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512A -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512A
KR20030027512A KR1020010060828A KR20010060828A KR20030027512A KR 20030027512 A KR20030027512 A KR 20030027512A KR 1020010060828 A KR1020010060828 A KR 1020010060828A KR 20010060828 A KR20010060828 A KR 20010060828A KR 20030027512 A KR20030027512 A KR 20030027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erminal
sub
ground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376B1 (ko
Inventor
황재호
이재민
정용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37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소정의 힌지장치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서브 바디로 구성되는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상호 대응되는 부분에는 단말기의 개폐시, 상기 메인 바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부와 상기 서브 바디의 엘씨디 모듈의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므로써, 안테나 장치에서 방출되는 전류밀도를 감소시키므로써 전자파 흡수율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DEVICE FOR REDUCING SPECIFIC ABSORPTION RATE IN FOLDER TYPE PORTABLE RADIO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 장치에서 메인바디와 서브바디의 접촉부분을 통하여 방출되는 강한 전류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급속적인 보급과 각종 전자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전자파를 차폐하거나 전자파 흡수율을 저감하는 장치가 점차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은 인체(두부)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로 인체 보호 규격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인체에 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때 전자파 흡수율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근거리장(near field)에 의한 영향을 받게도니다. 따라서, 사용되는 무선단말기의 송신전력, 안테나 특성 및 기구물의 형태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파 흡수율을 저감하는 방법으로는 지향성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도체판을 부착하여 전파를 차폐시키거나 전파 흡수체를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지향성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소형 경박화되어가는 단말기 시장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차폐재나 흡수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재료의 특성 및 그 부착위치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지게 되며, 제조공정 또한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에 있어서, 서브바디상의 엘씨디 모듈이 장착되는 부분에 전자파 차폐재가 코팅되어 있기는 하나, 안테나 장치에서 방출되는 강한 전계분포가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틈으로 방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물론, 상기 서브 바디의 엘씨디 모듈과 메인 바디의 인쇄회로기판(RF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FPC가 설치되기는 하나, 안테나 장치에서 단말기 외부로 방출되는 강한 전계분포를 감소시키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장치에서 방사되는 강한 전류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안테나 급전부 주변의 구성을 개선한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 장치로부터 기구표면에 유기되는 강한 전류밀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만으로 서브 바디를 개방시켰을때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소정의 힌지장치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서브 바디로 구성되는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상호 대응되는 부분에는 단말기의 개폐시, 상기 메인 바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부와 상기 서브 바디의 엘씨디 모듈의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로써 볼 플런져를 적용시킨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로써 플레이트 스프링을 적용시킨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로써 회전가능한 금속성 링크를 적용시킨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단말기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주변의 전계강도 분포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단말기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인체 방향으로의 방사패턴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볼 플런져11: 플레이트 스프링
20, 21: 금속성 플레이트30: 링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서브 바디와 메인 바디가 접하는 안테나 주변상에 소정의 전기적 접속장치를 설치하므로써, 단말기 외부로 방출되는 전류밀도를 감소시켜, 인체로의 전자파 흡수율을 저감시키고자 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바디의 RF보드로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부와 서브 바디의 엘씨디 모듈상에 구비된 접지부를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 구성된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소정의 힌지동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 바디(120)와, 상기 서브바디상에 설치되는 엘씨디 모듈(디스플레이 장치)(130)와, 상기 엘씨디 모듈(130)에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본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키패드부(140)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안테나 장치(150)로 구성된다.
이때, 안테나 장치(150)의 주변 즉, 메인 바디(110)와 서브 바디(120)가 조우하는 부분(도 1의 A와 B부분)은 상기 안테나 장치(150)에서 방출되는 높은 전류밀도를 가장 많이 수용하는 부분이다. 특히, 안테나 장치(150)와 가장 가까운 도 1의 A부분은 높은 전류 밀도로 인하여 통화시 인체에 전자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게 하는 곳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는 상기 도 1의 A부분에 설치되어 져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1의 A부분과 B부분에 함께 설치되어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로써 볼 플런져를 적용시킨 도면으로써, 도 2a는 서브 바디(120)상에 소정의 스프링을 구비한 볼 플런져(10)가 설치되고, 메인 바디(110)상에는 상기 서브 바디(120)상에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된 볼 플런져(10)와 항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금속성 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상기 금속성 플레이트(20)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힌지암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 플런져(10)는 서브 바디(120)의 접지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금속성 플레이트(20) 역시 상기 메인 바디(110)의 접지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적 접지수단으로는 소정의 도선을 사용하여 양단을 각각 솔더링에 의해 연결할 수 있으며, FPC에 의해 연결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바디의 접지수단은 엘씨디 모듈의 접지부일 수 있으며, 메인 바디의 접지수단은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부일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상에 볼 플런저(10)를 설치하고, 서브 바디(120)상에 금속성 플레이트(21)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와 서브 바디(120)에 모두 각각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볼 플런져(1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로써 플레이트 스프링을 적용시킨 도면으로써, 서브 바디(120)상에 플레이트 스프링(11)이 설치되며, 메인 바디(110)상에는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11)에 항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성 플레이트(2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11)은 서브 바디(120)의 엘시디 모듈(130)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금속성 플레이트(22) 역시 메인 바디(110)의 인쇄회로기판(110)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메인 바디상에 플레이트 스프링이 설치되고, 서브 바디상에 금속성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접속이 가능하다면 서브 바디와 메인 바디 양쪽 모두 플레이트 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로써 회전가능한 금속성 링크를 적용시킨 도면으로써, 금속성 링크(30)를 단말기의 일측면상에 설치하였다. 상기 금속성 링크(30)의 양단부는 각각 메인바디(110)와 서브 바디(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각 단부는 메인 바디(110)의 인쇄회로기판(111)의 접지부와, 서브 바디(120)의 엘씨디 모듈(130)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써, 항상 메인 바디(110)와 서브 바디(120)의 접지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성 링크(30)는 상기 안테나 장치(150)와 가까운 단말기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단말기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주변의 전계강도 분포를 각각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를 적용하였을 경우, 도 5a의 종래의 단말기보다 전계가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단말기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인체 방향으로의 방사패턴을 각각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를 적용하였을 경우, 도 6a의 종래의 단말기보다 인체 방향으로의 방사가 현저히 줄어듬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부 몇가지의 접속장치를 개시하였으나,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각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는 단말기의 소형, 경박화에 이바지 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 효과적으로 전자파 흡수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소정의 힌지장치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서브 바디로 구성되는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의 상호 대응되는 부분에는 단말기의 개폐시, 상기 메인 바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부와 상기 서브 바디의 엘씨디 모듈의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주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는,
