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109B1 -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109B1
KR102369109B1 KR1020210119947A KR20210119947A KR102369109B1 KR 102369109 B1 KR102369109 B1 KR 102369109B1 KR 1020210119947 A KR1020210119947 A KR 1020210119947A KR 20210119947 A KR20210119947 A KR 20210119947A KR 102369109 B1 KR102369109 B1 KR 102369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apsule
weight
sunscreen
cation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숙
김진영
김진모
홍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9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및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쉘(Shell)로 형성된 캡슐을 함유함에 따라, 캡슐의 안정성,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밀착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UV SCREENING COMPRISING CAPSULE}
본 발명은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캡슐화(Capsulation)에 의해,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쉘로 형성된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효 성분의 산화 등을 방지하고, 유효 성분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석출, 층분리, 변색, 이취 등의 안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효 성분을 포집한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다. 주로, 유효 성분을 포집한 캡슐을 제조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과정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고 있으나, 캡슐을 별도로 제조하여야 함에 따라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별도로 제조된 캡슐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여, 외관미, 사용감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유효 성분과 함께 캡슐화 물질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유효 성분이 포집된 캡슐이 자가 생성되도록 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03163호에서는 카라기난, 알긴, 아가, 알칼리토금속실리케이트류의 무기충전제 및 잔량의 탈이온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막질조성물로, 비타민C, 레티놀을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들을 W/O 또는 W/S 형으로 제형화한 후 코팅하여 캡슐화한, 화장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공개특허를 비롯한 대부분의 캡슐화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C, 레티놀 등을 캡슐화하여, 피부 미백, 항산화, 주름 개선 등의 용도로 주로 개발되고 있으나, 자외선 차단 용도로는 그 활용도가 미미하였다.
일부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캡슐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자외선 차단제 자체의 불안정성 등에 의해 안정적인 캡슐화의 구현이 어렵고, 캡슐을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그 상태를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캡슐을 형성하지 않는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보다 오히려 자외선 차단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캡슐화 화장료 조성물로서, 안정적으로 캡슐을 형성 및 함유하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031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화 화장료 조성물로서, 캡슐의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자외선 효과 및 피부 밀착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및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쉘(Shell)로 형성된 캡슐을 함유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5 ~ 35 중량%, 에어로실 0.001 ~ 2.0 중량%, 음이온성 고분자 0.01 ~ 1.0 중량%, 및 양이온성 고분자 0.1 ~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4-메칠벤질리덴 캄퍼(4-Methylbenzylidenecamphor) 비스-에칠헥실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벤조페논-3 (Benzophenone-3), 벤조페논-4 (Benzophenone-4),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프로필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및 에칠헥실디메칠파바(Ethylhexyl Dimethyl PAB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4 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및 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prop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평균 입경이 1 ~ 1,000 ㎛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적인 상태의 캡슐을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함에 따라, 향상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 19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캡슐"은 내부와 외부 환경을 분리할 수 있는 막 또는 쉘 구조를 구비하여, 내부에 특정 성분을 함유할 수 있는 포집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및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쉘(Shell)로 형성된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상기 성분들의 작용에 따라 캡슐화(Capsulation)되어,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쉘에 의해,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내부에 포집된 형태의 캡슐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적인 상태의 캡슐을 형성하고 그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밀착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이 포집된 캡슐을 제조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 내에 분산시켰던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과 달리, 유효 성분이 포집된 캡슐을 제조하는 과정 등이 생략됨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어로실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로실은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로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로실은 실리카를 표면 처리하여, 소수성을 부여한 소수성(Hydrophobic) 흄드 실리카로서, 실리카 디메칠실릴레이트(Silica Dimethyl Silylate)로도 불리며, 오일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실리카는 피지 분비를 조절하는 용도, 불투명화제, 안티케이킹제, 벌킹제 등 매트한 사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서, 상기 흄드 실리카를 대신하여 상기 실리카를 포함할 경우에는 점도의 증가, 안정성 증가 등의 효과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로실을 대신하여, 상기 실리카를 포함할 경우에는, 캡슐의 안정성,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에어로실을 0.001 ~ 2.0 중량%, 구체적으로는 0.6 ~ 2.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0.6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에어로실을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에어로실을 0.001 ~ 2.0 중량%로 포함할 때, 적정한 크기의 캡슐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및 밀착성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에어로실을 0.6 ~ 1.0 중량%로 포함할 때, 상기와 같은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에어로실을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로실을 0.001 ~ 2.