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079B1 -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079B1
KR102369079B1 KR1020200121313A KR20200121313A KR102369079B1 KR 102369079 B1 KR102369079 B1 KR 102369079B1 KR 1020200121313 A KR1020200121313 A KR 1020200121313A KR 20200121313 A KR20200121313 A KR 20200121313A KR 102369079 B1 KR102369079 B1 KR 102369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unit
lamp
connection termi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동
Original Assignee
경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림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를 거치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홀을 통해서 투입되는 불량품을 수용하는 불량함;을 포함하는,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을 검사하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SYSTEM OF INSPECTING CIRCUIT AND SEALING OF WIRE HARNESS FOR VEHICLE LAMP CAPABLE OF MANAGING DEFECTVIE PRODUCT}
본 발명은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양품과 불량품의 관리가 가능한, 즉 작업자가 실수나 무의식 중에 불량품을 양품 박스에 담아서 불량품을 유출시키는 행위나, 작업자의 임의 조작으로 자신이 실수한 부분을 감추거나 은폐하고자, 불량품을 불량함에서 빼서 아무데나 방치하는 상태에서, 양품 박스에 다시 혼입되는 문제 등 휴먼 에러를 근본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련 분야에서 차량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네스는 여러 개의 커넥터 단자와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구조로 제작되며, 최종적으로 장착되기 전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신뢰성 테스트를 거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 공정은 현재 수작업 공정이 60~70%이기 때문에 상당한 문제를 낳고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육안으로 진행되는 검사도 많아서 작업자 개인 당 검출 능력의 편차가 발생하고, 사람의 판단에 의존한 검사의 한계로 인해 부품의 미세한 차이를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하네스 회로 및 기능을 검사하는 장치의 종류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은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 회로 배열 검사기의 사진으로서, 와이어 하네스의 복잡한 배열 구조를 메인 PLC에 하네스 결선도를 제작된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저장 데이터로 PLC에서 연결된 하네스와 지그를 통신하여 각 신호별 오조립을 검사하는 장치이다. 또한, 도 2는 종래 와이어 리크(leak) 검사기, 또는 실링 또는 수밀 검사기의 사진이다.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 타입에 따라 방수타입과 비방수타입으로 나뉜다. 방수 타입 커넥터에 대해서 실링 검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와이어 하네스 회로 검사 장치는 회로검사, 실링검사를 각각 진행하여 작업 소요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하게 하였다. 그 외에 연결단자의 단자 업다운이나, 리테이너 누락 등과 같은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는 등의 수작업을 거치게 되면서 더욱 작업 소요시간을 증가시키고 제조 단가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관련한 와이어 하네스 검사장치 특허로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인 대한민국 제10-1888042호(2018년 8월 7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검사용 검사지그(Testing jig for wire harness))을 들 수 있다. 해당 특허문헌에서, "다양한 형상의 단자하우징(400)을 갖는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검사를 위한 회로검사용 검사지그(100)로서, 회로검사판(200)에 장착되며, 일면에는 접속부(1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회로검사판(200)의 전기회로와 연결된 검사핀(12)이 구비되는 복수의 지그본체(10); 상기 지그본체(10)에 접속되는 지그접속부(21)와, 와이어 하네스의 단자하우징(400)과 접속되는 단자접속부(22)와, 상기 지그접속부(21)와 단자접속부(22)를 연결하는 도선부(23)로 이루어져, 복수의 지그본체(10)와 와이어 하네스의 단자하우징(400)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지그-단자 커넥터(20);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핀(12)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지그본체(10) 각각의 접속부(11)는 상호간에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그-단자 커넥터(20) 각각의 지그접속부(21)는 지그본체(10)의 접속부(11)에 끼워져 접속 가능하도록 접속부(11) 형상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동일한 형상을 갖되, 단자접속부(22)는 다양한 형상의 단자하우징(400)이 끼워져 접속 가능하도록 단자하우징(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검사용 검사지그"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또한, 다른 특허로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인 대한민국 제10-2058906호(2019년 12월 18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와이어하네스 통전검사용 통합지그(Common jig for testing wire harness))를 들 수 있다. 해당 특허문헌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자기기별로 와이어하네스가 연결되는 체결단이 개별적으로 마련된 와이어하네스 검사용 체결키트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하네스 통전검사용 통합지그는, 각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와이어하네스의 통전신호를 지그로 전달하는 지그 체결단이 연결되는 키트 커넥터; 및 각 와이어하네스의 통전신호가 디지털 형태로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술"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들에서는 와이어 하네스의 통전이나 회로 검사에 집중하는 기술로서, 그 외의 실링 검사나, 램프 광량, 램프 전력량, 실링,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 누락, 단자의 업다운 확인 등에 대한 개선이나 문제의식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본 출원인은 이에 착안하여 아래에서 서술하는 발명을 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 수작업으로 하던 검사 장치에서, 불량품을 검출하더라도 불량품을 작업자가 다루기 때문에, 회로 및 실링 검사를 모두 완료하고도, 작업자의 실수나 무의식 중에 불량품을 양품 박스에 담아서 불량품을 유출시키는 행위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임의 조작으로 자신이 실수한 부분을 감추거나 은폐하고자, 불량품을 불량함에서 빼서 아무데나 방치하는 상태에서, 양품 박스에 다시 혼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휴먼 에러를 범할 수 있는 부분들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여 불량품이 외부로 나가서 제조사나 검사회사의 신뢰도 저하를 막을 필요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아래에서 서술하는 발명을 하게 되었다.
