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316B1 -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 Google Patents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316B1
KR101637316B1 KR1020140054768A KR20140054768A KR101637316B1 KR 101637316 B1 KR101637316 B1 KR 101637316B1 KR 1020140054768 A KR1020140054768 A KR 1020140054768A KR 20140054768 A KR20140054768 A KR 20140054768A KR 101637316 B1 KR101637316 B1 KR 10163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aw material
rubber raw
guid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045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에스원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원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원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31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4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는 고무원료를 이송하는 롤러의 회전 상태를 근접센서로 감지하여 리본타입의 고무원료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경고등으로 알려줌으로써 케이블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Resin Extrud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Coated Wi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무압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본타입의 고무원료를 이송하는 롤러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고무원료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알려주어 불량 제품을 방지하는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제조 공정은 신선, 연화, 주석도금, 연선, 절연, 차폐, 연합, 편조, 시스 공정 등의 일련의 단위 공정으로 구성된다.
절연 공정이라 함은 PVC, 고무, PE, 나일론, XLPE 등의 절연 재료를 도체 위에 피복시켜주는 공정을 말한다.
절연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절연 재료를 롤러로 압착하는 커버링(Covering)법과 압출기를 이용하여 피복하는 압출법이 있다
고무압출기는 고무원료를 성형 압출하여 도체의 표면에 절연 피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무압출기의 경우 펠렛(Pellet)타입 또는 리본타입의 고무원료가 고무압출기의 입구인 호퍼로 투입된다.
리본타입의 고무원료를 호퍼로 투입하는 고무압출의 경우, 원재료의 불량 또는 투입속도의 과부하로 인해 고무 리본의 끊김이 빈번히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고무원료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케이블 피복이 제대로 되지 않은 불량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종래의 고무압출기 경우 리본타입의 고무원료 투입에 대한 적절한 감지 장치가 없는 실정이며, 고무원료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아 케이블 제조 시 손해가 막대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76132호(2013.06.18.) 명칭: 이송 결합식 성형롤링부를 갖는 고무압출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본타입의 고무원료를 이송하는 롤러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고무원료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알려주어 불량 제품을 방지하는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고무압출기는,
일정 공간을 이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막대바와, 상기 각각의 제1 막대바의 하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세워진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2 막대바를 포함한 지지프레임과, 제1 막대바의 사이 공간에 끼워져 결합되고, 리본타입의 고무원료를 거치하여 이송하도록 회전 구동하며, 일정한 길이의 봉 형태인 가이드롤러와, 제1 막대바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샤프트 상에 설치된 센서브라켓과, 센서브라켓에 장착되어 가이드롤러와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돌출된 근접센서를 포함한 가이드롤러부; 및
가이드롤러를 거쳐 이송된 고무원료를 거치하여 고무원료를 압출하여 선재의 외주면을 피복하여는 압출장치로 이송하는 피드롤러가 형성된 피드롤러부를 포함하며,
가이드롤러의 외면 일측에는 가이드롤러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바가 부착되고, 근접센서는 가이드롤러의 회전에 따라 돌출바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며, 가이드롤러부는 근접센서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감지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고무원료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경고등을 발광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케이블 피복 장치는,
바인딩된 선재가 감겨진 송출드럼으로부터 선재를 이송받아 감겨져 있는 텐션링보빈과, 텐션링보빈으로부터 선재를 가이드하고 이송하는 가이드와, 가이드로부터 감지되는 장력에 따라 선재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텐션링보빈의 회전을 조절하는 텐션링장치;
리본타입의 고무원료를 거치하여 이송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한 고무원료 공급장치;
텐션링장치로부터 선재를 공급받고, 고무원료 공급장치로부터 고무원료를 공급받아 일정한 압력과 온도로 녹여서 압출하여 공급된 선재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고무압출기;
밀폐된 파이프로 고무압출기를 통과한 피복된 케이블이 고온과 고압으로 케이블의 외면을 형성한 고무원료에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가류관;
가류관과 연통되어 결합되고 하부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피복된 케이블을 냉각시키는 냉각관;
냉각관을 통과한 피복된 케이블을 롤러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이송을 안내하고 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 상태를 체크하여 구동원을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하는 메타링장치; 및
메타링장치를 통과한 케이블을 감아서 저장하는 권취드럼을 포함하며, 고무압출기는 가이드롤러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형성하여 근접센서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감지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고무원료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경고등을 발광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고무원료를 이송하는 롤러의 회전 상태를 근접센서로 감지하여 리본타입의 고무원료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경고등으로 알려줌으로써 케이블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피복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전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링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감지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압출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링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압출기에 고무원료를 투입하는 고무원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피복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전체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텐션링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감지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압출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링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피복 장치는 송출드럼(100), 텐션링장치(200), 장력감지장치(300), 고무압출기(400), 가류관(500), 냉각관(510), 메타링장치(600) 및 권취드럼(700)을 포함한다.
