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295B1 -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 - Google Patents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295B1
KR102369295B1 KR1020200151220A KR20200151220A KR102369295B1 KR 102369295 B1 KR102369295 B1 KR 102369295B1 KR 1020200151220 A KR1020200151220 A KR 1020200151220A KR 20200151220 A KR20200151220 A KR 20200151220A KR 102369295 B1 KR102369295 B1 KR 10236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elastic
elastic ba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코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코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코넥
Priority to KR102020015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바디와 슬라이딩 바디에 양단부가 각각 체결되며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바디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가압하는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및 슬라이딩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바디 체결부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메인 바디 및 슬라이딩 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체결되는 바디 체결부를 갖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바디 체결부에 대하여 벤딩 변형되며,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봉; 상기 탄성봉이 끼워지며 상기 탄성봉의 벤딩 변형을 안내하는 탄성봉 가이드; 를 포함하는 힌지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BENDING TYPE HINGE SPRING}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에 사용되는 힌지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봉이 벤딩되면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으로 기재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103962호에 기재된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의 동작을 표시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호 슬라이딩되는 메인 바디(110)와 슬라이딩 바디(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메인 바디(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바디(120)가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힌지 스프링(1)이 장착되는데 벤딩 타입, 압축 타입, 토션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두 바디가 포개진 (a) 상태로부터 중립 위치인 참조 부호 (b)를 거쳐 상호 펼쳐진 (c) 상태로 갈때, 힌지 스프링(1)은 참조 부호 (b)에서 최대 벤딩 상태가 된다.
참조 부호 (a)에서 중립 위치 (b)로 갈때, 힌지 스프링(1)은 휘어지며 두 바디의 이동에 탄성적으로 저항하고 참조 부호 (b)에서 (a)로 갈때, 휘어진 힌지 스프링(1)이 펼쳐지며 두 바디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사용자는 힌지 스프링(1)으로 인하여 반자동 슬라이딩 감성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힌지 스프링(1)에 따르면, 여러 개의 탄성봉을 횡방향에서 지지하는 탄성봉 가이드 및 탄성봉을 길이 방향에서 지지하는 하우징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종류에 따라 힌지 스프링(1)의 전체 길이를 변화시켜야 할 경우에 하우징 구조물 사출 성형을 위한 몰드 금형을 일일이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또는 탄성봉 가이드를 교체 또는 새로 제작해야 하는 경우, 탄성봉을 제외한 힌지 스프링의 구조물 전체를 교체 또는 새로 제작해야 한다. 따라서, 힌지 스프링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교체 용이성, 설계 대응성, 제작 빈도, 품질 확보, 힌지 스프링의 전체 탄성력 조절 등에 문제가 발생할 때,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는 현대와 같은 단말기의 다품종 소량 생산 시대에 맞지 않는 개념이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10396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 길이의 가변시 새로운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다. 동일한 형상 및 길이의 탄성봉 가이드를 사출 성형하는 단일 금형을 이용할 수 있고, 단일 규격의 탄성봉 가이드를 잘라서 탄성봉의 길이에 맞추면 힌지 스프링의 전체 길이 및 전체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바디와 슬라이딩 바디에 양단부가 각각 체결되며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바디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가압하는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및 슬라이딩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바디 체결부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메인 바디 및 슬라이딩 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체결되는 바디 체결부를 갖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바디 체결부에 대하여 벤딩 변형되며,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봉; 상기 탄성봉이 끼워지며 상기 탄성봉의 벤딩 변형을 안내하는 탄성봉 가이드; 를 포함하는 힌지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은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가 대면되는 좁은 틈새에 설치되기 때문에 박형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매우 얇은 두께에서 충분한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다.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탄성봉의 개수를 조절하면 벤딩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봉의 길이를 조절하면 벤딩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탄성봉의 배열 개수가 바뀌는 경우, 하우징 및 탄성봉 가이드이 체결되는 부분의 치수를 그대로 유지하면 하우징은 표준화시킬 수 있고 치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탄성봉 가이드의 횡방향 폭만 변경하면 충분한 장점이 있다.
탄성봉의 길이가 바뀌는 경우, 하우징은 당연히 표준품을 사용할 수 있고, 탄성봉 가이드의 경우도 새로운 금형으로 제작할 필요없이 이미 제조된 표준품을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절단하면 표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하우징 또는 탄성봉 가이드와 관계없이, 탄성봉의 길이를 자르거나 탄성봉의 배열 개수를 조절하면 힌지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탄성봉, 하우징, 탄성봉 가이드를 표준품으로 설계 및 제조한 다음에, 후 공정을 통하여 탄성봉 또는 탄성봉 가이드의 길이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힌지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탄성봉의 배열 개수 및 탄성봉 가이드의 횡방향 폭을 변경하는 방식을 통하여 극히 일부 부품의 변경으로 탄성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 생산 시대에 맞출 수 있고, 원가 상승 요인없이 다양한 특성의 힌지 스프링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자연스럽게 발생된다.