1. 대한민국 제10-1888042호(2018년 8월 7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검사용 검사지그(Testing jig for wire harness)) 2. 대한민국 제10-2058906호(2019년 12월 18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와이어하네스 통전검사용 통합지그(Common jig for testing wire harnes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양품과 불량품의 관리가 가능한, 즉 작업자가 실수나 무의식 중에 불량품을 양품 박스에 담아서 불량품을 유출시키는 행위나, 작업자의 임의 조작으로 자신이 실수한 부분을 감추거나 은폐하고자, 불량품을 불량함에서 빼서 아무데나 방치하는 상태에서, 양품 박스에 다시 혼입되는 문제 등 휴먼 에러를 근본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일부는 검사 장치로 하고, 또한 종래 일부는 작업자의 육안으로 검사하던 것을 개선하여, 회로 검사, 램프 광량, 램프 전력량, 실링,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 누락, 단자의 업다운 확인을 모두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모든 검사가 양품으로 판정될 경우 동시에 타각 실린더로 합격 각인을 하는 것도 가능한,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을 검사하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은,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를 거치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홀을 통해서 투입되는 불량품을 수용하는 불량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는, 일단에 위치한 자동차 램프, 상기 자동차 램프가 장착되는 구조물에 돌출 형성된 실링부, 타단에 위치한 연결 단자, 및 상기 자동차 램프와 상기 연결 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는,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검사를 실시하는 회로 확인부; 상기 자동차 램프의 광량을 확인하는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자동차 램프의 전력량을 확인하는 램프 전력량 확인부; 상기 실링부의 실링을 확인하는 실링 확인부; 상기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가 누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상기 연결 단자의 단자가 위나 아래로 구부러져 있는지 여부인 단자 업다운(up-down)을 확인하는 단자 업다운 확인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에서는, 상기 회로 확인부, 상기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램프 전력량 확인부, 상기 실링 확인부, 상기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상기 단자 업다운 확인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양품으로 판정되지 않은 경우, 해당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를 불량품으로 판정하며, 이 경우,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는 동작이 중지되며,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홀을 통해서 상기 불량품이 상기 불량함으로 투입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동작이 재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량함 및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홀 사이에는, 불량품이 투입되어 이동하는 불량투입관이 마련되며, 상기 불량투입관의 내부의 양측이나, 또는 상기 불량함의 상단의 양측에서, 상기 불량품의 투입을 인식하는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가 마련되어, 광의 차단을 통해서 상기 불량품이 상기 불량함으로 투입된 것으로 인식한다.
