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795A - 물품분류기용 슈트 - Google Patents

물품분류기용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795A
KR20160139795A KR1020150075329A KR20150075329A KR20160139795A KR 20160139795 A KR20160139795 A KR 20160139795A KR 1020150075329 A KR1020150075329 A KR 1020150075329A KR 20150075329 A KR20150075329 A KR 20150075329A KR 20160139795 A KR20160139795 A KR 2016013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article
storage unit
chu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008B1 (ko
Inventor
원황희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0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분류기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지레그(12)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 설치되어 물품분류기(1)의 트레이(5)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P)이 유입되는 보관부(15)와, 상기 물품분류기(1)와 인접하도록 상기 보관부(15)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측면이 연결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15)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5)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P)을 상기 보관부(15)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물품분류기 이송부(2)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P)이 물품분류기(1)의 일측에 구비된 슈트(10)의 가이드플레이트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강하므로, 수송물(P)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더라도 슈트(10)와의 큰 충돌 없이 안전하게 보관부(15)으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분류기용 슈트{Chute for Sorter}
본 발명은 물품분류기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안내하여 이송물이 안전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는 공장의 생산라인이나 택배와 같은 화물운송회사의 물류창고 등에 설치되어 물품이나 부품 등을 기계동력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자동이송하여 인력을 감소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계장치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는 공장 자동화 설비라인에 주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는 화물운송회사의 물류창고에서 수집된 화물을 차량에서 하역하면서 동일 구역의 목적지 끼리 화물을 분류하여 이를 각 지역 담당자가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화물들은 컨베이어의 트레이 상에 안착된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다가 트레이가 회전하면 컨베이어의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나 낙하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수납공간으로 유입되어 이송되거나 보관된다.
이때, 화물들이 트레이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화물이 손상되거나 수납공간으로 정확하게 낙하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컨베이어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더욱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화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수납공간으로부터 멀리 벗어나지 못하도록 컨베이어의 일측에 가이드판을 경사지게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이드판은 화물의 낙하경로를 제한하여 화물이 수납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는 있으나, 화물이 가이드판에 강하게 충돌하여 오히려 화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으며, 가이드판이 컨베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이드판이 차지하는 공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15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분류기로부터 분류되어 낙하는 수송물이 큰 충격없이 슈트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분류기로부터 분류되어 낙하는 수송물을 안내하기 위한 슈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레그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물품분류기의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이 유입되는 보관부와, 상기 물품분류기와 인접하도록 상기 보관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을 상기 보관부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를 향해 하향경사진 각도(a)는 20°~30°이고,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 높아지는 경사각(b)은 5°~10°이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보관부를 향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수송물을 낙하시키기 위해 회전된 트레이의 일단과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제2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소정의 이송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와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의 타단에는 가이드스커트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분류기용 슈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물품분류기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이 물품분류기의 일측에 구비된 슈트의 가이드플레이트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강하므로, 수송물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더라도 슈트와의 큰 충격 없이 안전하게 보관부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플레이트가 물품분류기와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물품분류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다시 물품분류기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송물의 하강경로가 연속적인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송물의 하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가이드플레이트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일종의 하강경로가 형성됨으로써, 터널 구조와 같은 밀폐된 배출구조가 없더라도 수송물이 일정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으며, 밀폐구조가 아니므로 작업자가 외부에서 수송물이 하강하는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슈트의 가이드플레이트가 물품분류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치되지 않고, 물품분류기의 이동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슈트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물품분류기 장치의 공간활용률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분류기용 슈트의 일실시례가 적용된 물품분류기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이용하여 수송물이 하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물품분류기(1)에 대해 설명하면, 물품분류기를 구성하는 물품분류기 이송부(2)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그 상부에 안착된 수송물(P)을 일정경로를 따라 이송시키게 되는데, 상기 물품분류기 이송부(2)의 상부에는 트레이(5)가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5)는 실질적으로 수송물(P)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구조로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물품분류기(1) 및 이송부(2)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물품분류기(1)는 다양한 방식으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트레이(5)는 그 하부에 구비된 구동수단(7)에 의해 어느 일방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상기 트레이(5)가 회전되면 트레이(5) 상부의 수송물(P)은 자연스럽게 물품분류기 이송부(2)로부터 벗어나 측면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7)은 유압실린더나 전기모터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5)가 회전되어 낙하하게 되는 수송물(P)은 아래에서 설명될 슈트(10)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되고, 보관부(15)에 수납되어 최종적으로 보관 또는 이송이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슈트(10)는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1)가 하부를 지지하는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다수개의 지지레그(1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그(12)는 생략되거나 또는 이송이 용이하도록 바퀴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18,19)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18,19)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다수개의 슈트(10)가 서로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18,19)은 