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870B1 -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870B1
KR102367870B1 KR1020210077535A KR20210077535A KR102367870B1 KR 102367870 B1 KR102367870 B1 KR 102367870B1 KR 1020210077535 A KR1020210077535 A KR 1020210077535A KR 20210077535 A KR20210077535 A KR 20210077535A KR 102367870 B1 KR102367870 B1 KR 10236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fabric
plate
roller
air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택
Original Assignee
박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택 filed Critical 박규택
Priority to KR102021007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5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885External treatment, e.g. by using air rings for cooling tubula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89Internal treatment, e.g. by applying an internal cooling fluid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비닐원단의 절개공정시에 공기를 주입하여 비닐원단 내부에 에어층이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Easy-to-separate vinyl fabric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비닐원단의 절개공정시에 공기를 주입하여 비닐원단 내부에 에어층이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은 폴리염화비닐을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얇으면서도 잘 찢어지지 않고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되어 가공이 용이하여 소정의 원단형태로 생산하여 후공정을 통해 포장재, 용기, 단열재, 방풍재 등 여러산업 분야에서 골고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원단을 생산하는 장치는 비닐원단의 원료를 투입하면 압출기를 통해 융용압출되어 튜브형태로 성형되어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튜브형태의 비닐원단의 외측으로 에어링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비닐원단에 마찰시켜 비닐원단을 급냉시키게 되며, 급냉된 비닐원단은 상, 하부가 각각 이격되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가이드체와 다수의 롤러를 통해 뷰트형태에서 두겹으로 된 원단형태로 압착되어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이송되는 비닐원단은 비닐원단의 일측을 절개하는 절개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측이 절개된 상태로 별도의 권취롤러에 권취된다.
별도의 권취롤러를 통해 권취된 비닐원단은 후공정을 통해 포장재, 용기, 단열재, 방풍재 등 용도에 맞게 제품으로 가공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제조된 비닐원단은 두겹이 겹친 상태로 생산되어 비닐원단이 서로 분리되지 않아 후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포장재, 용기, 단열재, 방풍재 등 제품의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어왔다.
또한, 비닐원단의 특성상 식품을 포장하는 경우 비닐원단이 최대한 투명하여야 시각적으로 청결해 보이지만 비닐원단의 원료가 압출기를 통해 융용압출될 때 발생되는 가스로 인해 비닐원단이 불투명하게 제조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두겹으로 된 비닐원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보다 투명한 형태의 비닐원단의 제조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4816호 (2020.03.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비닐원단의 절개공정시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조된 비닐원단은 포장재, 용기, 단열재, 방풍재 등 용도에 맞게 제품으로 가공될 때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비닐원단을 분리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제품의 가공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비닐원단의 원료가 압출되어 비닐원단으로 성형되는 금형체에서 가스배출공에 의해 용융된 비닐원단 원료에 포함된 가스가 배출되어 투명한 양질의 비닐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비닐원단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닐원단의 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호퍼를 구비한 원료공급부;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용융시키면서 압축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융용히터와 스크류가 내장된 원료용융부; 상기 원료용융부에서 용융된 원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배출관체; 상기 배출관체와 연결되어 용융된 원료를 공급받아 상방으로 수직 이동시켜 원통 형태로 성형하여 비닐원단으로 배출하는 금형체; 상기 금형체의 외측으로 금형체에서 원통 형태로 배출되는 비닐원단에 공기를 마찰시켜 비닐원단을 냉각하는 에어링; 상기 금형체의 이격된 상측으로 에어링에 의해 냉각된 원통 형태의 비닐원단의 양측을 가압하여 두겹이 겹쳐진 판 형상으로 만들어 통과시켜 이송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의 옆으로 가이드롤러에서 이송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아래로 가이드하여 이송시키는 하강롤러; 상기 하강롤러의 하부로 하강롤러에서 이송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하부면을 가이드하여 인장력을 부가하는 제1인장롤러; 상기 제1인장롤러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인장롤러에 가이드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비닐원단의 상부면을 가이드하는 걸림롤러; 상기 걸림롤러의 하측사선방향으로 지면에 설치되어 최상측에 상단테이블이 형성되고, 상단테이블의 하측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 및 연장바의 양측단부에서 연장바가 연장되는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교바로 이루어지는 중단테이블 및 중단테이블(103)의 하측으로 하단테이블이 각각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테이블본체; 상기 테이블본체의 상단테이블에 걸림롤러의 하측사선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걸림롤러에 