또한, 상기 불량함은, 관리자의 승인이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불량함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는, 상기 자동차 램프가 장착되는 자동차 램프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램프 장착부는,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bulb)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가져서,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를 거꾸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벌브 삽입부;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가 거꾸로 삽입되면 상기 실링부의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자연히 밀폐가 이루어지는 실링 형성부; 상기 벌브 삽입부의 공간 바닥에 형성된 공압 도관; 및 상기 공압 도관에 공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한 공압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는,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는, 그 일단에 위치한 자동차 램프; 상기 자동차 램프가 장착되는 구조물에 돌출 형성된 실링부; 타단에 위치한 연결 단자; 및 상기 자동차 램프와 상기 연결 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검사를 실시하는 회로 확인부; 상기 자동차 램프의 광량을 확인하는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자동차 램프의 전력량을 확인하는 램프 전력량 확인부; 상기 실링부의 실링을 확인하는 실링 확인부; 상기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가 누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상기 연결 단자의 단자가 위나 아래로 구부러져 있는지 여부인 단자 업다운(up-down)을 확인하는 단자 업다운 확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 램프가 장착되는 자동차 램프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램프 장착부는,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bulb)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가져서,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를 거꾸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벌브 삽입부;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가 거꾸로 삽입되면 상기 실링부의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자연히 밀폐가 이루어지는 실링 확인부; 상기 벌브 삽입부의 공간 바닥에 형성된 공압 도관; 및 상기 공압 도관에 공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한 공압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 확인부는,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가 거꾸로 삽입되고 상기 실링부의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자연히 밀폐가 이루어진 다음, 상기 공압 펌프를 통해서 음압을 가하여, 압력센서를 통해서 음압이 유지가 되면 상기 실링부의 실링이 정상인 것으로, 압력센서를 통해서 음압이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실링부의 실링이 불량인 경우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램프 광량 확인부는, 상기 벌브 삽입부의 일측에 광량 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실링부로 실링을 만든 후 상기 광량 센서로 상기 램프의 광량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연결 단자의 형상과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단자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한 연결 단자 장착부; 및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에 상기 연결 단자가 장착된 이후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 단자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는,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에 상기 연결 단자가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가 누를 수 있는 누름핀(pin)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핀이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누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누름핀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누락되었다고 불량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단자 업다운 확인부는, 상기 연결 단자 검사부에 위치하되,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가 상기 연결 단자 검사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 단자의 단자핀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핀 삽입홀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의 단자핀이 상기 단자핀 삽입홀에 제대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단자 업다운이 없다고 판단하고, 상기 연결 단자의 단자핀이 상기 단자핀 삽입홀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 업다운이 있는 불량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가 상기 연결 단자 검사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면 자연히 눌러지며 상기 연결 단자 및 상기 자동차 램프의 검사가 자동으로 개시되게 하는 검사 자동 스타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사 자동 스타트부의 검사 자동 개시에 따라서, 상기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램프 전력량 확인부, 실링 확인부,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단자 업다운 확인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로 확인부, 상기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램프 전력량 확인부, 상기 실링 확인부, 상기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상기 단자 업다운 확인부에서 모두 양품으로 판정이 되는 경우에, 타각 실린더로 합격 각인을 하는 합격 각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양품과 불량품의 관리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작업자가 실수나 무의식 중에 불량품을 양품 박스에 담아서 불량품을 유출시키는 행위나, 작업자의 임의 조작으로 자신이 실수한 부분을 감추거나 은폐하고자, 불량품을 불량함에서 빼서 아무데나 방치하는 상태에서, 양품 박스에 다시 혼입되는 문제 등 휴먼 에러를 근본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관리자의 승인이 입력되거나 또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불량품이 수용되어 있는 불량함이 개방되도록 하여, 승인되지 않은 불량품 유출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종래 일부는 검사 장치로 하고, 또한 종래 일부는 작업자의 육안으로 검사하던 것을 개선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검사, 램프 광량, 램프 전력량, 실링,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 누락, 단자의 업다운 확인을 모두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 별개의 검사 장치에서 하던 것을 한 장치에서 일체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육안으로만 검사하던 것을 일체 검사 진행시 자동으로 같이 검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회로 또는 배선, 램프 광량, 램프 전력량, 실링,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 누락, 단자의 업다운 확인에서 모든 검사가 양품으로 판정될 경우 동시에 타각 실린더로 합격 각인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섯째, 검사 자동 스타트부를 포함하여, 연결 단자 장착부가 상기 연결 단자 검사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면 자연히 눌러지며 연결 단자 및 자동차 램프의 검사가 자동으로 개시되게 할 수 있어서, 검사 실시 버튼을 누르는 등의 시간도 절약하여 작업성을 개선시켰다.