도 1은 종래의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이 슬라이딩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된 상태에서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힌지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 탄성봉 가이드, 탄성봉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봉 가이드를 도 1과 다른 뷰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100)의 채용 특성이 변할 때 하우징 및 탄성봉 가이드(220)를 변화시키지 않고 표준화 부품으로서 채용할 수 있다. 탄성봉(230)만 원하는 길이로 자르고 이에 맞게 탄성봉 가이드(220)를 잘라서 원하는 길이의 힌지 스프링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우징(210a, 210b)에 탄성봉 가이드(220)를 바로 체결하는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바로 탄성봉(230)을 체결하지 않고, 탄성봉 가이드(220)를 이용하여 탄성봉(230)의 배열 상태를 유지하면서, 탄성봉 가이드(220)가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탄성봉(230) 및 탄성봉 가이드(220)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각 부품을 동일 규격으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우징과 탄성봉 가이드(220) 사이에 서브 하우징(240)을 위치하고, 서브 하우징(240)에 의하여 탄성봉 가이드(220)를 하우징에 연결하는 도시된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단말기의 메인 바디(110) 또는 슬라이드 바디(120)의 결합 부분과 연결되는 바디 체결부(215)의 조건에 따라 하우징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탄성봉(230)은 하우징에 바로 체결되지 않고, 서브 하우징(240)에 체결되며, 서브 하우징(240)이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서브 하우징(240), 탄성봉 가이드(220)를 포함한 총 3개의 부품을 활용하면 나머지 두 개를 동일 규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를 다품종 소량 생산에 대응하여 쉽게 변화를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탄성봉 가이드(220)를 하우징에 직결하는 도시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탄성봉(230)의 반력을 얇은 두께의 탄성봉 가이드(220)의 몸체(221) 또는 제1 기둥(223a)과 제2 기둥(223b)의 두께만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더욱 개선하는 도시된 실시예로서, 탄성봉 가이드(220)는 복수의 탄성봉(230) 각각을 밀착시키거나 벤딩 변형을 안내하는 기능만 주로 담당하고, 탄성봉(230) 단부의 반력은 탄성봉 가이드(220)보다 더 두꺼운 서브 하우징(240) 및 하우징이 담당하는 역할 분담이 가능할 수 있다. 세 개의 부품으로 탄성봉(230)을 지지하는 본 실시예는 부품의 동일 규격화를 도모하면서 역설적으로 부품의 가변성을 주는데 용이할 수 있고, 탄성봉(230)의 안내 및 지지를 분담하여 품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힌지 스프링의 양단부에는 제1 하우징(210a) 및 제2 하우징(210b)에 의하여 메인 바디(110) 및 슬라이드 바디(120)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a) 및 제2 하우징(210b)에는 바디 체결부(215)가 형성되며 메인 바디(110) 또는 슬라이드 바디(120)에 힌지 스프링을 연결할 수 있다.
탄성봉(230)은 제1 하우징(210a) 및 제2 하우징(210b)에 의하여 단말기의 고정부 및 지지부에 연결되며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박형의 힌지 스프링에서 탄성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탄성봉(23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원형 단면인 경우에 비하여 빈 공간없이 탄성 재질로 꽉 채울 수 있도록, 각각의 탄성봉(230)의 단면은 사각 단면일 수 있다.
