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657B1 -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657B1
KR102370657B1 KR1020190120537A KR20190120537A KR102370657B1 KR 102370657 B1 KR102370657 B1 KR 102370657B1 KR 1020190120537 A KR1020190120537 A KR 1020190120537A KR 20190120537 A KR20190120537 A KR 20190120537A KR 102370657 B1 KR102370657 B1 KR 102370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rail
movable body
slide do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971A (ko
Inventor
이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9012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6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2Rollers having vertical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의 개방된 도어장착부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측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며,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하부에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1롤러가 마련되며, 측면에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3롤러가 마련되는 고정체; 하부에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2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위치이동될 수 있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에 설치되고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제1롤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서, 제1롤러 및 제2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주행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Roller structure for slide-door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없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가 마련된 차량은 도어를 최대한 차체에 가깝게 슬라이딩시켜 오픈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탑승 및 승하차 편의성을 향상시킨 구조이다.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의 슬라이딩에 따라 개폐되어 승객이 승하차하는 도어 개구부가 마련되는 차체와, 도어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차체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과, 차체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에 구름이동하는 롤러와, 도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롤러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도어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는데, 요동없이 구름이동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 1 내지 3은 종래기술의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장치는, 차체나 컨테이너에 개방된 도어패널(20) 장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레일(40)과, 이 슬라이딩 레일(40) 내부에 접속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 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와, 이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 사이에 기립 배열된 제1 수직롤러(R3)가 함께 회동 가능하게 도어패널(20)의 측면에 고정결합된 L자형 지지플레이트(30)에 지지되도록 핀결합된 회동 브라켓(10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3)를 수평지지하는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101, 103) 중 한쪽 측면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돌출부(105)와 이 돌출부(105)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07)를 구비하고, 이 절곡부(107)에는 제2 수직롤러(R4)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 장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40)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폐쇄 작동 시에는 도어 장착부와 밀착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고, 또 도어패널의 초기 개방 작동시에는 보다 스무스한 도어패널(20)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완만하게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1)와, 상기 경사부(41)에 의해 상기 롤러들이 경사방향으로 가이드된 후, 도어 패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배치된 수평부(45)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가이드됨에 있어, 이 수평부(45)와 경사부(41) 사이의 용이한 상기 롤러들의 구름이동이 구현되도록 상기 수평부(45)와 경사부(4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곡형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한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상하부에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회동 가능하게 회동 브라켓(100)이 장착되고, 이 회동 브라켓(100)은 단부 양측에 돌출된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101, 103)에 직교하여 고정되는 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3)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의 접속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 시 슬라이딩 레일(40)을 따라 구름 이동하여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을 원활하게 개폐 작동시키는 축지지 베어링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1 수직롤러(R2)는 상기 회동 브라켓(100)의 단부 양측 사이에 하방향 절곡된 주면(102)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핀을 매개로, 상기 회동 브라켓(10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한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의 슬라이딩 운동을 조력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롤러장치는, 수평롤러와 수직롤러가 협동하여 마련됨으로서 레일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롤러장치는 회동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동시에 활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하여 복수의 레일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측면도어에는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한편, 단일의 레일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구조는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사용하기 어렵고, 회전구조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을 흔들림이 없이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없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는, 차체의 개방된 도어장착부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측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며,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하부에 가이드 레일의 어느 한 측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1롤러가 마련되며, 측면에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3롤러가 마련되는 고정체;
하부에 가이드 레일의 다른 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1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위치이동될 수 있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에 설치되고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제1롤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서, 제1롤러 및 제2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주행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서,
상기 가이드 핀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보다 외경이 작고 상기 고정체에 고정결합되는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핀부재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대직경부와, 상기 대직경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대직경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기둥부만 통과하는 소직경부로 이루어지는 제1관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이동체의 기둥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에 지지될 수 있다.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서,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상기 단턱과, 상기 머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턱을 상기 머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서,
상기 고정체는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그 중앙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여진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고정체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이동본체와,
상기 제1이동본체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이동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이동본체의 단부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서,
