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123B1 -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123B1
KR102371123B1 KR1020190133014A KR20190133014A KR102371123B1 KR 102371123 B1 KR102371123 B1 KR 102371123B1 KR 1020190133014 A KR1020190133014 A KR 1020190133014A KR 20190133014 A KR20190133014 A KR 20190133014A KR 102371123 B1 KR102371123 B1 KR 102371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x body
display
gear
displa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839A (ko
Inventor
김영민
박준수
정연광
정재식
김용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Priority to KR1020190133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1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60K2370/152
    • B60K237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방으로 회전되어 직립되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를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Glove box with smart display}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글로브 박스는 보조석의 전면에 위치하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보조석 탑승자의 무릎 높이에 장착되어,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무릎을 보호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글로브 박스를 보관용으로만 사용하기에는 공간 활용면에서 다소 아쉬운 면이 있었다. 예를 들면, 보조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멀티미디어 등 편의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센터페시아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조작해야 하는데, 보조석 탑승자의 위치에서는 조작이 편리하지 않고, 기타 멀티미디어를 이용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을 사로잡아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위험도 있었다.
또한, 글로브 박스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글로브 박스의 손잡이에 손을 넣어 개방을 해야하는데, 운전하는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다소 시선을 빼앗겨 다소 위험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13077호
단순한 조작으로 개폐가 가능한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되, 보조석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차량의 대시보드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방으로 회전되어 직립되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를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단순한 조작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보조석 탑승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편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측단면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측단면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부의 확대 배면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동작순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측단면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사용상태도.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와 사용자 단말기의 예시도.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디스플레이 전개순서도.
도 10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디스플레이 전개각도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선된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는 차량의 대시보드(200)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박스 본체(300), 상기 박스 본체(300) 내부에 설치되되, 상방으로 회전되어 직립되거나 수평으로 ?또賤測?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 본체(300)는, 상기 차량의 대시보드(200)에 형성된 결합구에 수평하게 형성된 주 레일부(100)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인출 또는 인입구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박스 본체(3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주 레일부(10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랙기어부, 상기 박스 본체(30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부(500)와 치차 결합되는 종동 기어(520), 상기 종동 기어(520)와 치차 결합되는 주동 기어(530) 및 상기 주동 기어(53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54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박스 본체(300)의 전방 상부에 힌지 결합된 상방으로 회전되어 직립되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는 디스플레이 하우징(620),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에 장착된 화면부(640),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을 상부로 회전시켜 직립되도록 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작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660)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을 상부로 회전시켜, 보조석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상기 작동부(660)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의 힌지축에 형성된 제1기어(661)와 상기 제1기어(661)와 치차결합되는 제2기어(662) 및 상기 제2기어(662)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66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모터(663)는 회전 각도값이 설정된 스텝모터 구성되어, 제2모터(663)를 동력원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을 상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텝모터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써, 약 90˚~110˚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써, 상기 작동부(660)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의 힌지축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박스 본체(300)에 결합되어 회전 동력을 발휘하는 토션스프링(700)으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을 상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박스 본체(300)를 인출시키는 스위치를 상기 대시보드(200) 상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 본체(300)를 편리하게 인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구동부(500)를 동작시켜 박스 본체(300)를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00)에 의해 박스 본체(300)가 인출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660)를 동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을 상부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을 상부로 회전시키는 작동부(660)를 동작시킬 또다른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통신부(80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80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 정보통신이 가능한 모든 유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 랩탑 피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800)와 통신을 할 수 있는 모든 전자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80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에 있는 멀티미디어 매체를 재생 또는 감상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조작으로 사용자의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에 대한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작동부(660)'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2의 '작동부(660)'에 대한 확대 배면도,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동작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는, 차량의 대시보드(200)에 형성된 결합구(220)에 수평하게 형성된 주 레일부(100), 주 레일부(100)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인출 또는 인입구동되는 박스 본체(300), 박스 본체(3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500)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박스 본체(300)의 전방 상부에 힌지 결합된 상방으로 회전되어 직립되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는 디스플레이 하우징(620),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에 장착된 화면부(640),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을 상부로 회전시켜 직립되도록 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작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66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의 힌지축(623)에 형성된 제1기어(661)와, 상기 제1기어(661)와 치차 결합되는 제2기어(662) 및 제2기어(662)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6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모터(663)는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이 90˚~110˚ 각도로 회전되도록 회전 각도값이 설정된 스텝모터가 바람직하다.
구동부(500)는 주 레일부(100)에 평행하게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의 저면에 형성되는 랙기어부(510)와, 박스 본체(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랙기어부(510)와 치차 결합되는 종동 기어(520)와, 종동 기어(520)와 벨트나 체인으로 연결되는 주동 기어(530)와, 주동 기어(53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모터(54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주동 기어(530)가 회전되어 벨트나 체인을 구동시켜 종동 기어(520)를 회전시키고, 종동 기어(520)가 회전됨으로써 랙기어부(510)를 밀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박스 본체(300)가 전진 또는 후진 작동된다.
그리고 대시보드(200)의 전면 또는 차 내부의 적당한 위치에 스위치(SW)가 형성된다.
스위치(SW)는 구동부(500)를 먼저 작동시키는 동작 후 작동부(660)를 작동시키는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는 사용 전의 상태이다.
이후 박스 본체(300)를 인출되도록 스위치(SW)를 온(on) 작동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의 제1모터(540)가 구동되고, 주동 기어(530)가 회전되어 종동 기어(520)를 회전시키고, 종동 기어(520)가 랙기어(510)를 따라 주행함으로써 박스 본체(300)가 전진 작동하게 된다.
이후 도 5의 (c)를 참고하면, 박스 본체(300)가 인출작동 되면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이 박스 본체(300)와 함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5의 (d)를 참고하면, 작동부(660)의 제2모터(663)가 구동되고, 제2모터(663)에 형성된 제2기어(662)가 회전되며, 제2기어(662)에 치차 결합된 제1기어(661)의 회전구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이 수직하게 세워져서 화면부(640)가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실시예 3]
한편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작동 전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의 작동 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는,
차량의 대시보드(200)에 형성된 결합구(220)에 수평하게 형성된 주 레일부(100), 주 레일부(100)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인출 또는 인입구동되는 박스 본체(300), 박스 본체(30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500)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박스 본체(300)의 전방 상부에 힌지 결합된 상방으로 회전되어 직립되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는 디스플레이 하우징(620),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에 장착된 화면부(640),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을 상부로 회전시켜 직립되도록 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작동부(660);를 포함하고, 작동부(66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의 힌지축(623)에 결합되며 일단은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박스 본체(300)에 결합되어 회전 동력을 발휘하는 토션스프링(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부(500)가 구동되어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이 박스 본체(300)와 함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의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므로 토션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이 상방으로 회전되어 전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620)이 90˚~110˚ 각도로 회전되어 화면부(640)가 정면을 향하게 된다.
[실시예 4]
또 다른 실시 예로써, 글로브박스의 개방과 관계없이 디스플레이부만 단독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글로브박스의 내측 상단에 디스플레이부를 단독으로 개방하여 전개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글로브박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수동 또는 별도의 동력원을 통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개방과 동시에 사용자의 시야각에 적합한 각도로 전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개각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외각이 63.5도로 전개될 수 있다. 다만 전개각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상호 배척되는 관계가 아니며, 중첩 또는 중복되는 내용에 관하여 상호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주 레일부
200 : 대시보드
300 : 박스 본체
500 : 구동부
510 : 랙기어부
520 : 종동 기어
530 : 주동 기어
540 : 제1모터
620 : 디스플레이 하우징
640 : 화면부
660 : 작동부
661 : 제1기어
662 : 제2기어
663 : 제2모터
700 : 토션스프링
800 : 통신부

