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546A - 슬라이드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546A
KR20090061546A KR1020080008859A KR20080008859A KR20090061546A KR 20090061546 A KR20090061546 A KR 20090061546A KR 1020080008859 A KR1020080008859 A KR 1020080008859A KR 20080008859 A KR20080008859 A KR 20080008859A KR 20090061546 A KR20090061546 A KR 20090061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lide
hinge module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817B1 (ko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8/0022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75415A1/en
Publication of KR2009006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바디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또는 메인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공간상에서 유동하되,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상에 고정되어,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 로우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우프 스프링을 포함하여, 부피가 적고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작동 신뢰성이 보장되는 선형 로우프 스프링을 적용하기 때문에 힌지 모듈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슬림 슬라이드 폰을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슬라이드, 메인 바디, 슬라이드 바디, 세선 케이블, 로우프 스프링

Description

슬라이드 힌지 모듈{SLIDE HINGE MODULE}
본 발명은 일정 변곡점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바디를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슬림형 슬라이드폰에 적용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보급되어감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서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최근들어, 상기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타입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소정의 메인 바디상에서 서브 바디(이하 '슬라이드 바디'라 함)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형태의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로써,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에 비해 사용자의 변해가는 다양한 기호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는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볼 때,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 길이의 약 1/2정도까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이는 단말기의 동작 안정성을 위하여 1/2로 제한되나 그 이상 개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메인 바디에 3×4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바디 전면상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은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가 접하는 공간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점차 슬림화되어가는 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간단하면서도 동작 신뢰성이 요구되도록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두 개의 토션 스프링을 일단은, 메인 바디 또는 메인 플레이트에 적용시키고, 타단은 슬라이드 바디 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적용시킴으로써 상기 토션 스프링의 토션력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를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였다. 역시, 상기 토션 스프링에 더하여 소정의 링크를 적용시킴으로서 동작 신뢰성이 확보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은 비교적 부피가 큰 스프링을 사용하고, 별도의 링크가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해야 하며, 상기 링크가 동작하기 위한 공간까지 설계시 염두해두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부피, 즉 두께가 증가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최근 추세인 슬림 타입 슬라이드 단말기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형 타입 탄성 수단을 적용함으로써 단말기의 전체 두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한의 설치 공간을 채용하여도, 항상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도모하여 단말기의 고품질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피로에 의한 파단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항상 원활한 동작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구현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메인 바디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또는 메인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공간상에서 유동하되,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상에 고정되어,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 로우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우프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전기적 연결 수단을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바디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또는 메인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공간상에서 유동하되,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상에 고정되어,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 로우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전기적 연결 수단을 포함함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은 부피가 적고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작동 신뢰성이 보장되는 선형 로우프 스프링을 적용하기 때문에 힌지 모듈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게 되고, 각 바디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적 연결 수단의 설치 공간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슬림 슬라이드 폰을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이 적용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100)의 사시도로써, 슬라이드 바디(120)와 메인 바디(110)의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도 2의 1)이 적용된다.
상기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활주(sliding)되는 슬라이드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110)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가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면상에 키패드 어셈블리(111)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 리(111)는 바람직하게도 3×4 키버튼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1)의 하측에는 마이크 장치(1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에는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하측에는 또 다른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또다른 키패드 어셈블리는 네비게이션 키버튼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측에는 스피커 장치(122)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슬라이드 바디(120)가 개방될 때 일정 개방 시점(대체적으로 1/2정도 개방되는 시점)에서 가압력의 변화가 발생하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변곡 시점에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살짝 가압하더라도 사점이 최소화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는 최대 개방 위치 또는 최대 폐쇄 위치로 신속하게 유동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구성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요부 단면도로서, 슬라이드 바디(도 1의 120)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와 메인 바디(도 1의 110)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메인 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설치 공간이 허용된다면, 메인 플레이트(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20) 없이 단말기의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면상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 수단으로 별도의 링크 조합체 등이 필요치 않으며, 소정의 로우프 스프링(30)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로우프 스프 링(30)은 양단에 링크 형태의 부싱(31, 32)을 포함한다. 