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931A - 타워 크레인 전체 높이 측정 기법을 이용한 작동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워 크레인 전체 높이 측정 기법을 이용한 작동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931A
KR20190118931A KR1020180042432A KR20180042432A KR20190118931A KR 20190118931 A KR20190118931 A KR 20190118931A KR 1020180042432 A KR1020180042432 A KR 1020180042432A KR 20180042432 A KR20180042432 A KR 20180042432A KR 20190118931 A KR20190118931 A KR 20190118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altitude
tower cran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구
Original Assignee
이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옥 filed Critical 이인옥
Priority to KR102018004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931A/ko
Publication of KR20190118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 하고 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현장의 타워크레인이 이동 중에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생시 키거나 긴급, 위험 상황을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알려줄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워 크레인의 후크의 움직임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 기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 외부기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 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정보 송수신부; 및 상기 감지된 움직임 정 보에 미리 설정된 고도값에 해당되는 고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경보 발생부 및 정보 송수신부의 동 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워 크레인 전체 높이 측정 기법을 이용한 작동 경보 시스템 {Operation alarm system using tower crane heightmeasurement technique}
본 발명의 일 실예는 고도 센서 높이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최근 고층 건물 건설이 많아지면서 타워크레인이 건설현장이 많이 활 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이 무거운 짐을 운반하다가 타워크레인이 전복되거나 이동 중인 짐이 떨어져 인명사고가 발생 하는 소식을 자주 접하게 된다.
그러나, 타워크레인의 조종석이 실제 짐을 운반하는 곳과 멀리 떨어져 있어 타워크레인 조종사가 안전 상황 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무리 조심해서 운전을 한다고 해도 사고의 위험은 언제든 지 존재 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타워크레인의 후크에 있는 도르레에 적외선 센서를 부착하여 적외선 센서에 도르레의 움 직임이 감지되면 후크에 장착된 알람 발생장치에서 무조건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의 경우 도르레가 움직이는 수직 움직임의 경우는 파악이 가능하나 좌우 움직임은 도르 레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알람을 발생시킬 수 없어 안전 사고의 위험을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현장의 타워크레인이 이동 중에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긴 급, 위험 상황을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알려줄 수 있는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 동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워크레인의 후크가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고도센서와 지자기센서를 이 용하 여 감지한 후 주변의 사람들에게 알람음을 울려줌으로써 타워크레인 주변의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 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은 타워 크레인 의 후크의 움직임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 정된 경 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 외부기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상 기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정보 송수신부; 및 상기 감지된 움직임 정보에 미리 설정된 고도값에 해당되는 고 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경보 발생부 및 정보 송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고도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 경보 발생부, 정보 송수신부 및 컨트롤러는 사이 타워 크레인의 후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전석에 구비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정보 송수 신 부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전석의 제2 고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 기 움직 임 정보에 포함되는 제1 고도 정보와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2 고도 정보를 비교하는 정 보비교부; 상 기 정보비교부에 의한 비교결과 상기 제1 고도 정보와 제2 고도 정보의 오차값을 연산하고, 상기 오차값과 상기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 발생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보 발생 명령에 따라 외부로 미리 설정 된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제1 대기압 변동 정보와,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제2 대기압 변동 정보를 기초로 온도 변동에 따른 대기압 변동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대기압 변동 정보를 미리 설정된 보상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제1 고도 정보를 보 상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는 리모트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 롤부 가 동작되는 경우 경보 발생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대기압 기준정보, 미리 설정된 고도값, 기준 오차값이 입력되는 키입력부; 및 상기 통신 부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 상기 키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의하여 출력 되는 정보 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은 타워크레인 후크 의 상하좌우 