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728B1 -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728B1
KR100695728B1 KR1020050065541A KR20050065541A KR100695728B1 KR 100695728 B1 KR100695728 B1 KR 100695728B1 KR 1020050065541 A KR1020050065541 A KR 1020050065541A KR 20050065541 A KR20050065541 A KR 20050065541A KR 100695728 B1 KR100695728 B1 KR 10069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older
connecting means
portable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726A (ko
Inventor
정훈종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728B1/ko
Priority to US11/489,343 priority patent/US7869842B2/en
Publication of KR2007001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보드를 갖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일정 각도로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폴더와, 상기 폴더를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일정 각도로 개폐시키며,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는 힌지 모듈 및 폴더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메인 보드의 접지부를 상기 힌지 모듈의 금속성 재질의 구성 요소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을 포함하여, 폴더의 개폐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거나 우수한 안테나 방사 특성 구현이 가능하여 항상 고품질의 단말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05039156126-pat00001
휴대용 단말기, 폴더, 접지 수단, 힌지 모듈, 힌지 하우징, 안테나 장치

Description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WITH VARIABLE GROUND DEVICE}
도 1은 일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가 폴더 타입 단말기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을 이용한 가변형 접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을 이용한 가변형 접지 장치가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을 이용한 가변형 접지 장치가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을 이용한 가변형 접지 장치가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접지 상태가 가변됨을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요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가 적용된 단말기의 폴더 개방시의 방사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가 적용되지 않은 단말기의 폴더 폐쇄시의 방사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가 적용된 단말기의 폴더 개방시의 방사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의 개폐에 따라 안테나 방사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더의 개폐에 따라 가변적으로 접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단말기는 점점 경박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화음의 멜로디를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수만 에서 수십만 화소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되고 있다. 또한,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의 MP3 플레이어를 통한 음악 청취기능이 단말기에 구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콘텐츠등이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기능을 좀더 개 발하기 위하여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단말기들은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통화를 위한 개폐 동작에 따라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서 시작하여,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단말기, 팝업 타입(pop type) 단말기, 슬라이드 앤 로테이션 타입(slide and rotation type) 단말기등이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상술한 단말기들은 휴대용 무선 장치로써 사용되므로 소정의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장형 안테나 장치에서부터 단말기의 내부에 실장되는 내장형 안테나(built-in antenna)장치까지 다양한 형태로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는바, 다양한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적소에 적용시켜 안테나 장치의 성능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폴더 타입 단말기는 본체의 상부에 돌출되는 외장형 안테나 장치가 설치되거나, 본체의 후면 내부에 일정 크기의 안테나 방사체가 내장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더를 본체에서 일정 각도록 개방시키는 힌지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지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때, 상기 힌지 모듈은 적어도 힌지 하우징(힌지 캔)을 금속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그 내부의 구성 요소들, 예를 들면,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힌지 캠, 상기 힌지 캠을 가압하는 힌지 스프링까지 금 속성 재질로 형성시켜 접지 동작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상술한 폴더 타입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방사 특성 향상을 위한 접지 구조는 폴더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 