가이드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가이드하여 하단테이블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롤러; 상기 중단테이블의 직교바에 구비되어 안내롤러에서 안내되는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 사이에 위치하는 설치봉; 상기 설치봉의 일측에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일측을 절개하는 절개수단; 상기 절개수단이 구비되는 설치봉의 일측으로 절개수단에 의해 일측이 절개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하는 에어주입수단; 상기 테이블본체의 하단테이블에 절개수단과 에어주입수단에 의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인장하여 가이드하는 제2인장롤러; 상기 테이블본체의 하단테이블에 제2인장롤러의 이격된 위치에 제2인장롤러를 통해 가이드되는 공기가 주입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두겹으로 된 비닐원단의 제조과정에서 비닐원단의 절개된 일측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제품으로 가공될 때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비닐원단을 분리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제품의 가공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체와 배출관체는 연결축에 의해 견고한 고정구조를 구현하면서 하부본체에 형성된 가스배출공을 통해 비닐원단의 원료가 금형체 내부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비닐원단 원료에 포함된 가스가 배출되어 투명한 양질의 비닐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닐원단의 일측이 절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개수단 및 가스주입수단의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닐원단의 일측이 절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닐원단의 일측이 절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금형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금형체 내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닐의 원료가 용융 후 원통형태로 성형되어 다수의 롤러에 의해 두겹의 판 형상으로 제조되는 비닐원단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비닐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공급부(10), 원료용융부(20), 배출관체(30), 금형체(40), 에어링(50), 가이드롤러(60), 하강롤러(70), 제1인장롤러(80), 걸림롤러(90), 테이블본체(100), 안내롤러(110), 설치봉(120), 절개수단(130), 에어주입수단(140), 제2인장롤러(150), 권취롤러(1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원료공급부(10)는 후술되는 원료용융부(20)에 비닐원단의 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호퍼로 이루어지며, 비닐원단의 원료는 보통 마스터배치 형태로 이루어지고 공급되는 비닐원단의 원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호퍼로 이루어지는 원료공급부(10) 하부에 정량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원료용융부(20)는 원료공급부(10)의 하측에서 원료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마스터배치 형태인 비닐원단의 원료를 용융시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비닐원단의 원료를 용융시키는 용융히터와 용융히터에 의해 용융된 비닐원단의 원료를 압축하여 이송하는 스크류가 내장된다.
여기서, 원료용융부(20)의 용융히터와 스크류는 비닐원단을 용융하여 이송하는 공정은 일반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도면을 생략하기로 한다.
배출관체(30)는 원료용융부(20)에서 용융된 비닐원단의 원료를 이송받아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금형체(40)는 배출관체(30)와 연결되어 용융된 원료를 공급받아 상방으로 수직 이동시켜 원통 형태로 성형하여 비닐원단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링(50)은 금형체(40)의 외측으로 금형체(40)에서 원통 형태로 배출되는 비닐원단에 공기를 마찰시켜 비닐원단을 냉각하는 구성으로, 에어링(50)를 통해 원통 형태로 배출되는 비닐원단에 마찰되는 공기의 양 즉, 공기의 압력에 따라 원통 형상이 가변되면서 비닐원단의 두께 또한 결정된다.
가이드롤러(60)는 금형체(40)의 이격된 상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 형태로 이루어지며, 에어링(50)에 의해 냉각된 원통 형태의 비닐원단의 양측을 가압하여 두겹이 겹쳐진 판 형상으로 만들어 통과시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하강롤러(70)는 가이드롤러(60)의 옆으로 가이드롤러(60)에서 이송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아래로 가이드하여 후술되는 제1인장롤러(80)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인장롤러(80)는 상하강롤러(70)의 하부로 하강롤러(70)에서 이송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하부면을 가이드하여 판 형상의 비닐원단에 인장력을 부가하면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걸림롤러(90)는 제1인장롤러(8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인장롤러(80)에 가이드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비닐원단의 상부면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테이블본체(100)는 상기 걸림롤러(90)의 하측사선방향으로 지면에 설치되어 최상측에 상단테이블(101)이 형성되고, 상단테이블(101)의 하측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103a) 및 연장바(103a)의 양측단부에서 연장바(103a)가 연장되는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교바(103b)로 이루어지는 중단테이블(103) 및 중단테이블(103)의 하측으로 하단테이블(105)이 각각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안내롤러(110)는 테이블본체(100)의 상단테이블(101)에 걸림롤러(90)의 하측사선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걸림롤러(90)에 가이드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가이드하여 하단테이블(105)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설치봉(120)은 중단테이블(103)의 직교바(103b)에 구비되어 안내롤러(110)에서 안내되는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 사이에 위치하며, 후술되는 절개수단(130) 및 에어주입수단(140)이 설치된다.
