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801B1 - 다층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가공품 - Google Patents

다층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가공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801B1
KR102365801B1 KR1020197017789A KR20197017789A KR102365801B1 KR 102365801 B1 KR102365801 B1 KR 102365801B1 KR 1020197017789 A KR1020197017789 A KR 1020197017789A KR 20197017789 A KR20197017789 A KR 20197017789A KR 102365801 B1 KR102365801 B1 KR 10236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thickness
outermost layer
multi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058A (ko
Inventor
다이 나카가와
노부유키 나카니시
도모카 요시무라
미츠오 도조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8Isotr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복굴절성의 층과 등방성의 층이 교대로 다수 적층되고, 그 막두께를 서서히 변화시킨 다층 구조를 갖는 다층 적층 필름이어도, 고온 처리시의 컬이 개선된 다층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다층 구조와, 상기 다층 구조의 일방의 면에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는 최외층 (1) 및 타방의 면에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는 최외층 (2) 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다층 구조는,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고 막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의 복굴절성의 층인 제 1 층과,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고 막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의 등방성의 층인 제 2 층이 합계 30 층 이상이고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이고, 제 1 층 및 제 2 층의 막두께가, 최외층 (2)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1) 의 측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고, 상기 다층 구조의 합계 두께를 100 % 로 했을 때,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의 합계 두께가 10 % 이상이고, 최외층 (1) 의 두께가 최외층 (2) 의 두께보다 두꺼운, 다층 적층 필름에 의해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다층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가공품
본 발명은 다층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가공품에 관한 것이다.
굴절률이 낮은 층과 높은 층을 교대로 다수 적층시킨 다층 적층 필름은, 층간의 구조적인 광 간섭에 의해서 특정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학 간섭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다층 적층 필름은, 각 층의 막두께를 두께 방향을 따라서 서서히 변화시키거나, 상이한 반사 피크를 갖는 필름을 첩합 (貼合) 하거나 함으로써, 폭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서 광을 반사 또는 투과할 수 있고, 금속을 사용한 필름과 동등한 높은 반사율을 얻을 수도 있어, 금속 광택 필름이나 반사 미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이와 같은 다층 적층 필름을 1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특정한 편광 성분만을 반사하는 반사 편광 필름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휘도 향상 부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4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68505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9-506837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9-506984호 국제 공개 팜플렛 제01/47711호
그러나, 종래 검토되고 있던 바와 같은 각 층의 막두께를 두께 방향을 따라서 서서히 변화시킨 다층 적층 필름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구조적인 불균일성에 기인하여, 필름의 후가공에 있어서의 열이력이나, 최종 제품으로서 고온에서 사용되거나 함으로써 필름이 컬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내고, 주목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에 의하면, 이것은 특히 복굴절성의 층과 등방성의 층의 다층 적층 필름에서 쉽게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굴절성의 층과 등방성의 층이 교대로 다수 적층되고, 그 막두께를 서서히 변화시킨 다층 구조를 갖는 다층 적층 필름이어도, 고온 처리시의 컬이 개선된 다층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다층 구조의 일방의 면과 타방의 면에 두께가 상이한 최외층을 특정한 양태로 배치함으로써, 고온 처리시의 컬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의 구성에 의해서 달성된다.
1. 다층 구조와, 상기 다층 구조의 일방의 면에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는 최외층 (1) 및 타방의 면에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는 최외층 (2) 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다층 구조는,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고 막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의 복굴절성의 층인 제 1 층과,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고 막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의 등방성의 층인 제 2 층이 합계 30 층 이상이고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이고, 제 1 층 및 제 2 층의 막두께가, 최외층 (2)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1) 의 측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고,
상기 다층 구조의 합계 두께를 100 % 로 했을 때,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의 합계 두께가 10 % 이상이고, 최외층 (1) 의 두께가 최외층 (2) 의 두께보다 두꺼운, 다층 적층 필름.
