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589B1 -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589B1
KR100941589B1 KR1020090103962A KR20090103962A KR100941589B1 KR 100941589 B1 KR100941589 B1 KR 100941589B1 KR 1020090103962 A KR1020090103962 A KR 1020090103962A KR 20090103962 A KR20090103962 A KR 20090103962A KR 100941589 B1 KR100941589 B1 KR 10094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actuator module
hinge actuator
tension bar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일 filed Critical 김광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589B1/ko
Priority to PCT/KR2010/0055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52881A2/ko
Priority to CN2010800353291A priority patent/CN102484494A/zh
Priority to TW099128982A priority patent/TWI51619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일정 왕복 구간을 활주(sliding)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은, 일단은 상기 메인 바디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일정 텐션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합성 수지 재질의 텐션바; 및 상기 텐션바에 적용되어 상기 텐션바와 함께 상기 각 바디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금속 재질의 선재 유닛을 포함하여, 금속성 선재 유닛을 합성 수지 재질의 텐션바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동안 항상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을며, 진동 모드시 소음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 공정의 단순화로 제조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단말기, 슬라이드, 선재유닛, 텐션바, 리벳, 인서트 몰딩, 힌지 모듈, 액추에이터

Description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SLIDE HINGE ACTUATOR MODULE}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힌지 모듈(hinge modu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고, 조립 공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작동 신뢰성 확보에 기여하도록 구현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국민 1인당 적어도 한 대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라이프 사이클이 점점 짧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전자 통신 산업에 기인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단말기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서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 이 중, 상기 폴더 타입 단말기는 디스플레 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타입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소정의 메인 바디상에서 서브 바디(이하 '슬라이드 바디'라 함)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형태의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로써,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에 비해 사용자의 변해가는 다양한 기호에 부응할 수 있으며, 단말기를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기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는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볼 때,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 길이의 약 1/2정도까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이는 단말기의 동작 안정성을 위하여 1/2로 제한되나 그 이상 개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메인 바디에 3×4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바디 전면상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은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가 접하는 공간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점차 슬림화되어가는 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간단하면서도 동작 신뢰성이 요구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두 개의 토션 스프링을 적용시키되, 일단은 메인 바디 또는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하고, 타단은 슬라이드 바디 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함으로 써 상기 토션 스프링의 토션력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를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였다. 역시, 상기 토션 스프링에 더하여 소정의 링크를 적용시킴으로서 동작 신뢰성이 확보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박형의 구조체를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개재시키고, 상기 구조체에 압축코일 스프링 또는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돌출 또는 잠입될 수 있는 별도의 링크를 두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은 비교적 부피가 큰 스프링을 사용하고, 별도의 링크가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해야 하며, 상기 링크가 동작하기 위한 공간까지 설계시 염두해두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부피, 즉 두께가 증가될 수 밖에 없으며, 부품수의 증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조립공수가 증가하며,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였기 때문에 단말기의 진동 모드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고, 조립 공수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한 조립 구조를 갖도록 하여 조립 오류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 부품을 사용하여 진동 모드시 발생되는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더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작동 신뢰성이 발현되도록 구현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일정 왕복 구간을 활주(sliding)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은, 일단은 상기 메인 바디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일정 텐션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합성 수지 재질의 텐션바; 및 상기 텐션바에 적용되어 상기 텐션바와 함께 상기 각 바디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금속 재질의 선재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은 금속성 선재 유닛을 합성 수지 재질의 텐션바에 적용시켜 단일 부품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에도 작동 신뢰성이 보장되며, 진동 모드시 소음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제조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미도시 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접하는 면 사이에 개재되어 동작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수준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1)은 합성 수지 재질의 텐션바(10)와 상기 텐션바(10)에 인서트 몰딩되는 선재 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텐션바(10)는 합성 수지 재질로서 일정 길이를 가 지며, 가압력에 의해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가압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텐션바(10)는 길이 방향으로 로드부(11)와 상기 로드부(11)에서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편(12)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편(12)에 의해 상기 텐션바(10)의 일측은 요철 구조를 가지게 되며, 바람직하게도 상기 요철 구조에 의해 상기 로드부(11)는 좀더 원활히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로드부(11)의 양단에는 플레이트 타입의 일정 두께를 갖는 고정부(13, 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각 고정부(13, 14)에는 리벳 고정홀(132, 142)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는 휴대용 단말기의 각 바디(메인 바디 및 슬라이드 바디)의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리벳(115, 