절개수단(130)은 설치봉(120)의 일측에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일측을 절개하도록 구성된다.
에어주입수단(140)은 상기 절개수단(130)이 구비되는 설치봉(120)의 일측으로 절개수단(130)에 의해 일측이 절개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하여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 내부에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2,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주입수단(140)을 통해 비닐원단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주입된 공기는 걸림롤러(90)에 걸림되어 더 이상 주입되는 공기가 이동되지 않고 걸림롤러(90)와 안내롤러(110) 사이에 위치된 비닐원단에 에어층이 걸림롤러(90)와 안내롤러(110)에 의해 이송되는 비닐원단에 계속적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제2인장롤러(150)와 권취롤러(160)에 이송 및 권취될 때 비닐원단은 에어층은 원래 위치로 복원되지만 미세한 에어층은 남아있게 되어 비닐원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2인장롤러(150)는 테이블본체(100)의 하단테이블(105)에 절개수단(130)과 에어주입수단(140)에 의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인장하여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며, 제2인장롤러(150)를 통해 비닐원단을 인장하면서 이송함으로써, 비닐원단이 절개수단(130)에 의해 절개되도록 비닐원단에 인장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권취롤러(160)는 테이블본체(100)의 하단테이블(105)에 제2인장롤러(150)의 이격된 위치에 제2인장롤러를 통해 가이드되는 공기가 주입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권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두겹으로 된 비닐원단은 포장재, 용기, 단열재, 방풍재 등 용도에 맞게 제품으로 가공될 때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비닐원단을 분리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제품의 가공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절개수단(130)의 상세한 형태는, 도 2,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된 플레이트(131)가 포함되며, 플레이트(131)는 하부가 서로 대향되는 반원 형태의 수용부(132)가 형성되어 설치봉(12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절개수단(130)은 한 쌍으로 된 플레이트(131)의 상측 사이에는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일측을 절개하도록 절개날(133)이 구비되며, 절개날(133)은 플레이트(131)의 상측 사이에 하부를 인입시킴과 아울러 플레이트(131)의 상측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테이퍼진 상태로 고정되어 테이퍼진 절개날에 의해 실질적인 비닐원단 일측의 절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절개날(133)은 비닐원단의 일측을 계속적으로 절개하면서 플레이트(131)의 상측 사이에 고정되어야 함으로 어느 정도 강도 및 유연성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절개날(133)은 금속재질 보다 양측에 날이 형성되는 목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대나무를 날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절개수단(130)은 한 쌍으로 된 플레이트(131)에는 다수의 제1볼트공(131h)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볼트공(131h)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수용부(132)를 통해 설치봉(120)을 수용한 상태를 고정하면서 인입된 절개날(133)의 하부 부위에도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절개날(133)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으로 된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수용부(132)에 의해 설치봉(120)을 수용한 상태에서 볼트로 플레이트(131)와 절개날(133)을 같이 체결하여 설치봉(120), 플레이트(131) 및 절개날(133)의 고정구조가 견고하게 이루어게 하면서도 절개날(133)의 교체작업 또한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에어주입수단(140)은 플레이트(131)에 접지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플레이트(131)에 형성되는 제1볼트공(131h)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동일한 위치에 제2볼트공(141h)이 형성되어 볼트(미도시) 체결에 의해 접지되는 플레이트(131)에 고정이 이루어지는 연결판(142) 및 상기 연결판(142)의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판(143)으로 이루어지는 설치판(141)이 포함된다.
또한, 에어주입수단(140)은 설치판(141)과 볼트(미도시)의 체결로 고정되어 절개수단(130)의 절개날(133)에 의해 일측이 절개된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 사이 내부로 공기가 주입하는 에어노즐(145)이 포함된다.