상기 부싱(31, 32)은 링크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일단(32)은 메인 플레이트(10)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타단(31)은 슬라이드 플레이트(20)에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부싱(31, 32)과 각 플레이트(10, 20) 사이에는 소정의 베어링(33)을 개재시킴으로써 좀더 원활한 회전 동작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베어링(33)으로는 오일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상기 부싱(31, 32)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고, 금속성 로우프 스프링(30)의 와이어 로우프(35)의 각 단부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우프 스프링(30)의 상세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우프 스프링(30)은 와이어 로우프(35)와, 상기 와이어 로우프(35)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부싱(31, 32)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로우프(35)는 다수의 금속성 세선 케이블(30a)을 일정 꼬임 각도 및 꼬임수를 꼬아서 만들수 있다. 예를 들어, 5, 7, 19, 49 가닥의 단위 세선 케이블이 꼬여서 하나의 와이어 로우프(35)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각도는 도 9에 예시되어 있듯이 다양한 방식으로 약 50도 ~ 170도의 각도를 갖도록 꼬아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면이 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소정의 텐션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세선 케이블(30a)은 일정 탄성을 갖는 SUS재질 또는 피아노선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와이어 로우프는 하드 코팅을 하여 작동시 각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마찰로 인한 기기의 파손 및 파티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 다. 상기 하드 코팅으로는 우레탄 코팅, 나일론 코팅 또는 테프론 코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1)의 작동도로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고정된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플레이트(10)가 고정된 메인 바디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5a는 메인 바디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이고, 도 5b는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에서 변곡점에 위치한 상태이며, 도 5c는 메인 바디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상방향으로 올리면 상기 슬라이드 바디는 완전히 개방될 것이며, 하방향으로 내리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될 것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에 일단(31)이 고정된 로우프 스프링(30)은 완전히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이며, 이러한 경우 타단(32)에 고정된 메인 플레이트(10)를 상방향으로(도 5a의 화살표 방향) 지속적으로 가압하려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5b의 경우에는 메인 플레이트(1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거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 상태로써 상기 로우프 스프링(30)은 최대한 굽혀진 상태가 되며, 이 경우 최대한의 가압력(복원력)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c의 경우에 있어서, 메인 플레이트(10)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로우프 스프링(30)은 상기 도 5b의 최대한 굽혀진 상태에서 선형으로 펴지려는 가 압력 때문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10)를 하방향으로(도 5c의 화살표 방향)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보면, 메인 플레이트(10)가 유동하여, 상기 로우프 스프링(30)을 굽혔다가 복원력에 의해 펼치는 상태에 따라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메인 바디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미도시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로우프 스프링를 탄성수단으로써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시켜 사용하였으나, 설치 공간이 여유롭고 강한 탄성력 등이 요구될 경우 두 개 이상의 로우프 스프링이 상호 동작 제한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우프 스프링의 사시도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와이어 로우프가 적용되는 로우프 스프링과, 두 개 이상의 로우프 스프링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상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도 6은 하나의 로우프 스프링에 적어도 두 개의 와이어 로우프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두 개 이상의 로우프 스프링이 설치되는 경우 보다 설치 공간의 제약을 덜 받을 것이며, 그 효과는 유사할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로우프 스프링(40)에 3개의 와이어 로우프(35)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2개의 와이어 로우프 또는 4개 이상의 와이어 로우프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와이어 로우프의 세부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로우프 스프링(40)은 한 쌍의 로우프 홀더(41, 42)와 상기 각 로우프 홀더(41, 42)에 양단이 고정되는 3개의 와이어 로우프(35)로 구성된다. 상기 로우프 홀더(41, 42)는 플레이트 타입 로우프 고정부(411)와, 상기 로우프 고정부에 연장 형성되는 링크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로우프 고정부(41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개구(413)를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 로우프(35)의 일단이 긴밀히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로우프 홀더(41)를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고, 사출시, 상기 금속성 와이어 로우프(35)를 인서트 몰딩으로 성형하여도 무방하다.상기 링크부(412)에는 소정의 링크(414)가 형성된다. 공히, 상기 각 로우프 홀더(41, 42)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우프 스프링(40)은 최초 곡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말기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로우프(35)는 일측에서부터 점점 길어지거나 점점 짧아지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로우프 스프링(40)이 각 플레이트(10, 20)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써, 상기 로우프 스프링(40)은 메인 플레이트(10)와 슬라이트 플레이트(20) 사이에 적용된다. 상기 로우프 홀더(41)의 링크(414)는 상기 각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의 적소에 일측으로 개구(13)를 갖는 링크 수납홀(12)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414)가 상기 개구(13)를 통하여 상기 링크 수납홀(12)에 수납됨으로써 자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역시, 상기 또 다른 로우프 홀더(42)가 상기 슬라이드 플 레이트(20)에 설치되는 구성도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로우프 스프링이 적용된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작동도이다.