용접이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2개의 슈트(10)가 서로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보관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보관부(15)는 하강한 수송물(P)이 수납되는 부분으로, 도 1에서 보듯이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관부(15)는 차폐되어 박스구조(16)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는 측면플레이트(13)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3)에는 제1가이드플레이트(20) 및 제2가이드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수송물(P)이 하강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제1가이드플레이트(20) 및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모두 얇은 판상 구조를 가지며, 금속재질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이들에 대해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는 상기 물품분류기 이송부(2)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제2가이드플레이트(30)에 앞서 낙하하는 수송물(P)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보관부(15)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도입경사부(25)를 갖는다. 상기 도입경사부(25)는 상기 수송물(P)을 낙하시키기 위해 회전된 트레이(5)의 일단과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도입경사부(25)에 의해 수송물(P)이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중심방향(도 3의 화살표①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입경사부(25)의 경사진 모습을 잘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는 제2가이드플레이트(30)가 연결된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되어 제1가이드플레이트(20)를 따라 하강한 수송물(P)을 자연스럽게 보관부(15)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그 일측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15)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그 일측면이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되고,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도1의 화살표 A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보관부(15)를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트레이(5)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P)을 상기 보관부(15)로 안내할 수 있다. 도면부호 31은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메인경사부를 나타낸다.
이처럼,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물품분류기(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치되지 않고, 물품분류기 이송부(2)의 이동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슈트(10)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한편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3을 기준으로 하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타단(우측단)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연결된 일단(좌측단) 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틀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된 일단보다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타단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낙하하는 수송물(P)이 물품분류기 이송부(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가까워지는 방향(도 3의 화살표③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가 상기 물품분류기(1)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15)를 향해 하향경사진 각도(도 1의 a)는 20°~30°이고,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각(도 3의 b)은 5°~10°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과도하게 급격한 경사는 수송물(P)의 하강속도를 높이게 되고, 일정 이하 각도로 완만한 경사는 수송물(P)의 하강속도를 줄이게 되어 적절한 각도의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a각도는 25°이고, b각도는 8°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보관부(15)를 향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송물(P)이 낙하할 때 관성에 의해 물품분류기 이송부(2)로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 외측으로 벗어나는 방향의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폭을 넓힘으로써 수송물(P)이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가이드스커트(37)와 강한 힘으로 충돌하거나 이탈하지 않고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36은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하단의 폭이 넓어지는 확장경사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가이드스커트(37)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타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가이드스커트(37)는 수송물(P)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제2가이드플레이트(30) 사이에 소정의 이송경로가 형성된다. 즉, 서로 인접한 제2가이드플레이트(30) 사이로 수송물(P)이 하강하게 되는 것인데, 따라서 터널 구조와 같은 밀폐된 배출구조가 없더라도 수송물(P)이 일정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밀폐구조가 아니므로 작업자가 외부에서 수송물(P)이 하강하는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이상유무를 바로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상부에는 연결경사부(3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경사부(35)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제1가이드플레이트(20)의 도입경사부(25)와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상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도입경사부(25)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와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도입경사부(25), 연결경사부(35), 메인경사부(31)로 이어지는 수송물(P)의 하강경로가 연속적인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송물(P)의 하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분류기용 슈트를 통해 수송물이 하강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송물(P)은 물품분류기 이송부(2)의 트레이(5)를 따라 이동하고, 이동 중에 수송물(P)이 낙하되어야 할 지점을 지나게 되면 상기 트레이(5)가 회전하여 수송물(P)을 물품분류기 이송부(2) 외측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5)가 회전된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수송물(P)은 상기 트레이(5)로부터 미끌어져 하강하게 되고, 하강 과정에서 먼저 제1가이드플레이트(20)의 도입경사부(25)를 지나게 된다. 상기 수송물(P)은 상기 도입경사부(25)를 따라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중심부, 즉 메인경사부(3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메인경사부(31)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도 3의 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인경사부(31)의 경사면은 상기 수송물(P)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므로, 수송물(P)이 이송되던 방향으로 가지는 관성력에 의해 슈트(10)의 어느 일측에 강하게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며,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수송물(P)은 트레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 3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관성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감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0)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이를 상쇄시키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30)에는 확장경사부(36)가 형성되어 수송물(P)이 확장경사부(36) 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과정에서 트레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줄어들고 수송물(P)의 이탈이 방지된다. 물론 가이드스커트(37)에 의해 수송물(P)의 이탈이 방지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송물(P)은 제2가이드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된 보관부(15)으로 낙하하여 수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한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일종의 하강경로가 형성됨으로써, 터널 구조와 같은 밀폐된 배출구조가 없더라도 수송물(P)이 일정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물품분류기 2: 이송부
5: 트레이 10: 슈트
11: 베이스플레이트 15: 보관부
20: 제1가이드플레이트 25: 도입경사부
30: 제2가이드플레이트 31: 메인경사부
35: 연결경사부 37: 가이드스커트