또한, 에어주입수단(140)은 상기 에어노즐(145) 하부에 상측이 연결되며 하측으로 컴프레샤(미도시)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컴프레샤(미도시)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에어노즐(145)로 이동시키는 원터치휘팅(147)로 구성된다.
따라서, 에어주입수단(140)은 설치판(141)에 의해 절개수단(130)과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설치판에 에어노즐(145)이 직접 설치되어 용이하게 비닐원단 사이 내부로 공기가 주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금형체(40)는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체(30)와 하부가 연결되는 연결축(41)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금형체(40)는 연결축(41)의 상측 부위를 수용하며,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지는 배출코어(4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금형체(40)는 배출관체(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내부는 연결축(41)의 하부 및 배출코어(43)의 하측 일부를 수용하며, 연결축(41)의 하부 및 배출코어(43)의 하측 일부를 수용한 부위는 배출관체(30)에서 배출되는 용융된 비닐원단 원료가 유동될 수 있도록 이격되며, 상부 외측으로 다단의 단턱부(46)가 형성되는 하부본체(4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금형체(40)는 상기 하부본체(45)의 상측에 위치되어, 하부 내측에 하부본체(45)의 단턱부(46)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형태의 결합부(48)가 형성되며, 내부는 하부본체(45)가 수용하지 못한 배출코어(43) 부위를 수용하며, 배출코어(43)를 수용한 부위는 하부본체(45)와 연결축(41)의 하부 및 배출코어(43)의 하측 일부 사이에서 유동되는 용융된 비닐원단 원료를 상방으로 수직 이동시켜 원통 형태로 성형하여 배출하는 상부본체(47)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본체(45)에는 연결축(41)의 하부 및 배출코어(43)의 하측 일부를 수용한 내부에서 외측으로 연결되는 가스배출공(200)이 하부본체(45)의 원호상으로 다수 형성된다.
즉, 배출관체(30)가 연결축(41)의 하부와 연결되고, 연결축(41)은 배출코어(43)에 연결되어 금형체(40)와 배출관체(30)는 연결축(41)에 의해 견고한 고정구조를 구현하면서 하부본체(45)에 형성된 가스배출공(200)을 통해 금형체 내부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비닐원단 원료에 포함된 가스가 배출되어 투명한 양질의 비닐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가스배출공(200)의 직경은 1 ~ 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배출공(200)은 하부본체(45) 내부 부위에 제1배출공(201)이 형성되고, 제1배출공(201)의 상측 단부에서 하부본체(45) 외측에 연장되는 부위가 배출공(201)에 비해 2 ~ 3배 넓이로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나사탭이 형성되는 제2배출공(203)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가스배출공(200)으로 가스 뿐만 아니라 비닐원단의 원료가 가스와 함께 배출될 수 있는데, 나사탭이 형성되는 제2배출공(203)에 원료가 마찰되게 하여 최대한 비닐원단 원료는 하부본체 내부에 머무르게 하고 가스만 배출시킴으로써 비닐원단 원료의 과다한 낭비를 방지하면서 비닐원단 원료의 배출을 최소화하여 작업환경을 청결하게 한다.