여섯째,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260)의 구성도 자동으로 회로적으로 구현하였다. 즉, 일례로서, 기구적으로 누림핀이 아래로 눌러지면, 연결 단자 장착부(250)가 연결 단자 검사부(270)와 마주보는 대향면에서 수평으로 도전성 돌출핀이 나오게 기구적으로 구성되어, 이 도전성 돌출핀이 나와서 연결 단자 검사부(270)에서 단락 회로가 되느냐, 개방 회로가 되느냐에 따라서 누름핀이 제대로 눌러졌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곱째, 단자 업다운 확인부(280)의 구성도 자동으로 회로적으로 구현하였다. 즉, 일례로서, 단자핀 삽입홀에 떨어진 공간을 연결 단자의 단자핀이 모두 삽입되어 채울 경우, 단락 구조가 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나라도 단자핀이 업다운으로 제대로 단자핀 삽입홀에 삽입이 되지 않아서 회로적으로 개방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로적으로 자동으로 양품과 불량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덟째, 본 발명을 통해서 작업 소요시간을 줄이는 것 이외에, 여러 개의 별도의 검사 장치를 둘 필요가 없어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전력 소모나 인력 소모 등의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검사의 복잡성 등 작업 인력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 회로 배열 검사기의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리크(leak) 검사기, 또는 씰링 검사기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구성 가운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간략한 블록도 및 작업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에서 검사되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블록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에서 검사되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실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시제품 사진으로, 연결단자(130)가 연결 단자 장착부(250)에 장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시제품 사진으로, 자동차 램프(110)가 자동차 램프 장착부(210)의 밸브 삽입부(211)에 거꾸로 삽입되어 실링부(120)만 보이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시제품 사진으로, 연결 단자 장착부(250)가 연결 단자 검사부(270)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도 7의 검사 자동 스타트부(290)가 자연히 눌러지며 연결 단자 및 자동차 램프의 검사가 자동으로 개시되는 모습과 합격 각인부(3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검사 전과 합격시 실린더를 동작하여 합격도장을 찍는 것을 시제품에서 구현된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시제품 사진에서 스타트 핀을 찍은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에서, 투입홀(410)을 통해서 불량품이 불량투입관(420)을 거쳐서 불량함(500)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동작 단계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1000)은,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 이와 같은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가 거치되는 작업대(400), 및 작업대(400)의 일측, 즉 상면이나 측면에 마련된 투입홀(410)을 통해서 투입되는 불량품을 수용하는 불량함(500)을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1000)에서, 투입홀(410)을 통해서 불량품이 불량투입관(420)을 거쳐서 불량함(500)으로 들어가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작업대(400)의 일측, 특히 상면에 투입홀(410)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몸을 숙여서 작업대 밑에 있는 불량함을 찾아서 넣는 불편함을 작업대 위에서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작업 스트레스와 불량품 처리 소요 시간을 모두 줄여줄 수 있다.
여기서 불량함(500)은 불량함 내부에 불량품이 있는 지 없는 지를 열지 않고 바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불량함(500)의 외함 채색은 누구든지 쉽게 불량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붉은 색으로 투명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100)는, 일단에 위치한 자동차 램프, 자동차 램프가 장착되는 구조물에 돌출 형성된 실링부, 타단에 위치한 연결 단자, 및 자동차 램프와 연결 단자 서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검사를 실시하는 회로 확인부, 자동차 램프의 광량을 확인하는 램프 광량 확인부, 자동차 램프의 전력량을 확인하는 램프 전력량 확인부, 실링부의 실링을 확인하는 실링 확인부,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가 누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연결 단자의 단자가 위나 아래로 구부러져 있는지 여부인 단자 업다운(up-down)을 확인하는 단자 업다운 확인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본체부(미도시)는, 작업자의 조작을 위한 터치 스크린, 후술할 불량을 알리는 불량 알림 스피커, 장치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온오프 스위치, 장치를 강제적으로 재가동하는 리셋 버튼,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강제적 재가동이나 장치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스위치를 동작하는 것, 불량 알림의 데이터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스토리지부에 모두 저장되어서 관리되고, 필요한 경우 모니터링이나 사후에 조회, 검색, 또는 확인이 가능하다.
그 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100) 및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동작 단계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에서는, 회로 확인부, 램프 광량 확인부, 램프 전력량 확인부, 실링 확인부,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단자 업다운 확인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양품으로 판정되지 않은 경우, 해당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를 불량품으로 판정한다(S100 단계). 이 경우, 본체부의 화면이 붉은 색으로 표시되면서, 점멸하거나, 알람 소리로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스토리지부에 이와 같은 정보가 모두 저장된다.
불량품인 와이어 하네스를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에서 탈거하게 되면 붉은 색 화면과 알람 소리는 사라지게 된다. 불량품과 양품의 차이점은 후술할 도장 각인 표시가 있는 지 없는 지로 작업자가 판단할 수도 있다. 시스템적으로도, 모든 검사가 합격이라고 판정이 되면 합격 각인부(300)에서 합격 각인을 하게 되므로, 후술할 합격 각인부(300)에 의한 합격 각인이 없는 경우를 불량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는 동작이 중지된다(S200 단계). 이 후, 작업자가 불량품을 투입하게 되는데, 작업대(400)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홀(410)을 통해서 불량품이 불량함(500)으로 투입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S300 단계)에만,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의 동작이 재개된다(S400 단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불량함(500)에 불량품이 투입되는 것이 인식되면, 불량함(500)과 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통해서, 투입 신호를 본체부로 알려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와 통신하여 프로그램적으로 동작이 재개되게 만든다.
