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165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165B1
KR101324165B1 KR1020070012329A KR20070012329A KR101324165B1 KR 101324165 B1 KR101324165 B1 KR 101324165B1 KR 1020070012329 A KR1020070012329 A KR 1020070012329A KR 20070012329 A KR20070012329 A KR 20070012329A KR 101324165 B1 KR101324165 B1 KR 101324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body
conductive layer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568A (ko
Inventor
이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16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7/00Racks for receiving or transporting shoes or shoe parts; Other conveying mean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 및, 상기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전 재질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과 평행하게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고, 개구(aperture)가 형성되는 제1도전층;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제1도전층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구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는 도체 스트립(conductive strip); 및 상기 도체 스트립과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를 단말기의 내부에 실장해야 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되어 단말기의 슬림화에 유리하고, 전체 배터리의 두께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배터리 커버 등에 의한 갭을 자연적으로 이용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를 구현하게 되어 광대역 특성 및 '핸드 이펙트'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안테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로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를 각각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전층과 도체 스트립을 투영하여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전층과 도체 스트립의 다른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전층과 도체 스트립의 다른 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로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성능을 보인 도표,
도 10 내지 도 12는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보인 도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로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성능을 보인 도표,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보인 도표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0,400: 이동통신 단말기 10,310,410: 단말기 본체
20,320,420: 배터리 23: 배터리셀
24: 시트 25,125,225,327,427: 제1도전층
26,126,226a,226b,328,428: 개구 18: 제2도전층
41,141,241,341,441: 도체 스트립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고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 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경량화되고 슬림화되어 가는 반면에, 작고 제한된 장치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충분한 기구적인 뒷받침과 통신품질의 확보를 동시에 요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통신을 위하여 사용되고 안테나는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형태인 외장형 안테나(external antenna)가 먼저 개발되었지만 미관을 저해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기 쉬운 단점이 있어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볼 수 없는 형태인 내장형 안테나(internal antenna 또는 intenna라고 칭하기도 함)로 대체되고 있다.
내장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는 상면에 키버튼(6)이 설치되는 메인바디(2)와, 메인바디(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바디(2)에 개폐되는 폴더바디(3)로 구성된다.
메인바디(2)의 하부에는 단말기(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통신이나 입출력 또는 제어를 위한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4)이 설치된다.
회로기판(4)의 일측에는 내장형 안테나의 일종인 PIFA(Planar Inverted F-Antenna) 안테나(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테나(7)는 방사체(8)와, 방사체(8)를 지지함과 아울러 회로기판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유전체 캐리어(9)로 구성된다.
방사체(8)는 다른 부품이나 금속에 의하여 영향받기 쉽고 송수신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쉬우므로 방사체(8)의 주변에는 금속 부품들의 장착이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은 단말기(1)의 슬림화에 제약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안테나(7)가 메인바디(2)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그 길이의 확보가 어렵게 되고 송수신할 수 있는 대역폭도 좁아지게 된다. 특히, 메인바디(2)의 슬림화되는 상황이라면 안테나 설계자들이 취할 수 있는 선택의 폭도 좁아지게 된다.
더욱이, 안테나(7)가 단말기(1) 내부에 들어오게 되면서 사람의 손이나 머리에 의한 무선 성능저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바디(2)의 구석과 같이 제한된 위치에 장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테나를 다른 부품이나 장치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양호한 무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 및, 상기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전 재질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과 평행하게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고, 개구(aperture)가 형성되는 제1도전층;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제1도전층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구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는 도체 스트립(conductive strip); 및 상기 도체 스트립과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를 안착할 수 있도록 배터리 안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체 스트립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2도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도전층은 전자기간섭(EMI) 방지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도전층은 상기 급전부가 위치되는 부위에서는 배제되며, 상기 급전부는 상기 케이스를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체 스트립은 상기 케이스에 사출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도체 스트립에서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를 통과되게 배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측 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되는 도전성의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 접촉부는 판스프링 타입 또는 압축 스프링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터리셀과 제1도전층은 시트에 의하여 일정 갭을 유지한 채로 배터리커버에 의하여 몰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도전층은 상기 배터리셀을 감싸는 배터리커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도전층은 상기 배터리를 표기하는 절연질의 라벨(label)에 의하여 부착되어 가려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개구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선 슬롯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도체 스트립은 상기 개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룰 수 있게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체 스트립이 개구에 교차된 후 단부까지의 길이는 4분의 1 파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개구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복수의 직선 슬롯이 일정 각도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체 스트립은 적어도 두 개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도체 스트립을 상기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그라운드 급전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로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는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20)는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마련된 배터리 장착부(11)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장착된 배터리(20)는 그 자체로 이동통신 단말기(1)의 일부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도시된 것과 배터리는 탈착이 가능한 배터리 커버를 별도로 갖는 내장형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 장착부(11)의 외측에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도전 스트립(conductive strip)(41)이 형성되어 있다. 도전 스트립(4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20) 내부의 배터리셀(23) 및 개구(26)를 갖는 제1도전층(25)과 작용하여 안테나 장치를 이루어 RF(Radio Frequency)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전 스트립(41)의 일측에는 배터리(20)로부터 단말기 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단자(12)가 구비된다.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를 각각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10)는 리시버 또는 스피커 장치(17) 및 디스플레이 장치(16)가 배치되어 있는 프런트 케이스(15)와 후면에 배터리(20)가 장착되는 리어 케이스(14)를 구비하고 있다. 프런트 케이스(15)와 리어 케이스(14)의 내부에는 무선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부품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30)이 구비된다.