Claims (8)

  1. 지지레그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물품분류기의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이 유입되는 보관부와,
    상기 물품분류기와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보관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수송물을 상기 보관부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물품분류기의 이송경로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관부를 향해 하향경사진 각도(a)는 20°~30°이고,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각(b)은 5°~10°임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보관부를 향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수송물을 낙하시키기 위해 회전된 트레이의 일단과 마주보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언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는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제2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소정의 이송경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와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의 타단에는 가이드스커트가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이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분류기용 슈트.

KR1020150075329A 2015-05-28 2015-05-28 물품분류기용 슈트 KR10241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329A KR102412008B1 (ko) 2015-05-28 2015-05-28 물품분류기용 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329A KR102412008B1 (ko) 2015-05-28 2015-05-28 물품분류기용 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795A true KR20160139795A (ko) 2016-12-07
KR102412008B1 KR102412008B1 (ko) 2022-06-22

Family

ID=5757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329A KR102412008B1 (ko) 2015-05-28 2015-05-28 물품분류기용 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0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0798A (zh) * 2018-02-20 2020-10-13 Cj大韩通运 具有球板的自动分拣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248689B1 (ko) 2020-09-01 2021-05-06 우양정공주식회사 비정형성 물품 분류장치
KR20220064137A (ko) * 2020-11-11 2022-05-18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425A (en) * 1975-05-13 1977-05-31 Fairchild Industries Inc. Article collection apparatus
US20040140412A1 (en) * 2003-01-22 2004-07-22 Hendzel Louis J. Modular substructure for material handling
KR101223151B1 (ko) 2010-07-22 2013-01-17 박홍주 듀얼 컨베이어를 갖는 금속이물 검출기 및 그를 이용한 포장 시스템
JP3191604U (ja) * 2014-04-10 2014-07-03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物品搬送用シュ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604B2 (ja) * 1995-03-10 2001-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燃焼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425A (en) * 1975-05-13 1977-05-31 Fairchild Industries Inc. Article collection apparatus
US20040140412A1 (en) * 2003-01-22 2004-07-22 Hendzel Louis J. Modular substructure for material handling
KR101223151B1 (ko) 2010-07-22 2013-01-17 박홍주 듀얼 컨베이어를 갖는 금속이물 검출기 및 그를 이용한 포장 시스템
JP3191604U (ja) * 2014-04-10 2014-07-03 株式会社アーレスティ 「物品搬送用シュー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0798A (zh) * 2018-02-20 2020-10-13 Cj大韩通运 具有球板的自动分拣系统及其使用方法
CN111770798B (zh) * 2018-02-20 2022-05-03 Cj大韩通运 具有球板的自动分拣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248689B1 (ko) 2020-09-01 2021-05-06 우양정공주식회사 비정형성 물품 분류장치
KR20220064137A (ko) * 2020-11-11 2022-05-18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008B1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8134B (zh) 用于在至少两个输送区段之内输送商品、零散货物和/或包捆物的方法和设备
EP3476777B1 (en) Feeding system
KR101999836B1 (ko) 분류 시스템과 분류 방법
US9751701B2 (en) Storage device for stackable containers
KR101987163B1 (ko) 승강 반송 장치
CN202594275U (zh) 一种多进多出连续输送垂直升降机
US10000346B2 (en) Transporting element for a distributing conveyor of a sorter of a sorting installation
KR20130143592A (ko) 오버헤드 로봇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
JP2004008992A (ja) 郵便物仕分装置
CN103842270A (zh) 横带分拣系统
CN108001722B (zh) 热成形包装机
JP2015037992A (ja) 商品ケース自動積み付けシステム
KR20160139795A (ko) 물품분류기용 슈트
JP2011178486A (ja) 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並びに物品仕分け設備
CN112601707A (zh) 具有卸载区域的可个体地且无人驾驶地移动的负载容纳装置
US11420833B2 (en) Linear sorter having variably running cross-belt supports
JP2016172638A (ja) 仕分け箱詰め装置
CN111891681B (zh) 物流分拣装置
CN107499627B (zh) 电梯导轨半自动打包生产线
JP2007153484A (ja) 搬送システム
JP2009166926A (ja) 物品供給装置
JP6366511B2 (ja) 仕分けシステム、仕分け方法及びガイドユニット
US11498783B2 (en) Palletis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lletising device
US11492216B2 (en) Palletis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lletising system
US9731327B2 (en) Device for sort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