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732B1 - 전극봉 연마기 - Google Patents

전극봉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732B1
KR102367732B1 KR1020210052272A KR20210052272A KR102367732B1 KR 102367732 B1 KR102367732 B1 KR 102367732B1 KR 1020210052272 A KR1020210052272 A KR 1020210052272A KR 20210052272 A KR20210052272 A KR 20210052272A KR 102367732 B1 KR102367732 B1 KR 10236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olishing
guide
electrode rod
driv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성
Original Assignee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sharp-pointed workpieces, e.g. needles, pens, fish hooks, tweezers or record player styl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 가이드의 위치가 가변되어 전극봉의 삽입 각도와 연마휠의 두께변화에 따라 전극봉과 연마휠(41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최적의 위치에서 전극봉의 연마가 일어날 수 있는 전극봉 연마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되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되고, 일측 측면에 전극봉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전극봉 가이드 및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며, 연마휠과 상기 연마휠의 중심을 상기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연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과 상기 연마휠 사이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극봉 연마기{Electrode Rod Grinder}
본 발명은 전극봉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봉을 삽입하여 전극봉의 끝단을 연마하는 전극봉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텅스텐 아크 용접은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Gas Tungsten Arc Welding)법의 일종으로 소모되지 않는 금속 전극으로서 텅스텐 전극봉을 사용한다. 텅스텐 전극봉은 텅스텐 아크 용접시 아크를 발생시키는 부품으로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용접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극봉의 단부가 원뿔형태 또는 둥근 형태로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텅스텐 전극봉은 용접을 많이 수행하게 되면 끝단이 마모되어 무디어지므로, 사용 중간에 재연마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1002호에 개재된 텅스텐 봉 연마장치는, 도 1과 같이, 내부에 모터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돌출되어 있는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삽입되는 연마휠(40)과 상기 본체부의 상측 어느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어, 텅스텐 봉(5)을 관통 삽입시키는 제1텅스텐봉삽입부(50)와 상기 본체부의 상측 타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되, 상기 제1텅스텐봉삽입부(5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텅스텐 봉(5)을 관통 삽입시키는 제2텅스텐봉삽입부(60)와 상기 본체부의 정면에 형성되어 모터부의 RPM을 조절하기 위한 알피엠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연마휠의 위치가 고정되어있어 전극봉의 연마위치가 다르게 형성되어 연마되는 전극봉의 형상 또는 연마 품질이 낮았고, 연마휠의 두께가 변화될 경우 연마 자체가 불가능한 호환성의 문제가 있고, 일정 영역의 연마휠에서만 연마가 일어나게 되어 연마휠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1002호 (등록일자 2019.02.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 가이드의 위치가 가변되어 전극봉의 삽입 각도와 연마휠의 두께변화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서 전극봉의 연마가 일어날 수 있는 전극봉 연마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되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되고, 일측 측면에 전극봉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전극봉 가이드 및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며, 연마휠과 상기 연마휠의 중심을 상기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연마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과 상기 연마휠 사이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봉 가이드와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마휠과 상기 삽입홀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중간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 조립체의 외주면과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타측 내주면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중간 조립체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홀더부의 외주면이 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봉 가이드는 타측 측면의 외면 및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이동 조절 홀 및 상기 이동 조절 홀에 삽입되어 끝단이 상기 중간 조립체의 외면에 맞닿아 상기 중간 조립체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나사 결합 및 풀림을 방지하는 이동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연마휠은 일면 및 타면 중심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마휠의 중심을 관통하는 길이부 및 상기 길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면이 상기 안착홈에 면접하며 안착되는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전극봉 가이드는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연마휠이 배치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전단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마휠은 외주부가 절단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절단날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극봉이 삽입되는 개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단부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눈금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마휠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구동축을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는 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 가이드의 위치를 가변되어 전극봉의 삽입 각도와 연마휠의 두께변화에 따라 전극봉과 연마휠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최적의 연마 위치에서 전극봉이 연마되어 연마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텅스텐 봉 연마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 평면도
도 4는 연마휠의 위치에 따른 전극봉의 연마 품질 비교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의 일측 단면도