상태 중 어느 한쪽 상태에서(일반적으로 폴더를 개방하여 통화하는 상태에서) 안테나 방사 특성이 최상의 상태가 되도록 커플링하여 제작하는바, 이는 항상 힌지 모듈에 접지되는 구조를 갖는 단말기의 폴더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오히려 안테나 장치의 방사 특성을 저하시키는 역효과가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의 개폐 여부에 상관없이 안테나 장치가 항상 최상의 방사 특성을 발휘하도록 구현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더의 개폐 여부에 관계 없이 안테나 장치가 항상 일정한 방사 특성을 갖도록 구현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더의 개폐에 따라서 선택적 접지를 수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커플링을 갖는 안테나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현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다른 목적은 폴더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접지되도록 기구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보드를 갖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일정 각도로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폴더와, 상기 폴더를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일정 각도로 개폐시키며,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는 힌지 모듈 및 폴더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메인 보드의 접지부를 상기 힌지 모듈의 금속성 재질의 구성 요소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의 메인 보드에 구성되는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 수단으로 사용되는 힌지 모듈을 폴더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비접속시킴으로서,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 특성을 좀더 유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타입 단말기는 폴더가 개방된 위치에서 안테나 방사특성이 최상의 조건이 되도록 커플링하고, 상기 폴더가 폐쇄된 위치에서의 안테나 방사 특성이 좀더 향상되도록 구현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폴더가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 모듈이 접지수단으로서 사용되도록 구현하였으며, 폴더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전기적으로 힌지 모듈에 비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메인 보드의 접지부와 힌지 모 듈을 폴더의 개폐에 따라 기구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좀더 신뢰성있는 단말기의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수단으로써 공지의 판형(plate type) 스프링이 일정 탄성을 가지며 힌지 모듈에 항상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부가 일정 탄성을 받는 금속성 볼 플런져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 중 금속성 힌지 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접속 수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힌지 하우징과 접촉 동작하는 나머지 힌지 샤프트, 힌지 캠, 힌지 스프링 역시 금속성 재질로 구성하여 접지 수단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내장형 안테나 장치가 적용되는 폴더 타입 단말기를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외부에 돌출된 안테장 장치가 적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1은 일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100)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일정 각도로 개폐되는 폴더(1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110)에는 다수의 키버튼 어셈블리(111, 112)들이 설치되는데, 3×4 키패드 어셈블리(111)와 네비게이션 키패드 어셈블리(112)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 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1)의 하측에는 마이크로폰 장치(113)가 설치된다. 더욱이, 상기 메인 바디(110)의 도면상의 점선 부분에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도 2의 117)가 설치 된다. 상기 내장형 안테나 장치(117)는 소정의 판형 방사체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안테나 방사체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안테나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보드(116)의 후면상에 실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폴더(120)에는 일정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소정의 엘씨디 모듈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측에는 스피커 폰 장치(122)가 설치된다.
상기 폴더(120)는 상기 메인 바디(110)상에서 축 A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메인 바디(110)와 폴딩되는데, 상기 폴더(120)에는 센터 힌지 암(123)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110)의 양 측면에는 사이드 힌지 암(114, 115)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센터 힌지암(123)에는 소정의 힌지 모듈(도 2의 10)이 수납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암(114, 115)에 일부가 고정되어 연동됨으로써 폴더(120)의 개폐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폴더(120)의 동작 중 일정 시점에서 개방 및 폐쇄되는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힌지 모듈(10)이 설치되는 센터 힌지암(123)이 메인 바디(110)에 형성되었다면, 이에 상응하는 사이드 힌지암(114, 115)은 폴더(120)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가 폴더 타입 단말기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메인 바디(110)에는 메인 보드(116)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 보드(116)의 후면상에는 내장형 안테나 장치(117)가 설치된다. 