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411B1 -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411B1
KR102368411B1 KR1020200080008A KR20200080008A KR102368411B1 KR 102368411 B1 KR102368411 B1 KR 102368411B1 KR 1020200080008 A KR1020200080008 A KR 1020200080008A KR 20200080008 A KR20200080008 A KR 20200080008A KR 102368411 B1 KR102368411 B1 KR 10236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runners
injector
mounting part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713A (ko
Inventor
김대중
김기현
Original Assignee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4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8Connections of intake systems to the engine
    • F02M35/10085Connections of intake systems to the engine having a connecting piece, e.g. a flange, between the engine and the air intake being foreseen with a throttle valve, fuel injector, mixture duc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26Plenum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2Intake run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08Intake manifold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take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체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쉘을 서로 간에 융착하지 않고서도 제작이 가능한 흡기매니폴드용 어댑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ADAPTOR FOR AN INTAKE MANIFOLD}
본 발명은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에 구비된 실린더 내부로 연소용 혼합기를 공급하는 흡기 매니폴드의 성형과 제작성을 향상시킨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엔진은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실린더가 구비되고, 각 실린더 내에서 적정 비율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가 연소됨으로써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차량의 구동에 이용한다.
이러한 차량용 엔진의 실린더 헤드 측에는 흡기매니폴드가 설치되고, 상기 흡기매니폴드를 통해 공기가 엔진의 실린더로 공급된다. 흡기매니폴드는 일측에 구비된 플레넘(plenum, 또는 서지탱크) 및 플레넘에 소통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런너가 형성된다.
종래의 흡기매니폴드는 알루미늄, 스틸, 주철제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중량이 매우 무겁고,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유발되었다.
최근에는 경량화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흡기 매니폴드가 활용되고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흡기매니폴드는 사출성형의 용이화를 위하여 분할면을 가진 복수의 하우징으로 여러 개로 분할된 단위 쉘(unit shell)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 쉘은 상하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며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에 융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융착 리브들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진동 융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흡기매니폴드는 복수의 하우징이 단위 쉘로 서로 접촉하는 융착 리브가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작을 위한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상기 단위 쉘은 외부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실린더 헤드측으로의 장착이 용이하지 못하고, 상기 융착리브가 결합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분할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이러한 융착리브의 돌출구조에 의해 실린더 헤드측에 장착할 경우 분할면의 융착리브가 툴링(tooling)장비와의 간섭이 발생하여 플라스틱 흡기매니폴드를 실린더 헤드 측에 장착하는 작업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상기 흡기매니폴드의 플랜지를 실린더 헤드 측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직선화시키지 못함에 따라 작업자의 체결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발생되었고, 이러한 복잡한 작업공정에 의해 품질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유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287호(발명의 명칭: 분리가능한 어댑터를 가진 흡기매니폴드)를 통해서, 상기 흡기매니폴드 중 일부를 분리하여 형성되는 어댑터를 갖도록 함으로써, 흡기매니폴드의 장착 과정을 단순화한 바 있다. 상기 어댑터를 이용함으로써, 실린더 헤드에 먼저 어댑터를 장착한 후, 어댑터 상측에 흡기매니폴드의 플래넘을 거치 및 장착하는 과정을 통해 종래에 비해 흡기매니폴드를 매우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댑터의 형상은 상기 흡기매니폴드의 형상과 위치 그리고 실린더 헤드의 사양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실린더 헤드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흡기구들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나, 흡기매니폴드는 엔진룸 내의 공간점유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가급적 좁은 면적을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러너는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모아지는 형태를 갖게 되며, 그에 따라 다양한 곡선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게 된다. 특히, 복수 개의 실린더가 일렬로 배치되는, 소위 인라인 엔진에 비해서, V자 형태로 배치되는 V형 엔진의 경우 러너의 곡선은 복잡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어댑터의 제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의 경량화 추세에 따라서, 상기 어댑터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갖는 어댑터의 경우 한번에 사출 성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국, 어댑터를 복수 개의 부분으로 분할 성형한 후 이를 접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이러한 복잡한 제조 공정은 어댑터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912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어댑터를 한 번의 성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러너(212)가 서로 마주보며 행 방향(raw direction)으로 연장된 러너부(210); 상기 러너부(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면과 하측에 일체 형성되어 인젝터(1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인젝터 장착부(220); 상기 러너부(210)의 상면과 하면에 일체 형성된 플랜지부(230); 및 상기 러너부(210)의 하면 내측에서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를 서로 간에 연결하는 지지 리브(240)를 포함한다.