탄성봉(230)은 제1 하우징(210a) 및 제2 하우징(210b)의 바디 체결부(215)에 대하여 벤딩 변형되며,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봉 가이드(220)에는 복수의 탄성봉(230)이 끼워질 수 있다. 복수의 탄성봉(230)은 접착되거나 용접되는 것이 아니다. 이를 마치 철근에 비유하면 철근 여러 개가 변형될 때 이들을 횡방향으로 묶어주는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탄성봉 가이드(220)는 복수의 탄성봉(230)을 길이 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으로 묶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봉 가이드(220)는 탄성봉(230)의 벤딩 변형을 안내할 수 있다. 탄성봉(230) 각각을 밀착시켜 일정한 방향으로 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탄성봉 가이드(220)는 탄성봉(2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221), 몸체(221)에서 돌출되는 제1 기둥(223a) 및 제2 기둥(223b), 제1 기둥(223a)과 제2 기둥(223b)을 연결하는 덮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221)에는 몸체 밀착면(2210)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 밀착면(2210)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기둥(223a) 및 제2 기둥(223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둥(223a) 및 제2 기둥(223b)은 탄성봉(230)을 횡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기둥(223a) 및 제2 기둥(223b)을 연결하는 덮개(225)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221) 및 덮개(225)는 탄성봉(230)을 횡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 배열된 탄성봉(230)의 양측면은 몸체(221)의 몸체 밀착면(2210) 및 덮개(225)의 덮개 밀착면(2250)에 밀착될 수 있다. 복수 배열된 탄성봉(230)의 상면 및 배면은 제1 기둥(223a) 및 제2 기둥(223b)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밀착면에 의하여 탄성봉(230)이 지지되면서, 탄성봉(230)의 벤딩 변형이 제한되지 않고 일정한 곡률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길이의 탄성봉 가이드(220)는 탄성봉(230)의 길이 또는 힌지 스프링의 길이에 따라 제2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탄성봉 가이드(220)는 제1 절단부(C1)를 가지며 제1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탄성봉 가이드(220)는 제2 절단부(C2)에서 잘리며, 제2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 및 탄성부 가이드의 길이만 다를 뿐 나머지 부품은 모두 동일한 힌지 스프링을 제작할 수 있으며, 탄성 특성이 다양한 힌지 스프링을 표준 규격의 금형에서 제작할 수 있다.
제1 기둥(223a) 또는 제2 기둥(223b)은 탄성봉 가이드(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제1 길이의 탄성봉 가이드(220)와 제2 길이의 탄성봉 가이드(220)는 제1 기둥(223a)의 개수 또는 제2 기둥(223b)의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서로 다른 길이의 탄성봉 가이드(220)에 있어서, 제1 기둥(223a) 사이의 간격 또는 제2 기둥(223b) 사이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서브 하우징(240)이 추가 부품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봉 가이드(220)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제1 하우징(210a) 및 제2 하우징(210b)에 각각 고정시키는 2 개의 서브 하우징(240)이 마련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240)은 탄성봉(230)의 양단부가 하우징에 직접 고정되는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비하여 힌지 스프링의 다양성을 더할 수 있다.
탄성봉 가이드(220)는 서브 하우징(240)에 의하여 제1 하우징(210a) 및 제2 하우징(210b)에 체결되고, 탄성봉(230)은 횡방향으로 복수 배열되며 동일 형상일 수 있다. 제1 하우징(210a), 제2 하우징(210b), 서브 하우징(240), 및 탄성봉 가이드(220)는 서로 별개의 부품이고, 각각에 형성된 후크 및 후크 삽입부의 탄성 결합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부품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나사나 접착제 등의 추가 결합 수단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서브 하우징(240)은 제1 하우징(210a) 및 제2 하우징(210b)에 형성된 서브 하우징 삽입부(216)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하우징(240)의 이탈없이 탄성봉(230)의 강한 탄성력을 재료의 파손없이 지지할 수 있다. 탄성봉(230)의 양단부는 서브 하우징(240)을 관통하며 제1 하우징(210a) 및 제2 하우징(210b)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탄성봉(230)의 전체 탄성력은 서브 하우징(240)에 의하여 하우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얇은 판이 겹친 모양의 하우징은 서브 하우징(240)으로 보강되면서 찢어지지 않을 수 있다.
서브 하우징(240)과 탄성봉 가이드(220)의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브 하우징(240)에 돌출된 가이드 후크(245)가 탄성봉 가이드(220)에 형성된 가이드 후크(245) 삽입부에 체결될 수 있다. 추가적인 결합 수단이 필요없고 두 부품의 탄성 결합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a)은 제1 플레이트(211) 및 제2 플레이트(212)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1) 및 제2 플레이트(212)의 내부에 하우징 후크 삽입부(217), 하우징 후크 스토퍼(218), 서브 하우징 삽입부(216)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봉 가이드(220)는 대칭 형상이며 원하는 만큼 길이를 자른 후, 일측 및 타측에 동일한 형상의 서브 하우징(240)을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브 하우징 삽입부(216)에는 탄성봉 가이드(220)와 연결되는 서브 하우징(240)이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 후크 삽입부(217)에는 서브 하우징(240)의 하우징 후크(243)가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 후크(243)의 단부는 하우징 후크 스토퍼(218)에 맞물려 제1 하우징(210a)에 대한 서브 하우징(24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서브 하우징(240)에서 돌출된 가이드 후크(245)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후크 삽입부(227a) 및 다른 서브 하우징(240)에서 돌출된 사이드 후크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후크 삽입부(227b)가 덮개(225)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후크(245) 삽입부를 사출 금형에서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금형 빼기 구멍(320)이 탄성봉 가이드(220)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봉 가이드(220), 서브 하우징(240), 하우징은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사출 성형용 금형에 들어가는 빼기 금형인 코어 금형의 개수를 줄이기 위하여 하우징, 서브 하우징(240), 탄성봉 가이드(220)의 형상이 최적 설계되었다. 양산성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두개의 하우징 사이에 어떤 방향으로도 조립될 수 있도록 탄성봉 가이드(220)는 대칭 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인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부를 사출 성형하기 위하여 코어 금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코어 금형의 개수를 줄이기 위하여 가이드 금형 빼기 구멍(320)이 결과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우징에도 하우징 후크 삽입부(217)를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 금형 빼기 구멍(310)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금형 빼기 구멍(310)은 코어 금형이 빠질 수 있는 자리이다.