본체부를 전원 차단하고 다시 부팅을 하더라도, 불량함(500)으로부터 투입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여전히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은 프로그램적으로 동작이 재개되지 않고 중지 상태로 잠금이 계속된다. 잠금이 해제되는 유일한 방법은 불량함(500)에 불량품을 투입하여 투입 신호가 본체부로 전달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불량함(500) 및 작업대(400)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홀(410) 사이에는, 불량품이 투입되어 이동하는 불량투입관(42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불량투입관(420)의 내부의 양측이나, 또는 불량함(500)의 상단의 양측에서, 불량품의 투입을 인식하는 광발신부 및 이 광발신부에 대향하는 광수신부가 마련되어, 광발신부로부터 광수신부로 발광되는 광의 차단을 통해서 불량품이 불량함(500)으로 투입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 이외의 다른 동작감지센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무게 정도(특정 무게 범위 설정)가 올려지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설계된 중량감지센서를 통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더 무거운 물체나 더 가벼운 물체가 올려질 경우 개방되지 않고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량함(500)은, 관리자의 승인이 입력되거나 또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1000)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불량함(500)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량함이 관리자만이 열 수 있는 물리적인 자물쇠나 전자 시건 장치를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작업자의 임의 조작을 금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간략한 블록도 및 작업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에서 검사되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블록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100)를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에 장착한 이후 검사를 하게 되며, 모든 검사가 합격이라고 판정이 되면 합격 각인부(300)에서 합격 각인을 하게 된다.
여기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1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그 일단에 위치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자동차 램프(110), 이 자동차 램프(110)가 장착되는 구조물, 통상은 사출성형 등에 의해서 성형되는 것으로 구조물에서 돌출 형성된 실링(sealing)이나 수밀(water proof)하는, 즉 물 등이 서로 통과되지 않고 차단되어 밀봉 내지는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실링부(120)와,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100)의 타단에 위치한 연결 단자(130), 그리고 이 자동차 램프(110)와 연결 단자(130)를 서로 연결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으며,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한 케이블(140)을 포함한다. 그 외에 케이블이 어지럽게 있는 것을 가지런히 모아서 단선이나 추가적인 문제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블 타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100)는 본 발명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에 장착되어 검사되고,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대상이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는, 밸브 삽입부(211), 실링 형성부(212), 공압 도관(213), 공압 펌프(214)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 장착부(210); 검사를 위해서 연결 단자(130)가 장착되는 연결 단자 장착부(250); 및 연결 단자 장착부(25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체결되는 연결 단자 검사부(270);를 포함한다.
그 외에,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는, 회로 확인부(220), 램프 광량 확인부(230), 램프 전력량 확인부(235), 실링 확인부(240),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260), 및 단자 업다운 확인부(280)를 포함한다.
먼저, 회로 확인부(220)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검사를 실시하는 구성이다. 연결 단자의 단자핀과 검사장치간 1:1로 회로가 모두 연결되면, 연결된 연결 단자의 단자핀에 미소 전류를 보내서 와이어 하네스에 대해서 마이크로센컨드(ms) 단위로 등록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검사하게 된다.
다음으로, 램프 광량 확인부(230)는, 자동차 램프의 광량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램프 전력량 확인부(235)는, 램프가 점등되었을 때 정상적인 전력량을 소비하는지를 확인하는 구성이다. 또한, 실링 확인부(240)는, 실링부(120)의 실링을 확인하고,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260)는, 연결 단자(130)에서 있어야 할 리테이너(retainer)가 누락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리테이너는, 연결 단자(130)에서 단자핀을 지지하거나 잡아주는 구성으로 리테이너가 없으면 자연히 단자핀이 고정되어 있지 못하게 되는 불량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단자 업다운 확인부(280)는, 연결 단자의 단자핀이 위나 아래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단자핀이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불량을 확인하는 구성이다.
그 외, 케이블 타이(150)가 제대로 케이블을 모아서 타잉(tying)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케이블 타이 누락확인부(미도시)를 더 둘 수 있으며, 이것은 별도의 영상 카메라(미도시)를 추가하여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케이블 타이의 누락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케이블 타이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카메라 등을 통해서 케이블 및 케이블 타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처리를 통해서 회로선(배선)과 케이블 타이를 객체를 추출해 내고, 케이블 타이에 의해서 회로선(배선)이 영상적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은 개별적인 배선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왜냐하면, 케이블 타이에 의해서 제대로 묶여 있다면, 회로선은 케이블 타이에 의해서 영상적으로, 즉 2차원적으로는 분리(cut)된 듯이 보여야 하는데, 2차원적으로 분리되어 보이지 않는 경우는, 해당 회로선 또는 배선은 케이블 타이에 의해서 제대로 묶여 있지 않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에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시제품 사진으로, 연결단자(130)가 연결 단자 장착부(250)에 장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시제품 사진으로, 자동차 램프(110)가 자동차 램프 장착부(210)의 밸브 삽입부(211)에 거꾸로 삽입되어 실링부(120)만 보이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시제품 사진으로, 연결 단자 장착부(250)가 연결 단자 검사부(270)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도 7의 검사 자동 스타트부(290)(도 11에도 도시)가 자연히 눌러지며 연결 단자 및 자동차 램프의 검사가 자동으로 개시되는 모습과 합격 각인부(3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검사 전과 합격시 실린더를 동작하여 합격도장을 찍는 것을 시제품에서 구현된 사진이다.