상기 러너부(210)는 위에서 바라볼 때 복수 개의 러너(212)가 2열로 배치되고, 상기 러너(212) 사이를 서로 간에 일체로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러너 연결부(2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러너 연결부(211)는 양단이 상기 러너(212)의 중앙 위치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젝터 장착부(220)는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외측 중앙에 각각 위치되고, 상면을 바라보며 인젝터 삽입 홀(224b)이 형성된 제1 장착부(224); 상기 러너 연결부(211)의 중앙에 각각 위치되고, 인젝터의 위치 고정을 도모하기 위한 위치 고정 홀(222a)이 형성된 제2 장착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인젝터 장착부(220)는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장착부(222) 보다 상기 제1 장착부(224)가 좌우 양측면에서 최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장착부(224)는 상기 제2 장착부(221)가 서로 간에 이격된 이격 거리(L)의 중간(L/2)에 위치된다.
상기 러너 연결부(211)는 상기 인젝터와 서로 마주보는 사이가 이격된 간격(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장착부(224)는 인젝터 삽입 홀(224b)의 외측으로 라운드 지게 돌출된 제1 라운드 부(224R1); 상기 제1 라운드 부(224R1)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2,3 라운드 부(224R2, 224R3)를 포함한다.
상기 제2,3 라운드 부(224R2, 224R3)에는 내측에 제1 살빼기 홈(224a1)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30)는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상면 가장 자리 외측으로 제1 삽입 홈(232a)이 형성된 제1 플랜지(232); 상기 러너부(2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하면 가장 자리 외측으로 제2 삽입 홈(232b)이 형성된 제2 플랜지(2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리브(240)는 사출을 위해 레진이 주입되는 주입구(241)가 형성되며, 전후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러너(212)를 제1 방향에서 연결하는 판 형태의 제1 지지 리브(242); 상기 제1 지지 리브(242)와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러너(212)를 연결하는 판 형태의 제2 지지 리브(244); 상기 러너 연결부(211)에서 일체로 형성된 내측면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 리브(244)와 상이한 제3 방향에서 상기 제2 지지 리브(244)와 교차된 제3 지지 리브(246)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어댑터 전체를 한 번에 일체 사출 성형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의 단순화와, 불량률 저감 및 그로 인한 제조 단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어댑터가 적용된 흡기매니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횡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어댑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어댑터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어댑터에 설치된 인젝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어댑터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흡기매니폴드용 어댑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흡기매니폴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실시 예에 의한 흡기매니폴드는 서지탱크(100)와, 상기 서지탱크(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어댑터(1)를 포함한다. 상기 서지탱크(100)는 판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 서지탱크 본체(110) 및 상기 서지탱크 본체(110)의 형태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고 상기 서지탱크 본체(110)의 상부를 덮는 서지탱크 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서지탱크(100)는 일측에 도시되지 않은 스로틀 바디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12)와 서지탱크 본체(110)를 연결하는 덕트(11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지탱크(100)는 타측에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서지탱크 내부의 공기 유로를 가변시키는 밸브(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 액츄에이터(130)가 구비된다. 상기 서지탱크의 형태 및 구조 그리고 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1)를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서지탱크의 형태 및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어댑터(1)는 상기 서지탱크(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도 1을 기준으로 하부면이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헤드에 체결되며, 상기 서지탱크(100)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공기를 실린더 내부로 전달하는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서지탱크(100)와 어댑터(1)는 서로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어, 실린더 헤드에 될 때 상기 어댑터(1)만을 먼저 실린더 헤드에 체결한 후, 상기 서지탱크 커버(120)를 열어 어댑터(1)의 상부면에 서지탱크 본체(110)를 결합한다.
그리고 서지탱크 커버(120)를 닫아 흡기매니폴드의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종래에 서지탱크(100)와 어댑터(1)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서 체결 지점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흡기매니폴드의 조립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어댑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1)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러너(212)가 서로 마주보며 행 방향(raw direction)으로 연장된 러너부(210)와, 상기 러너부(210)의 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면과 하측에 일체 형성되어 인젝터(1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인젝터 장착부(220)(도 6 참조)와, 상기 러너부(210)의 상면과 하면에 일체 형성된 플랜지부(230)(도 3 참조) 및 상기 러너부(210)의 하면 내측에서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를 서로 간에 연결하는 지지 리브(240)(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러너부(210)는 위에서 바라볼 때 복수 개의 러너(212)가 2열로 배치된 총 N개의 러너(2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러너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엔진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어댑터가 직렬 4기통 엔진에 적용되는 경우라면, 상기 러너는 4개가 일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V형 8기통 엔진에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러너는 각 열당 4개씩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어댑터는 V형 N기통 엔진에 적용된다.