송출드럼(100)은 바인딩된 선재(도체 또는 동선 등)(10)를 인출하여 텐션링장치(200)로 전송한다.
텐션링장치(200)는 텐션링보빈(210), 가이드(211), 로드셀(212), 앰프(213), 컨트롤러(214), 파워백(215) 및 파우더 브레이크(216)를 포함한다.
텐션링보빈(210)은 길이 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프레임(202) 상에 설치되며 송출드럼(100)으로부터 이동된 선재(10)가 감겨 있다.
가이드(211)는 선재(10)를 이송하고 선재(10)의 장력을 직접 받는다.
로드셀(212)은 가이드(211)로부터 감지한 장력 신호를 미세 전압 신호로 전환하여 전송한다.
앰프(213)는 로드셀(212)로부터 전송된 미세 전압 신호를 일정한 비율로 증폭하여 컨트롤러(214)로 전송한다.
컨트롤러(214)는 앰프(213)로부터 증폭되어 전송된 전압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양 전압 사이의 편차인 전압 신호를 파워백(215)으로 전송한다.
파워백(215)은 컨트롤러(214)에서 전송된 전압 신호를 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파우더 브레이크(216)로 전송한다.
파우더 브레이크(216)는 파워백(215)에서 전송된 전류 신호에 의하여 토크가 변화되어 텐션링보빈(210)의 회전수를 조절한다.
장력감지장치(30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지지기둥(310)이 형성된 지지프레임(312)과, 지지프레임(312)의 상단에 설치되어 가이드(211)로부터 이송된 선재(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롤러(320)와, 지지프레임(312)의 선반(322)에 설치되어 제1 롤러(320)를 통해 선재(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롤러(324)와, 제1 롤러(320)와 가이드선(325)으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제1 롤러(320)의 회전에 따라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제3 롤러(326)와, 제3 롤러(326)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장력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텐션링 장치와 메타링장치(600)로 전송하는 장력제어모듈(330)을 포함한다.
제2 롤러(324)는 지지프레임(312)의 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된 선반(322)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대(323)에 설치된다.
고무압출기(400)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의 내부에 스크류(Screw)(420)를 장착하는 길이 방향의 실린더(422)가 스크류(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의 공차를 두고 형성되며, 하우징(410)과 실린더(422)를 관통하여 스크류(420)와 연통되는 호퍼(Hopper)(430)를 포함한다.
펠렛타입 또는 리본타입의 고무원료(20)는 호퍼(430)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고무원료(20)는 고무, PVC, PE, XLPE 등 히터(440)로 녹일 수 있으며 피복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스크류(420)의 일단은 스크류(420)를 구동하는 구동축(미도시)을 구비하고 스크류(420)의 타단은 압출기 기어(432)가 구비되어 있다. 압출기 기어(432)와 맞물려 연동하게 하는 롤러 기어(미도시)가 설치되고 롤러 기어를 회전하는 구동모터(434)가 설치된다. 압출기제어부(470)는 구동모터(434)를 제어하여 스크류(420)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스크류(420)의 외주면에는 호퍼(430)로부터 공급되는 리본타입의 고무원료(20)를 물고 압출하기 위해 나사산 모양의 이송날개를 형성한다.
실린더(422)의 외벽은 스크류(420)를 통과하는 고무원료(20)를 일정 온도의 열을 가해 녹이기 위해서 히터(440)를 형성한다.
스크류(420)를 통과한 고무원료(20)는 실린더(422)와 스크류(42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거름망(450)을 거쳐 불순물과 고체 덩어리를 걸러준다.
