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790B1 - 부스바 커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스바 커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790B1
KR102366790B1 KR1020210151681A KR20210151681A KR102366790B1 KR 102366790 B1 KR102366790 B1 KR 102366790B1 KR 1020210151681 A KR1020210151681 A KR 1020210151681A KR 20210151681 A KR20210151681 A KR 20210151681A KR 102366790 B1 KR102366790 B1 KR 10236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s bar
input
conveyo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언
Original Assignee
서정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언 filed Critical 서정언
Priority to KR102021015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6/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for shearing or similar cutting, or for sawing, stock which the latter is travelling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 B23D36/0008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for shearing or similar cutting, or for sawing, stock which the latter is travelling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for machines with only one cutting, sawing, or shear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길이로 부스바를 커팅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에 있어서, 부스바를 커팅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컨베이어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부스바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적재편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부스바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적재편을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제1 적재편에 적재된 복수의 부스바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반입부,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안착된 부스바를 상기 커팅부로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커팅부를 통과한 부스바의 이동을 제한하여 부스바의 커팅 영역이 상기 커팅부와 대향하도록 하고, 상기 커팅부를 통과한 부스바의 일측을 그립한 채,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되어 커팅된 부스바가 상기 제2 컨베이어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이송부,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안착된 부스바를 상기 제2 적재편에 안착시키는 반출부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길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 및 반출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바 커팅 시스템{System for Bus bar cutting}
본 발명은 부스바 커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길이로 부스바를 커팅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압의 수 배전설비, 분전반 등의 배선은 전기 저항을 고려하여 도체 단면적을 크게 확보하여 대전류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도록 고순도 재질로 압연, 인발 가공한 구리 재질의 부스바를 적용하고 있다.
부스바는 전기 전도성 및 굽힘 가공성이 뛰어나 사용시 결함이 없으며 통상 장방형 단면을 갖는 판상의 스틱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스바는 특정의 전기 설비와 설비 간을 연결하도록 배선하는 경우와, 배선에서 분기하여 또 다른 배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판상에 필요의 체결 홀을 천공하고 굽힘 가공, 커팅 가공 등을 통해 완성되며, 완성된 부스바는 그 용도의 설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부스바 가공장치의 경우 부스바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는 기능이 있었지만, 커팅 후 남은 부스바를 별도로 구분하거나 처리하는 기능은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커팅 후 남은 부스바의 경우 일정 길이보다 짧은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폐기해야 하는데, 사용자는 남은 부스바의 길이를 일일이 측정하여 부스바를 구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73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부스바를 자동으로 커팅하고, 커팅 후 남은 부스바 중 폐기해야 하는 길이의 부스바를 구분하여 별도로 배출할 수 있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길이로 부스바를 커팅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에 있어서, 부스바를 커팅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컨베이어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부스바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적재편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부스바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적재편을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제1 적재편에 적재된 복수의 부스바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반입부,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안착된 부스바를 상기 커팅부로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커팅부를 통과한 부스바의 이동을 제한하여 부스바의 커팅 영역이 상기 커팅부와 대향하도록 하고, 상기 커팅부를 통과한 부스바의 일측을 그립한 채,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되어 커팅된 부스바가 상기 제2 컨베이어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이송부,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안착된 부스바를 상기 제2 적재편에 안착시키는 반출부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길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 및 반출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설정길이는,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설정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의 길이가 상기 제1 길이 또는, 상기 제1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이송부가 제1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부는, 제1 모드인 경우, 대기위치에서 상기 투입부에 의해 이동되는 부스바의 일측을 그립하는 그립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를 따라 상기 반출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반출위치로 위치 이동된 후,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그립위치는, 설정된 상기 제1 길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반출위치에서 그립한 부스바의 그립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의 길이가 상기 제1 길이인 경우, 상기 반출부가 제3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부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의 