125)에 각각 자체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즉, 하나의 고정부(13)가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면, 나머지 하나의 고정부(1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각 지지편(12)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고정부(13, 14) 역시 고정구(131)가 상기 관통구(121)와 갖은 축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재 유닛(20)은 상기 지지편(12)의 관통구(121)를 관통하며, 양단은 상기 각 고정부(13, 14)의 고정구(131)에 고정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선재 유닛(20)은 상기 텐션바(10)를 사출시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선재 유닛(20)은 상기 텐션바(10)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에서 활주할 때, 다양한 곡률반경 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역시, 상기 선재 유닛(20)은 상기 텐션바(10)에 인서트 몰딩은 되나, 그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텐션바(10)와 선재 유닛(20)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각각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선재 유닛(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선재 유닛(20)은 다수의 단위 선재(21)를 적층 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각 단위 선재(21)는, 예를 들어 SUS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다양한 단면의 단위 선재를 갖는 선재 유닛의 도면으로서 상기 선재 유닛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a),정사각형(b) 또는 원형(c)인 단위 선재를 다층으로 적층시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의 단위 선재를 일렬로 배치한 후 이러한 선재들을 복층으로 적층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선재 유닛은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라 다양한 가압력을 갖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바(10)가 단말기의 각 바디에 결합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바(10)가 단말기의 바디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1)은 조립 역시 간단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각 바디(메인 바디 및 슬라이드 바디)의 해당 위치에는 리벳(125; 여기에서는 슬라이드 바디 부분)이 돌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리벳(125)은 단면이 원형인 일정 길이로 돌출된 샤프트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외주면을 따라 요홈(12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4)의 리벳 고정홀(142)에는 내주면을 따라 텐션 돌기(143)가 돌출 형성된다. 역시, 상기 리벳 고정홀(142)은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리벳(125)의 직경과 리벳 고정홀(142)의 내경은 거의 동일하게 형성시켜, 상기 고정부(14)의 리벳 고정홀(142)에 상기 리벳(125)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제조자는 선재 유닛(20)이 인서트 몰딩되어 완성된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1)의 고정부(14)에 형성된 리벳 고정홀(142)를 리벳(125)에 맞추어 끼워준다. 이때 약간의 가압력을 이용한 억지 끼움을 하게되면, 리벳(125)의 요홈(126)에 리벳 고정홀(142)의 텐션 돌기(143)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으며,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자체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14)와 바디(슬라이드 바디; 120)의 리벳(125)은 스냅핏(snap-fit) 구조로 간단히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2)은 첫 번째 실시예와는 달리 선재 유닛이 합성 수지 재질의 텐션바(10)에 인서트 몰딩되지 않는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선재 유닛이 텐션바에 인서트 몰딩될 수 있으나 가공성이 용이하지 않고 탄성력이 감쇠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텐션바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금속 재질의 텐션바를 배치시키고 인서트 몰딩을 할 경우, 용융된 합성수지가 수축하면서 선재 유닛을 강하게 잡기 때문에 가공 오차에 의한 탄성력 저하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텐션바를 미리 사출하고, 상기 텐션바에 선재 유닛을 후적용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텐션바의 기본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은 첫 번째 실시예의 그것과 대부분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의 부호는 동일하게 기재하였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바(10)는 로드부(11)와 상기 로드부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12)으로 포함한다. 역시 상기 지지편(1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선재 유닛(20)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구(121)가 형성될 것이다.
상기 로드부(11)의 양단에는 플레이트 타입 고정부(13, 14)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각각 리벳 고정홀(132, 142)이 형성되어 대응 리벳(115, 125)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 14)에는 도 1의 고정구(131) 대신 단부까지 관통되는 관통홀(133)이 형성된다. 따라서 텐션바(10)가 사출되면 선재 유닛(20)을 상기 텐션바(10)에 끼울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선재 유닛(20)은 초기 일측 고정부(13)의 관통홀(133)에 삽입되고 지지편(12)의 관통구(121)를 통과시켜 타측 고정부(14)의 관통홀(143)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선재 유닛(20)은 상기 고정부(13, 14)의 관통홀(133, 143)과 지지편(12)의 관통구(121)내에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3, 14)의 관통홀(133, 143)에는 소정의 지지캡(1, 16)이 적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도, 상기 고정부(13, 14)의 관통홀(133, 143) 외측에 상기 지지캡(15, 16)이 적용됨으로써 장착된 선재 유닛(20)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캡(15, 16)에는 후크 형상의 걸림 돌기(151, 161)를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부(13, 14)에 상기 걸림 돌기(151, 161)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 구멍(134, 144)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캡(15, 16)이 장착된 후에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동작시, 텐션바(10)내에서 선재 유닛(20)의 자유로운 탄성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인서트 몰딩을 배재시켰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의 개폐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1)이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2)이 적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a)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슬라이드 바디(120)가 메인 바디(110)에서 완전히 폐쇄된 상태이며, (b)는 슬라이드 바디(120)가 변곡점, 즉, 메인 바디(110)에서 전체 개폐 길이의 약 1/2정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어느 방향으로도 가압력을 받지 않는 힘의 균형이 배분된 상태이고, (c)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a)의 경우 힌지 모듈(1)의 메인 바디(110)와의 고정 부분인 M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바디(120)의 고정 부분인 S부분이 화살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최초 설치시 상기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1)의 텐션바(10) 및 선재 유닛(20)은 탄성력이 저장된 약간 휘어진 상태로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b)의 경우 슬라이드 바디(120)가 중간 정도 개방된 상태로써, 고정 부분 M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1)은 가장 많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도, 이러한 경우 힌지 모듈(1)의 메인 바디 고정 부분 M과 슬라이드 바디 고정 부분 S는 수평으로 일직선상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
역시 이러한 상태는 변곡 상태로써,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디(12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되면 가압력의 방향이 변화되는 시점이다.