이동에 의한 움직임 검출을 통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타워크레인 조종석에서도 후크 와 동일한 경보음을 듣게 하며, 정확한 고도 정보 계산을 위해 타워크레인 조종석과 후크와 다른 고정된 장 소에 설치된 고 도센서와의 통신을 통한 정확한 고도정보 계산을 통하여 타워크레인이 사용되는 건설현장 에서 지속적으로 발생 하고 있는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타워크레인 조종사가 보지 못하는 상 황의 후크 관련 사고를 획 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을 개략 적으 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경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메인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 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 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 라질 수 있 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 명 부분에서 상세 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 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 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 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 명하기 위해서 설 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 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을 개략 적으 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경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메 인 컨트 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은 타워크레인의 후크에 구비되는 경보 장치(10)와, 타워크레인의 운전석에 구비되는 메인 컨 트롤러(20)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에 서의 타워 크레인은 기초 앵커(1) 위에 트러스 구조물로 형성되는 마스트(2)와, 마스트(2) 상부에서 유압 실린더와 유 압모터를 이용하는 유압구동장치로 마스트(2)를 승하강시키는 텔레스코핑케이지(3)와, 텔레스 코핑케이지(3) 상 부에 마련되는 운전실(4)과, 운전실(4) 상부에 설치되는 캣헤드(5)와, 켓 헤드(5)로부터 수평상으로 길게 설치 되는 트러스 구조물로 되어 트롤리(6)와 후크(7)가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M)을 견인 하는 메인 지브(8)와, 메인 지브(8)의 반대편에서 권상장치를 구비하여 메인지브(8)의 균형을 유지하는 카 운터 지브(9)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타워크레인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타워크레인의 후크 에 경 보 장치(10)가 구비되고, 운전실에 메인 컨트롤러(20)가 구비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 다.
상기 경보 장치(10)는 타워 크레인의 후크에 부착되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부 (110), 경보 발생부(120), 정보 송수신부(130) 및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110)는 타워 크레인의 후크의 움직임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 장치로서, 고도 센 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도센서는 후크의 수직 방향으로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거나, 현재 대기압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자기 센서는 지자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후크의 상하 좌우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후크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자이로센서는 후크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
상기 경보 발생부(120)는 움직임 감지부(110)에 의하여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경보음을 발 생시키는 장치로서, 앰프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송수신부(130)는 외부기기(즉, 메인 컨트롤러(2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움직임 감지부(110) 에 의 하여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송수신부(130)는 무선통신부(미도시)와 유선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이때 무선 통신부에서는 안테나로 컨트롤러(140)가 보낸 경보음 발생 요청 정보를 메인 컨트롤러(20) 로 송신하 고, 유선통신부에서는 컨트롤러(140)가 보낸 경보음 발생 요청 정보를 유선으로 메인 컨트롤러( 2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송수신부(13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하여 컨트롤러(140)로 부터 받은 정보를 공간 으로 방사하여 타워크레인 운전석에 있는 메인 컨트롤러(20)의 통신부에서 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움직임 감지부(110)에 의하여 감지된 움직임 정보에 미리 설정된 고도값에 해당되는 고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경보 발생부(120) 및 정보 송수신부(130)의 동작을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경보 음을 출력 하게 하거나 메인 컨트롤러(20)로 경보음 발생 요청 정보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40)는 타워크레인 후크에 장착된 고도센서, 지자기센서 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 되는 후크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후크의 현재 높이와, 상하좌우 이동 상황이 판단 가능하도록 경 보 발생부 (120) 및 정보 송수신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140)에서는 지자기 센서의 정보와 고도 센서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후 크가 상하좌우로 몇 미터 정도 움직이고 있는 지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 결과 후크에 움직임이 있다고 판 단할 경우, 정보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경보음 발생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경보 장치(10)는 후크에 부착된 고도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을 통해 후크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면, 컨트롤러(140)가 음성 발생 회로(미도시)에서 경보음을 발생 시키도록 하고, 경보음은 앰프 스피커에서 방송되도록 하며, 컨트롤러(140)는 음성 발생 회로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명령할 뿐 아니라 정보 송수신부(130)를 통해 타워크레인 운전석에 있는 스피커부(240)에도 경보음 발생 명령을 송신하여 타워크레인 조종사도 경보 장치(10)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을 들을 수 있도 록 한다.