길이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반출부가 제4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반출부는, 상기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적재편의 제1 구역에 부스바가 적재되도록 하고, 상기 제4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적재편의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부스바가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은 상기 제2 컨베이어를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송부의 그립 해제에 따른 부스바의 낙하 공간을 제공하는 잔류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의 길이가 상기 제2 길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송부가 제2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와 상기 반출위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잔류수집부 상에 위치하는 잔류위치로 위치 이동된 후,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잔류위치에서 그립한 부스바의 그립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잔류수집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를 관통하여 형성된 잔류경로부 및 상기 잔류경로부를 통해 낙하된 부스바를 수용하는 잔류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잔류경로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를 관통한 관통홀의 하부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는, 그립한 부스바의 전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립 해제하여, 자중에 의해 부스바 전단이 하부측으로 기울어진 채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잔류수용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와 나란하게 형성된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주행부, 상기 이송주행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팅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본체부, 상기 이송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부에 의해 이동된 부스바의 길이방향 전단과 접촉되어, 부스바의 전진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및 상기 이송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이동제한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그립편 및 상기 이동제한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그립편으로 구성되는 이송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그립부는, 상기 제1 그립편과 상기 제2 그립편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그립편과 상기 제2 그립편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이격공간에 위치한 부스바의 폭방향 양측을 그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 그립편에 형성된 채,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입되는 부스바의 위치를 감지하는 이송감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송감지부에 의한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투입부를 제어하는 투입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입되는 부스바는, 상기 이동제한부와 접촉되기 전에 상기 이송감지부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투입제어부는, 상기 투입부가 제1 속도로 부스바를 투입하는 중에, 상기 이송감지부에 의해 부스바가 감지되면, 상기 투입부가 상기 제1 속도보다 작은 제2 속도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와 나란하게 형성된 투입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투입주행부, 상기 투입주행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팅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투입본체부 및 상기 투입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상의 부스바 길이방향 후단과 접촉되어 상기 투입주행부에 의한 주행에 따라 부스바를 이동시키는 투입푸싱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푸싱부는, 상기 투입본체부의 상기 커팅부에 대한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투입주행부에 의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 상의 부스바 길이방향 후단과 접촉되는 투입접촉부 및 상기 투입본체부와 상기 투입접촉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본체부와 상기 투입접촉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완충부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투입접촉부와 부스바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투입푸싱부는, 상기 투입접촉부에 연결되되, 상기 투입접촉부와 상기 투입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투입평행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본체부에 설치되되, 상기 투입평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투입평행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완충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투입평행부와의 기 설정된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투입센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투입제어부는, 상기 투입센싱부에 의해 상기 투입평행부가 감지되면, 상기 투입주행부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커팅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를 매개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와 평행한 평탄면을 제공하는 커팅본체부, 상기 커팅본체부의 상부측에 배치된 채, 승강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평탄면 상의 부스바를 커팅하는 커팅가공부 및 상기 커팅본체부에 형성된 채, 상기 커팅가공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팅가공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부스바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 부스바고정부 및 상기 부스바고정부에 내장된 채, 부스바를 커팅하는 톱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스바고정부는,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평탄면 상의 부스바를 포위하여, 상기 톱형성부에 의한 부스바의 커팅 시, 부스바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커팅가공부에 의한 부스바 가공 시, 발생되는 잔여물이 비산되도록 하여, 상기 평탄면에 잔여물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반입부는, 상기 제1 적재편의 상부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부를 왕복 운동하는 반입이동부 및 상기 반입이동부에 연결된 채, 하부측에 접촉된 부스바를 흡착 또는 흡착 해제하는 반입흡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출부는, 상기 제2 적재편의 상부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상부를 왕복 운동하는 반출이동부 및 상기 반출이동부에 연결된 채, 하부측에 접촉된 부스바를 흡착 또는 흡착 해제하는 반출흡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상기 제2 적재편은, 상부면이 평탄한 선반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 