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470B1 -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테이프재, 및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테이프재, 및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470B1
KR102368470B1 KR1020197002119A KR20197002119A KR102368470B1 KR 102368470 B1 KR102368470 B1 KR 102368470B1 KR 1020197002119 A KR1020197002119 A KR 1020197002119A KR 20197002119 A KR20197002119 A KR 20197002119A KR 102368470 B1 KR102368470 B1 KR 102368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layer
layer
polyurethane
suppor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4208A (ko
Inventor
고지 사카이리
아츠시 마츠시마
도모히로 시노다
아츠시 소노베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9/00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 C09J2429/001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in the b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9/00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 C09J2429/006Presence of polyvinyl alcoho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1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b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이며,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필름상의 지지체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배리어층과,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테이프재, 및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을 사용한 테이프재, 및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8월 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15393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시트상 또는 필름상의 지지체의 한쪽 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테이프재는, 의료용이나 공업용 등의 각종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재의 점착층에는, 점착제에 추가하여 가소제 등이 배합되는 경우가 있다. 지지체의 재질에 따라서는, 가소제가 흡착되어 테이프재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등의 영향이 고려되기 때문에, 지지체 중 적어도 점착층과 접촉하는 면에는 가소제 배리어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 배리어성을 갖는 필름재로서,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배리어층을 갖는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이 알려져 있다. 이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은,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필름상의 지지체의 편면에, 층상 무기 화합물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코올을 혼합한 배리어 코트제를 도포함으로써 배리어층이 형성된 것이다.
국제 공개 제2012/014585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014587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3/111773호 팸플릿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에서는,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이 신장된 경우에 있어서도 가소제 배리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배리어층이 지지체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약제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점착층에 사용하는 부착제 등에 있어서는,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향상시키면, ODT(Occlusive Dressing Therapy) 효과가 높아지고, 피부에 대한 약제의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용도가 고려된다.
점착제에 고무계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무계 재질 자체의 수증기 배리어성이 높아,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에 수증기 배리어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점착제에 아크릴계나 실리콘계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증기 배리어성이 고무계 재질과 비교하면 낮아, ODT 효과 등을 높이기 위해,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배리어층에 수증기 배리어성이 요구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가소제 배리어성도 동시에 배리어층에 대하여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가소제 배리어성, 또한 수증기 배리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테이프재, 및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은,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필름상의 지지체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배리어층과,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을 구비한다.
상기 오버코트층은 상기 배리어층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가 락트산티타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테이프재는, 상기 양태에 관한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과,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필름상의 지지체를 준비하고,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고,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을 형성한다.
상기 오버코트층을 형성할 때, 상기 배리어층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오버코트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관한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및 테이프재에 따르면, 가소제 배리어성을 유지하면서, 수증기 배리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재의 변형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배리어층의 가소제 배리어성을 검토하는 실험의 일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배리어층의 가소제 배리어성을 검토하는 실험의 일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층상 무기 화합물의 종류와 수증기 투과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배리어층의 신장 내성을 검토하는 실험의 일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층상 무기 화합물 및 다가 알코올의 비율과 수증기 투과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종류와 수증기 투과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락트산티타늄의 첨가량과 수증기 투과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층상 무기 화합물의 종류와 수증기 투과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재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이하, 간단히 「지지 필름」이라고 칭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공업용, 포장용, 보호용, 라벨용, 마스킹용, 종이 기저귀 등의 위생 재료용, 반창고나 경피 투여용 등의 의료용, 화장용, 가정용 등의 각종 분야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등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재(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테이프재(1)는, 지지 필름(10)과, 지지 필름(10)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점착층(20)과, 점착층을 덮는 박리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필름(10)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필름상으로 형성된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한쪽 면에 형성된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11)는, 유연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이 필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체(11)를 형성하는 폴리우레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폴리우레탄 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내수성이 필요한 용도에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나, 황변 타입, 무황변 타입 등에 대해서도 특정 폴리우레탄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 사용 시에 보관하는 기간이나 방법, 사용하는 가소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배리어층(12)은,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지지체(11)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폴리우레탄으로서는, 용제나 가소제에 대하여 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지지체(11)에 도포 시공 가능한 수계 재료의 폴리우레탄을 선정하고 있다. 수계 폴리우레탄 중에서도, 가스 배리어 타입의(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계 폴리우레탄이 가소제 배리어성 및 수증기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적합하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이 특히 적합하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은, 주쇄 또는 측쇄에 방향족을 구비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구성된 폴리우레탄이다. 이때, 주쇄 또는 측쇄에 방향족을 구비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을 구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고 있으면 된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은, 치밀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층상 무기 화합물로서는, 합성 마이카 등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에도 몬모릴로나이트나 카올리나이트, 버미큘라이트, 운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층상 무기 화합물은, 배리어층(12)을 형성하였을 때 편평 구조의 층상 무기 화합물이 적층됨에 따른 미로 효과에 의해 수증기 배리어성이 발현된다고 생각된다. 입경의 크기나 애스펙트비의 크기가 큰 층상 무기 화합물 쪽이, 수증기 배리어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배리어층(12)에 층상 무기 화합물을 첨가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을 사용함으로써, 가소제 배리어성과 수증기 배리어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배리어층(12)에 사용하는 층상 무기 화합물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이상이고, 또한 애스펙트비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배리어층(12)에 사용하는 층상 무기 화합물은, 평균 입자 직경이 3㎛ 이상이고, 또한 애스펙트비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평균 입자 직경, 애스펙트비는,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 직경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배리어층(12)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도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테이프재(1)의 신장 시에 균열이 발생하면 가소제 배리어성 및 수증기 배리어성이 저하된다. 테이프재(1)의 신장 시에 있어서의 배리어층(12)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배리어층(12)에는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가 알코올로서는,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세린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배리어층(12)에 신장 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배리어층(12)에 있어서의 다가 알코올의 첨가량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리어층(12)에 있어서의 다가 알코올의 첨가량을 늘리는 경우에는, 수증기 배리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원하는 신장 내성이나 수증기 배리어성은 테이프재의 사용 양태에 따라 상이하지만, 다가 알코올의 첨가량으로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의 합계량(100wt%)에 대하여 5wt% 이상 30wt%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코트층(14)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인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층(14)은, 배리어층(12)과 병용함으로써 지지 필름(10)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로 가교함으로써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 상에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도포 시공하여 건조시켜, 기재 상에 폴리비닐알코올로 구성된 층을 형성시킨다. 이 폴리비닐알코올로 구성된 층을 구비한 기재를 40℃ 온욕 중에 침지하면 30분 정도만에 폴리비닐알코올이 용해된다.