Claims (6)

  1. 차량의 대시보드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박스 본체가 개방되면 상방으로 회전되어 직립되고, 상기 박스 본체가 폐쇄되면 수평으로 눕혀지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는,
    상기 차량의 대시보드에 형성된 결합구에 수평하게 형성된 주 레일부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인출 또는 인입구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박스 본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주 레일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랙기어부;
    상기 박스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부와 치차 결합되는 종동 기어;
    상기 종동 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주동 기어; 및
    상기 주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박스 본체의 전방 상부에 힌지 결합된 상방으로 회전되어 직립되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장착된 화면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상부로 회전시켜 직립되도록 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작동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힌지축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박스 본체에 결합되어 회전 동력을 발휘하는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힌지축에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모터는 회전 각도값이 설정된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33014A 2019-10-24 2019-10-24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KR102371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14A KR102371123B1 (ko) 2019-10-24 2019-10-24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14A KR102371123B1 (ko) 2019-10-24 2019-10-24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39A KR20210048839A (ko) 2021-05-04
KR102371123B1 true KR102371123B1 (ko) 2022-03-10

Family

ID=7591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014A KR102371123B1 (ko) 2019-10-24 2019-10-24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1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61775A1 (en) * 2016-06-15 2017-1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love box arrangement, dashboard arrangement and passenger compartment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285Y2 (ja) * 1989-09-07 1996-06-12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物品収納装置
JP3066058B2 (ja) * 1990-10-29 2000-07-17 株式会社カンセイ 電動グローブボックス
KR100806105B1 (ko) * 2002-03-07 2008-02-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스플레이 장치
JP3722090B2 (ja) * 2002-05-31 2005-11-3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収納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622243B1 (ko) * 2014-08-25 2016-05-18 손천강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80115182A (ko) * 2017-04-12 2018-10-22 광성기업 주식회사 운전자 편의용 미러링 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61775A1 (en) * 2016-06-15 2017-1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love box arrangement, dashboard arrangement and passenger compartment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39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029B1 (ko) 대시패널 내설형 차량용 모니터장치 및 그 사용방법
US699312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125553A1 (en) Multi display device with panel housings
US9766850B2 (en) Multiple screen arrangement for mobile device
US8215688B2 (en) Vehicle floor console
JP2001007904A (ja) 摺動蓋を有する電子機器
CN101992713A (zh) 汽车用扶手
CN103867058A (zh) 用于滑动门的线性中心轨道结构
KR102371123B1 (ko) 스마트한 디스플레이 글로브 박스
CN102667896A (zh) 显示装置
WO2015057855A1 (en) Mobile device holder
KR101417319B1 (ko)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WO2000059179A8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reversible display
KR20200063010A (ko) 디스플레이 작동이 가능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EP2712766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 digital data storage medium
KR20210012020A (ko) 디스플레이 작동이 가능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
JP2001125668A (ja)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ヒンジ機構
TW202110671A (zh) 遊覽車
CN104094529B (zh) 可倾斜个人便携终端机
JPH04176743A (ja) 収納ケース
JP3535782B2 (ja) パネル開閉装置
KR200381135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구조체
KR100803063B1 (ko) 콘솔박스의 미디어 단자 개폐장치
CN201355825Y (zh) 手持终端装置
JP4874317B2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