도 8은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고정된 슬라이드 바디(120)와, 메인 플레이트(10)가 고정된 메인 바디(1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a)는 메인 바디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이고, (b)는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에서 변곡점에 위치한 상태이며, (c)는 메인 바디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b)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상방향으로 올리면 상기 슬라이드 바디는 완전히 개방될 것이며, 하방향으로 내리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될 것이다.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12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에 일단(42)이 고정된 로우프 스프링(40)은 완전히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이며, 이러한 경우 타단(41)에 고정된 메인 플레이트(10)를 상방향으로{(a)의 화살표 방향} 지속적으로 가압하려는 상태를 유지한다.
(b)의 경우에는 메인 플레이트(1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거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 상태로써 상기 로우프 스프링(40)은 최대한 굽혀진 상태가 되며, 이 경우 최대한의 가압력(복원력)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c)의 경우에 있어서, 메인 플레이트(10)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면, 즉,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로우프 스프링(40) 은 상기 (b)의 최대한 굽혀진 상태에서 선형으로 펴지려는 가압력 때문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10)를 하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보면, 메인 플레이트(10)가 유동하여, 상기 로우프 스프링(40)을 굽혔다가 복원력에 의해 펼치는 상태에 따라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메인 바디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우프 스프링의 사시도(50)로써, 본 발명에 따른 로우프 스프링(50)에 데이터 연결 수단으로 유연성 케이블(562)이 적용되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로우프 홀더(51, 52)에 각각 와이어 로우프(55)의 양단이 고정된다. 이 경우, 일반 와이어 로우프(55)는 합성 수지 재질의 로우프 홀더(51, 52)의 로우프 고정부(511, 521)에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케이블(562)을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우프(56)의 양단은 각각 로우프 홀더(511, 521)에 고정되며, 그 내부의 유연성 케이블(562)만이 상기 로우프 홀더(511, 521)를 관통하여 기기의 해당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상기 유연성 케이블(562)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우프(56)는 도 10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러버, 천 또는 부직포 등의 재질로 감싸여진 다수의 데이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562)의 외주면에 다수의 단위 와이어(561)가 일정 꼬임 각도 및 꼬임 수를 가지고 권취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꼬임수 및 꼬임 각도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유연성 케이블(562)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우프(56)는 일반 와이어 로우프(55)와 그 형상이 외관상 동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연성 케이블(562)을 갖는 와이어 로우프(56)를 포함하는 와이어 스프링(50)이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에 적용되면, 기존에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예를 들어 가요성 인쇄회로(FPC)의, 설치 공간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는 로우프 스프링(60)의 사시도로써, 로우프 고정부(611, 621)와 링크부(612, 622)를 포함하는 로우프 홀더(61, 62)는 도 10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유연성 케이블(66)이 와이어 로우프(65)의 구성 요소로서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와이어 로우프(65)의 일측에 함께 구비된다. 따라서, 도 11에서는 두 개의 와이어 로우프(65)와 한 개의 유연성 케이블(66)이 적용될 것이다. 상기 유연성 케이블(66)은 상기 각 로우프 홀더(61, 62)에 관통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로우프 홀더(61, 62)에서 인출된 유연성 케이블(66)은 단말기의 각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경우, 와이어 로우프(65)와 그 이웃하는 유연성 케이블(66)이 동작시, 상호 접촉되어 마찰등으로 인한 파손을 미면에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67)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67)는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이 개방된 한 쌍의 개구가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어 각각 와이어 로우프와 유연성 케이블이 상기 개구에 억지끼움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공히, 도 10 및 도 11에 구성되는 로우프 스프링(50, 60)은 단말기에 적용되었을 경우 도 8과 동일한 가압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1의 로우프 스프링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로우프 스프링이 적용되고 있으나, 도 10의 로우프 스프링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10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도 12의 화살표 방향(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활주하는 슬라이드 바디(120)를 포함한다. 공히, 상기 메인 바디(110)에는 메인 보드(115)가 내장되며, 슬라이드 바디(120)에는 슬레이브 보드(125)가 내장된다. 상기 메인 보드(115)에는 키패드 어셈블리뿐만 아니라, 각종 제어칩이 실장될 수 있다. 역시, 상기 슬레이브 보드(125)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 다른 키패드 어셈블리 등이 실장될 것이다.