한편, 기재 상에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를 첨가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도포 시공하여 건조시켜, 기재 상에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구성된 층을 형성시킨다. 이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구성된 층을 구비한 기재를 40℃ 온욕 중에 침지해도 폴리비닐알코올이 용해되는 모습은 관찰되지 않는다. 이 현상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에 의해 내수성이 향상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를 사용한 오버코트층(14)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현상이 관찰된다.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로서는, 락트산티타늄, 탄산지르코늄암모늄, 옥시질산지르코늄이나, 물 가용성 지르코늄 화합물인 염화지르코닐 화합물, 지르코늄락테이트암모늄염, 아세트산지르코늄이나 황산지르코늄, 또한 물 가용성 티타늄 화합물인 티타늄락테이트암모늄염, 티타늄디이소프로폭시비스(트리에탄올아미네이트), 티타늄디에탄올아미네이트나 티타늄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올레이트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일부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가교시킴과 함께, 오버코트층(14)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는 배리어층(12)의 재료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수증기 배리어성을 더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 분산액을 층상 무기 화합물인 합성 마이카 분산액에 적하하면, 분산액 중의 합성 마이카가 응집된다. 또한,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 분산액을 수계 폴리우레탄 분산액에 적하하면, 수계 폴리우레탄 분산액이 응집되어, 겔화된다. 이들 현상으로부터,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는, 배리어층(12)에 포함되는 무기 층상 화합물과 폴리우레탄에 작용함으로써 수증기 배리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하는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의 사이에 그 밖의 층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배리어층(12) 형성 후에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해도 되고, 오버코트층(14) 형성 후에 배리어층(12)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을 상호 작용시키기 위해, 오버코트층(14)은, 배리어층(12)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적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을 상호 작용시키기 위해, 배리어층(12)을 형성한 후에, 배리어층(12) 상에 직접 오버코트층 도포액을 도포하여,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층(20)은, 점착성 기재에 가소제가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고, 오버코트층(14) 상에 있어서, 배리어층(12)이 마련된 면과는 반대면에 도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20)에 사용되는 점착제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천연 고무, 합성 이소프렌 고무, 재생 고무, 스티렌ㆍ부타디엔 고무(SBR),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폴리이소부틸렌, SEBS, SEPS 등의 고무계 고분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를 주 모노머로 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디메틸실록산, 디페닐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고분자, 폴리비닐에테르계, 폴리비닐에스테르계, EVA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각종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석유계 오일(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계 프로세스 오일, 방향족계 프로세스 오일 등), 이염기산에스테르(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 액상 고무(폴리부텐, 액상 이소프렌, 액상 폴리이소부틸렌 등), 식물성 오일계(피마자유, 톨유 등) 액상 지방산 에스테르류(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세바스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등), 트리아세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글리세린에스테르류, 계면 활성제류 등의 각종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성을 높이기 위해, 각종 점착 부여제를 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로진, 변성 로진, 로진에스테르 등의 로진계 수지, 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공중합계 석유 수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DCPD계 석유 수지 등의 석유 수지, 스티렌계 수지, 치환 스티렌계 수지, 크실렌 수지, 페놀계 수지, 크로만ㆍ인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테이프재의 용도에 따라, 항산화제, 충전제,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난연제, 도전제, 발포제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지지 필름(10)을 점착층(20)에 약제를 포함하는 부착제로 사용하는 경우, 약제가 지지체(11)에 도달하는 것이, 배리어층(12)에 의해 적합하게 방지된다.
박리 부재(30)는, 대상물에의 첩부 시까지 점착층(20)의 점착면을 보호하는 부재이며, 공지된 각종 박리지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재(1)가 코어재에 롤상으로 감기는 등의 경우에는, 반드시 박리 부재(30)를 구비하지는 않아도 된다.
지지 필름(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11)와 배리어층(12)의 사이에 언더코트층(13)을 형성해도 된다. 언더코트층(13)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양 등을 인쇄한 층을 언더코트층(13)으로서 형성하고, 지지 필름(10)에 모양이나 문자를 부가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언더코트층(13)은, 지지체(11)와 배리어층(12)의 사이에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패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언더코트층(13)의 형성에는 수성 잉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지지 필름(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지지체(11)를 준비한다(지지체 준비 공정). 이어서, 지지체(11)의 한쪽 면에, 배리어층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배리어층(12)을 형성한다(배리어층 형성 공정). 배리어층 도포액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분산매로서 물이 사용된다(배리어층 형성 공정). 또한, 배리어층 도포액은,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 도포액에 있어서는, 유화제나 분산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더 포함해도 된다. 또한, 분산매로서, 물 외에 알코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배리어층(12)이 지지 필름(10)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한다(오버코트층 형성 공정).
여기서,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하는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의 사이에 그 밖의 층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배리어층(12) 형성 후에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해도 되고, 오버코트층(14) 형성 후에 배리어층(12)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을 상호 작용시키기 위해, 오버코트층(14)은, 배리어층(12)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적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을 상호 작용시키기 위해, 배리어층(12)을 형성한 후에, 배리어층(12) 상에 직접 오버코트층 도포액을 도포하여,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필름(10)이 완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필름(1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지지체 준비 공정과, 배리어층 형성 공정의 사이에, 언더코트층(13)을 형성하는 언더코트층 형성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
배리어층(12)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오버코트층(14)을 형성시키면,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의 상기 상호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다.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 사이의 일부에 다른 층, 예를 들어 언더코트층(13)이나 메쉬상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배리어층(12)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오버코트층(14)을 적층시키면,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의 상기 상호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지지 필름(10)에 있어서의 각 층의 효과에 관한 실험과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1 배리어층에 사용하는 폴리우레탄의 검토)
(1-1 샘플의 작성)
배리어층에 사용하는 폴리우레탄의 후보로서,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계 폴리우레탄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변성 폴리올, 및 골격 내에 실라놀기를 함유하는 자기 가교성 폴리우레탄의 3종류를 선정하였다.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계 폴리우레탄으로서 샘플 I과 샘플 II의 2종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샘플 I과 샘플 II는, 모두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계 폴리우레탄이지만, 각각의 조성이 상이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변성 폴리올로서 샘플 III 내지 샘플 V의 3종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샘플 III 내지 샘플 V는, 모두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변성 폴리올을 사용한 폴리우레탄이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은 아니다. 또한, 샘플 III 내지 샘플 V의 샘플은 각각의 조성이 상이하다. 골격 내에 실라놀기를 함유하는 자기 가교성 폴리우레탄으로서 샘플 VI과 샘플 VII의 2종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샘플 VI과 샘플 VII은, 모두 골격 내에 실라놀기를 함유하는 자기 가교성 폴리우레탄이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은 아니다. 또한, 샘플 VI과 샘플 VII의 샘플은 각각의 조성이 상이하다.