거름망(450)과 연통되어 형성된 크로스헤드(460)는 일측 끝단에 선재(10)가 유입되는 입력부(462)와, 타측 끝단에 다이스(464)가 형성된다.
입력부(462)는 장력감지장치(300)를 통과한 선재(10)가 공급된다.
다이스(464)는 케이블(30)의 외경을 결정하는 공구로 다양한 사이즈로 교체 가능하다.
크로스헤드(460)는 입력부(462)로부터 유입된 선재(10)가 거름망(450)으로부터 액체화된 고무원료(20)가 선재(10)의 외층에 도포된 후 다이스(464)를 통해 케이블(30)의 굵기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가류관(500)은 밀폐된 고온과 고압의 파이프로서 크로스헤드(460)를 통과한 케이블(30)에 피복된 고무원료(20)에 가교 반응을 일으킨다.
냉각관(510)은 가류관(500)과 연통되어 결합되고, 가류관(500)의 파이프 하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고온의 케이블(30)을 냉각시킨다.
메타링장치(600)는 안내롤러(626)와 메인롤러(610)에 의해 냉각관(510)을 통과한 피복된 케이블(30)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케이블(30)의 이송을 안내하고, 속도제어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630)에 의해 회전수를 가감한다.
이때, 메타링장치(600)는 케이블(30)에 일측에 케이블(30)의 상하 방향의 긴장 상태나 늘어짐 상태를 감지하는 처짐량 검출기와, 처짐량 검출기로부터 케이블(30)의 위치를 DC 전압값을 변환하여 전송받으며 이를 기초로 구동원(63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케이블(30)을 좀 더 당기거나 이완시켜 케이블(30)이 가류관(500)의 내부에서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640)을 포함한다.
제어모듈(640)은 장력감지장치(300)로부터 장력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장력값에 따라 제1 롤러(620)와 밴드(622)로 연결된 제2 롤러(624)를 회전시켜 케이블(30)을 당기거나 이완하여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권취드럼(700)은 메타링장치(600)를 통과한 피복된 케이블(30)을 감아서 저장한다.
전술한 고무압출기(400)는 압출 공정을 위해 고무원료(20)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고무원료(20)가 끊김없이 일정하게 공급하는 기능이 중요하다.
케이블 제품은 고무압출기(400)에 투입되는 고무원료(20)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케이블 제품에 치명적인 불량 원인이 된다.
고무압출기(400)에서 고무원료(20)를 끊기지 않게 공급하는 과정은 선재(10) 외주면의 피복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하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고무압출기(400)에 고무원료(20)를 투입하는 고무원료 공급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압출기에 고무원료를 투입하는 고무원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이드롤러부(800)는 지지프레임(810)에 봉 형태로 장착되고 자유로운 회전 구동이 가능한 가이드롤러(820)에 의해 박스(22)로부터 인출된 고무원료(20)를 거치하여 이송한다.
지지프레임(8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공간을 이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막대바와, 상기 각각의 제1 막대바의 하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세워진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2 막대바를 포함한다. 가이드롤러(820)는 제1 막대바의 사이 공간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가이드롤러(820)는 제1 막대바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돌출된 샤프트(822)에 양측 끝단이 결합된다.
일측의 샤프트(822) 상에는 센서브라켓(832)이 설치되고, 센서브라켓(832)의 그 위에 가이드롤러(820)와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돌출된 근접센서(830)가 설치된다.
가이드롤러(820)는 외면 일측에 가이드롤러(820)와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바(826)가 부착된다. 여기서, 돌출바(826)는 가이드롤러(820)의 회전에 따라 근접센서(830)에 신호를 주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가이드롤러(820)의 후면에는 지지프레임(810) 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수직 방향으로 안내봉(824)이 세워지고 안내봉(824)의 사이 공간으로 고무원료(20)가 이송된다.
제어부(850)는 지지프레임(8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근접센서(8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근접센서(830)는 가이드롤러(82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롤러(820)의 돌출바(826)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850)는 근접센서(830)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고무원료(20)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판단하여 경고등(840)을 발광 동작시킨다.
가이드롤러(820)가 회전하지 않는 것은 고무원료(20)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다는 신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롤러부(900)는 일정 형상의 피드롤러하우징(910)에 전면에 한 쌍으로 돌출된 롤러거치대(912)와, 롤러거치대(912)의 사이의 공간에 가이드롤러(820)에 거치하여 이송되는 고무원료(20)를 거치하여 고무압출기(400)의 호퍼(430)로 이송하는 피드롤러(920)를 포함한다.