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캡슐이 적정한 크기로 형성되지 못하여 육안으로 캡슐 알갱이의 확인이 어렵고, 캡슐의 응집이 발생되거나 안정성이 저하되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에어로실을 2.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로실을 0.001 ~ 2.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피부 밀착력 등의 사용감이 저하되고, 캡슐 자체의 형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슐의 안정이 저하된다는 것은 캡슐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캡슐의 침전이 발생하는 경우, 캡슐의 표면이 갈라지거나 터짐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음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양이온성 고분자와 함께 캡슐화에 의해, 캡슐의 쉘(Shell)을 형성하는 주요 성분으로서, 공지의 음이온성 고분자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제적으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정적으로 캡슐을 형성하고, 그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1 : 0.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정적으로 캡슐을 형성하면서도 캡슐의 장기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를 0.01 ~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0.05 ~ 0.5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0.1 ~ 0.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음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를 0.01 ~ 1.0 중량%로 포함할 때, 적정한 크기의 캡슐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및 밀착성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음이온성 고분자를 0.1 ~ 0.3 중량%로 포함할 때, 상기와 같은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를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를 0.01 ~ 1.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캡슐 자체의 형성이 어렵고, 캡슐이 형성되어도 적정한 크기로 형성되지 못하거나 불안정하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를 1.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를 0.01 ~ 1.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자외선 차단 및 피부 밀착성이 저하되며, 캡슐의 크기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크게 형성되어 외관미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음이온성 고분자와 함께 캡슐화에 의해, 캡슐의 쉘(Shell)을 형성하는 주요 성분으로서, 공지의 양이온성 고분자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및 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prop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정적으로 캡슐을 형성하고, 그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0.1 ~ 5.0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0.1 ~ 5.0 중량%로 포함할 때, 적정한 크기의 캡슐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및 밀착성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양이온성 고분자를 0.1 ~ 3.0 중량%로 포함할 때, 상기와 같은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0.1 ~ 5.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캡슐 자체의 형성이 어렵고, 캡슐이 형성되어도 적정한 크기로 형성되지 못하거나 불안정하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5.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0.1 ~ 5.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자외선 차단 및 피부 밀착성이 저하되며, 캡슐의 크기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크게 형성되어 외관미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공지된 모든 종류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4-메칠벤질리덴 캄퍼(4-Methylbenzylidenecamphor) 비스-에칠헥실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벤조페논-3 (Benzophenone-3), 벤조페논-4 (Benzophenone-4),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프로필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및 에칠헥실디메칠파바(Ethylhexyl Dimethyl PAB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4 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의 캡슐 안정성, 자외선 차단 효과 및 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5 ~ 35 중량%, 구체적으로는 10 ~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5 ~ 35 중량%로 포함할 때, 적정한 크기의 캡슐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및 밀착성의 구현이 가능하여, 피부 표현력이 우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10 ~ 25 중량%로 포함할 때, 상기와 같은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5 ~ 3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자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35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5 ~ 3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자외선 차단 및 피부 밀착성이 저하되며, 캡슐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하는 성분으로, 산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의 캡슐 안정성,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산성 자외선 차단제는 공지의 모든 산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성 자외선 차단제는 테레프탈릴리딘디캄포설포닉애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산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경우에는, 산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다, 캡슐의 안정성,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하는 성분으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의 캡슐 안정성,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공지의 모든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경우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다, 캡슐의 안정성,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되, 상기 산성 자외선 차단제 및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캡슐 안정성,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밀착성 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안료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것이라면, 공지의 모든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0.01 ~ 20.0 중량%, 구체적으로는 0.01 ~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안료를 더 포함하되,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안료를 0.01 ~ 20.0 중량%로 포함할 때, 적정한 크기의 캡슐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및 밀착성의 구현이 가능하며, 균일한 색감을 가져 피부 표현력이 우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안료를 더 포함하되, 0.01 ~ 10.0 중량%로 포함할 때, 상기와 같은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안료를 더 포함하되,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료를 0.01 ~ 20.