10 : 원료공급부 20 : 원료용융부
30 : 배출관체 40 : 금형체
50 : 에어링 60 : 가이드롤러
70 : 하강롤러 80 : 제1인장롤러
90 : 걸림롤러 100 : 테이블본체
110 : 안내롤러 120 : 설치봉
130 : 절개수단 140 : 에어주입수단
150 : 제2인장롤러 160 : 권취롤러

Claims (5)

  1. 비닐원단의 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호퍼를 구비한 원료공급부(10);
    상기 원료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용융시키면서 압축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융용히터와 스크류가 내장된 원료용융부(20);
    상기 원료용융부(20)에서 용융된 원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배출관체(30);
    상기 배출관체(30)와 연결되어 용융된 원료를 공급받아 상방으로 수직 이동시켜 원통 형태로 성형하여 비닐원단으로 배출하는 금형체(40);
    상기 금형체(40)의 외측으로 금형체(40)에서 원통 형태로 배출되는 비닐원단에 공기를 마찰시켜 비닐원단을 냉각하는 에어링(50);
    상기 금형체(40)의 이격된 상측으로 에어링(50)에 의해 냉각된 원통 형태의 비닐원단의 양측을 가압하여 두겹이 겹쳐진 판 형상으로 만들어 통과시켜 이송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60);
    상기 가이드롤러(60)의 옆으로 가이드롤러(60)에서 이송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아래로 가이드하여 이송시키는 하강롤러(70);
    상기 하강롤러(70)의 하부로 하강롤러(70)에서 이송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하부면을 가이드하여 인장력을 부가하는 제1인장롤러(80);
    상기 제1인장롤러(8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인장롤러(80)에 가이드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비닐원단의 상부면을 가이드하는 걸림롤러(90);
    상기 걸림롤러(90)의 하측사선방향으로 지면에 설치되어 최상측에 상단테이블(101)이 형성되고, 상단테이블(101)의 하측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103a) 및 연장바(103a)의 양측단부에서 연장바(103a)가 연장되는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교바(103b)로 이루어지는 중단테이블(103) 및 중단테이블(103)의 하측으로 하단테이블(105)이 각각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테이블본체(100);
    상기 테이블본체(100)의 상단테이블(101)에 걸림롤러(90)의 하측사선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걸림롤러(90)에 가이드되는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가이드하여 하단테이블(105)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롤러(110);
    상기 중단테이블(103)의 직교바(103b)에 구비되어 안내롤러(110)에서 안내되는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 사이에 위치하는 설치봉(120);
    상기 설치봉(120)의 일측에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일측을 절개하는 절개수단(130);
    상기 절개수단(130)이 구비되는 설치봉(120)의 일측으로 절개수단(130)에 의해 일측이 절개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하는 에어주입수단(140);
    상기 테이블본체(100)의 하단테이블(105)에 절개수단(130)과 에어주입수단(140)에 의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인장하여 가이드하는 제2인장롤러(150);
    상기 테이블본체(100)의 하단테이블(105)에 제2인장롤러(150)의 이격된 위치에 제2인장롤러를 통해 가이드되는 공기가 주입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롤러(160);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수단(130)은 한 쌍으로 된 플레이트(131)가 포함되며, 플레이트(131)는 하부가 서로 대향되는 반원 형태의 수용부(132)가 형성되어 설치봉(12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으로 된 플레이트(131)의 상측 사이에는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의 일측을 절개하도록 절개날(133)이 구비되며, 절개날(133)은 플레이트(131)의 상측 사이에 하부를 인입시킴과 아울러 플레이트(131)의 상측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테이퍼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한 쌍으로 된 플레이트(131)에는 다수의 제1볼트공(131h)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볼트공(131h)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수용부(132)를 통해 설치봉(120)을 수용한 상태를 고정하면서 인입된 절개날(133)의 하부 부위에도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절개날(133)을 고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수단(140)은 플레이트(131)에 접지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제1볼트공(131h)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동일한 위치에 제2볼트공(141h)이 형성되어 볼트(미도시) 체결에 의해 접지되는 플레이트(131)에 고정이 이루어지는 연결판(142) 및 상기 연결판(142)의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판(143)으로 이루어지는 설치판(141)과,
    상기 설치판(141)과 볼트(미도시)의 체결로 고정되어 절개수단(130)의 절개날(133)에 의해 일측이 절개된 두겹으로 된 판 형상의 비닐원단 사이 내부로 공기가 주입하는 에어노즐(145)과,
    상기 에어노즐(145) 하부에 상측이 연결되며 하측으로 컴프레샤(미도시)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컴프레샤(미도시)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에어노즐(145)로 이동시키는 원터치휘팅(14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체(40)는 배출관체(30)와 하부가 연결되는 연결축(41)과,
    상기 연결축(41)의 상측 부위를 수용하며,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지는 배출코어(43)와,
    상기 배출관체(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내부는 연결축(41)의 하부 및 배출코어(43)의 하측 일부를 수용하며, 연결축(41)의 하부 및 배출코어(43)의 하측 일부를 수용한 부위는 배출관체(30)에서 배출되는 용융된 비닐원단 원료가 유동될 수 있도록 이격되며, 상부 외측으로 다단의 단턱부(46)가 형성되는 하부본체(45)와,