또한, 상기 경보 장치(10)는 후크가 이동하더라도 주변의 사람들이 위험하지 않은 높이에서 이동할 경우는 경보 음을 울리는 것이 불필요할 수 있으므로 경보음이 울릴 수 있는 높이를 설정하여 설정된 높이에서만 경보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워크레인이 움직일 경우 상하좌우의 움직임을 후크에 부착된 경보 장치(10)의 고도 센서와 지 자기 센서로 감지하여 경보 발생부(120)로 경보음을 울려줌으로써, 타워크레인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 자들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20)는 타워크레인의 운전실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부 (210), 센서부(220), 정보 비교부(230), 스피커부(240), 리모트 컨트롤부(260), 키입력부(270), 디스 플레이부 (28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210)는 정보 송수신부(13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장치로서, 안테나를 통하여 경보 장치(10) 의 정 보 송수신부(130)로부터 움직임 정보, 경보음 요청 정보 등을 수신하고, 경보 장치(10)의 정보 송수 신부(130)로 움직임 정보 요청이나 고도 정보 요청 신호 등을 송신한다.
상기 센서부(220)는 타워 크레인의 운전석의 높이 정보(즉, 제2 고도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 장치이다. 이 러한 센서부(220)는 고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비교부(230)는 경보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정보에 포함되는 제1 고도 정보와 센서부(220 )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2 고도 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스피커부(240)는 경보 발생 요청 정보에 따라 외부로 미리 설정된 경보음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앰프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부(240)는 내부에 저장된 다수의 알람 정보 중 제어부(250)가 발생하 라 고 하는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경보 신호를 증폭한 다음 공간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 피커부 (240)는 내부에 다수의 경보음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제어부(250)로부터 경보음 발생 요청 신호 를 수신하게 되면 이에 대응되는 경보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워크레인의 후크에 있는 경보 장치(10)에 구비된 앰프 스피커 외에도 타워크레인 운전석에 도 앰프 스피커를 장착하여 컨트롤러(140)에서 경보 장치(10)에 경보음을 발생시킬 때는 동시에 운전석에 도 후크와 동일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상이나 건물 등에 있는 관리자가 안전 상 긴급하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 선 리 모컨(즉, 리모트 컨트롤부(260))의 버튼을 눌러 경보 장치의 앰프 스피커에서 긴급 경보음이 울리도 록 할 수 있 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부(26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어 원격에서 경보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구 성요 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주변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타워크레인과 관 계된 상황 이 위험하다고 판단할 경우 경보 장치(10)에 부착된 앰프 스피커에서 긴급 경보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 한 경보음을 타워크레인 운전석에 있는 조종사가 들을 수 있도록 경보 장치의 스피커가 울림 과 동시에 메인 컨 트롤러(20)에 구비된 스피커부(240)를 통하여 해당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20)는 제어부(250)를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부(260)가 동작되는 경우 경보 발생 명령을 생성 하여 컨트롤러(14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270)는 대기압 기준정보, 미리 설정된 고도값, 기준 오차값 등과 같은 각종 설정 정보를 관리 자 에 의하여 입력받거나 경보 장치(1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각종 설정 정보는 타워크레인 호기 번호, 대기압 기준 정보, 알람이 울려야 하는 높이 정보, 위치 측정의 정확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 이, 상기 키 입력부(270)에서 입력한 정보나 제어부(250)에서 화면에 표시하라고 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 부(280)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8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 키입력부(270)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 제 어부 (250)의 동작에 의하여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보 비교부(230)에 의한 비교 결과 제1 고도 정보와 제2 고도 정보의 오차값을 연산하고, 오차값과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 발생 명 령을 생성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경보 장치(10)가 보낸 경보음 발생 요청에 따라 스피커부(240)로 경보음 발생 요 청 명령을 보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통신부(210)에서 받은 고도센서 요청 신호에 따라 고도센서에서 현재 고도값을 받아 통신부(210)로 전송하고, 운전석에 있는 조종사에게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로 화면 표시 정보를 전송하며, 통신부(210)에서 받은 경보 발생 요청 정보를 스피커부(24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내부에 타워크레인 호기별 무선 채널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키입력부(270)에 서 받은 타워크레인 호기 번호에 해당하는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긴급 호출 정보를 통신부로 전송한다 .