도 6은 전극봉 연마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의 제2 실시예에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의 제2 실시에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1000)는 구동축(110)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감싸는 하우징(H)을 포함하는 구동부(100), 상기 구동축(11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10)을 따라 회전하는 홀더부(200), 상기 홀더부(200)와 연결되되 상기 구동축(110)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되고, 일측 측면에 전극봉(A)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삽입홀(310)이 형성되는 전극봉 가이드(300) 및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연마휠(410)과 상기 연마휠(410)의 중심을 상기 홀더부(2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20)를 포함하는 연마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310)과 상기 연마휠(410) 사이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H)에 내재되되, 상기 구동축(110)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연마부(400)는 상기 모터축과 연결되는 상기 홀더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된다.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는 상기 홀더부(200)와 연결되되, 상기 구동축(110)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1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에는 상기 삽입홀(310)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310)로 상기 전극봉(A)이 삽입되어 상기 연마휠(410)의 회전에 의해 끝단이 연마된다. 상기 삽입홀(31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일측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또한, 서로 다른 관통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상기 삽입홀(310a~e)이 하나이상의 삽입홀로 구성되는 세트로 이루어질수있고,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 상에 복수개의 세트가 형성되어 각 세트별로 상기 전극봉(A)이 삽입되는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세트별로 상기 연마휠(410) 상에서 상기 전극봉(A)이 배치되는 영역을 다르게 형성시켜, 상기 연마휠(410)의 특정 지점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연마휠(410)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연마휠(410)의 중심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420)가 상기 연마휠(410)의 중심에 삽입되어 상기 연마휠(410)을 상기 홀더부(20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는, 상기 구동축(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 운동이 가능하여, 전극봉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연마휠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전극봉이 동일 삽입홀에 삽입되어도 전극봉이 연마휠과 접촉하는 연마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전극봉(A)이 삽입 각도에 따라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1000)는 전극봉(A)이 삽입되는 전극봉 가이드(30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어 전극봉의 삽입 각도와 연마휠의 두께변화에 따라 전극봉(A)과 연마휠(41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최적의 연마위치에서 전극봉(A)이 연마되어 연마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각각의 삽입홀은 서로 다른 연마 경사 각도를 가지며 이루어져 최적의 위치에서 전극봉의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는 종래의 연마기로 전극봉을 연마했을 때, 전극봉 끝단의 연마 형상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로 전극봉을 연마했을 때, 전극봉 끝단의 연마 형상이다. 전극봉은 최끝단으로부터 표면 형상이 방사형을 이룰수록 용접 효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는 삽입홀의 다양한 직경 및 각도를 통해 전극봉 끝단의 연마 형상을 도 4(b)와 같이 연마하여, 용접 효율이 높은 전극봉을 연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1000)는 상기 하우징(H))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와 상기 홀더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연마휠(410)과 상기 삽입홀(310)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중간 조립체(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조립체(500)는 외측 및 내측으로 구분되어, 외측은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와 연결되고 내측은 상기 홀더부(200)와 연결된다. 상기 중간 조립체(500)를 통해, 상기 구동축(110), 상기 홀더부(200)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연결 내구성이 높아진다.
이때, 상기 중간 조립체(500)의 외주면과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타측 내주면은 상기 중간 조립체(500)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결합 위치가 변결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기 중간 조립체(500)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홀더부(200)의 외주면이 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조립체(500)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 및 상기 홀더부(200)를 겹쳐져 연결시킴으로써 전극봉 연마기(1000)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 하고, 상기 구동축(110)과 상기 연마휠(410)의 연결 거리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조립체(500)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홀더부(200)의 외주면 사이에는 베어링(B)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10) 및 상기 홀더부(200)의 회전력이 상기 중간 조립체(5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중간 조립체(500)의 타측 내주면과 상기 하우징(H)의 일측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 조립체(500)는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110) 및 상기 홀더부(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고, 상기 구동축(1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는 상기 중간 조립체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결합위치가 고정 및 변경되도록 타측 측면의 외면 및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이동 조절 홀(320) 및 상기 이동 조절 홀(320)에 삽입되어 끝단이 상기 중간 조립체(500)의 외면에 맞닿아 상기 중간 조립체(500)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나사 결합 및 풀림을 방지하는 이동 고정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절 홀(320)은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타측측면에 외면 및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 조절 홀(320)로 삽입된 상기 이동 고정 부재(330)의 끝단이 상기 중간 조립체(500)의 외주면에 맞닿아 상기 중간 조립체(500)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나사 결합은 물론 풀림을 방지하여, 외부 힘 또는 연마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위치가 조절 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연마휠(410)은 일면 및 타면 중심에 형성되는 안착홈(41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연마휠(410)의 중심을 관통하는 길이부(421) 및 상기 길이부(421)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면이 상기 안착홈(411)에 면접하며 안착되는 머리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부(421)는 상기 연마휠(410)을 관통하여 상기 홀더부(200)에 결합되거나, 상기 홀더부(200)까지 관통하여 상기 구동축(1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연마휠(410)은 일면 및 타면 모두 연마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연마휠(410)의 중심에는 상기 안착홈(411)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422)의 타면이 안착되어, 상기 연마휠(410)과 상기 고정부재(420)가 결합되면 상기 연마휠(410)의 중심과 상기 고정부재(420)의 중심이 자동적으로 동심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마휠(410)을 탈 부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편심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삭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거나 