어댑터(1)는 위에서 바라볼 때 인젝터(10)가 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외측에 각각 설치된다.
플랜지부(230)는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상면 가장 자리 외측으로 제1 삽입 홈(232a)이 형성된 제1 플랜지(232)와, 상기 러너부(2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하면 가장 자리 외측으로 제2 삽입 홈(232b)이 형성된 제2 플랜지(23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태를 가지며, 러너부(21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원호 형태의 라운드진 곡률을 갖고 각각 독립되게 연장된다. 상기 러너부(210)는 복수개의 러너(212) 사이를 서로 간에 일체로 연결하기 러너 연결부(211)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개의 러너(212)가 서로 간에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는 러너 연결부(211)를 매개로 서로 간에 연결되고, 상기 러너 연결부(211)는 양단이 상기 러너(212)의 장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중앙에 연결된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러너(211)를 위에서 바라볼 때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장방향은 길게 연장된 방향(행방향)을 의미한다.
러너 연결부(211)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러너(212) 사이를 연결하며 복수개의 러너(212)를 서로 간에 연결하여 사출 성형된 이후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러너(212)는 러너부(210)를 위에서 바라볼 때 행 방향(raw direction)에서 연장된 길이가 폭 방향에서 연장된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상기 러너 연결부(211)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 비틀림으로 인한 치수 불량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러너(212)는 원호 형태의 라운드 진 곡률을 갖고 연장되므로 유체의 이동에 따른 박리 현상이 최소화 된다. 상기 어댑터는 종래와 같이 복수개의 단위 쉘을 서로 간에 융착 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지 않고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제작이 가능해지므로 치수 정밀도가 정확해지고, 제작을 위한 원가가 절감되며, 박리 현상 감소로 인한 유체의 이동 안전성이 향상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러너(212)는 외측에서 바라볼 때 2개가 러너(212)의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 리브(212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리브(212a)는 상기 러너(212)의 외측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연장되므로 위치에 상관 없이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돌출 리브(212a)는 러너(212)를 외측에서 바라볼 때 행 방향 외측면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 되고, 인젝터(1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레이 아웃으로 성형되지 않아 설치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장착부(224)와 제2 장착부(222)는 각기 서로 다른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데, 사출 성형을 한 번에 실시하기 위해 금형들이 조립된 이후에 슬라이드 이동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장착부(224)가 제2 장착부(222)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1 장착부(224)에 대한 성형은 구성 설명을 모두 실시한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장착부(224)는 상기 제2 장착부(222)가 서로 간에 이격된 이격 거리(L)의 중간(L/2)에 위치된다. 상기 제1 장착부(224)가 상기 위치에 위치되는 이유는 어댑터(1)를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제작할 때 고온의 사출물이 주입되면서 온도차이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1 장착부(224)는 러너(212) 외측 하부에 사출 성형되면서 살 두께가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사출물 자체의 온도가 고온으로 주입되므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위치 및 형태로 성형된다. 본 실시 예는 제1 장착부(224)로 사출물이 주입될 때 열이 특정 위치에 집중되지 않고 최대한 확산 되도록 인젝터 삽입 홀(224b)의 외측으로 라운드 지게 돌출된 제1 라운드 부(224R1)가 형성된다.
제2,3 라운드 부(224R2, 224R3)는 상기 제1 라운드 부(224R1)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원형의 1/4의 크기에 해당되는 아크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장착부(224)가 사출 성형될 때 특정 위치에서 열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224)에는 상기 제2,3 라운드 부(224R2, 224R3)의 내측으로 제1 살빼기 홈(224R2a, 224R3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살빼기 홈(224R2a, 224R3a)은 해당 위치에서 두께가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도록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홈이 형성됨으로써 열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어댑터 사출을 도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 살빼기 홈(224R2a, 224R3a)은 제2,3 라운드 부(224R2, 224R3)의 라운드 지게 연장된 부분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 예는 제1 살빼기 홈(224R2a, 224R3a)이 사출을 위한 고온의 레진이 주입될 때 두께가 불필요하게 증가되어 냉각 속도 차이로 인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고 라운드 지게 연장된 길이와 높이를 갖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제2 살빼기 홈(224a3)은 제1 라운드 부(224R1)가 라운드 진 형태로 사출 성혈 될 때 두께가 증가되지 않도록 하면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홈이 형성되어 있어 해당 위치에서 두께가 감소되어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어댑터는 사출 성형될 때 온도 차이로 인한 열 변형이 방지된다.