컨베이어부에 장착 또는 장착 해제되는 적재본체부, 상기 적재본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본체부가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바퀴부 및 상기 적재본체부에 설치되는 적재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센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재센서부는, 상기 적재본체부가 상기 컨베이어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적재본체부의 상기 컨베이어부로의 장착이 감지되면, 상기 이송부 및 반출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적재본체부의 상기 컨베이어부로의 장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이송부 및 반출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부스바와, 커팅되고 남은 재활용이 가능한 부스바를 각각 다른 구역에 구분하여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이 불가능한 부스바의 경우 별도의 배출경로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폐기처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 및 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제어부 및 투입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부 및 메인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의 이송부 및 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류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제어부 및 투입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1)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길이로 부스바를 커팅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부스바 커팅 시스템(1)은, 커팅부(10), 컨베이어부(20), 적재부(30), 반입부(40), 투입부(50), 이송부(60), 반출부(70), 메인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10)는, 부스바를 커팅하고, 상기 컨베이어부(20)는, 상기 커팅부(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컨베이어(21)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30)는, 제1 적재편(31) 및 제2 적재편(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편(31)은, 상기 제1 컨베이어(21)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부스바(B)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편(33)은 상기 제2 컨베이어(23)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부스바(B)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입부(40)는, 상기 제1 적재편(31)에 적재된 복수의 부스바(B)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컨베이어(21)에 안착시킬 수 있고, 상기 투입부(50)는, 상기 제1 컨베이어(21)에 안착된 부스바를 상기 커팅부(10)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상기 커팅부(10)를 통과한 부스바(B)의 이동을 제한하여 부스바의 커팅 영역이 상기 커팅부(10)와 대향하도록 하고, 상기 커팅부(10)를 통과한 부스바(B)의 일측을 그립한 채, 상기 제2 컨베이어(23) 측으로 이동되어 커팅된 부스바(B)가 상기 제2 컨베이어(23) 상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출부(70)는, 상기 제2 컨베이어(23)에 안착된 부스바(B)를 상기 제2 적재편(33)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길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60) 및 반출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부스바의 길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설정길이는 제1 길이(L1) 및 상기 제1 길이(L1)보다 짧은 제2 길이(L2)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길이(L1)는, 사용자가 커팅하고자 하는 부스바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길이(L2)는, 재활용할 수 있는 부스바의 최소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길이(L1)로 커팅된 부스바와 상기 제1 길이(L1)로 커팅한 뒤 남은 부스바를 별도로 취급하는데, 커팅한 뒤 남은 부스바가 상기 제2 길이(L2)보다 짧을 경우 후술할 잔류수집부(90, 도 7 참조)에 따로 수집하여 폐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길이(L2)보다 짧은 부스바는 사용 가치가 없기 때문에 별도로 배출하여 폐기하는 것이다.
커팅한 뒤 남은 부스바가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L2)보다 크거나 같은 제3 길이(L3)인 경우, 상기 제1 길이(L1)이로 커팅된 부스바와 별도로 적재시켜 나중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길이에 따른 부스바의 취급에 대해서는 이어서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이송부(60)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B)의 길이가 제1 길이(L1) 또는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L2)보다 크거나 같은 상기 제3 길이(L3)인 경우, 상기 이송부(60)가 제1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이송부(60)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이송부(60)는, 대기위치에서 그립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위치란, 도 3에서의 상기 제2 컨베이어(23)의 양끝단 중 상기 커팅부(10)와 이웃하지 않은 일끝단에 위치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립위치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커팅부(10)를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투입부에 의해 이동되는 부스바(B)의 일측을 그립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그립위치는, 설정된 상기 제1 길이(L1)에 의해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60)가 그립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이송부(60)와 상기 커팅부(1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길이(L1)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60)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투입부(50)에 의해 이동되는 부스바(B)의 일측을 그립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상기 그립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투입부(50)부로부터 투입되는 부스바(B)의 길이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부스바(B)의 폭을 그립하여 폭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커팅부(10)에 의한 부스바(B)의 커팅 중 부스바(B)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팅부(10)에 의한 부스바(B) 커팅 작업 중 상기 그립위치에 위치된 채 부스바(B)의 그립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커팅부(10)에 의한 부스바(B)의 커팅 작업 중 부스바(B)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커팅부(10)에 의한 부스바(B)의 커팅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송부(60)는, 상기 커팅부(10)에 의한 부스바(B)의 커팅이 완료되면, 상기 그립위치에서 반출위치로 위치이동 될 수 있다.