2. (최외층 (1) 의 두께)/(최외층 (2) 의 두께) 의 비율이 1.1 이상, 10.0 이하인, 상기 1 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
3. 막두께가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는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각에 대해서, (최대 15 % 평균 막두께)/(최소 15 % 평균 막두께) 의 비율이 1.2 이상, 8.0 이하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
4. 막두께가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는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각에 대해서, 막두께의 증가가 단조 증가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
5. 제 1 층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가 배향 결정성의 수지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
6.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이 등방성의 층인,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
7.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의 최외층 (1) 또는 최외층 (2) 상에 도포층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 가공품.
8.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의 최외층 (1) 또는 최외층 (2) 상에 경화성 수지층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 가공품.
본 발명에 의하면, 복굴절성의 층과 등방성의 층이 교대로 다수 적층되고, 그 막두께를 서서히 변화시킨 다층 구조를 갖는 다층 적층 필름이어도, 고온 처리시의 컬이 개선된 다층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층 적층 필름]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복굴절성의 제 1 층과 등방성의 제 2 층이 교대 적층된 다층 구조와, 상기 다층 구조의 일방의 면에 최외층 (1) 및 타방의 면에 최외층 (2) 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 방향 (제막 (製膜) 기계 축 방향인 것. 길이 방향 또는 MD 라고도 한다.), 횡 방향 (종 방향과 필름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인 것. 폭 방향 또는 TD 라고도 한다.), 두께 방향의 굴절률에 대해서, 최대와 최소의 차가 0.1 이상인 것을 복굴절성, 0.1 미만인 것을 등방성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성분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다층 구조]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다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다층 구조는,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고 막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의 복굴절성의 층인 제 1 층과,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고 막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의 등방성의 층인 제 2 층이 합계 30 층 이상이고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이다. 또한, 여기서「주로 이루어지고」란, 각 층에 있어서 수지가 7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다. 또,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 1 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복굴절성의 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또, 제 2 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등방성의 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어느 것이나, 필름을 제조하기 쉬운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다층 구조의 적층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층 구조는, 제 1 층 및 제 2 층이 교대로 합계 30 층 이상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수가 30 층 미만이면, 다양한 막두께의 제 1 층 및 제 2 층을 갖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광을 반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 광택 필름이나 반사 미러로서의 기능이 얻기 어려워지고, 또,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휘도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경우, 반사축에 있어서의 반사 특성에 대해서, 파장 400 ∼ 800 ㎚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서 높은 평균 반사율이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또, 적층수가 적으면 낮은 반사율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대응하는 파장 범위를 넓히는 관점이나 반사율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적층수는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50 층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층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층 이상이다. 한편, 적층수는 생산성 및 필름의 핸들링성 등의 관점에서 2001 층 이하가 바람직하지만, 목적으로 하는 반사 특성이 얻어지면 생산성이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더욱 적층수를 줄여도 되고, 예를 들어 1001 층 이하, 501 층 이하, 301 층 이하여도 된다.