상기 내장형 안테나 장치(117)는 그 종류에 따라 상기 메인 보드(116)의 접지부(미도시 됨)에 접지되는 구성을 갖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접지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메인 보드(116)의 접지부와 더불어 힌지 모듈(10)이 접지요소로서 작용할 경우 안테나 방사 패턴에 중요한 요소로써 작용할 것이다. 역시, 안테나 장치가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안테나 장치 주변의 접지부 또는 접지 요소로써 적용되는 힌지 모듈은 상당히 중요한 주변 요소로써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힌지 모듈(1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도전체로써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힌지 모듈(10)의 구성 요소 중 힌지 하우징(도 3의 20)을 금속성 재질로 형성시켰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힌지 구성 요소 중 힌지 샤프트, 힌지 캠 및 힌지 스프링 역시 금속성 재질로 구성시켜 힌지 모듈 모두를 접지 수단으로써 이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메인 보드(116)의 접지부와 힌지 모듈(1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으로써 금속성 판형 스프링(60)을 사용하였다. 상기 금속형 판형 스프링(60)의 일단은 상기 힌지 모듈(10)의 구성 요소, 즉, 힌지 하우징(2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비접속될 것이며, 타단은 메인 보드(116)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이때, 상기 금속성 판형 스프링(60)은 단말기(100)의 설치 공간이 허여된다면 직접 연결시킬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세선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을 이용한 가변형 접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수단인 금속성 판형 스프링(60)은 상기 힌지 모듈(10)의 구성 요소 중 힌지 하우징(20)의 외면(23, 24)에 전기적으로 선택적인 접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에서는 폴더(120)의 센터 힌지암(123)에 힌지 하우징(20)이 설치되기 때문에 폴더(120)의 개폐에 따라 힌지 하우징(20)이 회전하고, 상기 판형 스프링(60)이 상기 힌지 하우징(20)과 접촉하는 외면을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힌지 하우징(20)의 외면 중 일부 영역(23)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수단이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힌지 하우징(20)의 일부 영역(23)은 러버 코팅, 우레탄 코팅, 하드 코팅 또는 테프론 코팅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으며, 여타 공지의 수단이 적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폴더(12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판형 스프링(60)이 힌지 하우징(20)의 금속성 영역(24)에 접촉할 것이며, 폴더(12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는 힌지 하우징(20)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영역(23)에 접촉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더(1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단말기 메인 보드(116)의 접지부가 힌지 모듈(1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안테나 장치(117)가 최상의 상태가 되도록 커플링하였으며, 폴더(120)가 폐쇄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 모듈(10)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비접속되는 상태를 유지시켜 안테나 장치(117)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을 이용한 가변형 접지 장치가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써, 힌지 모듈 및 접속 장치가 단말기에 구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힌지 모듈(10)은 폴더(120)의 센터 힌지암(123)상에 고정되며, 힌지 모듈(10) 중 힌지 샤프트(30)의 더미 부분(33)이 메인 바디(110)의 일측 사이드 힌지암(114)에 고정된다.
상기 폴더(120)의 센터 힌지암(123)상에는 소정의 중공형 금속성 힌지 하우징(20)이 설치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20)의 일단은 개방되어있으며, 타단은 막힌 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하우징(20)의 개방된 단에 후술될 힌지 스프링(50), 힌지 캠(40) 및 힌지 샤프트(30)가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상기 힌지 캠(40)은 상기 힌지 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되어 전후 유동만 수행한다. 또한, 상기 힌지 캠(40)에는 소정의 골형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 캠(40)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힌지 샤프트(30)에는 상기 골형부(42)와 선택적으로 요합되는 산형부(32)가 상기 더미 부분(33)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샤프트부(31)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 스프링(50)은 상기 힌지 캠(40)을 힌지 샤프트(30)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된다. 