여기서 반출위치란, 상기 반출부(7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60)는, 상기 그립위치에서 부스바(B1)의 일측을 그립한 후, 상기 제2 컨베이어(23)를 따라 상기 커팅부(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반출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상기 반출위치에서 그립한 부스바(B1)의 그립을 해제한 후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이송부(60)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B1)의 길이에 따라 상기 반출부(70)를 제3 모드 또는 제4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이송부(60)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B1)의 길이가 상기 제1 길이(L1)인 경우, 상기 반출부(70)가 상기 제3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반출부(70)는 상기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적재편(33)의 제1 구역에 부스바(B1)가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이송부(60)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B2)의 길이가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L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인 상기 제3 길이(L3)인 경우, 상기 반출부(70)가 상기 제4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반출부(70)는, 상기 제4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적재편(33)의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부스바(B2)가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부(60)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B1, B2)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적재편(33)상에 구분하여 적재시키는 이유는, 사용자가 설정한 제1 길이(L1)로 커팅된 부스바(B1)와 커팅되고 남은 부스바(B2)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L2)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의 부스바를 원할 경우 상기 제2 구역에 적재된 부스바(B2)를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L2)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로 커팅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1)은 잔류수집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류수집부(90)는, 상기 제2 컨베이어(23)를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송부(60)의 그립 해제에 따른 부스바의 낙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이송부(60)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B3)의 길이가 상기 제2 길이(L2)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송부(60)가 제2 모드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그립위치에서, 잔류위치로 위치 이동된 후,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잔류위치란, 상기 그립위치와 상기 반출위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잔류수집부(90) 상에 위치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잔류위치로 위치 이동된 후 그립한 부스바(B3)의 그립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잔류위치는, 상기 잔류수집부(90) 상에 위치되는 위치이므로, 상기 그립위치처럼 상기 제1 길이(L1)의 길이에 따라 변화되지 않고, 고정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잔류수집부(90)는, 잔류경로부(91) 및 잔류수용부(9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잔류경로부(91)는, 상기 제2 컨베이어(23)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23)를 관통한 관통홀(231)의 하부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여 부스바(B3)가 낙하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잔류수용부(93)는, 상기 잔류경로부(91)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잔류경로부(91)를 통해 낙하된 부스바(B3)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그립한 부스바(B3)의 전단이 상기 관통홀(231)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부스바(B3)의 그립을 해제하여, 자중에 의해 부스바(B3)의 전단이 하부측으로 기울어진 채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잔류수용부(93)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잔류수용부(93)에 일정량 이상의 부스바가 수용되면, 상기 부스바 커팅 시스템(1)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잔류수용부(93)에 수용된 부스바를 폐기하고, 상기 잔류수용부(93) 내의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잔류수집부(90)는, 높이센싱부(미도시) 및 알림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센싱부는, 상기 잔류수용부(93)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잔류수용부(93)내에 일정 높이 이상 부스바(B)가 쌓일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높이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높이센싱부에 부스바가 감지되면,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여, 상기 알림부가 빛 또는 소리를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는, 이송주행부(61), 이송본체부(63), 이동제한부(65), 이송그립부(67) 및 이송감지부(69)를 구비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이송주행부(61)는, 상기 제2 컨베이어(23)와 나란하게 형성된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본체부(63)는, 상기 이송주행부(61)에 연결되며, 상기 커팅부(10)와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65)는, 상기 이송본체부(63)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부(50)에 의해 이동된 부스바(B)의 길이방향 전단과 접촉되어, 부스바(B)의 전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이송그립부(67)는, 상기 제1 그립편(671) 및 상기 제2 그립편(672) 사이에 이격공간(S1)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그립편(671)과 상기 제2 그립편(672)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이격공간(S1)에 위치한 부스바(B)의 폭방향 양측을 그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부(50)에 의해 이동된 부스바(B)가 상기 이동제한부(65)에 의해 전진이 제한된 채 상기 이격공간(S1)에 위치되면, 상기 제1 그립편(671) 및 상기 제2 그립편(672)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부스바(B)의 폭방향 양측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이송감지부(69)는, 상기 제1 그립편(671)에 형성된 채, 상기 이격공간(S1)으로 유입되는 부스바(B)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팅 시스템(1)은 투입제어부(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제어부(51)는, 상기 이송감지부(69)에 의한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투입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부(50)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S1)으로 유입되는 부스바(B)는, 상기 이동제한부(65)와 접촉되기 전에 상기 이송감지부(69)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투입제어부(51)는, 상기 투입부(50)가 제1 속도로 부스바(B)를 투입하는 중에, 상기 이송감지부(69)에 의해 부스바(B)가 감지되면, 상기 투입부(50)가 상기 제1 속도보다 