(다층 구조의 각 층의 막두께)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 층의 막두께는, 10 ㎚ 이상, 1000 ㎚ 이하이다. 여기서 막두께는 물리 두께를 가리킨다. 각 층의 막두께와 굴절률의 곱인 광학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반사 파장을 설계할 수 있고, 반사 특성을 설계할 수 있다. 제 1 층 및 제 2 층이 각각 복굴절성 및 등방성인 것에도 입각하여, 이들 층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수지의 통상적인 굴절률을 고려하면, 이보다 얇은 층이나 두꺼운 층은 광의 반사율 특성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제 1 층의 각 층의 막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 이하이다. 제 2 층의 각 층의 막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80 ㎚ 이하이다. 또한, 각 층의 막두께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촬영한 사진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휘도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경우, 그 반사 파장 대역은 가시광 영역 내지 근적외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 층의 막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이러한 바람직한 파장 대역의 광을 층간의 광 간섭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막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반사 파장 대역이 적외 영역이 되고, 막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반사 파장 대역이 자외 영역이 되며, 또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에는 광을 흡수하여 반사 성능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다층 구조의 두께 분포)
다층 구조는, 다양한 막두께의 제 1 층 및 제 2 층을 가짐으로써, 넓은 파장 범위의 광을 반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목적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층 구조는,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각의 막두께가, 최외층 (2)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1) 의 측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증가하고 있다」란, 다층 구조의 전체에 있어서 최외층 (1) 의 측의 층이 최외층 (2) 의 측의 층보다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층 구조의 전체를 보았을 때 막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외층 (2)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1) 의 측을 향하여 층에 번호를 붙이고, 그것을 가로축으로서, 각 층의 막두께를 세로축으로서 플롯했을 때, 1 차 근사선의 기울기가 플러스이면, 증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층과 제 2 층은, 각각 개별적으로 보면 되고, 제 1 층의 증가와 제 2 층의 증가는, 각각 상이한 기울기일 수 있다. 또, 상기 증가에 대해서는,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표층으로부터 타방의 최표층까지의 모두에 있어서 증가하고 있는 양태여도 되지만, 다층 구조에 있어서, 층수로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의 부분에 있어서 증가하고 있는 양태여도 되고, 그 나머지의 부분에 있어서는 두께가 일정하거나 감소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막두께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양태를, 막두께가 경사져 있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층 및 제 2 층의 막두께의 증가의 기울기는, 적당히 기울기가 있는 편이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광을 반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울기가 지나치게 큰 것은 컬이 발생되기 쉬운 경향이 된다. 그래서, 제 1 층 및 제 2 층은 각각, 상기 막두께가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는 경우, (최대 15 % 평균 막두께)/(최소 15 % 평균 막두께) 의 비율이 1.2 이상,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최대 15 % 평균 막두께란, 제 1 층 혹은 제 2 층의 각 층에 대해서, 막두께가 증가 경향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러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층수의 15 % 만큼의 층수의 층을 막두께가 두꺼운 쪽에서부터 추출하고, 그것들의 막두께의 평균치이다. 마찬가지로 최소 15 % 평균 막두께란, 제 1 층 혹은 제 2 층의 각 층에 대해서, 막두께가 증가 경향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러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층수의 15 % 만큼의 층수의 층을 막두께가 얇은 쪽에서부터 추출하고, 그것들의 막두께의 평균치이다. 제 1 층 또는 제 2 층에 있어서, (최대 15 % 평균 막두께)/(최소 15 % 평균 막두께) 의 비율이 작으면, 반사 가능한 파장 범위가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휘도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 등의 용도에 있어서는, 반사축에 있어서의 반사 특성에 대해서, 파장 400 ∼ 800 ㎚ 의 폭 넓은 파장 범위에서의 균일한 평균 반사율이 얻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어, 반사 편광 성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최대 15 % 평균 막두께)/(최소 15 % 평균 막두께) 의 비율이 크면, 반사 파장 대역이 400 ∼ 800 ㎚ 보다 확대되고, 그것에 의해서 각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어, 필요한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휘도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의 용도에 있어서는, 반사축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저하를 수반하는 경우가 있어, 반사 편광 성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층 구조에서는, 상기한 제 1 층 및 제 2 층의 막두께의 증가가 각각 단조 증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조 증가란, 제 1 층 혹은 제 2 층에 있어서, 막두께가 증가 경향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의 각 층의 층수를 5 등분하고, 최외층 (2)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1) 의 측을 향하여, 등분된 각 에어리어에서의 막두께의 평균치가 단조롭게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외층]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다층 구조의 일방의 면에 최외층 (1) 및 타방의 면에 최외층 (2) 을 갖고, 최외층 (1) 의 두께가 최외층 (2) 의 두께보다 두껍다. 상기 서술한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 층의 막두께의 증가에 관련된 양태와, 최외층에 관련된 본 양태를 동시에 달성함으로써, 필름의 고온 처리시의 컬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다층 구조에 있어서 각 층이 얇은 측에 얇은 최외층을 배치하고, 각 층이 두꺼운 측에 두꺼운 최외층을 배치한다. 이것은, 단순히 다층 구조에 있어서 각 층이 얇은 측에 두꺼운 최외층을 배치하여 밸런스를 취하려고 하는 것과는 달리, 놀랄 만한 효과이다.