연마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는 상기 삽입홀(310)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연마휠(410)이 배치되는 전단부(300a) 및 상기 전단부(300a)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전단부(300a)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후단부(3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마휠(410)은 외주부가 절단날(4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부(300a)는 연장방향을 따라 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절단날(412)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극봉(A)이 삽입되는 개방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휠(410)은 상기 전단부(300a)와 상기 후단부(300b)의 단차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상기 전단부(300a)측 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전단부(300a)는 상기 후단부(300b)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마휠(410)은 상기 전단부(300a)에 위치되어 상기 전단부(300a) 보다는 작고 후단부(300b) 보다는 더 큰 직경을 가져 넓은 연마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단부(300a)의 측면에는 상기 개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301)는 상기 전단부(300a)의 연장방향 전체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마휠(410)의 상기 절단날(412)이 상기 개방부(30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전극봉(A)은 연장방향으로 상기 개방부(301)에 삽입되고, 상기 절단날(412)에 의해 상기 전극봉(A)의 길이 절단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단부(300b)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눈금 표시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눈금 표시부(340)는 상기 연마휠(410)과의 거리를 표시하여 상기 전극봉(A)의 길이 절단 시, 작업자가 상기 전극봉(A)의 절단 길이를 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봉 연마기(1000)는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마휠(410)을 덮는 덮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봉 연마기(1000)는 상기 전극봉(A)이 연마되는 중 상기 연마휠(410)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또는 작업자의 손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600)는 상기 전극봉 가이드(300)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삽입홀(6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봉(A)은 상기 수직 삽입홀(610)로 삽입되어, 끝단이 평평하게 연마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삽입홀(610)은 복수개가 형성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11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구동축(110)을 고정시키는 잠금부(L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LK)는 버튼 스핀들 잠금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마휠(410)의 교체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재(420)가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거나 체결해제될 때 상기 구동축(110)이 같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420)를 체결 또는 체결해제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LK)가 상기 구동축(110)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정지시켜 상기 연마휠(41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전극봉 연마기
100 : 구동부 110 : 구동축
200 : 홀더부
300 : 전극봉 가이드 300a : 전단부
300b : 후단부 301 : 개방부
310, 310a, 310b, 310c, 310d, 310e : 삽입홀
320 : 이동 조절 홀 330 : 이동 고정 부재
340 : 눈금 표시부
400 : 연마부 410 : 연마휠
411 : 안착홈 412 : 절단날
420 : 고정부재 421 : 길이부
422 : 머리부
500 : 중간 조립체
600 : 덮개부 610 : 수직 삽입홀
A : 전극봉 B : 베어링
H : 하우징 LK : 잠금부

Claims (11)

  1.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와 연결되되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되고, 일측 측면에 전극봉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전극봉 가이드;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며, 연마휠과 상기 연마휠의 중심을 상기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연마부;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봉 가이드와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는 중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조립체의 외주면과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타측 내주면은 상기 중간 조립체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결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되,
    상기 전극봉 가이드는, 상기 중간 조립체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결합 위치가 고정되도록,
    전극봉 가이드의 타측을 관통 형성되는 이동 조절 홀 및
    상기 이동 조절 홀에 끝단이 상기 중간 조립체의 외면에 맞도록 삽입되는 이동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고정 부재의 풀림에 의해 상기 중간 조립체와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결합 위치가 변경가능하게 형성되어,
    전극봉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연마휠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전극봉이 동일 삽입홀에 삽입되어도 전극봉이 연마휠과 접촉하는 연마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봉 연마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조립체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홀더부의 외주면이 베어링 결합되는 전극봉 연마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휠은,
    일면 및 타면 중심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마휠의 중심을 관통하는 길이부; 및
    상기 길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면이 상기 안착홈에 면접하며 안착되는 머리부;
    를 포함하는 전극봉 연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 가이드는,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연마휠이 배치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전단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후단부;를 포함하는 전극봉 연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휠은 외주부가 절단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부는 연장방향을 따라 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절단날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극봉이 삽입되는 개방부;
    를 더 포함하는 전극봉 연마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눈금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전극봉 연마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마휠을 덮는 덮개부;
    를 더 포함하는 전극봉 연마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극봉 가이드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삽입홀;
    을 포함하는 전극봉 연마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상기 구동축을 고정시키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전극봉 연마기.