작은 제2 속도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부(50)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S1)으로 투입되는 부스바(B)가 상기 이동제한부(65)와 접촉되기 전 상기 이송감지부(69)에 부스바(B)가 감지되도록 하고, 상기 투입제어부(51)는 상기 이송감지부(69)에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투입부(50)의 속도를 감속시켜 부스바(B)와 상기 이동제한부(65) 사이의 충돌에 의한 부스바(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입부(50)는, 투입주행부(53), 투입본체부(55) 및 투입푸싱부(57) 및 투입센싱부(5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입주행부(53)는, 상기 제1 컨베이어(21)와 나란하게 형성된 투입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투입본체부(55)는, 상기 투입주행부(53)에 연결되며, 상기 커팅부(10, 도 8 참조)와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푸싱부(57)는, 상기 투입본체부(55)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21) 상의 부스바 길이방향 후단과 접촉되어 상기 투입주행부(53)에 의한 주행에 따라 부스바(B)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투입푸싱부(57)는, 투입접촉부(571), 완충부(572) 및 투입평행부(5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입접촉부(571)는, 상기 투입본체부(55)의 상기 커팅부(10)에 대한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투입주행부(53)에 의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21) 상의 부스바(B) 길이방향 후단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572)는, 상기 투입본체부(55)와 상기 투입접촉부(57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본체부(55)와 상기 투입접촉부(571)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572)는, 상기 투입접촉부(571)와 부스바(B)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주행부(53)의 주행에 따라, 상기 투입접촉부(571)와 부스바(B)가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투입접촉부(571)와 부스바(B)가 접촉한 뒤, 상기 투입주행부(53)에 주행에 의해 상기 완충부(572)가 압축 변형되며 상기 투입접촉부(571)와 부스바(B) 사이의 충격을 감쇄시켜주고, 그 복원력에 팽창하며 부스바(B)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투입평행부(573)는, 상기 투입접촉부(571)에 연결되되, 상기 투입접촉부(571)와 상기 투입본체부(5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입센싱부(59)는, 상기 투입본체부(55)에 설치되되, 상기 투입평행부(573)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투입평행부(57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완충부(572)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투입평행부(573)와의 기 설정된 이격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572)가 압축변형 됨에 따라 상기 투입센싱부(59)와 상기 투입평행부(573)가 가까워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투입평행부(573)와 상기 투입본체부(55)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이격 거리가 되면 상기 투입센싱부(59)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투입제어부(51)는, 상기 투입센싱부(59)에 의해 상기 투입평행부(573)가 감지되면, 상기 투입주행부(53)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투입센싱부(59)는, 센싱편(591) 및 센싱본체(59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싱본체(592)는, 상기 투입본체부(55)에 설치되되, 상기 투입평행부(573)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편(591)은, 상기 투입평행부(573)와 대향하는 상기 센싱본체(592)의 대향면에 설치된 채, 상기 완충부(572)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본체(592)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접촉부(571)는 상기 투입주행부(53)의 주행에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21) 상의 부스바 길이방향 후단과 접촉되어 부스바(B)를 위치이동 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부스바(B)의 길이방향 전단이 상기 이동제한부(65)와 접촉되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투입접촉부(571)의 위치 이동도 제한된다.
이 경우, 상기 투입주행부(53)는, 상기 완충부(572)를 압축변형 시키며 일정 거리 더 주행할 수 있고, 상기 완충부(572)의 압축변형에 의해, 상기 투입평행부(573)와 상기 투입본체부(55)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투입평행부(573)와 상기 투입본체부(55)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편(591)이 상기 투입평행부(573)와 접촉되고, 상기 완충부(572)가 더욱 압축되면서 상기 센싱본체(592)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다가 결국에는 상기 센싱편(591)이 상기 센싱본체(592)와 접촉되고, 이 경우 상기 투입센싱부(59)는 상기 투입평행부(573)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투입센싱부(59)에 상기 투입평행부(573)가 감지되면 상기 투입제어부(51)는, 상기 투입주행부(53)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만약, 부스바가 상기 이동제한부(65)와의 접촉된 채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주행부(53)이 계속 주행하여 부스바(B)에 힘을 가한다면, 부스바(B)가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상기 투입제어부(51)는, 상기 투입센싱부(59)에 상기 투입평행부(573)가 감지되면, 상기 투입주행부(53)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투입센싱부(59)는, 상기 투입주행부(53)의 주행을 정지시킨 뒤, 상기 투입주행부(53)가 부스바(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하여, 상기 완충부(572)가 원래 길이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입부(40)는, 반입이동부(41) 및 반입흡착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입이동부(41)는, 상기 제1 적재편(31)의 상부와 상기 제1 컨베이어(21)의 상부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반입흡착부(43)는, 상기 반입이동부(41)에 연결된 채, 하부측에 접촉된 부스바를 흡착 또는 흡착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반입흡착부(43)는, 상기 제1 적재편(31)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적재편(31) 상에 안착된 부스바(B)를 흡착한 채, 상기 반입이동부(41)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21) 상으로 위치 이동되고, 부스바(B)의 흡착을 해제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21) 상에 부스바(B)를 안착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10)는, 커팅본체부(11), 승강부(13), 가공부(15) 및 공기분사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팅본체부(11)는, 상기 제1 컨베이어(21) 및 상기 제2 컨베이어(23)를 매개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21) 및 상기 제2 컨베이어(23)와 평행한 평탄면(11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3)는 상기 커팅본체부(11)의 상측에 배치된 채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커팅가공부(15)는, 상기 승강부(13)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평탄면(111)상의 부스바(B)를 커팅할 수 있다.