제2 장착부(222)는 도면 기준 제1 장착부(224)의 좌우 양측 사이에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장착부(222)로 주입된 사출물의 열전달로 인한 변형 발생이 최소화 된다.
첨부된 도 5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러너 연결부(211)는 인젝터(10)와 서로 마주보는 사이가 이격된 간격(G)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G)은 인젝터(10)가 러너 연결부(211)와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엔진(미도시)의 떨림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기 러너 연결부(211)와 미 접촉 상태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어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인젝터(10)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러너 연결부(211)와 미 접촉에 의한 떨림이 방지되면서 작동이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연료를 분사 시킬 수 있다.
인젝터 장착부(220)는 인젝터(10)에 대한 장착을 위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외측 중앙에 각각 위치되며, 상면을 바라보며 인젝터 삽입 홀(224b)이 형성된 제1 장착부(224)와, 상기 러너 연결부(211)의 중앙에 각각 위치되고, 인젝터(10)의 위치 고정을 도모하기 위한 위치 고정 홀(222a)이 형성된 제2 장착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부(222)는 전술한 러너 연결부(211)에 형성되며 인젝터(10)에 구비된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부(224)와 대각선 방향에서 마주보며 위치된다.
인젝터(10)는 위치 고정 홀(222a)에 체결부재를 통해 위치가 고정될 경우 상기 인젝터(10)의 안정적인 설치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인젝터 장착부(220)는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장착부(222) 보다 상기 제1 장착부(224)가 좌우 양측면에서 최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장착부(224)는 상기 제2 장착부(221)가 서로 간에 이격된 이격 거리(L)의 중간(L/2)에 위치된다.
제2 플랜지(234)는 전술한 제2 살빼기 홈(224a3)과 함께 러너부(210)의 하면에서 열응력이 집중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러너부(210)에는 서지탱크에 체결되기 위해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서지탱크 체결부(214)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손쉽게 체결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지지 리브(240)는 사출을 위해 레진이 주입되는 주입구(241)가 형성되며, 전후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러너(212)를 제1 방향(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연결하는 판 형태의 제1 지지 리브(242)와, 상기 제1 지지 리브(242)와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러너(212)를 연결하는 판 형태의 제2 지지 리브(244)와, 상기 러너 연결부(211)와 일체로 형성된 내측면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 리브(244)와 상이한 제3 방향에서 상기 제2 지지 리브(244)와 교차된 제3 지지 리브(24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 리브(242)는 도면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행 방향으로 배열된 러너(212)의 하면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대면의 중간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위치는 러너(212)가 사출 성형될 때 하면 내측 위치에서 제1 방향(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지지 보강하여 안정적인 사출 성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 지지 리브(242)에 주입구(241)가 형성되어 있어 사출 성형시 레진이 주입될 수 있으며, 사출이 완료된 후에 경화될 경우 전술한 제1 지지 리브(242)와 함께 지지 보강이 가능해지므로 보다 안정적인 사출 성형이 가능해 진다. 제1 지지 리브(242)는 러너(212)의 전체 연장된 길이의 90%에 해당되는 길이로 연장되므로 안정적인 지지력이 유지된다.
상기 제2 지지 리브(244)는 제1 지지 리브(242)와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러너(212)를 서로 간에 연결하고, 상기 제1 지지 리브(242)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 리브(244)는 러너(212)가 제2 방향에서 병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되는데, 상기 러너(212)와 연결된 위치에서는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중간 위치(이격된 러너 사이)에서는 높이가 감소하여 연장된다.
제2 지지 리브(244)는 러너(212)의 벽면에서 두께 증가로 인한 열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도면에 도시된 높이로 연장된다.