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색감이 저하되며, 피부 표현력, 피부 결점 또는 요철 커버력 등 메이크업 제품으로서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안료를 더 포함하되, 20.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료를 0.01 ~ 20.0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자외선 차단 및 피부 밀착성이 저하되며, 캡슐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특성의 자외선 차단제 중에서도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점증제 성분으로도 에어로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캡슐을 형성하고 그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색 표현력 및 피부 밀착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캡슐의 평균 입경은,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피부 자극 또는 사용감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슐은 평균 입경이 1 ~ 1,000 ㎛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캡슐의 안정성이 좋고, 캡슐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미 및 사용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 세럼, 로션,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및 파운데이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성분 이외에 각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한 부형제 또는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형제 또는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유화제, 유화보조제, 실리콘 폴리머, 안료, 색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제, 유기 용매,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보존제, 소염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제, 산성화제, 착색제, 농화제, 피부컨디셔닝제, 미백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및 용해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7
표 1[단위 : 중량%]에 따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양이온성 고분자 및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에 따라 제조되었다. 먼저, 하기 표 1의 음이온성 점증제와 용매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또한,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점증제, 양이온성 점증제 및 균질화한 파우더부(안료)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상부를 AGI 호모 믹서로 교반하면서, 유상부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캡슐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4201791-pat00001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3 : 자외선 차단제 종류에 따른 비교
표 2[단위 : 중량%]에 따라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양이온성 고분자 및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4201791-pat00002
비교예 4 내지 9 : 오일 점증제 종류에 따른 비교 1
표 3[단위 : 중량%]에 따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점증제, 음이온성 고분자, 양이온성 고분자 및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4201791-pat00003
비교예 10 내지 17 : 오일 점증제 종류에 따른 비교 2
표 4[단위 : 중량%]에 따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점증제, 음이온성 고분자, 양이온성 고분자 및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4201791-pat00004
비교예 18 내지 19 : 오일 점증제 함량에 따른 비교
표 5[단위 : 중량%]에 따라 유기 자외선 차단제, 점증제, 음이온성 고분자, 양이온성 고분자 및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104201791-pat00005
[ 실험예 ]
실험예 1 : 캡슐 형성 및 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의 캡슐 형성 여부 및 안정성을 하기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6 및 7에 나타내었다.
(1)캡슐 형성 여부
화장료 조성물이 캡슐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육안으로 관찰하여 캡슐이 형성된 경우, 캡슐의 크기에 대해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캡슐 형성 여부는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실시되었다.
ⅹ: 완전 유화되거나, 캡슐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 : 캡슐을 형성하나, 크기가 미세하여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 :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적정 크기의 캡슐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경우
Figure 112021104201791-pat00006
표 6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적정 크기의 캡슐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6에서, 실시예 3 및 비교예 19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 1 내지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적정 크기의 캡슐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2는 에어로실을 2.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비교예 19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캡슐이 형성되지 못하고, 덩어리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2)캡슐 안정성 평가
캡슐을 형성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에 따라,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캡슐 안정성은 캡슐을 형성한 화장료 조성물을 5도, 실온, 40도, 50도, Cycle 챔버에 각각 보관하고 관찰한 뒤, 한달 이내의 기간 동안 침전, 응집 문제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50 도 및 Cycle 결과를 통합하여 나타내었다.
이때, 표 7에서 '안정'하다는 것은 캡슐의 크기가 적정하면서도 균일하게 형성되어, 응집 없이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표 7에서 '불안정'하다는 것은 캡슐의 크기가 전반적으로 균일하지 않거나, 응집 또는 침전이 발생됨을 의미한다.
한편, 캡슐 자체가 형성되지 않았던 비교예 4, 6, 17 및 19 의 경우에는 캡슐 안정성 평가의 실시가 어려웠다.
Figure 112021104201791-pat00007
표 6 및 7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캡슐을 형성하면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라,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7 의 경우에는, 캡슐 안정성이 우수하나,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2와, 산성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캡슐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프리 및 산성 자외선 차단제-프리일 때, 캡슐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색소 분산력 평가
실시예 4 내지 7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의 색소 분산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색소 분산력은 육안 관찰을 통해 평가되었다. 이때, 표 8에서 '+' 개수가 증가할수록 분산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Figure 112021104201791-pat00008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캡슐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분산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색감 표현이 균일하게 가능한 바, 사용감 및 메이크업 특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실험예 3 : 자외선 차단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성능을 평가하고, 3회 반복한 평균값을 표 9에 나타내었다.
이때, 자외선 차단 성능은 하기에 따라 평가되었다.