더욱이, 상기 힌지 캠(40)에는 소정의 가이드 돌기(4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하우징(2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1)가 삽입되어 힌지 캠(40)의 전후 유동만을 도모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가이드 슬릿(22)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게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힌지 캠(40) 및 힌지 캠(40)이 삽입되는 힌지 하우징(20)의 단면을 곡형이 아닌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20)의 회전에 따른 힌지 캠(40)의 동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폴더(120)가 회전하게 되면, 폴더(120)의 센터 힌지암(123)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 하우징(20) 및 힌지 캠(40)이 회전하며, 상기 메인 바디(110)에 고정된 힌지 샤프트(30)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힌지 샤프트(30)의 산형부(32)에 의해 상기 힌지 캠(40)은 힌지 스프링(50)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캠(40)은 힌지 하우징(20)과 함께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힌지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으로만 밀리게 되므로써 상기 힌지 샤프트(30)의 산형부(32)가 힌지 캠(40)의 다음 골형부를 만나는 시점까지 단말기에 일정 개폐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힌지 모듈(10)이 제공되는 센터 힌지암(123)과 상응하도록 결합되는 메인 바디(110)의 일측 사이드 힌지암(115) 주변에 소정의 접속 수단인 금속성 판형 스프링(60)이 설치된다. 상기 판형 스프링(60)의 일단은 힌지 하우징(20)의 폐쇄된 단의 외면에 일정 탄성력을 가지고 항상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타단은 메인 바디(110)의 메인 보드(116)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판형 스프링(60)은 단말기(100)의 설치 공간이 허여된다면 직접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공간이 여의치않다면 소정의 세선 케이블, 가요성 인쇄회로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을 이용한 가변형 접지 장치가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써, 접지 수단으로써 금속성 볼 플런저(70)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볼 플런저(70)는 부피가 작아 메인 바 디(110)의 사이드 힌지암(115)에 설치가 용이한 대신, 세선 케이블(71)이나 가요성 인쇄회로등으로 메인 바디(110)의 메인 보드(116)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야 한다. 상기 볼 플런저(70)의 단부는 소정의 스프링에 의해 가압받는 곡형의 볼 단부가 항상 힌지 하우징(20)의 외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판형 스프링(도 4의 60)보다 좀더 작동성이 좋을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을 이용한 가변형 접지 장치가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접지 상태가 가변됨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더(120)가 폐쇄되었을 때(폴딩되었을 때), 힌지 모듈(10)은 접지체로써 사용하지 않고, 폴더(120)가 개방되었을 때에만 접지체로써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 제조자는 최초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커플링할 때, 폴더(120)가 개방된 상태, 즉, 단말기로 통화중인 경우일 때 가장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이 우수하도록 커플링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최상의 안테나 장치의 방사 특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접지 수단에 의하여 단말기의 힌지 모듈(10)에 접지부가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그러나, 단말기가 대기중인 상태인 폴더(12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힌지 모듈(10)에 접지된 상태가 오히려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에 역효과가 발생하므로써 본 발명에서는 폴더(120)가 닫힌 상태, 즉, 폴딩된 상태에서는 접지 수단이 단말기의 힌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비접속됨으로써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폴더(120)가 메인 바디(110)에서 폐쇄된 폴딩 상태에서는 힌지 모듈(10)의 힌지 하우징(20)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영역(23)에 접속 수단인 판형 스프링 (60)이 위치됨으로써 힌지 모듈(10)은 접지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6b에서처럼 폴더(120)가 메인 바디(110)에서 일정 각도 θ로 개방되었을 경우에는 폴더(120)와 함께 힌지 하우징(20)이 상기 각도 θ만큼 회전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접지 수단인 판형 스프링(60)은 상기 힌지 하우징(20)의 도전 영역(24)에 위치되므로 메인 바디(110)의 메인 보드(116)에 위치된 접지부에 더하여 상기 힌지 모듈(10) 역시 접지체로써 동작함으로써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이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써, 힌지 모듈(80)의 구성 요소인 힌지 하우징(81)의 외면을 판형 스프링(60)이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개방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힌지 하우징(81)의 외면 중 판형 스프링(60)이 접하는 면(82, 83, 84)에 일정 높이의 단차를 형성시켜 높은 면(84)과, 높은 면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면(82)을 갖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판형 스프링(60)은 높은 면(84)과 접할때는 힌지 하우징(81)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며, 낮은 면(82)일 경우에는 힌지 하우징(81)과 비접촉되므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높은 면(84)과 상대적으로 낮은 면(82)의 경계 부분은 경사면(83)으로 형성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81)이 폴더(120)와 함께 회전할 경우 낮은 면(82)에서 높은 면(84)으로 자연스럽게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도모하고 있다.