상기 제2이동본체의 단부에는 삽입부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직선구간에서 제1롤러와 제2롤러가 슬라이드 도어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롤러와 제2롤러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부의 주변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는,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며 롤러가 마련된 고정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고정체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이동체를 마련함으로서,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의 문제가 없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롤러장치의 도면.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일 구성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6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Ⅸ-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작동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장치(100)는, 가이드 레일(110), 고정체(120), 이동체(130), 가이드 핀(140) 및 탄성바이어스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10)은, 차체의 개방된 도어장착부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도어의 슬라이드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10)은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차량의 하부 형상에 맞게 직선구간(110A)과 곡선구간(110B)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10)은,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면(111)과, 상기 상면(111)과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112)과 하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롤러는 상면(111)과 측면(112)에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체(120)는,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하부에 가이드 레일(110)의 어느 한 측면(112)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1롤러(122)가 마련되며, 측면(112)에 가이드 레일(110)의 상면(111)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3롤러(123)가 마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고정체(120)는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와 함께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체(120)는, 고정본체(121)와, 제1롤러(122) 및 제3롤러(1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본체(121)는,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직육면체의 바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고정본체(121)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에는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여진 오목부(1211)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오목부(1211)는 하부측으로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쪽으로는 막혀져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본체(121)에는 상기 오목부(1211)로부터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구멍(1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관통구멍(12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나사산에 가이드 핀(140)이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롤러(122)는, 가이드 레일(110)의 어느 한 측면(112)에 접촉하여 구름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바형태의 고정본체(12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한 쌍이 상기 고정본체(1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제1롤러(122)는 상기 가이드 레일(110)의 어느 한 측면(112)에 나란하게 접촉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3롤러(123)는, 상기 가이드 레일(110)의 상면(111)에 접촉하여 구름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형태의 고정본체(121)의 측면(112)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체(130)와 고정체(120) 사이에 위치하여 수평방향 힘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3롤러(123)는 한 쌍이 상기 고정본체(1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3롤러(123)의 사이에는 오목부(1211)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이동체(130)는, 하부에 가이드 레일(110)의 다른 측면(112)에 접촉하고 상기 제1롤러(12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롤러(133)가 마련되고, 상기 제2롤러(133)와 상기 제1롤러(1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120)에 대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위치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동체(130)는 평면단면이 대략 "T"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제1이동본체(131)와, 제2이동본체(1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이동본체(131)는, 고정체(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것으로서 대략 바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제1이동본체(131)에는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으로서, 고정체(120)와 마주보는 측면(112)의 반대측면(112) 쪽에, 핀부재의 머리부(141)가 삽입되는 대직경부(1311)가 개구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부(1311)는 제1이동본체(131)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대직경부(1311)의 홈길이는 상기 머리부(141)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소직경부(1312)는, 상기 대직경부(1311)로부터 제1이동본체(131)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대직경부(13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핀부재의 머리부(141)는 통과시키지 않고 기둥부(142)만 통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대직경부(1311)와 상기 소직경부(1312)의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은 직경차에 의하여 형성되게 된다. 상기 단턱에 탄성바이어스수단(150)이 지지되어 있게 된다.
상기 대직경부(1311)와 소직경부(1312)는 제1관통구멍을 구성하게 되어 핀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핀부재의 머리부(141)가 대직경부(1311)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기둥부(142)는 소직경부(1312)를 관통한 후에 고정체(120)의 제2관통구멍(121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이동본체(132)는, 상기 이동본체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이동본체(131)과 제2이동본체(132)가 결합되어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T"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2이동본체(132)의 단부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321)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이동본체(132)의 단부에는 삽입부(1321)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직선구간에서 제1롤러와 제2롤러가 슬라이드 도어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롤러와 제2롤러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부(1211)의 주변부에 걸리는 걸림부(1322)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핀(140)은, 상기 이동체(130)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120)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130)가 상기 고정체(120)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핀(140)은, 머리부(141)와, 기둥부(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141)는 일측으로 드라이버 등이 삽입될 수 있는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머리부(141)는 제1이동본체(131)의 대직경부(13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142)는 상기 머리부(141)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머리부(141)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게 되며, 얇은 기둥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기둥부(142)는, 소직경부(1312)를 통과한 후에, 상기 고정체(120)의 제2관통구멍(1212) 내에 삽입된다. 상기 기둥부(142)의 단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기둥부(142)의 나사산이 제2관통구멍(1212) 내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됨으로서, 상기 고정체(120)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50)은, 상기 가이드 핀(140)에 설치되고 상기 제2롤러(133)를 상기 제1롤러(12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서, 제1롤러(122) 및 제2롤러(133)가 가이드 레일(110)의 직선구간(110A)과 곡선구간(110B)을 주행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의 측면(11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바이어스수단(15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이동체(130)를 상기 고정체(120)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탄성바이어스수단(150)은 이동체(130)의 기둥부(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141)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핀(140)은, 머리부(141)가 상기 이동체(130)의 오목부(121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142)가 고정체(120)에 고정되어 있어서 머리부(141)에 의하여 이동체(130)는 일정간격 이상으로는 고정체(120)로부터 벌어지지 않고 일정범위 내에서만 고정체(120)에 대한 간격이 조절된다.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50)은, 상기 기둥부(142)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은 제1이동본체(131)의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머리부(141)에 지지됨으로서, 상기 이동체(130)가 상기 고정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한다.