상기 커팅가공부(15)는, 부스바고정부(151) 및 톱형성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스바고정부(151)는, 상기 승강부(13)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부스바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톱형성부(152)는, 상기 부스바고정부(151)에 내장된 채, 부스바(B)를 커팅할 수 있다.
상기 부스바고정부(151)는, 상기 승강부(13)와 연동되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평탄면(111) 상의 부스바(B)를 포위하여, 상기 톱형성부(152)에 의한 부스바의 커팅 시, 부스바(B)의 위치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부스바고정부(151)가 상기 승강부(13)와 연동되어 하강되면, 상기 평탄면(111) 상의 부스바(B)를 포위할 수 있다.
상기 부스바고정부(151)가 상기 평탄면(111) 상의 부스바(B)를 포위하면, 상기 부스바고정부(151)에 내장된 톱형성부(152)가 하강되어, 상기 부스바고정부(151)에 의해 포위된 부스바(B)를 커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스바고정부(151)가 부스바(B)의 상측과 폭방향 양측을 포위하므로 커팅 과정에서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므로 원활한 커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팅본체부(11)는, 상기 톱형성부(152)의 하측에 상기 톱형성부(15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12)을 더 구비하여, 상기 톱형성부(152)가 상기 평탄면(111)보다 낮은 높이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톱형성부(152)가 상기 평탄면(111) 상에 위치한 부스바(B)를 완전히 커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분사부(17)는, 상기 커팅본체부(11)에 형성된 채, 상기 커팅가공부(15)를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부(17)는, 상기 커팅가공부(15)에 의한 부스바(B) 가공 시, 발생되는 잔여물이 비산되도록 하여, 상기 평탄면(111)에 잔여물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평탄면(111)상에 잔여물이 체류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부(50)에 의해 부스바(B)가 상기 평탄면(111) 상으로 투입될 경우 부스바(B)가 상기 평탄면(111)상에 밀착되어 위치되지 못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부스바(B)가 상기 평탄면(111) 상에 불안정하게 안착된 채 상기 커팅가공부(15)에 의해 가동되므로, 원활한 커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기분사부(17)를 구비하여, 상기 평탄면(111)에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평탄면(111) 상에 잔여물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부 및 메인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부(70), 반출이동부(71) 및 반출흡착부(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출이동부(71)는, 상기 제2 적재편(33)의 상부와 상기 제2 컨베이어(23)의 상부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반출흡착부(73)는, 상기 반출이동부(71)에 연결된 채, 하부측에 접촉된 부스바(B)를 흡착 또는 흡착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반출흡착부(73)은, 상기 반출이동부(71)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적재편(33)의 상부와 상기 제2 컨베이어(23)의 상부를 왕복 운동하며 부스바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적재편(33)은, 적재본체부(331), 바퀴부(332) 및 적재센서부(3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재본체부(331)는 상부면이 평탄한 선반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 컨베이어부(20)에 장착 또는 장착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332)는, 상기 적재본체부(33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본체부(331)가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적재센서부(333)는, 상기 적재본체부(3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20)는, 감지센서부(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부(25)는, 상기 제2 컨베이어(23)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센서부(333)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적재센서부(333)는, 상기 적재본체부(331)가 상기 컨베이어부(2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부(25)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재본체부(331)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된 채 상기 컨베이어부(20)에 장착되어야, 상기 적재센서부(333)가 상기 감지센서부(25)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감지센서부(25)에 의해 상기 적재본체부(331)의 상기 컨베이어부(20)로의 장착이 감지되면, 상기 이송부(60) 및 상기 반출부(7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감지센서부(25)에 의해 상기 적재본체부(331)의 상기 컨베이어부(20)로의 장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이송부960) 및 상기 반출부(7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적재본체부(331)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채 상기 컨베이어부(20)에 장착된다면, 상기 반출부(70)에 의해 이송된 부스바가 상기 적재본체부(331) 상에 제대로 안착되지 못하고 상기 적재본체부(33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상기 메인제어부(80)는, 상기 감지센서부(25)에 의해 상기 적재본체부(331)의 상기 컨베이어부(20)로의 장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이송부960) 및 상기 반출부(7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부스바 커팅시스템 10: 커팅부
11: 커팅본체부 13: 승강부
15: 커팅가공부 17: 공기분사부
20: 컨베이어부 21: 제1 컨베이어부
23: 제2 컨베이어부 25: 감지센서부
30: 적재부 31: 제1 적재편
33: 제2 적재편 40: 반입부
50: 투입부 51: 투입제어부
53: 투입주행부 55: 투입본체부
57: 투입푸싱부 59: 투입센싱부
60: 이송부 70: 반출부
80: 메인제어부 90: 잔류수집부

Claims (12)

  1.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길이로 부스바를 커팅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에 있어서,
    부스바를 커팅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컨베이어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부스바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적재편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부스바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적재편을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제1 적재편에 적재된 복수의 부스바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반입부;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안착된 부스바를 상기 커팅부로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커팅부를 통과한 부스바의 이동을 제한하여 부스바의 커팅 영역이 상기 커팅부와 대향하도록 하고, 상기 커팅부를 통과한 부스바의 일측을 그립한 채, 상기 제2 컨베이어 측으로 이동되어 커팅된 부스바가 상기 제2 컨베이어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이송부;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안착된 부스바를 상기 제2 적재편에 안착시키는 반출부; 및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길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 및 반출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길이는,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설정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의 길이가 상기 제1 길이 또는, 상기 제1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이송부가 제1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부는,
    제1 모드인 경우, 대기위치에서 상기 투입부에 의해 이동되는 부스바의 일측을 그립하는 그립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를 따라 상기 반출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반출위치로 위치 이동된 후,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그립위치는,