탄성봉의 중앙부는 탄성봉 가이드와 접촉되며, 탄성봉 가이드의 접촉면에 대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
탄성봉은 서로 동일한 사각 단면을 가지고, 탄성봉은 탄성봉 가이드 내부에서 상호 밀착되므로 적은 부피 점유에서 탄성 계수 증가를 쉽게 할 수 있다. 즉, 탄성봉끼리 밀착시키면 탄성 계수가 증가될 수 있다. 최외곽에 배치된 탄성봉의 상면 및 배면은 몸체의 몸체 밀착면 및 덮개의 덮개 밀착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복수 배열된 탄성봉의 양측면은 제1 기둥 및 제2 기둥에 밀착될 수 있다.
탄성봉의 길이에 따라 탄성봉 가이드가 길이 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길이가 절단된 탄성봉 가이드를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연결하며 서로 대칭 형상인 제1 가이드 후크 삽입부 및 제2 가이드 후크가 탄성봉 가이드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100...휴대용 단말기 110...메인 바디
120...슬라이드 바디
210a...제1 하우징 211...제1 플레이트
212...제2 플레이트 215...바디 체결부
216...서브 하우징 삽입부 217...하우징 후크 삽입부
218...하우징 후크 스토퍼 210b...제2 하우징
220...탄성봉 가이드 221...몸체
2210...몸체 밀착면 223a...제1 기둥
223b...제2 기둥 224...확장부
225...덮개 2250...덮개 밀착면
227a...제1 가이드 후크 삽입부 227b...제2 가이드 후크 삽입부
C1...제1 절단부 C2...제2 절단부
230...탄성봉
240...서브 하우징 241...탄성봉 관통부
243...하우징 후크 245...가이드 후크
320...가이드 금형 빼기 구멍 310...하우징 금형 빼기 구멍

Claims (12)

  1. 메인 바디와 슬라이딩 바디에 양단부가 각각 체결되며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바디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가압하는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및 슬라이딩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바디 체결부를 갖는 제1 하우징;
    상기 메인 바디 및 슬라이딩 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체결되는 바디 체결부를 갖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바디 체결부에 대하여 벤딩 변형되며,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봉;
    상기 탄성봉이 끼워지며 상기 탄성봉의 벤딩 변형을 안내하는 탄성봉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봉 가이드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각각 고정시키는 2 개의 서브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봉 가이드는 서브 하우징에 의하여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봉은 횡방향으로 복수 배열되며 사각 단면이고,
    상기 탄성봉의 길이에 따라 상기 탄성봉 가이드가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서브 하우징, 및 탄성봉 가이드는 서로 별개의 부품이고, 각각에 형성된 후크 및 후크 삽입부의 탄성 결합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며,
    상기 탄성봉의 양단부는 상기 서브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탄성봉의 중앙부는 상기 탄성봉 가이드와 접촉되며, 상기 탄성봉 가이드의 접촉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힌지 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절단된 상기 탄성봉 가이드를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연결하며 서로 대칭 형상인 제1 가이드 후크 삽입부 및 제2 가이드 후크가 상기 탄성봉 가이드에 복수개 형성되는 힌지 스프링.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하우징에 돌출된 가이드 후크가 상기 탄성봉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후크 삽입부에 체결되는 힌지 스프링.
  6. 제1항에 있어서,
    제1 길이의 상기 탄성봉 가이드는 상기 탄성봉의 길이 또는 힌지 스프링의 길이에 따라 제2 길이로 절단되는 힌지 스프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봉 가이드는 상기 탄성봉을 덮는 제1 기둥 또는 제2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둥 또는 제2 기둥은 상기 탄성봉 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며 대칭 형상인 힌지 스프링.