(c)의 경우 슬라이드 바디(120)가 완전히 개방되는 상태로써 역시 메인 바디(110)의 고정 부분 M을 기준으로 (a)의 경우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120)를 지속적으로 개방시키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은 메인 바디의 후면과 슬라이드 바디의 상기 메인 바디와 접하는 면 사이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으며, 공지의 메인 바디의 후면에 고정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가이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다양한 단면의 단위 선재를 갖는 선재 유닛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바가 단말기의 각 바디에 결합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바가 단말기의 바디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의 개폐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Claims (9)

  1.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일정 왕복 구간을 활주(sliding)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은,
    일단은 상기 메인 바디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일정 텐션을 가지며 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합성 수지 재질의 텐션바; 및
    상기 텐션바에 적용되어 상기 텐션바와 함께 상기 각 바디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금속 재질의 선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바는,
    일정 길이의 로드부;
    상기 로드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선재 유닛이 관통되는 방식으로 적용되도록 다수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지지편; 및
    상기 로드부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어 단말기의 각 바디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지지편에 관통된 선재 유닛의 각 단부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타입 고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유닛은 상기 텐션바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자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인서트 몰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유닛은 일정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단위 선재가 적층된 후 몰딩됨으로써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타입 고정부에는 상기 선재 유닛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시키되, 상기 지지편의 관통구를 통해 자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관통된 선재 유닛의 단속을 위하여 소정의 지지캡에 의해 마감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에는 후크 형상의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 주변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리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각 바디의 해당 영역에 돌출 설치되는 샤프트형 리벳이 삽입될 수 있는 리벳 고정홀을 형성시키되, 상기 리벳 고정홀의 내주면에는 텐션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리벳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리벳 고정홈에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요합되어 상기 텐션바를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고정홈과 텐션 돌기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결합 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9.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을 갖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20090103962A 2009-07-23 2009-10-30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KR10094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5506 WO2011052881A2 (ko) 2009-10-30 2010-08-19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CN2010800353291A CN102484494A (zh) 2009-10-30 2010-08-19 滑轨弹簧驱动模组
TW099128982A TWI516193B (zh) 2009-10-30 2010-08-27 滑軌絞鏈驅動模組及具有該滑軌絞鏈驅動模組的滑蓋式手持式電子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31 2009-07-23
KR20090067231 2009-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589B1 true KR100941589B1 (ko) 2010-02-11

Family

ID=4208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962A KR100941589B1 (ko) 2009-07-23 2009-10-30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5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59B1 (ko) 2009-12-28 2010-03-31 주식회사 대정엠텍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모듈
KR101156627B1 (ko) 2010-09-14 2012-06-14 주식회사 하이맥 탄성 모듈
KR102369295B1 (ko) * 2020-11-12 2022-03-02 주식회사 에스코넥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
KR102425137B1 (ko) 2021-01-29 2022-07-27 주식회사 에스코넥 토션 타입 힌지 스프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546A (ko) * 2007-12-11 2009-06-16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30906B1 (ko) 2009-04-02 2009-12-10 정의선 슬라이드 모듈용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546A (ko) * 2007-12-11 2009-06-16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30906B1 (ko) 2009-04-02 2009-12-10 정의선 슬라이드 모듈용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59B1 (ko) 2009-12-28 2010-03-31 주식회사 대정엠텍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모듈
KR101156627B1 (ko) 2010-09-14 2012-06-14 주식회사 하이맥 탄성 모듈
KR102369295B1 (ko) * 2020-11-12 2022-03-02 주식회사 에스코넥 벤딩 타입 힌지 스프링
KR102425137B1 (ko) 2021-01-29 2022-07-27 주식회사 에스코넥 토션 타입 힌지 스프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6796B1 (en)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EP1750430B1 (en)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cover
KR100753884B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80055611A (ko) 슬라이드기구 및 그 슬라이드기구를 이용한 휴대용전자장치
EP1867058B1 (en) Sliding hin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liding hinge device
KR100941589B1 (ko)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US795346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1035126B1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408500Y1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EP1898603B1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EP2293528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mechanism thereof
KR20090061101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EP1734725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ing module
US8094444B2 (en) Sliding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585621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위한 토션스프링
KR100950259B1 (ko)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모듈
KR101006261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단말기
WO2011052881A2 (ko)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JP3149892U (ja) スライド式ヒンジ機構
KR20070021008A (ko) 다단 슬라이딩 유닛
KR200457463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409510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80032400A (ko) 슬라이드식 휴대폰의 슬라이드 구동장치
KR100945242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