C (en) Vehicle safety device having warning zones
CA3107130C (en) Pedestrian-vehicle safety systems for loading docks
JP2016137544A (ja) ロボットの設置台の輝度が変化するロボットシステム
KR101970188B1 (ko) 건설기계의 위험경고장치
KR20120084868A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지게차
KR20170090375A (ko) 고소 작업용 리프트의 감지장치
JP2014210645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KR102031400B1 (ko) 지면 조사 기능을 가지는 차량
KR102372307B1 (ko) 경보 장치
KR20110057837A (ko) 나이트 뷰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6160408A (ja) 作業車両の報知装置
KR20140010804A (ko) 차문의 손잡이 모듈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엘이디를 갖는 근접 경보장치
EP4049964A1 (en) Industrial vehicle
KR100227862B1 (ko) 중장비의 작업자 접근감지장치
KR1019375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중장비 차량의 작업 반경 표시 장치
CN209877900U (zh) 一种起重机械结构变形检测装置
KR20200117083A (ko) 고소작업 하부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KR101981863B1 (ko) 충돌 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라 경보의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 경보 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