롤러거치대(912)의 내부에는 피드롤러(920)를 회전 구동하는 롤러모터가 형성된다.
피드롤러하우징(910)의 일측에는 모터를 제어하여 회전수를 가감하는 롤러제어부(930)가 형성되고, 피드롤러하우징(910)의 상단 일측에는 수동으로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버튼(932)이 형성된다.
롤러제어부(930)는 고무원료(20)가 고무압출기(400)에 과다 투입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피드롤러(920)의 회전 속도를 제어 조절한다.
롤러제어부(930)는 고무압출기(400)의 스크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피드롤러(920)의 모터(미도시)로 속도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피드롤러(920)의 회전수를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선재 20: 고무원료
22: 박스 30: 케이블
100: 송출드럼 200: 텐션링장치
202: 프레임 210: 텐션링보빈
211: 가이드 212: 로드셀
213: 앰프 214: 컨트롤러
215: 파워백 216: 파우더 브레이크
300: 장력감지장치 310: 지지기둥
312: 지지프레임 320: 제1 롤러
322: 선반 323: 지지대
324: 제2 롤러 325: 가이드선
326: 제3 롤러 330: 장력제어모듈
400: 고무압출기 410: 하우징
420: 스크류 422: 실린더
430: 호퍼 432: 압출기 기어
434: 구동모터 440: 히터
450: 거름망 460: 크로스헤드
462: 입력부 464: 다이스
470: 압출기제어부 500: 가류관
510: 냉각관 600: 메타링장치
610: 메인롤러 620: 제1 롤러
622: 밴드 624: 제2 롤러
626: 안내롤러 630: 구동원
640: 제어모듈 700: 권취드럼
800: 가이드롤러부 810: 지지프레임
820: 가이드롤러 822: 샤프트
824: 안내봉 826: 돌출바
830: 근접센서 832: 센서브라켓
840: 경고등 850: 제어부
900: 피드롤러부 910: 피드롤러하우징
912: 롤러거치대 920: 피드롤러
930: 롤러제어부 932: 전원버튼

Claims (7)

  1. 일정 공간을 이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막대바와, 상기 각각의 제1 막대바의 하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세워진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2 막대바를 포함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막대바의 사이 공간에 끼워져 결합되고, 리본타입의 고무원료를 거치하여 이송하도록 회전 구동하며, 일정한 길이의 봉 형태인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 막대바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샤프트 상에 설치된 센서브라켓과, 상기 센서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와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돌출된 근접센서를 포함한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롤러를 거쳐 이송된 고무원료를 거치하여 상기 고무원료를 압출하여 선재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기능을 하는 압출장치로 이송하는 피드롤러가 형성된 피드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바가 부착되고,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바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감지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고무원료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경고등을 발광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롤러부(900)는 일정 형상의 피드롤러하우징(910)에 전면에 한 쌍으로 돌출된 롤러거치대(912)와, 상기 롤러거치대(912)의 사이의 공간에 가이드롤러(820)에 거치하여 이송되는 고무원료(20)를 거치하여 호퍼(430)로 이송하는 피드롤러(920)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거치대(912)의 내부에는 상기 피드롤러(920)를 회전 구동하는 롤러모터가 형성되고,
    상기 피드롤러하우징(910)의 일측에는 모터를 제어하여 회전수를 가감하는 롤러제어부(930)가 형성되고, 상기 피드롤러하우징(910)의 상단 일측에는 수동으로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버튼(932)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제어부(930)는 고무원료(20)가 과다 투입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상기 피드롤러(9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롤러제어부(930)는 고무압출기(400)의 스크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피드롤러(920)의 모터로 속도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피드롤러(920)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고무압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장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스크류(Screw)를 장착하는 길이 방향의 실린더가 상기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의 공차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와 연통되는 호퍼(Hopper)와, 상기 고무원료를 일정 온도의 열을 가하기 위한 상기 실린더의 외벽에 형성된 히터와,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상기 스크류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맞물려 연동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크류를 통과한 고무원료가 입력되고 공급되는 선재의 외층에 도포된 후, 원하는 굵기로 조절하여 출력하는 크로스헤드가 형성되는 고무압출기.