구체적으로, PMMA Plate에 일정량의 시료를 도포하여 샘플은 준비해둔 후, UV-2000 장비를 이용하여 자외선 파장 영역에서 선 스크린 샘플의 확산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104201791-pat00009
표 9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피부 밀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밀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10에서 '좋음'은 피부 밀착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또한, '나쁨'은 피부 밀착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특히, 피부 밀착성이 낮다는 것은, 피부에 화장료 조성물이 충분히 밀착되지 않으며, 피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캡슐이 떨어져 나오는 경우를 의미한다.
Figure 112021104201791-pat00010
표 10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밀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에어로실, 음이온성 고분자, 및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및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쉘(Shell)로 형성된 캡슐을 함유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 5 ~ 35 중량%, 에어로실 0.001 ~ 2.0 중량%, 음이온성 고분자 0.01 ~ 1.0 중량%, 및 양이온성 고분자 0.1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Drometrizole trisiloxa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테인(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4-메칠벤질리덴 캄퍼(4-Methylbenzylidenecamphor) 비스-에칠헥실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벤조페논-3 (Benzophenone-3), 벤조페논-4 (Benzophenone-4),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 프로필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 및 에칠헥실디메칠파바(Ethylhexyl Dimethyl PAB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4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카보머(Carbomer)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및 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prop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평균 입경이 1 ~ 1,0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19947A 2021-09-08 2021-09-08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9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47A KR102369109B1 (ko) 2021-09-08 2021-09-08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947A KR102369109B1 (ko) 2021-09-08 2021-09-08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109B1 true KR102369109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947A KR102369109B1 (ko) 2021-09-08 2021-09-08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1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163A (ko) 1999-06-21 2001-01-15 이두형 화장료 캡슐용 막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캡슐화한 화장료
KR20110054736A (ko) * 2009-11-18 2011-05-2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코아세르베이트 함유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50121719A (ko) * 2013-02-28 2015-10-29 타그라 바이오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KR20180003138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 유화 조성물
KR20190051521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서흥 피막 물성을 개선시킨 풀루란 하드캡슐의 제조방법
KR102220752B1 (ko) * 2020-08-13 2021-03-02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163A (ko) 1999-06-21 2001-01-15 이두형 화장료 캡슐용 막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캡슐화한 화장료
KR20110054736A (ko) * 2009-11-18 2011-05-25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코아세르베이트 함유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50121719A (ko) * 2013-02-28 2015-10-29 타그라 바이오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KR20180003138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 유화 조성물
KR20190051521A (ko) *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서흥 피막 물성을 개선시킨 풀루란 하드캡슐의 제조방법
KR102220752B1 (ko) * 2020-08-13 2021-03-02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9277A1 (en) Composite pigmen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6436375B1 (en) Method for obtaining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s
KR101290853B1 (ko) 선스크린제를 함유한 밀폐 캡슐을 갖는 조성물
EP2786735B1 (en) Oil-in-water-type emulsion cosmetic
EP3576847B1 (en) Sunscreen compositions with natural waxes for improved water resistance
JP5563468B2 (ja) カプセル化された低粘度疎水性液体活性物質
BR112014010746B1 (pt) Composição e processo cosmético
CN111356503A (zh) 包含uv遮蔽剂、丙烯酸共聚物以及丙烯酰胺基甲基丙磺酸共聚物的组合物
KR102220752B1 (ko)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3215B1 (ko)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4097972A1 (en) Cosmetic photoprotective compositions
WO2011004133A2 (fr) Materiau composite comprenant des filtres uv et des particules plasmoniques et utilisation en protection solaire.
EP2823804B1 (en) Color changing composition comprising pigments and a high amount of water
US20220378674A1 (en)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with maximized feeling of moisture
US20150105476A1 (en) O/w type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dosage form stability
TW200803904A (en) Cosmetic composition
KR20150096749A (ko) 트랜스-레스베라트롤 또는 트랜스-레스베라트롤 유도체 조성물
US20090035233A1 (en) Conversion of liquid formulations to a powder
JP6592848B2 (ja) 局所組成物
KR102369109B1 (ko) 캡슐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240000677A1 (en) Tinted cosmetic sunscreen composition, use of a tinted cosmetic sunscre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inted cosmetic sunscreen composition
CN111356435A (zh) 包含部花青和丙烯酸聚合物的化妆品或皮肤病学组合物
US20010021375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sunscreen preparations
US20200306162A1 (en) Cosmetic mineral sunscreen compositions for skin
KR20170061898A (ko) 수중유 유화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