즉, 도 7, 도 8, 도 9의 순서로 동작을 시켜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가 동작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램프가 장착되는 자동차 램프 장착부(210)는, 자동차 램프의 벌브(bulb)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빈 공간을 가져서, 자동차 램프의 벌브를 거꾸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벌브 삽입부(211)를 갖는다. 자동차 램프의 벌브가 상술한 벌브 삽입부(211)에 거꾸로 삽입되면 실링부(120)의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자연히 밀폐가 이루어지는 대응 구조를 갖는 실링 형성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120) 및 실링 형성부(212)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실링을 서로 만든다. 이 때 측면의 단면 구조가 복수 개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서, 자연히 밀폐나 접촉이나 접점이 여러 군데의 위치에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동차 램프가 장착되는 구조물에 돌출 형성된 실링부(120)의 하단을 잡아서 고정하는 "ㄷ"자 구조의 실링부(120)에 대한 고정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ㄷ"자 구조의 고정부(215)를 회전하여, 실링부(120)의 하단을 잡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216)(도 8에서 붉은 색의 레버(216))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벌브 삽입부(211)의 공간 바닥에 형성된 공압 도관(213)과, 이 공압 도관(214)에 공압, 본 발명에서는 음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한 공압 펌프(214)를 포함한다.
또한, 실링 확인부(240)는, 자동차 램프의 벌브가 거꾸로 삽입되고 실링부(120)의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자연히 밀폐가 이루어진 다음, 공압 펌프(214)를 통해서 음압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3초 정도를 인가하다 멈추고, 공압 도관(214)이나 공압 펌프(214)의 일측에 마련된 압력센서(미도시)를 통해서 예를 들어 2초~3초 정도의 시간 동안 음압이 유지되면 실링부(120)의 실링이 양품인 것으로, 2초~3초 정도의 시간 동안 음압이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실링부의 실링이 불량인 경우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방수 커넥터의 빠짐량 기준을 0.03Mpa로 인지를 PLC검사프로그램에 저장을 하여, 0.03Mpa이상 압력 유지가 안되는 경우 불량으로 판단하여, 최종 식별 터치 스크린에 불량화면을 송신한다.
여기서, 실링 확인부(240)는 커넥터가 도 2에서 도시된 방수 커넥터인 경우에만 실행하는데, 연결 단자와 연결되면 자동으로 인식하여 실링 확인부(240)를 제어부(미도시)가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 광량 확인부(230)는, 벌브 삽입부의(211) 일측에 광량 센서가 마련되고, 실링부(120)가 실링 확인부(212)에 안착되어 실링을 만든 후 광량 센서로 상기 램프의 광량을 측정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판정한다. 상술한 압력 센서와 광량 센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 장착부(250)는, 연결 단자(130)의 형상과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연결 단자(130)가 측면으로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연결 단자 장착부(250)에 연결 단자(130)가 장착된 이후 연결 단자 장착부(25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 단자 검사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260)는, 연결 단자 장착부(250)에 연결 단자(130)가 장착되었을 경우 정상적으로 위치한 연결 단자(130)의 리테이너가 누를 수 있는 누름핀(pin)이 구비되고, 이 누름핀이 눌러진 경우에는 상술한 리테이너가 누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이 누름핀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한 리테이너가 누락되었다고 불량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양품과 불량의 판단 방법의 일례로서, 기구적으로 누림핀이 아래로 눌러지면, 연결 단자 장착부(250)가 연결 단자 검사부(270)와 마주보는 대향면에서 수평으로 도전성 돌출핀이 나오게 기구적으로 구성되어, 이 도전성 돌출핀이 나와서 연결 단자 검사부(270)에서 단락 회로가 되느냐, 개방 회로가 되느냐에 따라서 누름핀이 제대로 눌러졌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 업다운 확인부(280)는, 연결 단자 검사부(270)에 위치하되, 연결 단자 장착부(250)가 이 연결 단자 검사부(27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이 연결 단자(130)의 복수 개의 단자핀가 삽입될 수 있는 대응하는 단자핀 삽입홀이 마련되어 있어서, 연결 단자의 복수 개의 단자핀이 이 대응하는 복수 개의 단자핀 삽입홀에 제대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단자 업다운(up-down)이 없다고 판단하고, 연결 단자의 단자핀이 단자핀 삽입홀에 하나라도 제대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 업다운이 있는 불량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양품과 불량의 판단 방법의 일례로서, 단자핀 삽입홀에 떨어진 공간을 연결 단자의 단자핀이 모두 삽입되어 채울 경우, 단락 구조가 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나라도 단자핀이 업다운으로 제대로 단자핀 삽입홀에 삽입이 되지 않아서 회로적으로 개방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로적으로 자동으로 양품과 불량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 단자 장착부(250)가 연결 단자 검사부(270)에 슬라이딩 결합되면 자연히 눌러지며 연결 단자(130) 및 자동차 램프(110)의 검사가 자동으로 개시되게 하는 검사 자동 스타트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사 자동 스타트부(290)의 검사 자동 개시에 따라서, 상기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램프 전력량 확인부, 실링 확인부,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단자 업다운 확인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동작을 개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사 자동 스타트부(290)는 스타트 핀의 형태일 수 있다. 참고로,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시제품 사진에서 스타트 핀을 찍은 것이다.