  3. 삭제
  4. 바인딩된 선재가 감겨진 송출드럼으로부터 상기 선재를 이송받아 감겨져 있는 텐션링보빈과, 상기 텐션링보빈으로부터 상기 선재를 가이드하고 이송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로부터 감지되는 장력에 따라 상기 선재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텐션링보빈의 회전을 조절하는 텐션링장치;
    리본타입의 고무원료를 거치하여 이송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한 고무원료 공급장치;
    상기 텐션링장치로부터 상기 선재를 공급받고, 상기 고무원료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고무원료를 공급받아 일정한 압력과 온도로 녹여서 압출하여 상기 공급된 선재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고무압출기;
    밀폐된 파이프로 상기 고무압출기를 통과한 피복된 케이블이 고온과 고압으로 상기 케이블의 외면을 형성한 고무원료에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가류관;
    상기 가류관과 연통되어 결합되고 하부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피복된 케이블을 냉각시키는 냉각관;
    상기 냉각관을 통과한 피복된 케이블을 롤러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이송을 안내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장력 상태를 체크하여 구동원을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하는 메타링장치; 및
    상기 메타링장치를 통과한 케이블을 감아서 저장하는 권취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압출기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형성하여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감지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고무원료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경고등을 발광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무압출기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스크류(Screw)를 장착하는 길이 방향의 실린더가 상기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의 공차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와 연통되는 호퍼(Hopper)와, 상기 고무원료를 일정 온도의 열을 가하기 위한 상기 실린더의 외벽에 형성된 히터와,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상기 스크류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맞물려 연동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크류를 통과한 고무원료가 입력되고 공급되는 선재의 외층에 도포된 후, 원하는 굵기로 조절되어 출력되는 크로스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고무원료 공급장치는,
    일정 공간을 이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막대바와, 상기 각각의 제1 막대바의 하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세워진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2 막대바를 포함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막대바의 사이 공간에 끼워져 결합되고, 리본타입의 고무원료를 거치하여 이송하도록 회전 구동하며, 일정한 길이의 봉 형태인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 막대바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샤프트 상에 설치된 센서브라켓과, 상기 센서브라켓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와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돌출된 상기 근접센서를 포함한 가이드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롤러를 거쳐 이송된 고무원료를 거치하여 상기 고무압출기로 이송하는 피드롤러가 형성된 피드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바가 부착되고,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바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감지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고등을 발광 동작시키도록 제어하ㄴ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롤러부(900)는 일정 형상의 피드롤러하우징(910)에 전면에 한 쌍으로 돌출된 롤러거치대(912)와, 상기 롤러거치대(912)의 사이의 공간에 가이드롤러(820)에 거치하여 이송되는 고무원료(20)를 거치하여 호퍼(430)로 이송하는 피드롤러(920)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거치대(912)의 내부에는 상기 피드롤러(920)를 회전 구동하는 롤러모터가 형성되고,
    상기 피드롤러하우징(910)의 일측에는 모터를 제어하여 회전수를 가감하는 롤러제어부(930)가 형성되고, 상기 피드롤러하우징(910)의 상단 일측에는 수동으로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버튼(932)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제어부(930)는 고무원료(20)가 과다 투입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상기 피드롤러(9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롤러제어부(930)는 고무압출기(400)의 스크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상기 피드롤러(920)의 모터로 속도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피드롤러(920)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케이블 피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링장치의 후단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지지기둥을 구비하고 측면으로 돌출된 선반을 형성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로부터 이송된 선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반에 설치되어 제1 롤러를 통해 선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가이드선으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제3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장력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텐션링장치와 상기 메타링장치로 장력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장력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케이블 피복 장치.