상기 제어부(250)는 움직임 감지부(110)에 의하여 감지된 제1 대기압 변동 정보와, 센서부(220)에 의하여 감지 된 제2 대기압 변동 정보를 기초로 온도 변동에 따른 대기압 변동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대기 압 변동 정보를 미리 설정된 보상 알고리즘을 통하여 움직임 감지부(110)에 의하여 감지된 제1 고도 정 보를 보상한다.
이때, 고도 센서는 대기압을 측정하는 센서이므로 하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온도변화로 대기압이 변화하고, 이 에 따라 고도측정에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후크가 아닌 다른 고정된 장소(즉, 타워크레인의 운전실) 에 고도 센서(즉, 센서부(220))를 장착하여 후크의 이동에 의한 대기압 변동 외에 고정된 장소에 설치된 고 도센서에서도 대기압 변동을 파악하게 함으로써, 고도 위치 변동이 아닌 순수한 온도 변동에 의한 대기압 변동의 양을 파악하 여 제어부(250)에서 일정한 시간 단위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고정된 장소에 설치된 고 도센서의 정보를 수신하여 온도 변동에 따른 대기압 변동 부분을 파악 및 보상하여 정확한 고도 계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고도센서를 사용하는데 고도센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 해 후 크가 아닌 타워크레인 운전실에 있는 앰프 스피커나 별도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장소에 고도센서 를 부착하여 후크에 부착된 컨트롤러와 일정한 시간에 고도센서의 시간에 따른 오차정보를 전송하여 보다 정확한 고도를 측 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 스 템은 타워크레인 후크의 상하좌우 이동에 의한 움직임 검출을 통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타워크레인 조종석 에서도 후크와 동일한 경보음을 듣게 하며, 정확한 고도 정보 계산을 위해 타워크레인 조종석과 후 크와 다른 고 정된 장소에 설치된 고도센서와의 통신을 통한 정확한 고도정보 계산을 통하여 타워크레인이 사용되는 건설현장 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타워크레인 조종 사가 보지 못하는 상황의 후크 관련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움직임 감지부(110) 및 센서부(220)는 각각의 센서들을 보호하는 케이스 표면에 오염물질의 부 착방 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 된다. 상 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 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오염방지도포층의 도 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이 이용 될 수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 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 점이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미만이면 기재의 도포 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케이스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 람 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붕산 0.1 몰 및 탄산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 반 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메인 컨트롤러(20)의 케이스 내측에는 흡음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 직포로는 니들펀치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니들펀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천연 섬유 등이 있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3 ~ 1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가 0.3 ㎜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 음 효 과가 얻어지지 않고, 15 ㎜ 를 초과하면 메인 컨트롤러(20)의 케이스 내부 공간이 그만큼 감소되어 스페이스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단점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g/m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1000g/m을 넘으면 메인 컨트롤러(20)의 케이스로서 경량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 지 않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데시텍스 미만에서 는 저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렵고, 쿠션성도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30데시텍스를 넘으면 고주 파 소음의 흡수가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15데 시텍스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흡음층이 메인 컨트롤러(20)의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므로 메인 컨트롤러(20)의 구동시 소음을 저감 시킬 수 있다.