KR1020210052272A 2021-04-22 2021-04-22 전극봉 연마기 KR10236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72A KR102367732B1 (ko) 2021-04-22 2021-04-22 전극봉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72A KR102367732B1 (ko) 2021-04-22 2021-04-22 전극봉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732B1 true KR102367732B1 (ko) 2022-02-28

Family

ID=8049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72A KR102367732B1 (ko) 2021-04-22 2021-04-22 전극봉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7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795A (ja) * 2007-06-25 2009-01-08 Gt Engineer:Kk 研摩粉塵飛散防止カバー
KR20130123228A (ko) * 2012-05-02 2013-11-12 김인태 텅스텐 전극봉 연마용 핸드 그라인더
KR101951002B1 (ko) 2017-08-30 2019-02-22 지엠기공 주식회사 복수개의 텅스텐봉삽입부를 구성한 텅스텐 봉 연마장치
JP2019141961A (ja) * 2018-02-21 2019-08-29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KR102056764B1 (ko) * 2019-06-28 2020-01-22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튜브 내부로 절삭 칩의 유입을 방지하는 페이싱 머신
KR102079943B1 (ko) * 2019-06-28 2020-02-21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멀티콜릿을 구비한 전극봉 그라인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795A (ja) * 2007-06-25 2009-01-08 Gt Engineer:Kk 研摩粉塵飛散防止カバー
KR20130123228A (ko) * 2012-05-02 2013-11-12 김인태 텅스텐 전극봉 연마용 핸드 그라인더
KR101951002B1 (ko) 2017-08-30 2019-02-22 지엠기공 주식회사 복수개의 텅스텐봉삽입부를 구성한 텅스텐 봉 연마장치
JP2019141961A (ja) * 2018-02-21 2019-08-29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KR102056764B1 (ko) * 2019-06-28 2020-01-22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튜브 내부로 절삭 칩의 유입을 방지하는 페이싱 머신
KR102079943B1 (ko) * 2019-06-28 2020-02-21 디씨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멀티콜릿을 구비한 전극봉 그라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8438B (zh) 振盪式研磨機
US5401127A (en) Rotative cutting tool of tip dresser
NZ211349A (en) Knife sharpener with magnetic blade guide
JP3975073B2 (ja) 研磨機用ブラシ
KR102367732B1 (ko) 전극봉 연마기
KR101951002B1 (ko) 복수개의 텅스텐봉삽입부를 구성한 텅스텐 봉 연마장치
JP4496196B2 (ja) ドリル研磨機
JP2002500573A (ja) 湾曲した内側と外側の輪郭をもつ物を加工する方法と装置
KR200454203Y1 (ko) 다이아몬드 다이스 연마 가공기
JP5685684B2 (ja) ペレタイジング装置およびこの種のペレタイジング装置用のカッタおよび/または研磨ヘッド
JP7100527B2 (ja) カバーおよび工具
JP4099524B2 (ja) ホーニング用加振アタッチメント
JP2006102924A (ja) フライスカッター
KR100358200B1 (ko) 밸브시트 가공 및 연마공구
JP4481848B2 (ja) 揺動駆動式工具
JP2020066093A (ja) ロータリドレッサ
KR20040077237A (ko) 연마 가공물 고정용 지그
KR200497236Y1 (ko) 전동공구 연결형 연마기구
KR102396577B1 (ko) 워터젯 구동 스핀들
US11878391B2 (en) Adjustable stroke device
CA1242076A (en) Means for sharpening a studded rock drill crown
JP6656547B1 (ja) ベーン溝の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US20220228653A1 (en) Adjustable Stroke Device With Cam
JP3115420U (ja) 立軸平面研削用セグメント形砥石
JPWO2015083647A1 (ja) 目立て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