제3 지지 리브(246)는 제2 지지 리브(244)와는 다른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제3 방향은 러너 연결부(211)와 일체로 형성된 내측면을 향해 연장된다. 즉 제3 지지 리브(246)는 양단이 러너 연결부(211)의 내측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제2 지지 리브(244)와 십자 형태로 교차 성형됨으로써 상기 제3 방향에서 가해진 응력을 안정적으로 지지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리브(246)은 제2 지지 리브(244) 보다는 낮은 높이로 돌출되므로 열 변형이 감소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이후에도 변형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지지 리브(242, 244, 246)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서로 간에 연결되게 성형될 경우 러너(212)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러너부(210)는 성형을 위해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된 상하 코어 금형(M1)과, 상기 러너부(210)의 좌우 측면에서 상측을 향해 제1 각도로 각각 이동되는 좌우측 슬라이드 코어 금형(M2)과, 상기 인젝터 장착부(220)에 대한 성형을 위해 상기 매니 폴드 본체(210)의 좌우 측면에서 상기 좌우측 슬라이드 코어 금형(M2)과 상이한 이동 경로를 갖는 슬라이드 코어 인젝터 금형(M3)과, 상기 러너부(210)의 하면에 형성될 실 홈(seal groove)에 대한 성형을 위해 구비된 슬라이드 코어 실 홈 금형(M4)과, 상기 러너부(210)에 형성될 러너(212)에 대한 성형을 위해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원호 형태의 라운드진 곡률을 갖고 연장된 로터리 코어 금형(M5)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상하 코어 금형(M1)은 상하 방향(a, b 방향)으로만 작동되고, 상기 좌우측 슬라이드 코어 금형(M2)은 좌우측 15도 각도를 갖고 좌우 상측 방향(c, d 방향)으로만 작동되며, 상기 코어 인젝터 금형(M3)은 인젝터에 대한 설치를 위해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 슬라이드 코어 금형(M2)의 이동 방향과는 상이하게 2단 작동 방식으로 이동된다.
즉 코어 인젝터 금형(M3)은 도면 기준 수직 상부를 향해 1번 이동된 후에 성형된 어댑터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좌우측 방향(e, f 방향)을 향해 90도 각도로 이동되므로 상기 좌우측 슬라이드 코어 금형(M2)과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되지 않고 성형이 가능해진다.
상기 슬라이드 코어 실 홈 금형(M4)은 실링을 위한 홈을 형성하기 위해 어댑터의 하면에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g, h 방향)으로 작동되고, 로터리 코어 금형(M5)은 러너(212)의 라운드 진 연장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도면의 점선으로 도시된 방향(I, j 방향)으로만 작동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를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금형들이 작동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취출 성형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복수개의 쉘을 융착 하지 않고서도 한 번에 복잡한 형상을 갖는 어댑터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코어 금형(M5)은 러너(212)의 연장된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한 번의 성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로터리 코어 금형(M5)은 러너(212)의 내부 공간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으로 별도의 간섭 없이 작동 가능하여 생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210 : 러너부
211 : 러너 연결부
212 : 러너
220 : 인젝터 장착부
222 : 제2 장착부
224 : 제1 장착부
224R1 : 제1 라운드 부
224R2, 224R3 : 제2,3 라운드 부
224a1 : 제1 살빼기 홈
230 : 플랜지부
232 : 제1 플랜지
234 : 제2 플랜지
240 : 지지 리브
242, 244, 246 : 제1,2,3 지지 리브

Claims (10)

  1.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러너(212)가 서로 마주보며 행 방향(raw direction)으로 연장된 러너부(210);
    상기 러너부(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면과 하측에 일체 형성되어 인젝터(1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인젝터 장착부(220);
    상기 러너부(210)의 상면과 하면에 일체 형성된 플랜지부(230); 및
    상기 러너부(210)의 하면 내측에서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를 서로 간에 연결하는 지지 리브(240)를 포함하되,
    상기 러너부(210)는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외측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 리브(212a)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 리브(212a)는 상기 러너(212)의 외측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연장되며,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젝터(10)와 미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인젝터 장착부(220)는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외측 중앙에 각각 위치되고, 상면을 바라보며 인젝터 삽입 홀(224b)이 형성된 제1 장착부(224)와, 상기 인젝터(10)의 위치 고정을 도모하기 위한 위치 고정 홀(222a)이 형성된 제2 장착부(2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부(224)는 상기 인젝터 삽입 홀(224b)의 외측으로 라운드 지게 돌출된 제1 라운드 부(224R1)와, 상기 제1 라운드 부(224R1)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2,3 라운드 부(224R2, 224R3)를 포함하고,
    상기 제2,3 라운드 부(224R2, 224R3)에는 내측에 제1 살빼기 홈(224a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장착부(224)에는 상기 제1 라운드 부(224R1)가 라운드 진 형태로 사출 성혈 될 때 두께가 증가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제2 살빼기 홈(224a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살빼기 홈(224a3)은 상기 제1 살빼기 홈(224R2a) 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장착부(222)는 상기 제1 장착부(224)의 좌우 양측 중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장착부(224)와 대각선 방향에서 마주보며 위치되고,