  8. 제7항에 있어서,
    제1 길이의 탄성봉 가이드와 제2 길이의 탄성봉 가이드는 상기 제1 기둥의 개수 또는 상기 제2 기둥의 개수가 다르고,
    서로 다른 길이의 탄성봉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제2 기둥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힌지 스프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결합된 것이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내부에 하우징 후크 삽입부, 하우징 후크 스토퍼, 서브 하우징 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서브 하우징 삽입부에는 상기 탄성봉 가이드와 연결되는 서브 하우징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 후크 삽입부에는 상기 서브 하우징의 하우징 후크가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 후크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 후크 스토퍼에 맞물려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서브 하우징의 이탈이 방지되는 힌지 스프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봉 가이드는,
    상기 탄성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몸체 밀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기둥 및 제2 기둥, 상기 제1 기둥 및 제2 기둥을 연결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봉은 서로 동일한 사각 단면을 가지고,
    상기 탄성봉은 상기 탄성봉 가이드 내부에서 상호 밀착되며,
    최외곽에 배치된 상기 탄성봉의 상면 및 배면은 상기 몸체의 몸체 밀착면 및 상기 덮개의 덮개 밀착면에 밀착되며,
    복수 배열된 상기 탄성봉의 양측면은 상기 제1 기둥 및 상기 제2 기둥에 밀착되는 힌지 스프링.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봉 가이드는 덮개를 구비하며,
    어느 하나의 서브 하우징에서 돌출된 가이드 후크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 후크 삽입부 및 다른 서브 하우징에서 돌출된 사이드 후크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후크 삽입부가 상기 덮개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후크 삽입부 및 제2 가이드 후크 삽입부는 상기 탄성봉 가이드의 몸체에 대하여 서로 대칭 형상인 힌지 스프링.
  12. 제1항에 있어서,
    서브 하우징에서 돌출된 가이드 후크가 상기 탄성봉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후크 삽입부에 탄성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 후크 삽입부를 사출 금형에서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금형 빼기 구멍이 상기 탄성봉 가이드에 마련되는 힌지 스프링.
KR1020200151220A 2020-11-12 2020-11-12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 KR10236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220A KR102369295B1 (ko) 2020-11-12 2020-11-12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220A KR102369295B1 (ko) 2020-11-12 2020-11-12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295B1 true KR102369295B1 (ko) 2022-03-02

Family

ID=8081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220A KR102369295B1 (ko) 2020-11-12 2020-11-12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561B1 (ko) * 2008-10-23 2009-05-19 (주)에버텍 슬라이딩 힌지 제조방법
KR20090103962A (ko) 2000-07-27 2009-10-01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결정질의 순수한 모다피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41589B1 (ko) * 2009-07-23 2010-02-11 김광일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KR20100009708U (ko) * 2009-03-25 2010-10-05 (주) 장원테크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120028059A (ko)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하이맥 탄성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962A (ko) 2000-07-27 2009-10-01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결정질의 순수한 모다피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98561B1 (ko) * 2008-10-23 2009-05-19 (주)에버텍 슬라이딩 힌지 제조방법
KR20100009708U (ko) * 2009-03-25 2010-10-05 (주) 장원테크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41589B1 (ko) * 2009-07-23 2010-02-11 김광일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KR20120028059A (ko)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하이맥 탄성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1920A (en) Fiber grating package
EP161259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EP2590048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udio output unit
SE539666C2 (en)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cavity structure
DE102008038303A1 (de) Mit einem Gehäuse integral ausgebildete Antenn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2369295B1 (ko)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
KR101514527B1 (ko) 진동발생장치
RU2531662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ударопоглощ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629010B1 (ko) 방진구 브래킷용 단관의 제조장치
CN101490516B (zh) 电子称量器
KR101129493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지지 밴드 구조체
JP7024526B2 (ja) 蓄電装置
KR20110028583A (ko) 압전형 익사이터 및 압전형 익사이터 유닛
JP2006116399A (ja) 撓み振動型エキサイタ
US10734746B2 (en) Terminal structure,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erminal section
US20160104464A1 (en) Keyboard device
KR102393940B1 (ko) 토션 타입 힌지 스프링
KR20080055084A (ko) 휴대폰 하우징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1834712A (zh) 一种滤波器电容耦合增强结构
US4515433A (en) Coupling arrangement for optical wavegui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043498A (ja) 車載用回路基板保持構造
KR102369302B1 (ko) 압축 타입 힌지 스프링
KR102425137B1 (ko) 토션 타입 힌지 스프링
JP2007152845A (ja) 圧縮成形金型構造
JP2019171655A (ja) モールドベ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