    설정된 상기 제1 길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반출위치에서 그립한 부스바의 그립을 해제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를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이송부의 그립 해제에 따른 부스바의 낙하 공간을 제공하는 잔류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의 길이가 상기 제2 길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송부가 제2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와 상기 반출위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잔류수집부 상에 위치하는 잔류위치로 위치 이동된 후,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잔류위치에서 그립한 부스바의 그립을 해제하고,
    상기 커팅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를 매개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와 평행한 평탄면을 제공하는 커팅본체부,
    상기 커팅본체부의 상부측에 배치된 채, 승강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평탄면 상의 부스바를 커팅하는 커팅가공부 및
    상기 커팅본체부에 형성된 채, 상기 커팅가공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팅가공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부스바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 부스바고정부 및 상기 부스바고정부에 내장된 채, 부스바를 커팅하는 톱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스바고정부는, 상기 승강부와 연동되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평탄면 상의 부스바를 포위하여, 상기 톱형성부에 의한 부스바의 커팅 시, 부스바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커팅가공부에 의한 부스바 가공 시, 발생되는 잔여물이 비산되도록 하여, 상기 평탄면에 잔여물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의 길이가 상기 제1 길이인 경우, 상기 반출부가 제3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부에 그립된 채 커팅된, 부스바의 길이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2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반출부가 제4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반출부는,
    상기 제3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적재편의 제1 구역에 부스바가 적재되도록 하고,
    상기 제4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적재편의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제2 구역에 부스바가 적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수집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를 관통하여 형성된 잔류경로부 및 상기 잔류경로부를 통해 낙하된 부스바를 수용하는 잔류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잔류경로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를 관통한 관통홀의 하부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부는,
    그립한 부스바의 전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립 해제하여, 자중에 의해 부스바 전단이 하부측으로 기울어진 채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잔류수용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와 나란하게 형성된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주행부,
    상기 이송주행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팅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이송본체부,
    상기 이송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부에 의해 이동된 부스바의 길이방향 전단과 접촉되어, 부스바의 전진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및
    상기 이송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이동제한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그립편 및 상기 이동제한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그립편으로 구성되는 이송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그립부는,
    상기 제1 그립편과 상기 제2 그립편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그립편과 상기 제2 그립편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이격공간에 위치한 부스바의 폭방향 양측을 그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 그립편에 형성된 채,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입되는 부스바의 위치를 감지하는 이송감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송감지부에 의한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투입부를 제어하는 투입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입되는 부스바는, 상기 이동제한부와 접촉되기 전에 상기 이송감지부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투입제어부는,
    상기 투입부가 제1 속도로 부스바를 투입하는 중에, 상기 이송감지부에 의해 부스바가 감지되면, 상기 투입부가 상기 제1 속도보다 작은 제2 속도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와 나란하게 형성된 투입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투입주행부,
    상기 투입주행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팅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투입본체부 및
    상기 투입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상의 부스바 길이방향 후단과 접촉되어 상기 투입주행부에 의한 주행에 따라 부스바를 이동시키는 투입푸싱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푸싱부는,
    상기 투입본체부의 상기 커팅부에 대한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투입주행부에 의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 상의 부스바 길이방향 후단과 접촉되는 투입접촉부 및
    상기 투입본체부와 상기 투입접촉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본체부와 상기 투입접촉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완충부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투입접촉부와 부스바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푸싱부는,
    상기 투입접촉부에 연결되되, 상기 투입접촉부와 상기 투입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투입평행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본체부에 설치되되, 상기 투입평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투입평행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완충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투입평행부와의 기 설정된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투입센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투입제어부는,
    상기 투입센싱부에 의해 상기 투입평행부가 감지되면, 상기 투입주행부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부는,
    상기 제1 적재편의 상부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부를 왕복 운동하는 반입이동부 및 상기 반입이동부에 연결된 채, 하부측에 접촉된 부스바를 흡착 또는 흡착 해제하는 반입흡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출부는,
    상기 제2 적재편의 상부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상부를 왕복 운동하는 반출이동부 및 상기 반출이동부에 연결된 채, 하부측에 접촉된 부스바를 흡착 또는 흡착 해제하는 반출흡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재편은,
    상부면이 평탄한 선반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 컨베이어부에 장착 또는 장착 해제되는 적재본체부,
    상기 적재본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본체부가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바퀴부 및
    상기 적재본체부에 설치되는 적재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센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재센서부는, 상기 적재본체부가 상기 컨베이어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적재본체부의 상기 컨베이어부로의 장착이 감지되면, 상기 이송부 및 반출부가 구동되고,
    상기 감지센서부에 의해 상기 적재본체부의 상기 컨베이어부로의 장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이송부 및 반출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커팅 시스템.