최외층 (1) 의 두께와 최외층 (2) 의 두께는, 하기 식 (1) 로 정의되는 최외층의 두께 비율이 1.1 이상, 10.0 이하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더욱 바람직하게 고온 처리시의 컬을 개선할 수 있다.
최외층의 두께 비율 = (최외층 (1) 의 두께)/(최외층 (2) 의 두께) ···식 (1)
최외층의 두께 비율이 1.0 이하에서는, 다층 구조에서 발생되는 고온 처리시의 컬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최외층의 두께 비율이 10.0 을 초과하면, 최외층 (1) 과 최외층 (2) 의 두께의 불균일성에 의해서, 다층 구조 단독 혹은 최외층의 두께 비율이 1.0 이하일 때 발생되는 컬과는 역방향의 컬이 발생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외층의 두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이하이다.
[다층 적층 필름의 수지 조성]
[제 1 층의 수지 조성]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다층 구조를 구성하는 제 1 층은, 복굴절성의 층이고, 즉 이것을 구성하는 수지는, 복굴절성의 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배향 결정성의 수지가 바람직하고, 이러한 배향 결정성의 수지로서 특히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그 폴리에스테르는, 그것을 구성하는 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 및/또는 에틸렌나프탈레이트 단위를,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나프탈레이트 단위를, 80 몰% 이상, 100 몰%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높은 굴절률의 층으로 하기 쉽고, 그것에 의해서 제 2 층과의 굴절률차를 크게 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 병용의 경우에는, 합계의 함유량이다.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
제 1 층의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로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하고, 그 함유량은 그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80 몰% 이상, 10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되는 성분, 혹은 그것들의 유도체 성분을 들 수 있고, 특히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혹은 그 유도체 성분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5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100 몰%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하이다.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이외에, 추가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테레프탈산 성분, 이소프탈산 성분 등을 함유해도 되고, 그 중에서도 테레프탈산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은 0 몰% 를 초과하고, 20 몰%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몰% 이상이고,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휘도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경우, 제 1 층이 제 2 층보다 상대적으로 고굴절률 특성을 갖는 층이고, 제 2 층이 제 1 층보다 상대적으로 저굴절률 특성을 갖는 층이며, 또 1 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는, 1 축 연신 방향을 X 방향, 필름면 내에 있어서 X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 (비연신 방향이라고도 한다.), 필름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Z 방향 (두께 방향이라고도 한다.) 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층에, 상기와 같이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X 방향으로 고굴절률을 나타냄과 동시에 1 축 배향성이 높은 복굴절률 특성을 실현할 수 있고, X 방향에 대해서 제 2 층과의 굴절률차를 크게 할 수 있어, 고편광도에 기여한다. 한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함유량이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비정성의 특성이 커지고, X 방향의 굴절률 nX 와, Y 방향의 굴절률 nY 의 차이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 필름면을 반사면으로 하고, 1 축 연신 방향 (X 방향) 을 포함하는 입사면에 대해서 평행한 편광 성분으로 정의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P 편광 성분에 대해서 충분한 반사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S 편광 성분이란,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 필름면을 반사면으로 하고, 1 축 연신 방향 (X 방향) 을 포함하는 입사면에 대해서 수직인 편광 성분으로 정의된다.