또한, 배리어층으로서는, 폴리우레탄 단층의 배리어층과, 합성 마이카를 10wt% 첨가한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배리어층의 2종류를 준비하였다. 합성 마이카를 10wt% 첨가한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배리어층이란, 합성 마이카 10wt%와 폴리우레탄 90wt%를 포함하는 배리어층이다(고형분).
배리어층(12)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합성 마이카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1㎛이고 애스펙트비가 1000 이상인 합성 마이카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 1 및 이하의 실험에 있어서, 합성 마이카, 콜로이달 실리카,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평균 입자 직경, 애스펙트비의 측정 방법은, 모두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 직경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한 값이다.
상기 샘플을 사용하여, 가소제 배리어성 평가와 수증기 배리어성 평가의 2종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2종류의 평가는, 상이한 평가편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행하였다.
(1-2 실험 수순)
가소제 배리어성 평가에서는, 제작한 3종류의 샘플(100)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5mm×120mm의 크기로 잘라내고, 눈금이 기재되어 있는 흑색 아크릴판 상에, 평가편(100A)을 배리어층이 상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점착 테이프(101)에 의해 일단을 고정하였다. 이어서, 평가편(100A)에 대한 신장은 행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101)에 의해 평가편(100A)의 타단을 흑색 아크릴판 상에 고정하였다. 점착 테이프(101)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긴 변 방향의 치수(길이)는 100mm로 설정하였다.
아크릴판에 대한 각 평가편(100A)의 설치 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평가편(100A)에 가소제를 스포이트로 2방울(약 0.08g) 적하하고, 평가편(100A) 상에 있어서 면봉(112)을 사용하여 적하된 가소제를 50mm의 길이로 연신하였다. 가소제로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IPM)을 사용하였다.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및 3시간 방치 후에 가소제를 닦아내고, 지지체(11)의 팽윤 정도를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지표로서는, 팽윤에 의해 발생하는 지지체(11)의 주름 유무를 이용하였다(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이지 않음: A, 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임: B의 2단계 평가).
수증기 배리어성 평가에서는, JIS-Z0208(1976)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의해 수증기 투과도(WVTR)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개구부 직경 80mm 지그를 사용한 컵법에 의해 40℃ 90% RH(상대 습도)에서 3시간 정치한 후에 측정하고, 1㎡당 24시간의 투습량으로 환산하여, 수증기 투과도를 구하였다.
(1-3 결과)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가소제 배리어성을 평가한 결과,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계 폴리우레탄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에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수증기 배리어성 평가에 있어서도,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계 폴리우레탄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에서 양호한 특성이 얻어졌다. 특히, 층상 무기 화합물인 합성 마이카를 층 내에 10wt% 첨가함으로써 한층 더 낮은 수증기 투과도를 유지할 수 있어, 높은 수증기 배리어성을 발휘함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계 폴리우레탄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인 합성 마이카의 혼합물로 배리어층(12)을 형성함으로써, 가소제 배리어성과 수증기 배리어성을 양립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1에 기재된 가소제 배리어성 평가(신장 없음)의 결과는, 3시간 방치 후의 평가 결과이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01
이어서 배리어층(12)에 포함되는 층상 무기 화합물의 종류에 따른 수증기 배리어성을 평가하기 위해 행한 실험과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2 층상 무기 화합물에 관한 검토)
(2-1 샘플의 작성)
지지체 상에 배리어층으로서, 층상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우레탄 단층, 합성 마이카를 15wt% 첨가한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배리어층, 및 콜로이달 실리카를 15wt% 첨가한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배리어층을 형성한 3종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여기서, 합성 마이카를 15wt% 첨가한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배리어층이란, 합성 마이카가 15wt%, 또한 폴리우레탄이 85wt%가 되도록 형성된 배리어층이다(고형분).
또한, 콜로이달 실리카를 15wt% 첨가한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배리어층이란, 콜로이달 실리카가 15wt%, 또한 폴리우레탄이 85wt%가 되도록 형성된 배리어층이다(고형분).
배리어층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2-2 실험 수순)
수증기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은, 실험 1과 마찬가지이다.
(2-3 결과)
도 5에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의 그래프의 종축은 수증기 투과도를 나타내고 있다. 콜로이달 실리카와 같은 구상의 광물을 사용한 배리어층에서는 수증기 배리어성 향상의 효과는 적고, 합성 마이카를 사용한 배리어층에서는 수증기 배리어성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표 2에는 사용한 합성 마이카 및 콜로이달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및 애스펙트비를 나타낸다. 합성 마이카가 콜로이달 실리카보다 수증기 배리어성이 좋은 것은, 애스펙트비의 차이가 영향을 미쳤다고 고찰된다. 또한, 평균 입자 직경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고찰되며, 평균 입자 직경이 큰 쪽이, 수증기 배리어성이 양호하게 되었다. 이 결과는, 합성 마이카와 같은 층상 무기 화합물에 의한, 소위 미로 효과가 기여하였다고 고찰된다.
따라서, 합성 마이카 이외에도, 층상 무기 화합물인 천연 마이카나 몬모릴로나이트 등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02
이어서 다가 알코올에 의한 배리어층(12)의 신장 내성을 검토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3 다가 알코올에 의한 배리어층의 신장 내성 부여 효과의 검토)
(3-1 샘플의 작성)
글리세린을 첨가하지 않고, 10wt%의 합성 마이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레퍼런스로 하여(표 중에서는 Control이라고 표기), 10wt%의 합성 마이카를 포함하는 시료 1A, 15wt%의 합성 마이카를 포함하는 시료 2A, 20wt%의 합성 마이카를 포함하는 시료 3A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각각의 시료 1A 내지 3A에서 글리세린의 함유 비율(wt%)을 변화시킨 3종류의 베리에이션 샘플을 작성하였다. 여기서, Control은, 합성 마이카 10wt%와 폴리우레탄 90wt%를 배리어층(12)에 형성한 시료이다. 시료 1A는, 합성 마이카 10wt%와 폴리우레탄 90wt%(총 100wt%)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비율이 5 내지 12.5wt%가 되도록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배리어층(12)을 형성한 시료이다. 시료 2A는, 합성 마이카 15wt%와 폴리우레탄 85wt%(총 100wt%)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비율이 10 내지 15wt%가 되도록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배리어층(12)을 형성한 시료이다. 시료 3A는, 합성 마이카 20wt%와 폴리우레탄 80wt%(총 100wt%)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비율이 10 내지 15wt%가 되도록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배리어층(12)을 형성한 시료이다.