한편, 경보장치(10)의 표면은 아연도 강판 또는 알루미늄 소재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보 장치 (10)가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로 부 식방지도포 후크에 부착된 컨트롤러와 일정한 시간에 고도센서의 시간에 따른 오차정보를 전송하여 보다 정확한 고도를 측 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알루미나 분말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소결, 엉킴, 융착 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알루미 나 분 말이 6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결, 엉킴, 융착 방지의 효과가 떨어지며,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 %를 초과 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알루미나 분말은 60중량%를첨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H4Cl은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NH4Cl은 30중량% 첨가된다. NH4Cl이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지 못 한다. 반면에, NH4Cl이 30중량%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NH4Cl은 30중량%를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은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전기 방식용으로 사용되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아연은 2.5 중량%가 혼합된다.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제대로 방지시키 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아연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리는 상기 알루미늄과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구리는 2.5중량% 혼 합 된다.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알루미늄과 조합될 시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제대로 높이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 면에 재료비 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구리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의 순수한 금속은 구조강도가 낮으므로 상기 아연 등과 함께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는 용도로 배합된다. 이러한 마그네슘은 2.5중량% 혼합된다.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아연 등과 함께 조합될 시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이 크 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마그네슘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은 가볍고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 원소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있는바, 뛰어난 내 식성 과 비중이 낮아 강철 대비 무게는 60% 밖에 되지 않으므로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은 줄이 되 광택을 높이고 뛰어난 방수성 및 내식성을 갖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된다.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 재의 중량이 그다지 경감되지 않고, 광택성, 방수성,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 량%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경보장치(10)의 표면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되어야 할 경보장치(10)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도포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 시키 고 폐쇄로 내부에는 경보장치(10)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 킨다, 아르 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로 4 ~ 5 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 되고,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모재의 표면에 침투하여 도포층이 형 성된다.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도포 물질/기재 복합물이 800℃~900℃로 하여 30 ~ 40시 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용 도포층이 형성되어 모재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모재 표면의 도포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60℃/hr의 비 율로 온도 변 화를 시킨다.
본 부식방지도포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 다. 본 부식방지도포층은 매우 넓은 범위의 용도를 가지므로 커튼 도포, 스프레이 페인팅, 딥 도포, 플루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은 알루미나 분말 60중량%, NH4Cl 30중량%, 아연 2.5중량%, 구리 2.5중 량%, 마그네슘 2.5중량%, 티타늄 2.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알루미나 분말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소결, 엉킴, 융착 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알루미 나 분 말이 6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결, 엉킴, 융착 방지의 효과가 떨어지며,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 %를 초과 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알루미나 분말은 60중량%를첨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H4Cl은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NH4Cl은 30중량% 첨가된다. NH4Cl이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지 못 한다. 반면에, NH4Cl이 30중량%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NH4Cl은 30중량%를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은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전기 방식용으로 사용되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아연은 2.5 중량%가 혼합된다.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제대로 방지시키 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아연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리는 상기 알루미늄과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구리는 2.5중량% 혼 합 된다.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알루미늄과 조합될 시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제대로 높이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 면에 재료비 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구리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의 순수한 금속은 구조강도가 낮으므로 상기 아연 등과 함께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는 용도로 배합된다. 이러한 마그네슘은 2.5중량% 혼합된다.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아연 등과 함께 조합될 시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이 크 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마그네슘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늄은 가볍고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 원소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있는바, 뛰어난 내 식성 과 비중이 낮아 강철 대비 무게는 60% 밖에 되지 않으므로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은 줄이 되 광택을 높이고 뛰어난 방수성 및 내식성을 갖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된다.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 재의 중량이 그다지 경감되지 않고, 광택성, 방수성,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 량%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경보장치(10)의 표면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되어야 할 경보장치(10)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도포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 시키 고 폐쇄로 내부에는 경보장치(10)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 킨다, 아르 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로 4 ~ 5 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 되고,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모재의 표면에 침투하여 도포층이 형성된다.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도포 물질/기재 복합물이 800℃~900℃로 하여 30 ~ 40시 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용 도포층이 형성되어 모재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모재 표면의 도포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60℃/hr의 비 율로 온도 변 화를 시킨다.
본 부식방지도포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 다. 본 부식방지도포층은 매우 넓은 범위의 용도를 가지므로 커튼 도포, 스프레이 페인팅, 딥 도포, 플루딩 이러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된다.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 재의 중량이 그다지 경감되지 않고, 광택성, 방수성,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 량%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경보장치(10)의 표면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되어야 할 경보장치(10)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도포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 시키 고 폐쇄로 내부에는 경보장치(10)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 킨다, 아르 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로 4 ~ 5 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 되고,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모재의 표면에 침투하여 도포층이 형성된다.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도포 물질/기재 복합물이 800℃~900℃로 하여 30 ~ 40시 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용 도포층이 형성되어 모재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모재 표면의 도포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60℃/hr의 비 율로 온도 변화를 시킨다.