KR1020210151681A 2021-11-05 2021-11-05 부스바 커팅 시스템 KR102366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81A KR102366790B1 (ko) 2021-11-05 2021-11-05 부스바 커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81A KR102366790B1 (ko) 2021-11-05 2021-11-05 부스바 커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790B1 true KR102366790B1 (ko) 2022-02-23

Family

ID=8049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681A KR102366790B1 (ko) 2021-11-05 2021-11-05 부스바 커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338B1 (ko) 2023-01-18 2023-07-12 에스에스아이 주식회사 부스바 자동 절단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630A (ja) * 1991-03-22 1994-02-15 Amada Co Ltd 材料位置決め装置
JP2002283138A (ja) * 2001-03-21 2002-10-03 Amada Co Ltd 切断加工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用いた切断加工方法
KR101017348B1 (ko) 2008-07-16 2011-02-28 주식회사 대홍전기 부스바 가공장치
KR101058073B1 (ko) * 2011-03-08 2011-08-25 (주)제이콥스 기판부재의 절단장치
KR20120032976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제품 절단 후 잔존 스크랩 분리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630A (ja) * 1991-03-22 1994-02-15 Amada Co Ltd 材料位置決め装置
JP2002283138A (ja) * 2001-03-21 2002-10-03 Amada Co Ltd 切断加工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用いた切断加工方法
KR101017348B1 (ko) 2008-07-16 2011-02-28 주식회사 대홍전기 부스바 가공장치
KR20120032976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제품 절단 후 잔존 스크랩 분리수거 장치
KR101058073B1 (ko) * 2011-03-08 2011-08-25 (주)제이콥스 기판부재의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338B1 (ko) 2023-01-18 2023-07-12 에스에스아이 주식회사 부스바 자동 절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790B1 (ko) 부스바 커팅 시스템
KR101017348B1 (ko) 부스바 가공장치
US20080023900A1 (en) Separating and holding apparatus
JP6120381B2 (ja) クロスベルト式仕分けシステム
KR101987163B1 (ko) 승강 반송 장치
US20080029445A1 (en) Sorting system
KR102334823B1 (ko) 부스바 가공시스템
KR102043984B1 (ko) 워크를 분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27100A (ko) 소재 적층체의 최상단의 평평한 소재를 이동하는 방법
EP1049545B1 (en) Dispatch system for containers of sorted mail and method therefor
JP2020023036A (ja) 三方断裁機
JP5085731B2 (ja) 種々の空洞を有する構造物への充填を行う装置および方法
CA22162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using a matrix of conveyor cells
US20040016679A1 (en) Sorting apparatus
JP4789457B2 (ja) 振分装置
US7029225B2 (en) Stacking tray for flat mail items
KR102334824B1 (ko) 부스바 투입모듈
JP2002052367A (ja) 薄板選別装置
CN107649932B (zh) 板料运输方法及装置
KR20160139795A (ko) 물품분류기용 슈트
KR102334825B1 (ko) 부스바 배출모듈
KR101522082B1 (ko) 트리퍼카 제동장치
JPH11179296A (ja) 長製品分類システムおよび長製品分類方法
KR200486125Y1 (ko) 전지 제조 공정에서 빈 캐리어 바이패스장치
JP2004353847A (ja) ロボット処理システム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