배리어층(12)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합성 마이카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1㎛이고 애스펙트비가 1000 이상인 합성 마이카를 사용하였다.
배리어층 상에는, 폴리비닐알코올 80wt%와 락트산티타늄 20wt%로 구성된 오버코트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층(14)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배리어층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3-2 실험 수순)
제작한 샘플을,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5mm×120mm의 크기로 잘라내어 평가편을 제작하였다.
눈금이 기재되어 있는 흑색 아크릴판 상에, 평가편을, 배리어층(12)이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점착 테이프에 의해 일단을 고정하였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가편을 긴 변 방향으로 20% 잡아늘이면서, 점착 테이프에 의해 평가편(100A)의 타단을 흑색 아크릴판(110) 상에 고정하였다. 점착 테이프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긴 변 방향의 치수(길이)는 신장 전에 있어서는 100mm이며, 20% 신장됨으로써 아크릴판(110)에 고정된 점착 테이프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긴 변 방향의 치수(길이)는 120mm가 되었다.
아크릴판(110)에 대한 각 평가편(100A)의 설치 후,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0% 신장된 상태에서 각 평가편에 가소제를 스포이트로 2방울(약 0.08g) 적하하고, 평가편(100A) 상에 있어서 면봉(112)을 사용하여 적하된 가소제를 50mm의 길이로 연신하였다. 가소제로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IPM)을 사용하였다.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및 3시간 방치 후에 가소제를 닦아내고, 지지체의 팽윤 정도를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지표로서는, 팽윤에 의해 발생하는 지지체(11)의 주름 유무를 이용하였다(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이지 않음: A, 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임: B의 2단계 평가).
또한, 각 평가편(100A)이 신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가소제 배리어성을 평가하였다. 각 평가편(100A)을 신장시키지 않고 아크릴판에 설치하고, 신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각 평가편(100A)에 가소제를 스포이트로 2방울(약 0.08g) 적하하고, 평가편(100A) 상에 있어서 면봉(112)을 사용하여 적하된 가소제를 50mm의 길이로 연신하였다. 가소제로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IPM)을 사용하였다.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및 3시간 방치 후에 가소제를 닦아내고, 지지체(11)의 팽윤 정도를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지표는 상기와 마찬가지(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이지 않음: A, 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임: B의 2단계 평가)이다.
(3-3 결과)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글리세린을 첨가하지 않는 레퍼런스(Control)에서는, 평가편(100A)이 신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가소제 배리어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평가편(100A)의 신장 시의 가소제 배리어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글리세린을 5wt% 이상 첨가함으로써 평가편(100A)에 있어서의 신장 내성(신장 시의 가소제 IPM의 침투성)이 발휘되기 시작하여, 10wt% 이상에서 신장 내성의 효과가 현저해졌다. 또한, 글리세린을 5wt% 이상 첨가한 시료 1A, 시료 2A, 시료 3A에 있어서, 상기 신장 내성이 얻어진 결과로부터, 신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가소제 배리어성을 당연히 갖고 있을(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이지 않음: 지표 A)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03
이어서 다가 알코올 및 층상 무기 화합물의 비율 변화에 의한 배리어층(12)의 수증기 배리어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4 첨가물의 비율에 의한 배리어층의 수증기 배리어성의 검토)
(4-1 샘플의 작성)
5wt%의 합성 마이카를 포함하는 시료 1B, 10wt%의 합성 마이카를 포함하는 시료 2B, 15wt%의 합성 마이카를 포함하는 시료 3B, 20wt%의 합성 마이카를 포함하는 시료 4B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시료 3B 및 시료 4B에서는, 글리세린의 함유 비율(wt%)을 변화시킨 4종류의 베리에이션 시료를 작성하였다. 여기서, 시료 1B는, 합성 마이카 5wt%와 폴리우레탄 95wt%(총 100wt%)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비율이 10wt%가 되도록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배리어층(12)을 형성한 시료이다. 시료 2B는, 합성 마이카 10wt%와 폴리우레탄 90wt%(총 100wt%)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비율이 10wt%가 되도록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배리어층(12)을 형성한 시료이다.
시료 3B는, 합성 마이카 15wt%와 폴리우레탄 85wt%(총 100wt%)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비율이 10 내지 20wt%가 되도록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배리어층(12)을 형성한 시료이다. 시료 4B는, 합성 마이카 20wt%와 폴리우레탄 80wt%(총 100wt%)에 대하여, 글리세린의 비율이 10 내지 20wt%가 되도록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배리어층(12)을 형성한 시료이다.
배리어층(12)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합성 마이카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1㎛이고 애스펙트비가 1000 이상인 합성 마이카를 사용하였다.
배리어층 상에는, 폴리비닐알코올 80wt%와 락트산티타늄 20wt%로 구성된 오버코트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층(14)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배리어층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4-2 실험 수순)
수증기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은, 실험 1과 마찬가지이다.
(4-3 결과)
결과를 도 7에 도시한다. 글리세린을 10wt% 포함한 시료 1B, 시료 2B, 시료 3B 및 시료 4B의 수증기 투과도의 결과로부터, 합성 마이카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수증기 투과도(WVTR)가 저하됨이 확인되었다. 단, 합성 마이카비가 15wt%를 초과하도록 합성 마이카의 첨가량을 증가시켜도 한층 더한 수증기 투과도의 저하는 관측되지 않았다. 수증기 배리어성에 공헌하는 합성 마이카의 첨가량에는 상한이 존재한다고 고찰된다.
시료 3B(합성 마이카 15wt%) 및 시료 4B(합성 마이카 20wt%)에 있어서, 글리세린비를 변화시켜 실험을 행한 결과, 글리세린비가 증대됨에 따라, 수증기 투과도가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실험 3 및 실험 4의 결과로부터, 글리세린의 첨가량이 증가되면 신장 시의 가소제 배리어성은 향상되기는 하지만, 수증기 배리어성은 저하된다고 고찰된다.
또한, 실험 4의 수증기 투과도의 결과가, 실험 1 및 실험 2의 수증기 투과도의 결과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은, 배리어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오버코트층(14)의 영향이라고 생각된다.