본 부식방지도포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 다. 본 부식방지도포층은 매우 넓은 범위의 용도를 가지므로 커튼 도포, 스프레이 페인팅, 딥 도포, 플루딩 이러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된다.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 재의 중량이 그다지 경감되지 않고, 광택성, 방수성,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 량%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경보장치(10)의 표면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되어야 할 경보장치(10)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도포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 시키 고 폐쇄로 내부에는 경보장치(10)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 킨다, 아르 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로 4 ~ 5 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 되고,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모재의 표면에 침투하여 도포층이 형성된다.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도포 물질/기재 복합물이 800℃~900℃로 하여 30 ~ 40시 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용 도포층이 형성되어 모재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모재 표면의 도포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60℃/hr의 비 율로 온도 변 화를 시킨다.
본 부식방지도포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 다. 본 부식방지도포층은 매우 넓은 범위의 용도를 가지므로 커튼 도포, 스프레이 페인팅, 딥 도포, 플루딩(flooding)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본 부식방지도포층은 부식 및/또는 스케일에 대한 원칙적인 보호 기능에 추가하여 도포가 매우 얇은 층두께 로 도포될 수 있어 전기전도성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물질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열간 성형 과정 이후 에도 높 은 전기전도성이 바람직하다면 얇은 전기전도성 프라이머가 도포층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성형 과정 또는 열간 성형 과정 이후, 도포 물질은 기재의 표면상에 유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긁힘 내 성을 증가시키며, 부식 보호를 개선하고, 미적 외관을 충족시키며, 변색을 방지하고, 전기전도성을 변화시 키며 종래 다운스트림 공정(예, 침린 및 전기이동 딥 도포)용 프라이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경보장치(10)가 아연도 강판 또는 알루미늄 소재 등의 재질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재질의 경보장 치 (10)에 알루미나 분말, NH4Cl, 아연, 구리, 마그네슘,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도포층이 도포되므로 먼지, 오염물 질 등으로부터 경보장치(10)의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80)의 표면에는 산화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산화방지층은, 산화크롬(Cr2O3) 96∼ 98중량%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디스플레이부(280)에 용사되어서 이루어 지고, 50∼600 ㎛ 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에 세라믹 도포를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도포 는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 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 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 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 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 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산화 방지층이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산화방지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산화 방지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 r2O3)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가이드 샤프트(33)의 외주 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산화방지층은,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 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표면조도는 0.1∼0.3 ㎛ 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도포된다.
이러한 산화방지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 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 으로 용사한다.
산화방지층의 두께가 50 ㎛ 미만일 경우, 상술한 산화방지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산화방지 층의 두께가 600 ㎛ 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도포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 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에 산화방지층이 도포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 는데, 가열된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이 냉각장치( 미도시)로 냉 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산화방지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도포층 둘레에 도포 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 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도포 두께는 0.3∼0.5 ㎛ 정도가 바람 직하 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3 ㎛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 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도포두께가 0.5 ㎛ 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 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도포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80)의 외주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산화방지층이 형성되므로 디 스플 레이부(280)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을 실 시하 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경보 장치
110: 움직임 감지부
130: 정보 송수신부
210: 통신부
230: 정보 비교부
250: 제어부
270: 키입력부
20: 메인 컨트롤러
120: 경보 발생부
140: 컨트롤러
220: 센서부
240: 스피커부
260: 리모트 컨트롤 부
280: 디스플레이부

Claims (4)

  1. 타워 크레인의 후크의 움직임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
    외부기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정보 송수신부 ; 및