    상기 하부본체(45)의 상측에 위치되어, 하부 내측에 하부본체(45)의 단턱부(46)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형태의 결합부(48)가 형성되며, 내부는 하부본체(45)가 수용하지 못한 배출코어(43) 부위를 수용하며, 배출코어(43)를 수용한 부위는 하부본체(45)와 연결축(41)의 하부 및 배출코어(43)의 하측 일부 사이에서 유동되는 용융된 비닐원단 원료를 상방으로 수직 이동시켜 원통 형태로 성형하여 배출하는 상부본체(47)가 포함되며,
    상기 하부본체(45)에는 연결축(41)의 하부 및 배출코어(43)의 하측 일부를 수용한 내부에서 외측으로 연결되는 가스배출공(200)이 하부본체(45)의 원호상으로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공(200)은 하부본체(45) 내부 부위에 제1배출공(201)이 형성되고, 제1배출공(201)의 상측 단부에서 하부본체(45) 외측에 연장되는 부위가 배출공(201)에 비해 2 ~ 3배 넓이로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나사탭이 형성되는 제2배출공(203)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KR1020210077535A 2021-06-15 2021-06-15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KR10236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35A KR102367870B1 (ko) 2021-06-15 2021-06-15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35A KR102367870B1 (ko) 2021-06-15 2021-06-15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870B1 true KR102367870B1 (ko) 2022-02-24

Family

ID=8047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535A KR102367870B1 (ko) 2021-06-15 2021-06-15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764B1 (ko) * 2023-04-04 2024-02-14 주식회사 백광비닐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56A (ko) * 1990-08-30 1992-03-28 김용선 자동응답기의 링신호 검출 및 음성인식회로
JP2576895B2 (ja) * 1987-11-12 1997-01-29 株式会社興人 延伸フイ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812229B1 (ko) * 2017-06-26 2017-12-26 이주호 비닐 제조장치
KR20200020273A (ko) * 2018-08-16 2020-02-26 오케이 주식회사 가스배출을 위한 사출기용 노즐기
KR102074816B1 (ko) 2019-10-15 2020-03-03 주식회사 진주코퍼레이션 비닐 제조장치
KR102147662B1 (ko) * 2020-04-14 2020-08-25 윤예성 사출금형의 공기 및 가스 배출 테스트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895B2 (ja) * 1987-11-12 1997-01-29 株式会社興人 延伸フイ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920005556A (ko) * 1990-08-30 1992-03-28 김용선 자동응답기의 링신호 검출 및 음성인식회로
KR101812229B1 (ko) * 2017-06-26 2017-12-26 이주호 비닐 제조장치
KR20200020273A (ko) * 2018-08-16 2020-02-26 오케이 주식회사 가스배출을 위한 사출기용 노즐기
KR102074816B1 (ko) 2019-10-15 2020-03-03 주식회사 진주코퍼레이션 비닐 제조장치
KR102147662B1 (ko) * 2020-04-14 2020-08-25 윤예성 사출금형의 공기 및 가스 배출 테스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764B1 (ko) * 2023-04-04 2024-02-14 주식회사 백광비닐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743B1 (ko) 연속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수지 섹션(section)의 제조방법 및 그 수득용 장치
KR101637316B1 (ko)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US5310515A (en) Process to cool and pelletize molten strands issuing from nozzles
KR102367870B1 (ko)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JPH0514605B2 (ko)
SK279986B6 (sk) Spôsob výroby kompozitného výrobku
AU665305B2 (en) Synthetic resin pelletizing machine
US20100295207A1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n extrudate from finely divided plant material and a thermoplastic material
KR20180067289A (ko) 전기 통신 광케이블 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1500379A5 (ko)
US20060113695A1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aterials such as thermoplastic resins with mineral and/or vegetable fillers
KR102391837B1 (ko) 두께가 균일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CN1907691B (zh) 模压成型机和模压成型方法
KR101546907B1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다중 압출 패널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01112B1 (ko) 정밀 성형 및 정량 이송가능한 고무 절단 시스템
KR101955545B1 (ko) 비닐원단 실링 및 커팅장치
KR20200042934A (ko)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의 혼련 방법, 가소화 장치 및 압출기
KR102171071B1 (ko) 의료용 포트 튜브 성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멀티 튜브 수액백 제조 설비
KR102635764B1 (ko)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CN203818548U (zh) 用于帘布切割设备的挤出生产线
KR101851217B1 (ko) 창호용 단열패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패널 제조방법
KR20170127866A (ko) 열가소성 수지 제품용 복합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EP3075516A1 (en) Method for removing undesirable gas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17113983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KR101760776B1 (ko) 예열구조를 갖는 고무압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