도체 스트립(41)은 리어 케이스(14)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는 배터리 장착부(11)에 안착되어 있으며, 도체 스트립(41)의 일단부는 리어 케이스(14)를 통과하여 회로기판(30)의 패드(31)에 접촉되는 급전부(43)에 연결된다.
급전부(43)는 도체 스트립(41)에서 연결되어 리어 케이스(14)를 통과되게 배치되는 연결부(43a) 및 연결부(43a)의 내측 단부에서 연결되며 회로기판(30)의 패드(31)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되는 도전성의 탄성 접촉부(43b)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의하면 탄성 접촉부(43b)는 절곡된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굽힘탄성을 받는 판스프링 타입을 예로 들었다. 다만, 이와 달리 압축 스프링을 직접 사용하거나 응용하는 것(예를 들어 포고핀)도 가능하다.
도체 스트립(41)은 리어 케이스(14)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42)에 안착됨으로써 배터리(20)의 장착시 배터리(20)와의 직접 마찰에 의한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되고 있다. 도체 스트립(41)은 이중사출 등의 사출 방법 또는 도전성 도료를 인쇄함으로써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두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배터리(20)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 배터리셀(23)과 배터리셀(23)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도전층(25)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셀(23)은 외부면이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화학물질을 담을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셀(23)은 두터운 패치(fat patch)를 형성하게 된다.
제1도전층(25)에는 도체 스트립(41)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개구(aperture)가 형성된다. 개구(26)는,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7의 설명에서와 것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전층(25)은 외측커버(21)와 내측커버(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터리셀(23)과 제1도전층(25) 사이는 절연질의 시트(24)에 의하여 일정 갭이 유지되고 있다.
제1도전층(25)은 내측커버(21)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제1도전층(25)과 도체 스트립(41)은 배터리(20)의 장착시 적어도 내측커버(21)의 두께만큼 갭이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셀(23)과 제1도전층(25)은 시트(24)에 의하여 갭이 유지된 채로 커버(21)(22)에 의하여 몰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사체(radiator)가 된 배터리셀(23), 제1도전층(25) 및 도전 스트립(41)은 일종의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방사 효율과 광대역 특성을 양호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면서도, 내장형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둠으로써 발생하는 두께의 증가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4에 의하면, 리어 케이스의 내측에는 회로기판(30)의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2도전층(18)이 형성되고 있다. 제2도전층(18)은 급전부(43)가 위치되는 부위에서는 배제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도전층(18)은 전자기간섭(EMI) 방지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체 스트립(41)과 회로기판 사이에는 평판 역 에프 안테나(PIFA)처럼 도체 스트립(41)을 회로기판(30)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그라운드 급전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됨으로써, 안테나 장치의 성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전층과 도체 스트립을 투영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제1도전층(25)의 개구(26)는 수평한 직선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제1도전층(25)의 하부의 도전 스트립(41)은 개구(26)와 직각을 이룬 채로 제1도전층(25)의 가운데에 위치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도전층의 길이와 폭은 동작대역의 ½λ를 형성될 수 있다. 도체 스트립(41)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개구(26)에 교차된 후 단부까지의 길이는 ¼λ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1도전층(25)과 도전 스트립(41)의 배치는 선형적인 편파(linear polarization)를 유발하기 용이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전층과 도체 스트립의 다른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제1도전층(125)의 개구(126)와 도체 스트립(141)은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직각을 형성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도전층과 도체 스트립의 다른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개구(226a)(226b)는 열십자 모양으로 두 개로 형성되고 있으며, 도체 스트립(241)은 개구(226a)(226b)를 대각선 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전류 방향에 교란을 주어 원형 편파(circular polarization)를 일으키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떠한 상태 즉, 기지국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각도에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수신감도에 변화를 가져오지 않으므로 양호한 무선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로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에 의하면, 제1도전층(327)은 배터리셀을 감싸는 배터리커버(321)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1도전층(327)은 배터리를 표기하는 절연질의 라벨(label)(329)에 의하여 부착되어 가려지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도전층(327)은 배터리(320)의 제조후 부착되거나 인쇄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조립하는 단계에서 안테나 성능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제1도전층(327)의 개구(326)는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전 스트립(341)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류를 더욱더 교란시키게 되어 원형 편파 및 이중 편파를 일으키기 쉽다.