    메인 바디에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볼 플런져 또는 금속성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바디의 볼 플런져 또는 금속성 플레이트와 접속되고, 상기 서브 바디의 엘씨디 모듈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성 플레이트 또는 볼 플런져로 구성되는 접지구조를 가지므로써, 상기 단말기의 개폐시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류밀도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는,
    메인 바디에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레이트 스프링 또는 금속성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바디의 플레이트 스프링 또는 금속성 플레이트와 접속되고, 상기 서브 바디의 엘씨디 모듈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성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접지구조를 가지므로써, 상기 단말기의 개폐시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류밀도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는,
    메인 바디에 일단이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브 바디에 타단이 설치되며 엘씨디 모듈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성 링크를 구비하므로써, 상기 단말기의 개폐시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류밀도를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KR1020010060828A 2001-09-28 2001-09-28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KR10081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828A KR100810376B1 (ko) 2001-09-28 2001-09-28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828A KR100810376B1 (ko) 2001-09-28 2001-09-28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512A true KR20030027512A (ko) 2003-04-07
KR100810376B1 KR100810376B1 (ko) 2008-03-04

Family

ID=2956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828A KR100810376B1 (ko) 2001-09-28 2001-09-28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37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212B1 (ko) * 2005-08-08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 장치
KR100689549B1 (ko) * 2003-12-08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누전 및 전자파 차단장치
KR100695728B1 (ko) * 2005-07-20 2007-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701855B1 (ko) * 2006-01-25 2007-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 장치
KR100722309B1 (ko) * 2006-01-20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파 흡수율 저감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771159B1 (ko) * 2006-10-31 2007-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조립체 및 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79147B1 (ko) * 2007-05-17 2010-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라운드 확장을 위한 금속 패턴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10240B1 (ko) * 2003-07-18 201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KR101144374B1 (ko) * 2006-02-07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396518B2 (en) 2006-09-15 2013-03-12 Lg Electronc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48169B1 (ko) * 2006-07-07 2013-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성능개선을 위한 도전영역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82B1 (ko) * 1998-12-30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240B1 (ko) * 2003-07-18 201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KR100689549B1 (ko) * 2003-12-08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누전 및 전자파 차단장치
KR100695728B1 (ko) * 2005-07-20 2007-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7869842B2 (en) 2005-07-20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with variable-type grounding unit
KR100685212B1 (ko) * 2005-08-08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 장치
US7672698B2 (en) 2006-01-20 2010-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cific absorption rate reducer,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for
KR100722309B1 (ko) * 2006-01-20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파 흡수율 저감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701855B1 (ko) * 2006-01-25 2007-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 장치
KR101144374B1 (ko) * 2006-02-07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248169B1 (ko) * 2006-07-07 2013-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성능개선을 위한 도전영역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US8396518B2 (en) 2006-09-15 2013-03-12 Lg Electronc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771159B1 (ko) * 2006-10-31 2007-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조립체 및 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79147B1 (ko) * 2007-05-17 2010-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라운드 확장을 위한 금속 패턴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376B1 (ko) 200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2646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uner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US6765846B2 (en) Antenna apparatus and wristwatch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KR101037898B1 (ko) 무선 데이터 전송을 채택한 디바이스용 전자파 적합성 장치
CN100531238C (zh) 移动电话手持装置
US6909911B2 (en) Wireless terminal
JP2002064601A (ja) 移動電話装置及びその内蔵アンテナ
EP0707760B1 (en) Device with directional antenna for cordless radio communication
KR20050014276A (ko)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방사이득향상장치
KR100810376B1 (ko)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US7760147B2 (en)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0758633B1 (ko) 돔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EP1463211B1 (en)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reduced specific absorption rate
JP3583609B2 (ja) 携帯無線装置
KR100247203B1 (ko)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에서 전자파 차폐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1855B1 (ko)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 장치
US7158084B2 (en) Variable antenna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KR100685212B1 (ko)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접지 장치
KR1013241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124033A (ja) 折畳型携帯無線装置
US6781550B1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device
KR10101024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KR200426917Y1 (ko) 무선통신단말기
KR20025315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JP4421243B2 (ja) シャーシとプリント基板から成る組合せ構造体
KR100646600B1 (ko)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