상기 메인 바디(110)에는 메인 플레이트(10)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0)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 상호 가이드됨으로써 활주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우프 스프링(60)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접하는 공간상에 개재된다. 상기 로우프 스프링(60)의 일측 로우프 홀더(61)는 링크(도 11의 614)를 통해 메인 플레이트(1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 며, 상기 로우프 스프링(60)의 타측 로우프 홀더(62)는 링크(도 11의 624)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로우프 스프링(60)은 중앙에 와이어 로우프(65)가 일정 곡형으로 탄성을 담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개방 또는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역시, 상기 각 로우프 홀더(61, 62)의 외측으로 유연성 케이블(66)이 인출되는데, 각각의 유연성 케이블(66)은 각각의 플레이트(10, 20)에 형성된 개구(25, 15)를 관통하여 메인 보드(115)와 슬레이브 보드(1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유연성 케이블(66)은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좀더 여유있는 길이로 설치될 것이며, 각 보드에 컨넥터를 이용하거나 직접 솔더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을 가지게 되면, 슬라이드 바디(120)와 메인 바디(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기존의 가요성 인쇄회로(FPC)의 설치공간이 배제되며, 힌지 모듈(로우프 스프링)(60)이 설치되는 공간에 전기적 연결 수단이 공존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단말기의 부피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이러한 구성은 안테나 방사체(126)가 메인 바디가 아닌 슬라이드 바디(120)에 설치되었을 경우 좀더 효과적이다. 기존과 같이, 메인 바디(110)에 방사체가 설치되면, 금속성 슬라이드 바디에 의해 메인 바디에 설치된 안테나 방사체의 방사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바디(120)에 안테나 방사체(126)를 설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60)을 적용한다면 안테나 방사 성능의 향상과, 단말 기의 소형화에 동시에 기여될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우프 스프링의 상세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우프 스프링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로우프 스프링이 각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로우프 스프링이 적용된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우프의 다양한 꼬임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우프 스프링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는 로우프 스프링의 사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1의 로우프 스프링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도.

Claims (40)

  1. 메인 바디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또는 메인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공간상에서 유동하되,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상에 고정되어,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 로우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우프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우프는 다수의 금속 세선 케이블을 일정 꼬임수 및 일정 꼬임각도를 갖도록 꼬아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우프의 금속 세선 케이블은 SUS 재질 또는 피아노 선으로 구성하되, 5, 7, 19, 49 가닥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약 50도 ~ 170도의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갖도록 꼬아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테프론 코팅, 나일론 코팅, 우레탄 코팅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수행하여 마찰로 인한 파티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하나의 와이어 로우프를 적용시키되, 상기 와이어 로우프의 양단에는 링크 형태의 부싱이 각각 고정되며, 각 플레이트에 자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로우프 스프링의 양단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선형 형태로써 최초 일정 탄성을 가지며, 일정 곡률을 갖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과 각 플레이트 사이에는 원활한 동작을 위한 오일 베어링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에서 동작시, 상호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두 개 이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두 개 이상의 와이어 로우프를 적용시키되, 상기 각 로우프 스프링의 양단에는 플레이트 타입 로우프 홀더에 의해 동시에 각각 고정되 며, 상기 로우프 홀더는 각 플레이트에서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홀더는,
    상기 각각의 와이어 로우프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 로우프 고정부와,
    상기 로우프 고정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크를 갖는 링크 고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홀더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로우프는 상기 로우프 홀더에 인서트 몰딩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3. 제 12항에 잇어서,
    상기 각 플레이트의 적소에는 상기 로우프 홀더의 링크가 수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를 갖는 링크 수납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레이트의 링크 수납홀과 상기 로우프 홀더의 링크 사이에는 오일 베이링이 개재되어 동작이 원활하도록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최초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일정 곡률로 형성시키되, 상기 와이어 로우프는 일측에서부터 일정 비율로 점점 짧아지거나 점점 길어지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에서 동작시, 상호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두 개 이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갖는 로우프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18. 메인 바디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또는 메인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공간상에서 유동하되,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상에 고정되어,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와이어 로우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전기적 연결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9. 제 18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은 다수의 데이터 케이블 또는 도전성 케이블을 포함하며, 부직포, 러버, 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피복된 유연성 케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0. 