도 8은 도 7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요부 평면도로써, 상기 판형 스프링(60)의 힌지 하우징(81)과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위치되는 부분은 힌지 하우징(81)의 실제 단차 높이 D1 보다 작은 D2의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함으로써 힌지 하우징(81)이 폴더(120)와 함께 회전시 항상 원활한 접촉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판형 스프링(60)뿐만 아니라 상술한 볼 블런저를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 실시예는 앞에 설명한 절연 수단을 배제시키고 힌지 하우징(81)을 사출 또는 제조할 경우 처음부터 단차를 두고 제조하므로써 제조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역시, 도 7 및 도 8의 구성을 갖는 힌지 하우징(81)이 적용되는 접지 장치 역시 상술한 도 6a 및 도 6b의 경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폴더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판형 스프링(60)은 힌지 하우징(81)의 단차부 중 높은 면(84)에 접촉할 것이며, 폴더가 폐쇄된 상태, 즉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 하우징(81)의 단차부 중 낮은 면(82)이 상기 판형 스프링(60)과 상응하도록 위치되면서 접촉하지 않게 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가 적용된 단말기의 폴더 개방시의 방사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가 적용되지 않은 단말기의 폴더 폐쇄시의 방사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가 적용된 단말기의 폴더 개방시의 방사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폴더가 개방된 상태에서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을 최상으로 커플링하여 구현하였기 때문에 단말기 폐쇄시에 종래와 같이 힌지 모듈과 계속적으로 접 지되는 구성을 갖는 도 10의 경우보다 폐쇄시에 힌지 모듈과 접지되지 않도록 구현된 도 11의 경우에 도 9의 방사 데이터와 더욱 가까움을 알 수 있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의 개폐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거나 우수한 안테나 방사 특성 구현이 가능하여 항상 고품질의 단말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메인 보드를 갖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일정 각도로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폴더;
    상기 폴더를 상기 메인 바디에서 일정 각도로 개폐시키며,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는 힌지 모듈; 및
    폴더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메인 보드의 접지부를 상기 힌지 모듈의 금속성 재질의 구성 요소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폴더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힌지 모듈에 전기적으로 선택적인 접속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폴더의 완전한 개방 및 완전한 폐쇄 위치에서 힌지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비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폴더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힌지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에서 힌지 모듈과 전기적으로 비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폴더에 고정되며, 상기 폴더의 개폐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폐쇄된 면을 갖는 중공형 금속성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 수납하되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서 축방향으로만 동작하는 일정 곡률의 골형부를 갖는 힌지 캠;
    상기 힌지 캠의 골형부와 요합하여 연동하는 산형부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 및
    상기 힌지 캠을 상기 힌지 샤프트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힌지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캠, 힌지 샤프트 및 힌지 스프링 역시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어 접지 수단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폴더와 함께 회전하는 힌지 하우징의 폐쇄된 면의 외면에 항상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이 접속되는 힌지 하우징의 외면 중 일부의 영역은 절연성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힌지 하우징상의 영역은 우레탄코팅, 러버 코팅, 하드 코팅, 테프론 코팅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일단이 메인 바디의 메인 보드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면에 항상 접촉되는 일정 탄성을 갖는 금속성 판형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일단이 메인 바디의 메인 보드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면에 항상 접촉되는 단부가 일정 일정 탄성을 갖는 금속성 볼 플런저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판형 스프링 및 상기 볼 플런저의 일단은 메인 보드의 접지부와 직접 또는 세선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FPC)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폴더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상기 힌지 모듈에 전기적으로 선택적인 접속을 하기 위하여 선택적인 접촉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폴더의 완전한 개방 및 완전한 폐쇄 위치에서 상기 힌지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비접속되기 위하여 상기 힌지 모듈과 접촉 또는 비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폴더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 모듈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에서 힌지 모듈과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폴더에 고정되며, 상기 폴더의 개폐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폐쇄된 면을 가지되, 외면이 부분적으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금속성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 수납하되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서 축방향으로만 동작하는 일정 곡률의 골형부를 갖는 힌지 캠;
    상기 힌지 캠의 골형부와 요합하여 연동하는 산형부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 및