이어서, 배리어층(12)에 오버코트층(14)을 적층하였을 때의 가소제 배리어성 및 수증기 배리어성을 평가하기 위해 행한 실험과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5 배리어층에 오버코트층을 적층하였을 때의 수증기 배리어성의 평가)
(5-1 샘플의 작성)
지지체(11)만으로 형성된 샘플과, 지지체(11)에 배리어층을 형성한 샘플의 2종류의 기본 샘플을 준비하였다. 배리어층으로는, 합성 마이카와 글리세린의 첨가 유무의 조합에 따라 4가지의 베리에이션을 준비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배리어층 없음의 지지체(11)만으로 형성된 샘플, (2) 수계 폴리우레탄에 의해 구성된 배리어층이 지지체(11) 상에 형성된 샘플, (3) 수계 폴리우레탄 및 합성 마이카에 의해 구성된 배리어층이 지지체(11) 상에 형성된 샘플, (4) 수계 폴리우레탄 및 글리세린에 의해 구성된 배리어층이 지지체(11) 상에 형성된 샘플, 및 (5) 수계 폴리우레탄, 합성 마이카 및 글리세린에 의해 구성된 배리어층이 지지체(11) 상에 형성된 샘플과 같이, 5종의 배리어층 구성을 갖는 샘플을 작성하였다.
또한, 상기 (1) 내지 (5)의 배리어층 구성을 갖는 샘플의 각각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코올로 형성한 오버코트층을 적층한 샘플과, 락트산티타늄을 첨가한 오버코트층(14)을 적층한 샘플을 준비하였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배리어층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오버코트층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1.0g/㎡가 되도록 배리어층 상 혹은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3)의 합성 마이카를 첨가한 샘플은, 폴리우레탄 85wt%와 합성 마이카 15wt%로 배리어층(12)이 형성되어 있다.
(4)의 글리세린을 첨가한 샘플은, 폴리우레탄 90wt%와 글리세린 10wt%로 배리어층(12)이 형성되어 있다.
(5)의 합성 마이카 및 글리세린을 첨가한 샘플은, 폴리우레탄 75wt%와 합성 마이카 15wt%와 글리세린 10wt%로 배리어층(12)이 형성되어 있다.
(5-2 실험 수순)
가소제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은, IPM 침투성을 평가하는 실험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수증기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도, 실험 1과 마찬가지이다.
(5-3 결과)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폴리비닐알코올(표 4에서는 PVA라고 표기) 단독으로 오버코트층을 형성해도 수증기 배리어성의 개선은 낮다. 또한, 층상 무기 화합물인 합성 마이카를 포함하지 않는 배리어층에, 오버코트층을 적층해도 수증기 투과도는 약간밖에 저하되지 않는다.
한편, 배리어층에 층상 무기 화합물인 합성 마이카를 첨가한 경우에는, 수증기 투과도가 대폭 저하되며, 또한 오버코트층에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인 락트산티타늄을 첨가함으로써, 수증기 투과도를 한층 저하시킬 수 있다.
실험 3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인 글리세린을 배리어층(12)에 첨가함으로써, 신장 내성이 개선됨이 확인되었다. 배리어층에 오버코트층을 적층한 실험 5에 있어서도, 글리세린을 첨가함에 따른 신장 내성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배리어층을 형성하지 않고, 오버코트층만을 형성해도 수증기 배리어성은 거의 향상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오버코트층 자체는 배리어 기능을 갖지 않고, 배리어층과 오버코트층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증기 배리어성이 향상되었다고 고찰된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04
이어서, 오버코트층(14)에 첨가하는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종류를 변경하였을 때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평가하기 위해 행한 실험과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6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에 관한 검토)
(6-1 샘플의 작성)
배리어층(12)만을 형성하고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하지 않은 샘플, 폴리비닐알코올에 락트산티타늄을 첨가한 오버코트층(14)을 배리어층(12)에 적층한 샘플, 폴리비닐알코올에 탄산지르코늄암모늄을 첨가한 오버코트층(14)을 배리어층(12)에 적층한 샘플, 폴리비닐알코올에 옥시질산지르코늄을 첨가하여 형성한 오버코트층(14)을 배리어층(12)에 적층한 샘플의 4종류를 준비하였다.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첨가량은 모두 폴리비닐알코올 고형분 중량에 대하여,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액체 중량으로 30%이다.
어느 샘플의 배리어층(12)도 폴리우레탄 75wt%와, 합성 마이카 15wt%와, 글리세린 10wt%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배리어층(12)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오버코트층(14)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1.0g/㎡가 되도록 배리어층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6-2 실험 수순)
수증기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은, 실험 1과 마찬가지이다.
(6-3 결과)
도 8에 오버코트층(14)에서의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종류를 변화시켰을 때의 수증기 배리어성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폴리비닐알코올의 가교제로서 알려진 락트산티타늄을 오버코트층(14)에 첨가하였을 때에 가장 수증기 투과도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옥시질산지르코늄이나 탄산지르코늄암모늄을 오버코트층(14)에 첨가한 경우에도, 수증기 투과도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오버코트층(14)에 첨가하는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첨가량을 변경하였을 때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평가하기 위해 행한 실험과 그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7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첨가량에 관한 검토)
(7-1 샘플의 작성)
오버코트층이 폴리비닐알코올만으로 형성된 샘플, 오버코트층(14)이 락트산티타늄을 첨가한 폴리비닐알코올로 형성된 샘플을 준비하였다.
락트산티타늄을 포함하는 샘플은, 폴리비닐알코올 고형분 중량에 대하여, 락트산티타늄 수분산액의 제품 중량으로 20wt%, 30wt%, 40wt%, 50wt%가 되도록 락트산티타늄 수분산액을 첨가한 4종류이다. 락트산티타늄 수분산액의 고형분 비율은 44wt%이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코올 고형분 중량에 대하여, 락트산티타늄 수분산액의 제품 중량으로 20wt%를 첨가한 샘플에는, 폴리비닐알코올 100wt%에 대하여 락트산티타늄이 8.8wt%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폴리비닐알코올 고형분 중량에 대하여, 락트산티타늄 수분산액의 제품 중량으로 30wt%, 40wt%, 50wt%를 첨가한 샘플에는, 폴리비닐알코올 100wt%에 대하여 락트산티타늄이 각각 13.2wt%, 17.6wt%, 22wt% 포함된다.
어느 샘플의 배리어층(12)도 폴리우레탄 75wt%와, 합성 마이카 15wt%와, 글리세린 10wt%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배리어층(12)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오버코트층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1.0g/㎡가 되도록 배리어층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7-2 실험 수순)
수증기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은, 실험 1과 마찬가지이다.
(7-3 결과)
도 9에, 오버코트층에서의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의 첨가량을 변화시켰을 때의 수증기 배리어성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락트산티타늄의 첨가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수증기 투과도를 저하시킬 수 있지만, 30wt%를 넘어 첨가량을 증가시켜도 한층 더한 수증기 투과도의 저하는 관측되지 않았다. 수증기 배리어성에 공헌하는 첨가량에는 상한이 존재한다고 고찰된다.