    상기 감지된 움직임 정보에 미리 설정된 고도값에 해당되는 고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경보 발생부 및 정보 송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고도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전석에 구비되는 메인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상기 정보 송수신부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타워 크레인의 운전석의 제2 고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움직임 정보에 포함되는 제1 고도 정보와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2 고도 정보를 비교하는 정 보 비교부; 상기 정보비교부에 의한 비교결과 상기 제1 고도 정보와 제2 고도 정보의 오차값을 연산하고, 상기 오차값과 상 기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 발생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보 발생 명령에 따라 외부로 미리 설정된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제1 대기압 변동 정보와,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제2 대기압 변동 정보를 기초로 온도 변동에 따른 대기압 변동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대기압 변동 정보를 미리 설정된 보상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제1 고도 정보를 보상하 되, 고도 위 치 변동이 아닌 온도 변동에 의한 대기압 변동의 양을 파악하고, 일정한 시간 단위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고정 된 장소에 설치된 고도센서의 정보를 수신한 후 온도 변동에 따른 대기압 변동 부분을 파악 및 보상하여 정확한 고도 계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부 및 센서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센서들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표 면에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 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케이스 내측에는 니들펀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흡음층이 구비되되, 상기 흡음층의 두께2 는 0.3 ~ 15 ㎜ 이고,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0 ~ 1000g/m로 하며,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 도는 0.1 ~ 3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
  2. 상기 움직임 감지부, 경보 발생부, 정보 송수신부 및 컨트롤러는 상기 타워 크레인의 후크에 부착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

  3.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는 리모트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부가 동작되는 경우 경보 발생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
  4.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대기압 기준정보, 미리 설정된 고도값, 기준 오차값이 입력되는 키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 상기 키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의하여 출력 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 용한 타워 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


KR1020180042432A 2018-04-11 2018-04-11 타워 크레인 전체 높이 측정 기법을 이용한 작동 경보 시스템 KR20190118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32A KR20190118931A (ko) 2018-04-11 2018-04-11 타워 크레인 전체 높이 측정 기법을 이용한 작동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32A KR20190118931A (ko) 2018-04-11 2018-04-11 타워 크레인 전체 높이 측정 기법을 이용한 작동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931A true KR20190118931A (ko) 2019-10-21

Family

ID=6846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432A KR20190118931A (ko) 2018-04-11 2018-04-11 타워 크레인 전체 높이 측정 기법을 이용한 작동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9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96A (ko) * 2020-01-15 2021-07-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경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96A (ko) * 2020-01-15 2021-07-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경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199B1 (ko) 고도센서 높이측정 기법을 이용한 타워크레인 작동 경보 시스템
KR101658777B1 (ko) 보조도상 콘크리트 포장용 레벨 장치
KR101646918B1 (ko) 크레인의 사각지대 모니터링 시스템
García-Rodríguez et al. 316L stainless steel coatings on ZE41 magnesium alloy using HVOF thermal spray for corrosion protection
KR20190118931A (ko) 타워 크레인 전체 높이 측정 기법을 이용한 작동 경보 시스템
KR101767734B1 (ko) 크레인 안전 진단 시스템
EP2854073B1 (en) Restraining system including near field rfid detection
KR101704885B1 (ko) 작업자의 고도 검출을 통한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KR20100037257A (ko) 지능형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타워 크레인의 작업 상황 감시 방법
WO2007108679A8 (en) Antifouling fibre coatings for marine constructions
US11951338B2 (en) Fall protection monitor
KR102003497B1 (ko) 무한궤도식 건설장비의 전도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333672B1 (ko) 아웃트리거를 사용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전도 방지 시스템
KR101801519B1 (ko) 개폐 가능한 방호문이 구비된 타워크레인
KR101546025B1 (ko) 건설 리프트용 감시 ip 카메라 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110004524A (ko) 타워크레인의 충돌 경보장치
KR101699689B1 (ko) 휴대용 전동식 라쳇 커터
KR102143747B1 (ko) 크레인 영상 제어 작업 기록 시스템
WO2020262873A3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35250B1 (ko) 교면 방수용 그리드 및 이의 시공 장치
CN101582575A (zh) 槽式耐火桥架
KR101830535B1 (ko) 안전성이 보강된 해양시추설비용 맨 라이딩 윈치 시스템
CN113638615A (zh) 一种建筑工程施工现场用安全架
KR20210129333A (ko) 도장 보조 장치
Yadav et al. Evaluation of mechanical and tribological behavior of galvanized, galvalume and polyurethane-coated steel she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