제 1 층의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성분이 사용되고, 그 함유량은 그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80 몰% 이상, 10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몰% 이상, 10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100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98 몰% 이하이다. 그 디올 성분의 비율이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1 축 배향성이 저해되는 경우가 있다.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성분 이외에, 추가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성분,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성분, 디에틸렌글리콜 성분 등을 함유해도 된다.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특성)
제 1 층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220 ∼ 290 ℃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 280 ℃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 270 ℃ 의 범위이다.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로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그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용융 압출하여 성형할 때에 유동성이 떨어지고, 토출 등이 불균일화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융점이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제막성은 우수하기는 하지만, 폴리에스테르가 갖는 기계적 특성 등이 저해되기 쉬워지고, 또 액정 디스플레이의 휘도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으로서 사용될 때의 굴절률 특성이 잘 발현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제 1 층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 Tg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는, 바람직하게는 80 ∼ 1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2 ∼ 118 ℃,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118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115 ℃ 의 범위에 있다. Tg 가 이 범위에 있으면,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 액정 디스플레이의 휘도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으로서 사용될 때의 굴절률 특성을 발현하기 쉽다. 이러한 융점이나 유리 전이 온도는, 공중합 성분의 종류와 공중합량, 그리고 부생물인 디에틸렌글리콜의 제어 등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제 1 층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o-클로로페놀 용액을 사용하여 35 ℃ 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0.50 ∼ 0.75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 0.72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56 ∼ 0.71 ㎗/g 이다. 이로써 적당한 배향 결정성을 갖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제 2 층과의 굴절률차를 발현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제 2 층의 수지 조성]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다층 구조를 구성하는 제 2 층은 등방성의 층이고, 즉 이것을 구성하는 수지는 등방성의 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 2 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비정성의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비정성인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비정성」이란, 극히 미미한 결정성을 갖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이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얻을 정도로 제 2 층을 등방성으로 할 수 있으면 된다.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제 2 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에틸렌글리콜 성분 및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되는 성분, 혹은 그것들의 유도체 성분을 들 수 있고, 특히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혹은 그 유도체 성분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 성분이란,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어느 것의 성분인 것을 의미하고, 종이 되는 성분 (공중합량으로서 전산 성분 또는 전디올 성분에 대해서 50 몰% 미만인 성분) 으로서의 공중합 성분에 한정되지 않고, 주가 되는 성분 (공중합량으로서 전산 성분 또는 전디올 성분에 대해서 50 몰% 이상인 성분) 도 포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층의 수지로서 에틸렌나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 제 2 층의 수지로서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층과의 상용성이 높아지고, 제 1 층과의 층간 밀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어, 층간 박리가 발생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성분과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의 적어도 2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에틸렌글리콜 성분은, 필름 제막성 등의 관점에서 주가 되는 디올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추가로 디올 성분으로서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층 구조의 탄성을 보완하여, 층간 박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이러한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바람직하게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전카르복실산 성분의 30 몰% 이상, 10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상, 8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상, 70 몰% 이하이다. 이로써 제 1 층과의 밀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함유량이 하한에 미치지 못하면, 상용성의 관점에서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많으면 제 1 층과의 굴절률차를 발현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1 층과의 굴절률의 관계를 조정하기 위해서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공중합시켜도 된다.
에틸렌글리콜 성분은,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전디올 성분의 50 몰% 이상, 9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9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85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80 몰% 이하이다. 이로써 제 1 층과의 굴절률차를 발현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은,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전디올 성분의 3 몰% 이상, 5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몰% 이상, 4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상, 40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상, 30 몰% 이하이다. 이로써 제 1 층과의 층간 밀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제 1 층과의 굴절률차를 발현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의 함유량이 하한에 미치지 못하면 층간 밀착성의 확보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상한을 초과하면 원하는 굴절률과 유리 전이 온도의 수지로 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층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제 2 층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서 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제 2 폴리머 성분으로서 함유해도 된다.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특성)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술하는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85 ℃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1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12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3 ℃ 이상, 110 ℃ 이하이다. 