또한, 상기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램프 전력량 확인부, 실링 확인부,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단자 업다운 확인부에서 모두 양품으로 판정이 되는 경우에, 타각 실린더로 합격 각인을 하는 합격 각인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검사 전과 합격시 실린더를 동작하여 합격도장을 찍는 것을 시제품에서 구현된 사진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200)의 본체(미도시)를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모든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사용자의 입출력 편의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조건 불만족, 즉 불량품시에는 터치 스크린의 인터페이스 외에 별도의 불량 알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
110...자동차 램프
120...실링부
130...연결 단자
140...케이블
150...케이블 타이
200...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
210...자동차 램프 장착부
211...밸브 삽입부
212...실링 형성부
213...공압 도관
214...공압 펌프
220...회로 확인부
230...램프 광량 확인부
235...램프 전력량 확인부
240...실링 확인부
250...연결 단자 장착부
260...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270...연결 단자 검사부
280...단자 업다운 확인부
290...검사 자동 스타트부
300...합격 각인부
400...작업대
410...투입홀
420...불량투입관
500...불량함
1000...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Claims (6)

  1.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를 거치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홀을 통해서 투입되는 불량품을 수용하는 불량함;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는,
    일단에 위치한 자동차 램프, 상기 자동차 램프가 장착되는 구조물에 돌출 형성된 실링부, 타단에 위치한 연결 단자, 및 상기 자동차 램프와 상기 연결 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는,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검사를 실시하는 회로 확인부; 상기 자동차 램프의 광량을 확인하는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자동차 램프의 전력량을 확인하는 램프 전력량 확인부; 상기 실링부의 실링을 확인하는 실링 확인부; 상기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가 누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상기 연결 단자의 단자가 위나 아래로 구부러져 있는지 여부인 단자 업다운(up-down)을 확인하는 단자 업다운 확인부; 및 영상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케이블 타이가 제대로 케이블을 모아서 타잉(tying)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케이블 타이 누락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에서는,
    상기 회로 확인부, 상기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램프 전력량 확인부, 상기 실링 확인부, 상기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상기 단자 업다운 확인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양품으로 판정되지 않은 경우, 해당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를 불량품으로 판정하며,
    이 경우,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는 동작이 중지되며,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홀을 통해서 상기 불량품이 상기 불량함으로 투입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의 동작이 재개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는, 상기 자동차 램프가 장착되는 자동차 램프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램프 장착부는,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bulb)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가져서,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를 거꾸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벌브 삽입부;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가 거꾸로 삽입되면 상기 실링부의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자연히 밀폐가 이루어지는 실링 형성부;
    상기 벌브 삽입부의 공간 바닥에 형성된 공압 도관; 및
    상기 공압 도관에 공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한 공압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확인부는, 상기 자동차 램프의 벌브가 거꾸로 삽입되고 상기 실링부의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자연히 밀폐가 이루어진 다음, 상기 공압 펌프를 통해서 음압을 가하여, 압력센서를 통해서 음압이 유지가 되면 상기 실링부의 실링이 정상인 것으로, 압력센서를 통해서 음압이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실링부의 실링이 불량인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램프 광량 확인부는, 밀폐를 통해서 형성된 빛이 없는 상기 벌브 삽입부의 환경을 이용하여, 상기 벌브 삽입부의 일측에 마련된 광량 센서로, 상기 램프의 광량도 측정하고,
    상기 연결 단자의 형상과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단자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한 연결 단자 장착부; 및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에 상기 연결 단자가 장착된 이후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결 단자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는,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에 상기 연결 단자가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연결 단자의 리테이너가 누를 수 있는 누름핀(pin)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핀이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누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누름핀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누락되었다고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단자 업다운 확인부는, 상기 연결 단자 검사부에 위치하되,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가 상기 연결 단자 검사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 단자의 