    상기 힌지 캠을 상기 힌지 샤프트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힌지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캠, 힌지 샤프트 및 힌지 스프링 역시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어 접지 수단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이 접속되는 힌지 하우징의 외면 중 일부의 영역은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면을 갖도록 하여, 상기 접속 수단이 폴더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면과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이 접속되는 힌지 하우징의 외면 중 일부의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경계 부분은 일정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 수단이 원활히 하나의 영역에서 나머지 영역으로 조우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일단이 메인 바디의 메인 보드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일정 탄성을 갖는 금속성 판형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일단이 메인 바디의 메인 보드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단부가 일정 일정 탄성을 갖는 금속성 볼 플런저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판형 스프링 및 상기 볼 플런저의 일단은 메인 보드의 접지부와 직접 또는 세선 케이블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FPC)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65541A 2005-07-20 2005-07-20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9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541A KR100695728B1 (ko) 2005-07-20 2005-07-20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11/489,343 US7869842B2 (en) 2005-07-20 2006-07-19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with variable-type ground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541A KR100695728B1 (ko) 2005-07-20 2005-07-20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726A KR20070010726A (ko) 2007-01-24
KR100695728B1 true KR100695728B1 (ko) 2007-03-15

Family

ID=3767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541A KR100695728B1 (ko) 2005-07-20 2005-07-20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69842B2 (ko)
KR (1) KR100695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1859B4 (de) * 2006-09-15 2011-12-01 Lg Electronics Inc.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und Steuerungsverfahren dafür
EP2413572B1 (en) * 2010-07-30 2015-09-02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spatial diversity antenna and related methods
US8649825B2 (en) 2010-07-30 2014-02-11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spatial diversity antenna and related methods
US9124680B2 (en) * 2012-01-19 2015-09-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anaged material fabric for composite housing
US20140185820A1 (en) * 2013-01-03 2014-07-03 Headlogic Llc Ear Bud Retraction Mechanism Having a Break Away Dust Door
US10481644B1 (en) * 2019-02-12 2019-11-19 Motorola Mobility Llc Flip position de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12A (ko) * 2001-09-2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KR20040063235A (ko) * 2003-01-06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이용한 그라운드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휴대용 무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641B2 (ja) * 2000-04-19 2006-01-25 富士通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携帯機
US20040185924A1 (en) * 2003-03-19 200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radiotelephone for providing a reduced specific absorption rate
JP2006129386A (ja) * 2004-11-01 2006-05-18 Fujitsu Ltd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12A (ko) * 2001-09-2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KR20040063235A (ko) * 2003-01-06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이용한 그라운드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휴대용 무선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27512
102004006323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69842B2 (en) 2011-01-11
KR20070010726A (ko) 2007-01-24
US20070021158A1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9701B1 (en) Portable radio device
KR100695728B1 (ko)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EP1292042A2 (en) Foldable portable phone with metal casing, shieldings and second antenna to control radiation
US20100302110A1 (en) Portable terminal and antenna device thereof
US7945298B2 (en) Wireless terminal
EP1505800B1 (en) Ground connecting apparatus for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KR20080054651A (ko)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2007537638A (ja) 第1及び第2の導電性部品間に容量性の無線周波数経路を有する携帯電話用ハンドセット
US7486974B2 (en) Hinged device
KR10115518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 회로 연결장치
US7671285B2 (en) Dome switch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EP1703703A1 (en) Antenna device for a pop-up type wireless portable terminal
KR100726234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EP1594185A1 (en) Variable antenna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KR100947817B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11849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685212B1 (ko)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 장치
US2007000447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parts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wo
KR10063488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646600B1 (ko)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
KR20090002578A (ko)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 장치
KR10059698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 안테나 접지 구조
KR100619976B1 (ko) 안테나의 방사패턴 개선을 위한 접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259183B1 (ko) 동축 컨덕터
KR20080054514A (ko)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