이로써 내열성이 보다 우수하다. 또, 제 1 층과의 굴절률차를 발현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가 하한에 미치지 못할 경우, 내열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어 90 ℃ 부근에서의 열처리 등의 공정을 포함할 때 제 2 층의 결정화나 취화에 의해서 헤이즈가 상승하여, 휘도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으로서 사용될 때의 편광도의 저하를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연신시에 제 2 층의 폴리에스테르도 연신에 의한 복굴절성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고, 그에 수반하여 연신 방향에 있어서 제 1 층과의 굴절률차가 작아져, 반사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서술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온도 90 ℃ 에서 1000 시간의 열처리로 결정화에 의한 헤이즈 상승을 극히 우수하게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비정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비정성이란, DSC 에 있어서 승온 속도 20 ℃/분으로 승온시켰을 때의 결정 융해 열량이 0.1 mJ/㎎ 미만인 것을 가리킨다.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 (1)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함유하고,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성분 및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2)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테레프탈산 성분을 함유하고,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성분 및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o-클로로페놀 용액을 사용하여 35 ℃ 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0.50 ∼ 0.70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 ∼ 0.65 ㎗/g 이다. 제 2 층에 사용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공중합 성분으로서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을 가질 경우, 제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를 상기 서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막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 2 층으로서 상기 서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의 고유 점도는, 제막성의 관점에서는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상한을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제 1 층의 폴리에스테르와의 용융 점도차가 커져, 각 층의 두께가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최외층의 수지 조성]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은, 수지로 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주로 이루어진다」는, 각 층에 있어서 수지가 7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다. 또,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은, 등방성의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조상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제 2 층과 동일 수지여도 되고, 상기 서술한 제 2 층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구성할 수 있고, 그러한 양태가 바람직하다. 특히,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의 두께 비율을 비교적 크게 할 경우에는, 등방성의 층인 편이 고온 처리시의 컬을 개선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관점에서도 등방성의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층]
(중간층)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상기 서술한 최외층 (1), 최외층 (2), 제 1 층, 제 2 층 이외에, 중간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중간층은,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후막층 등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지만, 제 1 층과 제 2 층의 교대 적층 구성의 내부에 존재하는 후막의 층을 가리킨다. 또한, 여기서 후막이란, 광학적으로 후막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의 초기 단계에서 교대 적층체의 양측에 막두께가 두꺼운 층 (두께 조정층, 버퍼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형성하고, 그 후 더블링에 의해서 적층수를 늘리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그 경우에는 막두께가 두꺼운 층끼리가 2 층 적층되어 중간층이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내부에 형성된 후막의 층을 중간층이라고 하고, 외측에 형성된 후막의 층을 최외층이라고 칭한다.
중간층은, 예를 들어 층두께가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의 두께이다. 이와 같은 중간층을 제 1 층과 제 2 층의 교대 적층 구성의 일부에 갖는 경우, 편광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 1 층 및 제 2 층을 구성하는 각 층 두께를 균일하게 조정하기 쉬워진다. 중간층은, 제 1 층, 제 2 층의 어느 것과 동일한 조성, 또는 이것들의 조성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조성이어도 되고, 층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반사 특성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한편, 투과 특성에는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층 중에 입자를 함유시키거나 하는 경우에는, 광선 투과율을 고려하여 입자경이나 입자 농도를 선택하면 된다.
그 중간층의 두께가 하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층 구조의 층 구성에 흐트러짐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어, 반사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그 중간층의 두께가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층 적층 필름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 박형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반사형 편광판이나 휘도 향상 부재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공간 절약화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 다층 적층 필름 내에 복수의 중간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중간층의 두께는, 상기 범위의 하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중간층의 두께의 합계는, 상기 범위의 상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에 사용되는 폴리머는,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다층 구조 중에 존재시킬 수 있으면, 제 1 층 혹은 제 2 층과 상이한 수지를 사용해도 되지만, 층간 밀착성의 관점에서, 제 1 층 또는 제 2 층의 어느 것과 동일한 조성이거나, 이것들의 조성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간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더블링을 행하기 전의 교대 적층체의 양측에 막두께가 두꺼운 층을 형성하고, 그것을 레이어 더블링 블록이라고 불리는 분기 블록을 사용하여 교대 적층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2 분할하고, 그것들을 교대 적층 방향으로 재적층함으로써 중간층을 1 층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수법으로 3 분할, 4 분할함으로써 중간층을 복수 형성할 수도 있다.
(도포층)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도포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도포층으로는, 미끄럼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끄럼 용이층이나, 프리즘층 또는 확산층 등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프라이머층 등을 들 수 있다. 도포층은 바인더 성분을 함유하고, 미끄럼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입자를 함유시키면 된다. 접착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바인더 성분을, 접착하고자 하는 층의 성분과 화학적으로 가까운 것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도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은, 환경의 관점에서 물을 용매로 하는 수계 도포액인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그러한 경우 등에 있어서, 적층 다층 필름에 대한 도포액의 젖음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계면 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도포층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교제를 첨가하거나, 기능제를 첨가해도 된다.