제 19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우프는 다수의 금속 세선 케이블이 일정 꼬임수 및 일정 꼬임 각도를 가지고 상기 유연성 케이블의 외주면에 권취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우프의 금속 세선 케이블은 SUS 재질 또는 피아노 선으로 구성하되, 5, 7, 19, 49 가닥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약 50도 ~ 170도의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갖도록 꼬아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테프론 코팅, 나일론 코팅, 우레탄 코팅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수행하여 마찰로 인한 파티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하나의 와이어 로우프를 적용시키되, 상기 와이어 로우프의 양단에는 링크 형태의 부싱이 각각 고정되며, 각 플레이트에 자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로우프 스프링의 양단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케이블은 상기 부싱의 양단에서 일정 길이로 인출되어 각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해당 바디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선형 형태로써 최초 일정 탄성을 가지며, 일정 곡률을 갖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에서 동작시, 상호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두 개 이상이 설치시키되, 상기 유연성 케이블은 하나의 로우프 스프링 또는 두 개 이상의 로우프 스프링에 동시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두 개 이상의 와이어 로우프를 적용시키고, 상기 각 로우프 스프링의 양단에는 플레이트 타입 로우프 홀더에 의해 동시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로우프 홀더는 각 플레이트에서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연성 케이블은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 로우프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케이블은 상기 로우프 홀더의 양단에서 일정 길이로 인출되어 각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해당 바디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선형 형태로써 최초 일정 탄성을 가지며, 일정 곡률을 갖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상기 각 플레이트 사이에서 동작시, 상호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두 개 이상이 설치시키되, 상기 유연성 케이블은 하나의 로우프 스프링 또는 두 개 이상의 로우프 스프링에 동시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두 개 이상의 와이어 로우프를 적용시키고, 상기 각 로우프 스프링의 양단에는 플레이트 타입 로우프 홀더에 의해 동시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로우프 홀더는 각 플레이트에서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유연성 케이블은 상기 와이어 로우프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케이블은 상기 로우프 홀더에 각각 관통되어 외측으로 인출되고, 인출된 케이블은 각각의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해당 바디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우프는 다수의 금속 세선 케이블을 일정 꼬임수 및 일정 꼬임각도를 갖도록 꼬아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우프의 금속 세선 케이블은 SUS 재질 또는 피아노 선으로 구성하되, 5, 7, 19, 49 가닥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고, 약 50도 ~ 170도의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갖도록 꼬아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테프론 코팅, 나일론 코팅, 우레탄 코팅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수행하여 마찰로 인한 파티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프 스프링은 선형 형태로써 최초 일정 탄성을 가지며, 일정 곡률을 갖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우프와 유연성 케이블은 단말기가 슬라이딩 동작시 상호 간섭을 배제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 로우프와 유연성 케이블을 일정 간격으로 동시에 잡아줄 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9. 제 18항 내지 제 3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갖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40. 제 39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바디에 방사체가 설치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인 유연성 케이블에 의해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20080008859A 2007-12-11 2008-01-29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4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2200 WO2009075415A1 (en) 2007-12-11 2008-04-18 Slide hing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858 2007-12-11
KR2020070019858 2007-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546A true KR20090061546A (ko) 2009-06-16
KR100947817B1 KR100947817B1 (ko) 2010-03-15

Family

ID=4099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859A KR100947817B1 (ko) 2007-12-11 2008-01-29 슬라이드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8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589B1 (ko) * 2009-07-23 2010-02-11 김광일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KR101067666B1 (ko) * 2009-08-13 2011-09-27 진찬우 슬라이드 폰 힌지 와이어 스프링
KR101138923B1 (ko) * 2009-10-12 2012-05-14 (주)제이엠씨 와이어 스프링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WO2024021890A1 (zh) * 2022-07-27 2024-02-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支撑装置、壳体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446A (ja) 2003-05-29 2004-12-16 Yamato Scale Co Ltd 直進フィーダ
KR100660940B1 (ko) * 2004-06-15 2006-12-26 주식회사 우영 레일을 따라 가변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661462B1 (ko) * 2006-03-28 2006-12-27 주식회사 엠솔버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KR200423782Y1 (ko) 2006-05-29 2006-08-10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슬라이드 휴대폰의 스프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589B1 (ko) * 2009-07-23 2010-02-11 김광일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KR101067666B1 (ko) * 2009-08-13 2011-09-27 진찬우 슬라이드 폰 힌지 와이어 스프링
KR101138923B1 (ko) * 2009-10-12 2012-05-14 (주)제이엠씨 와이어 스프링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WO2024021890A1 (zh) * 2022-07-27 2024-02-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支撑装置、壳体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817B1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9086B2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スライダーアセンブリ
KR100713536B1 (ko) 전자기기의 연성회로
US7486974B2 (en) Hinged device
EP1919171A2 (en) Spring,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12922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947817B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US7520436B2 (en) Slid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cover apparatus for external type card mounted thereto
KR100529596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슬라이드모듈
KR10115518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 회로 연결장치
KR100695728B1 (ko)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800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90061101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90129647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KR20070001125U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96944B1 (ko)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KR10170850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단자 커버 개폐 장치
KR10074974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451338Y1 (ko) 슬라이드 겸용 스윙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WO2009075415A1 (en) Slide hinge module
KR101138923B1 (ko) 와이어 스프링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90057880A (ko)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 부재
KR100810220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KR200367836Y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51496B1 (ko) 전자기기의 연성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