이어서 오버코트층(14)을 적층한 배리어층(12)에 포함시키는 층상 무기 화합물의 종류에 따른 수증기 배리어성을 평가하기 위해 행한 실험과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2와 마찬가지의 실험을, 오버코트층(14)을 적층한 지지 필름(10)에 대하여 행하였다.
(실험 8 층상 무기 화합물의 검토)
(8-1 샘플의 작성)
지지체(11) 상에 배리어층(12)으로서, 합성 마이카를 15wt%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배리어층, 몬모릴로나이트를 15wt%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배리어층, 및 콜로이달 실리카를 15wt%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배리어층을 형성한 3종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샘플의 배리어층(12)에는, 락트산티타늄을 첨가한 폴리비닐알코올로 형성된 오버코트층(14)이 적층되어 있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배리어층(12)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오버코트층(14)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1.0g/㎡가 되도록 배리어층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8-2 실험 수순)
수증기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은, 실험 1과 마찬가지이다.
(8-3 결과)
도 10에 결과를 도시한다. 도 10의 그래프의 종축은 수증기 투과도를 나타내고 있다.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하지 않고, 폴리우레탄 단층으로 배리어층을 형성한 샘플의 수증기 투과도의 결과는, 실험 2의 결과이다. 어느 층상 무기 화합물을 배리어층에 첨가한 경우에도, 폴리우레탄 단층으로 배리어층을 형성한 샘플보다 수증기 투과도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층상 무기 화합물로서 합성 마이카를 첨가한 샘플에서 가장 수증기 투과도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5에는 사용한 합성 마이카 및 콜로이달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및 애스펙트비를 나타낸다.
합성 마이카나 몬모릴로나이트가 콜로이달 실리카보다 수증기 배리어성이 좋은 것은, 애스펙트비의 차이가 영향을 미쳤다고 고찰된다. 또한, 평균 입자 직경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고찰되며, 평균 입자 직경이 큰 쪽이, 수증기 배리어성이 양호하게 되었다. 이 결과는, 합성 마이카나 몬모릴로나이트와 같은 층상 무기 화합물에 의한, 소위 미로 효과가 기여하였다고 고찰된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05
마지막으로, 가소제 배리어성의 평가에 사용하는 가소제를 변경한 경우의 가소제 배리어성을 평가하기 위해 행한 실험과 그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9 가소제의 차이에 의한 가소제 배리어성의 평가)
(9-1 샘플의 작성)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지지체(11)에, 배리어층(12)과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하였다. 배리어층(12)에는, 폴리우레탄(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 이용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계 폴리우레탄) 78wt%, 합성 마이카 12wt%, 및 글리세린 10wt%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오버코트층(14)에는, 폴리비닐알코올 90wt%와 락트산티타늄 10wt%가 포함되어 있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배리어층(12)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오버코트층(14)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1.0g/㎡가 되도록 배리어층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비교용 샘플로서, 배리어층(12) 및 오버코트층(14)이 모두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폴리우레탄만으로 형성된 지지 필름(10)을 준비하였다(이후, 이것을 「비교 샘플」이라고 함).
(9-2 실험 수순)
가소제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은, 실험 3과 마찬가지이다. 실험 3에서는, 가소제 배리어성의 평가에 사용하는 가소제로서, IPM(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만을 사용하였지만, 실험 9에서는 이것에 추가하여, 트리아세틴(TA), 모노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MGIS),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SMO)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에 있어서의 목시 확인을 행하는 경과 시간은, 실험 1에 있어서는 30분간과 3시간의 2종류였지만, 실험 9에서는 1시간 및 2시간 경과 시에 있어서도 샘플의 목시 확인을 행하였다. 여기서, 경과 시간이란, 가소제 도포 후부터 표면 관찰까지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9-3 결과)
표 6에 배리어층(12) 및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한 샘플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 7에 비교 샘플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결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10)은,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IPM)뿐만 아니라, 트리아세틴(TA), 모노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MGIS),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SMO)에 대한 가소제 배리어성 및 신장 내성(20% 신장 시의 가소제 배리어성)을 구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7에 있어서는, 경과 시간이 1시간 이상인 평가 결과가 「-」(측정하지 않음)로 되어 있지만, 0.5시간(30분간) 경과 후의 평가가 「B」 평가(팽윤에 의한 주름을 보임)라는 점에서, 그 이상의 경과 시간 후의 평가가 「B」 평가임은 명확하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06
Figure 112019007782592-pct00007
(실험 10 층상 무기 화합물에 관한 검토/수증기 배리어성)
(10-1 샘플의 작성)
지지체 상에 층상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우레탄 단층으로 구성된 배리어층을 형성한 시료 1C, 지지체 상에 폴리우레탄 80wt%에 대하여 합성 마이카를 20wt% 첨가한 배리어층을 형성한 시료 2C, 및 지지체 상에 폴리우레탄 80wt%에 대하여 몬모릴로나이트를 20wt% 첨가한 배리어층을 형성한 시료 3C의 3종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또한, 실험 10에 관한 배리어층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3.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10-2 실험 수순)
수증기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은, 실험 1과 마찬가지이며, JIS-Z0208(1976)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의해 수증기 투과도(WVTR)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개구부 직경 80mm 지그를 사용한 컵법에 의해 40℃ 90% RH(상대 습도)에서 3시간 정치한 후에 측정하고, 1㎡당 24시간의 투습량으로 환산하여, 수증기 투과도를 구하였다.
(10-3 결과)
수증기 배리어성에 관한 결과는 이하의 표 8에 나타내는 결과가 얻어졌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08
배리어층 재료(층상 무기 화합물)로서, 합성 마이카 대신에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양호한 수증기 배리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험 10에 사용한 합성 마이카 및 몬모릴로나이트의 평균 입자 직경 및 애스펙트비는 이하의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09
합성 마이카를 사용한 경우에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한 경우보다 수증기 배리어성이 좋은 것은, 애스펙트비의 차이가 영향을 미쳤다고 고찰된다. 또한, 평균 입자 직경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고찰되며, 평균 입자 직경이 큰 쪽이, 수증기 배리어성이 양호하게 되었다. 이 결과는, 층상 무기 화합물에 의한, 소위 미로 효과가 기여하였다고 고찰된다.