    상기 러너부(210)와, 상기 인젝터 장착부(220)와, 상기 플랜지부(230)와, 상기 지지 리브(240)는 모두 일체 사출 방식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부(210)는 위에서 바라볼 때 복수 개의 러너(212)가 2열로 배치되고, 상기 러너(212) 사이를 서로 간에 일체로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러너 연결부(211)를 더 포함하는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 연결부(211)는 양단이 상기 러너(212)의 중앙 위치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 장착부(220)는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장착부(222) 보다 상기 제1 장착부(224)가 좌우 양측면에서 최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장착부(224)는 상기 제2 장착부(222)가 서로 간에 이격된 이격 거리(L)의 중간(L/2)에 위치된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 연결부(211)는 상기 인젝터와 서로 마주보는 사이가 이격된 간격(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30)는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상면 가장 자리 외측으로 제1 삽입 홈(232a)이 형성된 제1 플랜지(232);
    상기 러너부(2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러너(212)의 하면 가장 자리 외측으로 제2 삽입 홈(232b)이 형성된 제2 플랜지(234)를 포함하는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240)는 사출을 위해 레진이 주입되는 주입구(241)가 형성되며, 전후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러너(212)를 제1 방향에서 연결하는 판 형태의 제1 지지 리브(242);
    상기 제1 지지 리브(242)와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상기 러너(212)를 연결하는 판 형태의 제2 지지 리브(244);
    상기 러너 연결부(211)에서 일체로 형성된 내측면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 리브(244)와 상이한 제3 방향에서 상기 제2 지지 리브(244)와 교차된 제3 지지 리브(246)를 포함하는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KR1020200080008A 2020-06-30 2020-06-30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KR10236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08A KR102368411B1 (ko) 2020-06-30 2020-06-30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08A KR102368411B1 (ko) 2020-06-30 2020-06-30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13A KR20220001713A (ko) 2022-01-06
KR102368411B1 true KR102368411B1 (ko) 2022-03-02

Family

ID=7934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08A KR102368411B1 (ko) 2020-06-30 2020-06-30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4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658A (ja) * 2011-03-29 2012-10-25 Hyundai Motor Co Ltd 自動車燃料漏れ防止用吸気マニホール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137A (ja) * 1993-06-25 1995-03-20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KR100862459B1 (ko) * 2006-10-24 200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 매니폴드구조
KR101191287B1 (ko) 2011-05-26 2012-10-16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분리가능한 어댑터를 가진 흡기매니폴드
KR101218246B1 (ko) * 2011-06-09 2013-01-03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인젝터용 그라운드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658A (ja) * 2011-03-29 2012-10-25 Hyundai Motor Co Ltd 自動車燃料漏れ防止用吸気マニホール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13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500B2 (en) Resin intake manifold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US8683971B2 (en) Intake manifold
KR20080106366A (ko) 내연기관용 공기 흡기 장치
US10302006B2 (en) Intake apparatus for engine
WO2018003168A1 (ja) エンジンの吸気通路構造
US4686944A (en) Intake manifold structure for V-type engine
KR102368411B1 (ko) 흡기 매니폴드용 어댑터
US7121246B2 (en) Intake passag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390794B2 (ja) 吸気ポート用インサートの金型アッセンブリ
US6601556B2 (en) Noise insulation structure of synthetic resin made chamber
JP5829983B2 (ja) デリバリパイプの成形方法
KR19990029142A (ko)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 제조방법
JP6013085B2 (ja) 樹脂製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6092656B2 (ja) 内燃機関用吸気マニホールド
KR101191287B1 (ko) 분리가능한 어댑터를 가진 흡기매니폴드
JP5828705B2 (ja) 樹脂製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US8033019B2 (en) Three-piece lower manifold for a V-style engine intake manifold
KR20190009963A (ko)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JP6306761B2 (ja) 内燃機関用吸気マニホールド
US11795894B1 (en) Engine intake system
JP6745520B2 (ja) スペーサの製造方法
KR20210046106A (ko) 흡기 매니 폴드의 마운팅 장치
JP5912013B2 (ja) 樹脂製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CN113272544B (zh) 气缸盖
JP4280926B2 (ja) 吸気装置および吸気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