KR1020140054768A 2014-05-08 2014-05-08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KR10163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68A KR101637316B1 (ko) 2014-05-08 2014-05-08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68A KR101637316B1 (ko) 2014-05-08 2014-05-08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45A KR20150128045A (ko) 2015-11-18
KR101637316B1 true KR101637316B1 (ko) 2016-07-07

Family

ID=5483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768A KR101637316B1 (ko) 2014-05-08 2014-05-08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1201A (zh) * 2016-11-07 2017-04-19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通信线缆用连锁铠装机压轮总成
KR20200089371A (ko) * 2019-01-16 2020-07-27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호스 피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8832A (zh) * 2016-11-07 2017-03-29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加工用铠装机带轮刹车控制装置
CN106601380A (zh) * 2016-11-07 2017-04-26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线缆加工连锁铠装机压轮总成
CN106571195A (zh) * 2016-11-07 2017-04-19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线缆加工连锁铠装机压轮控制总成
CN106531364A (zh) * 2016-11-08 2017-03-22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用通信线缆连锁铠装机压轮总成
KR101989845B1 (ko) * 2017-03-10 2019-06-17 주식회사 씨맥 압출 케이블 냉각수조의 물막이 설치구조
KR101909735B1 (ko) * 2017-03-10 2018-10-18 주식회사 씨맥 수평 현수제어를 이용한 압출 케이블 냉각 시스템
CN109664539B (zh) * 2017-10-13 2024-05-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辊压装置
KR102497563B1 (ko) * 2017-11-17 2023-02-07 안효인 엘이디 모듈이 구비된 전선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509589B (zh) * 2018-12-11 2024-04-26 安徽联嘉祥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外被涂层成型装置及其成型方法
KR102314550B1 (ko) * 2021-02-10 2021-10-18 신동학 고무 압출 방식을 이용한 전선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2473701B1 (ko) * 2022-02-11 2022-12-01 정경석 고무 압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97B1 (ko) 2009-09-12 2010-04-15 김용규 할로겐프리 피복전선 합접방법 및 장치
KR101195522B1 (ko) 2011-04-25 2012-10-30 (주)아성화학 압출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롤러 샤프트 이송 장치
KR101276132B1 (ko) 2012-12-04 2013-06-18 박재범 이송 결합식 성형롤링부를 갖는 고무압출기
JP7087056B2 (ja) 2014-09-08 202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プリント装置、インプリント方法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056B2 (ja) * 1990-08-09 1995-09-20 株式会社三葉製作所 ゴム被覆電線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97B1 (ko) 2009-09-12 2010-04-15 김용규 할로겐프리 피복전선 합접방법 및 장치
KR101195522B1 (ko) 2011-04-25 2012-10-30 (주)아성화학 압출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롤러 샤프트 이송 장치
KR101276132B1 (ko) 2012-12-04 2013-06-18 박재범 이송 결합식 성형롤링부를 갖는 고무압출기
JP7087056B2 (ja) 2014-09-08 202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プリント装置、インプリント方法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1201A (zh) * 2016-11-07 2017-04-19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通信线缆用连锁铠装机压轮总成
KR20200089371A (ko) * 2019-01-16 2020-07-27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호스 피복 장치
KR102178375B1 (ko) * 2019-01-16 2020-11-16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호스 피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45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316B1 (ko) 고무압출기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피복 장치
US3650649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multi-layer blown tubular thermoplastic film
JP5237975B2 (ja) ゴムストリップ材料を製造する装置
CN106113477B (zh) 一种塑料薄膜加工设备
US3905853A (en) Reinforced plastics tubes
US20180133946A1 (en) Installation for producing a film web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installation
KR102138429B1 (ko) 차폐 케이블 제조장치
KR101878298B1 (ko)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장비
CN107599341A (zh) 铜排包覆生产线
KR20180058394A (ko) 비닐 제조 장치
JP2009184760A (ja) ゴムストリップ搬送装置
JP6740595B2 (ja) ゴム押出装置
KR102367870B1 (ko) 분리가 용이한 비닐원단의 제조장치
CN204340148U (zh) 一种双出3d耗材挤出生产线
CN107696467A (zh) 一种pvc热收缩吹膜机
US20110226886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nding a lengthy rubber material
KR101625888B1 (ko) 균등 권취기를 갖는 피브이씨 랩 제조장치
CN111590863A (zh) 一种具有导向输送机构的pvc管生产用挤出机
KR100728406B1 (ko) 압출 성형 장치
KR102314550B1 (ko) 고무 압출 방식을 이용한 전선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N203818548U (zh) 用于帘布切割设备的挤出生产线
KR20180004383A (ko)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장치
US6254368B1 (en) Plastic molding machine
CN205386919U (zh) 一种流延复合设备
CN116788897B (zh) 一种高效多层pet塑钢带收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