단자핀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핀 삽입홀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의 단자핀이 상기 단자핀 삽입홀에 제대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단자 업다운이 없다고 판단하고, 상기 연결 단자의 단자핀이 상기 단자핀 삽입홀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 업다운이 있는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연결 단자 장착부가 상기 연결 단자 검사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면 자연히 눌러지며 상기 연결 단자 및 상기 자동차 램프의 검사가 자동으로 개시되게 하는 검사 자동 스타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사 자동 스타트부의 검사 자동 개시에 따라서, 상기 램프 광량 확인부, 상기 램프 전력량 확인부, 실링 확인부, 리테이너 누락 확인부, 및 단자 업다운 확인부 전체가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을 검사하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함 및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마련된 투입홀 사이에는, 불량품이 투입되어 이동하는 불량투입관이 마련되며,
    상기 불량투입관의 내부의 양측이나, 또는 상기 불량함의 상단의 양측에서, 상기 불량품의 투입을 인식하는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가 마련되어, 광의 차단을 통해서 상기 불량품이 상기 불량함으로 투입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함은, 관리자의 승인이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불량함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6. 삭제
KR1020200121313A 2020-09-21 2020-09-21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KR102369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313A KR102369079B1 (ko) 2020-09-21 2020-09-21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313A KR102369079B1 (ko) 2020-09-21 2020-09-21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079B1 true KR102369079B1 (ko) 2022-03-02

Family

ID=8081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313A KR102369079B1 (ko) 2020-09-21 2020-09-21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0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336A (ko) * 2000-04-18 2001-11-07 윤종용 불량품 관리장치 및 불량품 관리방법
KR200336598Y1 (ko) * 2003-09-16 2003-12-18 박성호 차량용 램프의 수밀 및 점등 검사 장치
KR100450877B1 (ko) * 2004-01-09 2004-10-01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시험방법 및 시험시스템
KR20090066632A (ko) * 2007-12-20 2009-06-24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검사 시스템 및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태양전지제조방법
KR101888042B1 (ko) 2017-04-26 2018-08-13 천일테크윈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검사용 검사지그
KR102058906B1 (ko) 2019-05-03 2019-12-24 부천공업(주) 와이어하네스 통전검사용 통합지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336A (ko) * 2000-04-18 2001-11-07 윤종용 불량품 관리장치 및 불량품 관리방법
KR200336598Y1 (ko) * 2003-09-16 2003-12-18 박성호 차량용 램프의 수밀 및 점등 검사 장치
KR100450877B1 (ko) * 2004-01-09 2004-10-01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시험방법 및 시험시스템
KR20090066632A (ko) * 2007-12-20 2009-06-24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검사 시스템 및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태양전지제조방법
KR101888042B1 (ko) 2017-04-26 2018-08-13 천일테크윈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검사용 검사지그
KR102058906B1 (ko) 2019-05-03 2019-12-24 부천공업(주) 와이어하네스 통전검사용 통합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9080B2 (en) Inspection method of electric part
US5677479A (en) Method of checking waterproof connectors for waterproofness, and waterproofness checking apparatus and jig
KR101283618B1 (ko) 에어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US20020036770A1 (en)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system of a terminal metal fitting
KR102352213B1 (ko)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장치
KR102369079B1 (ko) 불량품 관리가 가능한 자동차 램프용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 및 실링 검사 시스템
KR101782289B1 (ko) 와이어 하네스 복합 검사시스템
KR101890230B1 (ko) 커넥터의 단자 검사장치
US20040166725A1 (en) Plug-connection verification for detecting a properly made electrical plug connection
KR20130127666A (ko)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가압 및 진공 누설 시험 방법
JPH093359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導通検査装置
JPS60100771A (ja) ワイヤハ−ネスの電線群配列順序検査装置
KR100731295B1 (ko) 정션박스 검사장치
JPH10318874A (ja) 電子機器の防水試験方法とその装置
KR100666854B1 (ko) 커넥터 핀 검사장치
CN216144908U (zh) 一种led电路板功能测试装置
WO2006117988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導通検査器
US20130286189A1 (en) Solder connectio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19593B1 (ko) 아이알 인서키트 테스트시스템
KR200393798Y1 (ko) 이동통신 단말기 검사장치
KR100618147B1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KR20210127471A (ko) 부품의 불량 검사 및 관리 방법
CN112763941A (zh) 一种汽车指示器线束接线防错检测系统及检测方法
JPH0982444A (ja) コネクタ検査器
JP2000241481A (ja) 工具点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