(실험 11 층상 무기 화합물에 관한 검토/가소제 배리어성)
(11-1 샘플의 작성)
(1) 폴리우레탄이 80wt% 및 몬모릴로나이트가 20wt%가 되도록 형성된 배리어층을 지지체 상에 형성한 시료 1D와, (2) 폴리우레탄이 72wt%, 몬모릴로나이트가 18wt% 및 글리세린이 10wt%가 되도록 형성된 배리어층을 지지체 상에 형성한 시료 2D의 2종류의 샘플을 준비하였다.
또한, 배리어층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또한, 배리어층 상에는, 폴리비닐알코올 80wt%와 락트산티타늄 20wt%로 구성된 오버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오버코트층은, 배리어층(12)과 병용함으로써 지지 필름(10)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향상시킨다.
오버코트층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배리어층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실험 11에 사용한 몬모릴로나이트의 평균 입자 직경 및 애스펙트비는 이하의 표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112019022856850-pct00023
(11-2 실험 수순)
가소제 배리어성 평가에서는, 제작한 2종류의 샘플(100)(시료 1D, 시료 2D)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5mm×120mm의 크기로 잘라내고, 눈금이 기재되어 있는 흑색 아크릴판 상에, 평가편(100A)을 오버코트층이 상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점착 테이프에 의해 일단을 고정하였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가편(100A)을 긴 변 방향으로 10% 및 20% 잡아늘이면서, 점착 테이프에 의해 평가편(100A)의 타단을 흑색 아크릴판(110) 상에 고정하였다. 점착 테이프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긴 변 방향의 치수는 100mm로 설정하였다.
아크릴판에의 설치 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평가편(100A)에 가소제를 스포이트로 2방울(약 0.08g) 적하하고, 평가편(100A) 상에 있어서 면봉(112)을 사용하여 적하된 가소제를 50mm의 길이로 연신하였다.
가소제로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IPM)을 사용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방치한 후에 가소제를 닦아내고, 지지체(11)의 팽윤 정도를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지표로서는, 팽윤에 의해 발생하는 지지체(11)의 주름 유무를 이용하였다(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이지 않음: A, 팽윤에 의한 주름이 보임: B의 2단계 평가).
(11-3 결과)
이하의 표 11에 나타내는 결과가 얻어졌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11
배리어층 재료(층상 무기 화합물)로서, 합성 마이카 대신에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배리어층에 글리세린을 첨가함으로써 가소제 배리어성이 향상됨이 시사되었다.
(실험 12 오버코트 재료에 관한 검토)
(12-1 샘플의 작성)
폴리비닐알코올에 락트산티타늄을 첨가한 오버코트층(14)을 배리어층(12)에 적층한 샘플(시료 1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에 락트산티타늄을 첨가한 오버코트층(14)을 배리어층(12)에 적층한 샘플(시료 2E)을 준비하였다.
시료 1E 및 시료 2E의 어느 샘플의 배리어층(12)도 폴리우레탄 75wt%와, 합성 마이카 15wt%와, 글리세린 10wt%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오버코트층에 대해서는, 시료 1E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80wt%와 락트산티타늄 20wt%로 구성된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하였다.
시료 2E에서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80wt%와 락트산티타늄 20wt%로 구성된 오버코트층(14)을 형성하였다.
지지체(11)로서는, 두께 20㎛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제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배리어층(12)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2.0g/㎡가 되도록 지지체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오버코트층(14)은 도포액의 고형분이 1.0g/㎡가 되도록 배리어층 상에 도포 형성하였다.
(12-2 실험 수순)
수증기 배리어성의 실험 수순은, 실험 1과 마찬가지이며, JIS-Z0208(1976)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의해 수증기 투과도(WVTR)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개구부 직경 80mm 지그를 사용한 컵법에 의해 40℃ 90% RH(상대 습도)에서 3시간 정치한 후에 시료 1E 및 시료 2E의 WVTR을 측정하고, 1㎡당 24시간의 투습량으로 환산하여, 수증기 투과도를 구하였다.
가소제 배리어성 평가에서는, 제작한 2종류의 샘플(100)(시료 1E 및 시료 2E)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5mm×120mm의 크기로 잘라내고, 눈금이 기재되어 있는 흑색 아크릴판 상에, 평가편을 오버코트층이 상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점착 테이프에 의해 일단을 고정하였다.
이어서, 평가편에 대한 신장은 행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에 의해 평가편의 타단을 흑색 아크릴판 상에 고정하였다.
점착 테이프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긴 변 방향의 치수는 100mm로 설정하였다.
아크릴판에의 설치 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평가편(100A)에 가소제를 스포이트로 2방울(약 0.08g) 적하하고, 면봉(112)을 사용하여 50mm의 길이로 연신하였다.
가소제로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IPM)을 사용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방치한 후에 가소제를 닦아내고, 지지체(11)의 팽윤 정도를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12-3 결과)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1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07782592-pct00012
오버코트 재료에, PVA 대신에 EVOH를 사용한 경우에도, 양호한 수증기 배리어성을 나타냄을 알았다. 단, 오버코트 재료에 PVA를 사용한 시료 1E와 오버코트 재료에 EVOH를 사용한 시료 2E를 비교하면, 시료 1E 쪽이 보다 양호한 수증기 배리어성을 나타냄을 알았다. 또한, 가소제 배리어성 평가는, PVA 대신에 EVOH를 사용한 경우(시료 2E)에도 양호하게 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필름(10)에 있어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12)과,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14)을 마련함으로써, 가소제 배리어성을 유지하면서, 수증기 배리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의 조합을 바꾸거나, 각 구성 요소에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거나, 삭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테이프재
10: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11: 지지체
12: 배리어층
13: 언더코트층
14: 오버코트층
20: 점착층
30: 박리 부재

Claims (10)

  1.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이며,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필름상의 지지체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과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배리어층과,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을 구비하는,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은 상기 배리어층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가 락트산티타늄인,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과,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형성된 점착층
    을 구비하는, 테이프재.