직선구간(110A)에서는 이동체(130)와 고정체(120)의 간격이 최소화되는 구간으로서, 탄성바이어스 수단은 인장된 상태에 놓이며, 곡선구간(110B)에서는 이동체(130)와 고정체(120)의 간격이 최대한 넓어지는 구간으로서, 이 상태에서는 탄성바이어스 수단이 압축되게 된다. 곡선구간(110B)에서 다시 직선구간(110A)으로 이동시에는 압축된 탄성바이어스수단(150)이 탄성반력에 의하여 인장됨으로서, 이동체(130)와 고정체(120) 사이의 간격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10)의 직선구간(110A)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체(130) 및 고정체(120)는 곡선구간(110B)으로 진입하게 되고, 곡선구간(110B)이 끝난 후에는 다시 직선구간(110A)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자동차의 측면(112) 도어에서는 도어가 최초로 열리는 과정에서는 곡선구간(110B)을 통해서 인접한 도어와 간섭이 없이 자연스럽게 열리도록 하고, 어느 정도 열린 후에는 도어가 다시 직선구간(110A)으로 진입하면서 자연스럽게 도어의 열림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하부측에 배치된 롤러는 가이드 레일(110)의 측면(112) 양측에서 롤러에 의하여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레일의 곡선구간(110B)에서도 직선구간(110A)과 같이 롤러가 가이드 레일(110)의 측면(11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하게 롤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한 조절이 없다면 흔들림의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의 흔들림이 없이 가이드 레일(110)에 롤러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동체(130), 가이드 핀(140) 및 탄성바이어스수단(150)을 마련하였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구간(110A)에서는, 제1이동본체(131)의 대직경부(1311)에 수용된 가이드 핀(140)의 머리부(141)는 단턱과 충분한 정도로 이격되어 있게 된다. 가이드 핀(140)의 머리부(141)와 단턱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머리부(141)를 단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지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곡선구간(110B)으로 진입시에는 제1롤러(122)와 제2롤러(133)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가이드 핀(140)의 머리부(14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과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코일 스프링은 압축되게 된다.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탄성지지력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에, 제1롤러(122)와 제2롤러(133)는 가이드 레일(110)의 측면(112)과의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체(120)에 오목부(12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동체(130)에는 상기 오목부(1211)에 삽입되며 상기 오목부(12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삽입부(1321)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동체(130)가 고정체(1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삽입부(1321)가 오목부(1211)에 가이드되어 삽입됨으로서 고정체(120)에 대한 이동체(130)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321) 주변에는 오목부(1211)의 주변에 걸리는 걸림부(1322)가 마련되어 있어서, 걸림부(1322)가 오목부(1211)의 주변에 접촉하여 삽입부(1321)가 오목부(1211)에 추가적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서 제1롤러(122) 또는 제2롤러(13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가변되는 이동체(130)가 지나치게 근접하는 경우 제1롤러(122)와 제2롤러(133)가 가이드 롤러의 측면(112)에 과도한 힘으로 접촉됨으로서 제1롤러(122) 및 제2롤러(133)가 파손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롤러(122) 및 제2롤러(133)의 근접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걸림부(1322)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직선구간(110A)과 곡선구간(110B)을 동시에 지나는 과정에서도 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110)에 접촉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더욱이 도어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서, 안정적인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탄성바이어스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체와 이동체를 탄성지지하는 수단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균등한 범위 내라면 확정해석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롤러장치 110...가이드 레일
111...상면 112...측면
120...고정체 121...고정본체
1211...오목부 1212...제2관통구멍
122...제1롤러 123...제3롤러
130...이동체 131...제1이동본체
132...제2이동본체 1321...삽입부
1322...걸림부 133...제2롤러
140...가이드 핀 141...머리부
142...기둥부 150...탄성바이어스수단

Claims (5)

  1. 차체의 개방된 도어장착부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측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며,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하부에 가이드 레일의 어느 한 측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1롤러가 마련되며, 측면에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3롤러가 마련되는 고정체;