도 9는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성능을 보인 도표이다. 도 8에 의하면, S11가 -6dB 이하로 나온 대역은 1662㎒ ~ 1813㎒로서 약 150㎒의 대역폭을 보이고 있다. 그만큼 광대역을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광대역 성능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으로 쥐고 있을 때 손이나 머리 등에 의하여 안테나 장치에 미치는 영향, 즉, 핸드 이펙트(hand effect)에 의하여 방사 패턴의 왜곡이나 대역폭이 이동(shift)되는 경우에도 서비스 대역폭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갖는 다른 효과를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였다. 도 10 내지 도 12은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보인 도표로서,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 방사되는 양은 상대적으로 훨씬 적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패치 안테나의 특성상 그라운드 윗 방향으로 메인 방사가 일어나므로 상대적으로 머리쪽으로 향하는 방사는 억제되어 전자파 인체 흡수 지수(Specific Absorption Ratio; SAR)의 저감에 탁월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로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에 의하면, 개구(428)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복수의 직선 슬롯으로 되어 있으며, 도체 스트립(441)은 개구(428)에 직각을 이루는 복수의 직선 슬롯으로 되어 있다. 도체 스트립(441)을 이루는 두 개의 슬롯은 서로 평행하다.
도 13에서 보인 안테나 장치의 성능은 도 14에서 도시되었다. 도 1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S11가 -6dB 이하로 나온 대역은 1697㎒ ~ 1942㎒로서 약 245㎒의 대역폭을 보이고 있어 위의 실시예보다 훨씬 큰 대역폭을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1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 또한 도 15 내지 도 18에서 보는 것과 같이, 그라운드 방향 즉, 사용자의 머리 쪽으로는 크게 제한되는 반면 메인 방사는 반대쪽에 집중되므로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SAR문제를 크게 개선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배터리셀을 방사체로 활용하게 되므로 안테나를 단말기의 내부에 실장해야 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되어 단말기의 슬림화에 유리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셀을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한 전송선로로서 개구를 갖는 제1도전층과 도체 스트립을 구비함으로써, 전체 배터리의 두께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배터리 커버 등에 의한 갭을 자연적으로 이용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를 구현하게 되어 광대역 특성 및 '핸드 이펙트'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내부에 도전 재질의 배터리셀이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가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안착부,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안테나 장치는,
    상기 배터리셀과 평행하게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고, 개구(aperture)가 형성되는 제1도전층;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제1도전층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구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는 도체 스트립(conductive strip); 및
    상기 도체 스트립과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체 스트립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2도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층은 전자기간섭(EMI) 방지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층은 상기 급전부가 위치되는 부위에서는 배제되며, 상기 급전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를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스트립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사출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도체 스트립에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를 통과되게 배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측 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되는 도전성의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는 판스프링 타입 또는 압축 스프링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과 상기 안테나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시트에 의하여 일정 갭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터리셀을 감싸는 배터리커버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도전층이며,
    상기 제1도전층은 상기 배터리를 표기하는 절연질의 라벨(label)에 의하여 부착되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12329A 2007-02-06 2007-02-06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24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329A KR101324165B1 (ko) 2007-02-06 2007-02-06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329A KR101324165B1 (ko) 2007-02-06 2007-02-06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568A KR20080073568A (ko) 2008-08-11
KR101324165B1 true KR101324165B1 (ko) 2013-11-05

Family

ID=3988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329A KR101324165B1 (ko) 2007-02-06 2007-02-06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52766A1 (en) * 2018-02-14 2019-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7165B1 (fr) * 2018-01-19 2021-12-24 Arianegroup Sas Antenne planaire destinee a equiper un vehicule spati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312A (ja) * 1995-09-05 1997-03-18 Hitachi Ltd 同軸共振型スロット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71066A (ko) * 1997-02-04 1998-10-26 웨이스엘리 애퍼처 접속형 평면 반전 에프 안테나 및 안테나에서 사용되는신호 방향 설정 방법
KR20060086523A (ko) * 2005-01-26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312A (ja) * 1995-09-05 1997-03-18 Hitachi Ltd 同軸共振型スロット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71066A (ko) * 1997-02-04 1998-10-26 웨이스엘리 애퍼처 접속형 평면 반전 에프 안테나 및 안테나에서 사용되는신호 방향 설정 방법
KR20060086523A (ko) * 2005-01-26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52766A1 (en) * 2018-02-14 2019-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WO2019160324A1 (en) * 2018-02-14 2019-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US10594023B2 (en) 2018-02-14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568A (ko) 200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447B1 (ko) 휴대 단말기
US7557760B2 (en) Inverted-F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5945954A (en) Antenna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EP2448065B1 (en) Mobile communiction terminal with a frame and antenna
EP1482646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uner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US6965350B2 (en) Flat-plate multiplex antenna and portable terminal
CN106707729B (zh) 智能手表
US7642966B2 (en) Carrier and device
KR10069688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7532165B2 (en) Built-in antenna having center feeding structure for wireless terminal
US20060170601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3241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72431B1 (ko)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40100404A1 (en) Patch antenna and application thereof
KR10063488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679078B1 (ko) 안테나용 힌지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KR100372888B1 (ko) 반노출 고정형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70099953A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115179A1 (en) Internal antenna for mobile device
KR101171740B1 (ko) 접지 일체형 내장형 안테나
KR101144252B1 (ko) 내장형 안테나의 접속 구조
KR1010938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9011647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9990038147A (ko) 내장식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폰
KR20080096241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