  5.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필름상의 지지체를 준비하고,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에,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과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형성하고,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유기 금속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을 형성하는,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을 형성할 때, 상기 배리어층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오버코트층이 형성되는,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무기 화합물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이상이고, 또한 애스펙트비가 100 이상인,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의 첨가량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의 합계량(100wt%)에 대해 5wt% 이상 30wt% 이하의 범위인,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무기 화합물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이상이고, 또한 애스펙트비가 100 이상인,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의 첨가량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우레탄과 층상 무기 화합물의 합계량(100wt%)에 대해 5wt% 이상 30wt% 이하의 범위인,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97002119A 2016-08-04 2017-08-02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테이프재, 및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368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3932 2016-08-04
JP2016153932 2016-08-04
PCT/JP2017/027982 WO2018025895A1 (ja) 2016-08-04 2017-08-02 テープ材用支持フィルム、テープ材、およびテープ材用支持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208A KR20190034208A (ko) 2019-04-01
KR102368470B1 true KR102368470B1 (ko) 2022-02-28

Family

ID=6107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119A KR102368470B1 (ko) 2016-08-04 2017-08-02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테이프재, 및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160797A1 (ko)
EP (1) EP3483229B1 (ko)
JP (1) JP6948326B2 (ko)
KR (1) KR102368470B1 (ko)
CN (1) CN109563379B (ko)
ES (1) ES2962130T3 (ko)
TW (1) TWI726135B (ko)
WO (1) WO2018025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8327B2 (ja) * 2016-08-04 2021-10-13 凸版印刷株式会社 テープ材用支持フィルムおよびテープ材
JP6807195B2 (ja) * 2016-09-15 2021-01-06 日東電工株式会社 生体貼付用積層体
CN111868191B (zh) * 2018-03-14 2023-01-24 阪东化学株式会社 表面保护膜、表面保护膜层叠体及表面保护膜的制造方法
WO2020172791A1 (en) * 2019-02-26 2020-09-03 Avery Dennison Corporation Psa composition with ultra-low temperature perform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047A (ja) 1999-07-27 2001-04-10 Takeda Chem Ind Ltd ガスバリア性ポリウレタン樹脂及びこれを含む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JP2012210805A (ja) 2011-03-18 2012-11-01 Ricoh Co Ltd 可逆性感熱記録媒体及び可逆性感熱記録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7812B2 (ja) * 1990-05-31 2000-01-11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耐寒・ガスバリヤ性積層シートからなるダイヤフラム
JP3351208B2 (ja) * 1995-11-30 2002-11-25 東レ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
US7063859B1 (en) * 1999-04-28 2006-06-20 Noven Pharmaceuticals, Inc. Barrier film lined backing lay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active agents
US20030187113A1 (en) * 2002-03-27 2003-10-02 Jsr Corporation Gas barrie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344673B2 (ja) * 2003-10-15 2009-10-14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フィルム
JP2005220154A (ja) * 2004-02-03 2005-08-18 Sumitomo Chemical Co Ltd 多層フィルムおよび重包装用袋
WO2006044206A2 (en) * 2004-10-08 2006-04-27 Noven Pharmaceuticals, Inc.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including an occlusive backing
JP5213357B2 (ja) * 2007-06-04 2013-06-19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ラミネート用バリア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ラミネート用バリア性複合フィルム
CN101412871A (zh) * 2007-10-16 2009-04-22 达信科技股份有限公司 制备粘合剂的方法
KR102028210B1 (ko) * 2010-07-29 2019-10-02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및 테이프재
CN103140351B (zh) * 2010-07-29 2015-09-16 久光制药株式会社 带材用支承膜以及带材
ES2536988T3 (es) * 2011-03-29 2015-06-01 Sun Chemical B.V. Un sistema de barrera de dos recubrimientos que comprende poliuretano
PE20141701A1 (es) * 2011-08-24 2014-11-14 Dainippon Ink & Chemicals Composicion de resina que contiene un compuesto inorganico tipo placa y utilizado para adhesivos, y adhesivo
KR101943144B1 (ko) 2012-01-27 2019-01-28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및 테이프재
JP6191221B2 (ja) * 2013-04-25 2017-09-06 凸版印刷株式会社 水系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KR101357147B1 (ko) * 2013-05-25 2014-02-05 주식회사 아셀 다기능 복합필름으로 이루어진 수도 계량기용 체적팽창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6199706B2 (ja) * 2013-07-30 2017-09-20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積層体
EP3029082B1 (en) * 2013-07-30 2019-09-04 Mitsui Chemicals, Inc. Polyurethane dispersion and polyurethane laminate
JP6165038B2 (ja) * 2013-11-29 2017-07-19 三井化学株式会社 積層体
JP6349170B2 (ja) * 2014-07-03 2018-06-27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US20170210867A1 (en) * 2016-01-22 2017-07-27 Michelman, Inc. Coatings and coated substrates with improved barrier and adhes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10010511B2 (en) * 2016-05-25 2018-07-03 Prosolus, Inc.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JP6948327B2 (ja) * 2016-08-04 2021-10-13 凸版印刷株式会社 テープ材用支持フィルムおよびテープ材
JP6831744B2 (ja) * 2017-04-20 2021-02-1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医療用フィルム及び医療用貼付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047A (ja) 1999-07-27 2001-04-10 Takeda Chem Ind Ltd ガスバリア性ポリウレタン樹脂及びこれを含む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JP2012210805A (ja) 2011-03-18 2012-11-01 Ricoh Co Ltd 可逆性感熱記録媒体及び可逆性感熱記録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5895A1 (ja) 2018-02-08
JP6948326B2 (ja) 2021-10-13
ES2962130T3 (es) 2024-03-15
EP3483229A4 (en) 2020-03-11
KR20190034208A (ko) 2019-04-01
EP3483229B1 (en) 2023-10-04
JPWO2018025895A1 (ja) 2019-06-06
TWI726135B (zh) 2021-05-01
US20190160797A1 (en) 2019-05-30
CN109563379A (zh) 2019-04-02
CN109563379B (zh) 2021-11-02
TW201808646A (zh) 2018-03-16
EP3483229A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470B1 (ko)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테이프재, 및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의 제조 방법
CN101617013B (zh) 表面保护片
JP6545466B2 (ja) 粘着テープ
JP5992312B2 (ja) 塗装面の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TW201026502A (en) Surface protective film
KR20060126760A (ko) 접착 촉진 첨가제를 함유하는 기재 및 이들로부터 제조된용품
JP6026255B2 (ja) 塗装面の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CN114555747A (zh) 热熔胶组合物、胶带以及胶带的制造方法
KR102368471B1 (ko) 테이프재용 지지 필름 및 테이프재
KR20190113807A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
KR102031132B1 (ko) 노출 자착식 방수시트
ES2843299T3 (es) Masa adhesiva resistente a la intemperie con buenas propiedades de fluidez y cintas adhesivas a base de la misma
JP4479867B2 (ja) ルーフィング用接着布、それと積層したルーフィン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水施工法
JP2013189006A (ja) 表面保護シート
CA3070277A1 (en) Barrier coating for adhesive labels
CN112585232A (zh) 具有良好的可流动性的耐候性胶粘剂和基于其的胶带
WO2013121888A1 (ja) 表面保護シート
KR20170090920A (ko) 내열수성이 우수한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