    하부에 가이드 레일의 다른 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1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위치이동될 수 있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고정체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에 설치되고 상기 제2롤러를 상기 제1롤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서, 제1롤러 및 제2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주행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는 직육면체 바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그 중앙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여진 오목부가 마련되는 고정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는 고정본체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3롤러는 고정본체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고정체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측면에서 제2롤러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이동본체와, 상기 제1이동본체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이동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이동본체의 단부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직선적 형상을 가지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보다 외경이 작고 상기 고정체에 고정결합되는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가이드 핀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대직경부와, 상기 대직경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대직경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기둥부만 통과하는 소직경부로 이루어지는 제1관통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코일스프링으로서, 가이드 핀의 기둥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와, 상기 소직경부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은, 상기 단턱과, 상기 머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턱을 상기 머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본체의 단부에는 삽입부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직선구간에서 제1롤러와 제2롤러가 슬라이드 도어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롤러와 제2롤러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부의 주변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KR1020190120537A 2019-09-30 2019-09-30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KR102370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37A KR102370657B1 (ko) 2019-09-30 2019-09-30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37A KR102370657B1 (ko) 2019-09-30 2019-09-30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971A KR20210037971A (ko) 2021-04-07
KR102370657B1 true KR102370657B1 (ko) 2022-03-07

Family

ID=7546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537A KR102370657B1 (ko) 2019-09-30 2019-09-30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6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184B1 (ko) * 2004-05-13 2006-02-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레일 장착 구조
KR100796173B1 (ko) * 2006-08-29 2008-01-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주행 농작업기의 위치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377567B1 (ko) * 2013-09-25 2014-03-24 방호근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09215T2 (de) * 1996-04-09 2002-07-25 Mitsubishi Motors Corp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für eine Schiebetü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184B1 (ko) * 2004-05-13 2006-02-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레일 장착 구조
KR100796173B1 (ko) * 2006-08-29 2008-01-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주행 농작업기의 위치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377567B1 (ko) * 2013-09-25 2014-03-24 방호근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971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73395B (zh) 滑动门机构
JP5913110B2 (ja) 車両のスライド式開閉体のローラアセンブリ
US8100439B2 (en) Device for fixing a door or flap
CN110832160B (zh) 铰链装置
KR20210032117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KR20030016658A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의 구조
KR102370657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KR20210069304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US10577849B2 (en)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US11466494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sliding door from swaying
KR20130133771A (ko) 슬라이딩 도어 롤러 가이드 및 가구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롤러 가이드 장치
JP2018127190A (ja) 座席アセンブリ
EP1627980A1 (en) Device for guiding plate-like object
KR101975375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JP3426217B2 (ja) 引き違い戸装置
KR20100045384A (ko) 미닫이 장치
JPH087008Y2 (ja) 折り戸のランナストッパ
KR2021007488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방지를 위한 x자형 가이드 바 구조
JP2014125760A (ja) 引戸用ランナー構造
KR20220050437A (ko)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KR20210076251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 레일 락킹 구조
JPH0623668Y2 (ja) 折戸のかぶせ組付用ランナー
JP3107342B2 (ja) 引き戸
KR200312172Y1 (ko) 폴딩도어의 이동 가이드장치
JP2017141650A (ja) 吊車用スト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