[다층 적층 필름의 두께]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필름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정하면 되는데, 15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로 3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바람직한 광학 특성이 발현되기 쉬워지고, 또,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때 지나치게 두껍지 않아, 경량화나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다층 구조의 합계 두께 100 % 에 대해서,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의 합계 두께가 10 % 이상이다. 이로써 고온 처리시의 컬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최외층의 합계 두께가 10 % 미만에서는, 고온 처리시의 컬 발생을 억제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최외층 (1) 과 최외층 (2) 의 합계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고, 60 %를 초과하면, 다층 구조의 기여가 작아져, 휘도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반사 편광 성능 등의 광학 특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층 적층 필름 내에 복수의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중간층을 갖고, 그 양측에 다층 구조를 갖는 양태가 있다. 복수의 다층 구조는, 제 1 층 및 제 2 층의 막두께의 증가 방향에 관하여, 모두 동일한 방향이어도 되고, 상이한 방향이어도 된다. 또, 막두께의 경사가 없는 다층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막두께의 증가 방향이 상이한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막두께의 경사를 갖는 다층 구조에 있어서, 차지하는 부분이 많은 쪽의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막두께의 증가 방향과,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의 배치를 본 발명이 규정하는 양태로 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 파장 대역의 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관점 및 각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높이고자 하는 관점에서, 복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양태가 바람직하고, 그 수로는, 바람직하게는 2 ∼ 5,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3 이다. 또, 복수의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서로 막두께의 증가의 경사 방향이 동일한 양태이면, 레이어 더블링 블록을 사용한 수법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어, 제조하기 쉽다. 또한, 그와 같은 구성이면 고온 처리시의 컬이 발생되기 쉽고,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컬을 억제한다는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막두께의 증가의 경사 방향이 상이한 다층 구조를 갖는 데에는, 복수의 다층 피드 블록을 사용하게 되어, 설비가 복잡화한다.
[각 층의 두께]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각 층의 바람직한 두께의 구체예로는, 아래의 것을 들 수 있다. 다층 구조의 제 1 층과 제 2 층의 합계 두께의 바람직한 범위는 20 ㎛ 이상, 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50 ㎛ 이하이다. 최외층 (1) 의 두께의 바람직한 범위는 5 ㎛ 이상,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20 ㎛ 이하이다. 최외층 (2) 의 두께의 바람직한 범위는 2 ㎛ 이상,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0 ㎛ 이하이다.
[1 축 연신 필름]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목적으로 하는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서, 1 축 연신 필름이나 2 축 연신 필름이면 되는데, 특히 반사 편광의 기능을 이용한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1 축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1 축 연신에는, 1 축 방향으로만 연신한 필름 외에, 2 축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으로서, 일 방향으로 보다 연신된 필름도 포함된다. 1 축 연신 방향은, 필름 길이 방향, 폭 방향의 어느 방향이어도 된다. 또, 2 축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으로서, 일 방향으로 보다 연신된 필름의 경우에는, 보다 연신된 방향은 필름 길이 방향, 폭 방향의 어느 방향이어도 되고, 연신 배율이 낮은 방향은, 1.03 ∼ 1.20 배 정도의 연신 배율로 그치게 하는 것이 편광 성능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2 축 방향으로 연신되고, 일 방향으로 보다 연신된 필름의 경우, 편광이나 굴절률의 관계에서의「1 축 연신 방향」이란, 보다 연신된 방향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1 축 연신 방향, 및, 2 축 연신에 있어서 보다 연신된 방향을 X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1 축 연신 필름에 있어서는, 제 1 층과 제 2 층의 X 방향의 굴절률차는 0.10 ∼ 0.45 인 것이 바람직하다. X 방향의 굴절률차가 이러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이러한 방향에 있어서의 반사 특성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고, 보다 적은 적층수로 높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제 1 층과 제 2 층의 Y 방향의 굴절률차는 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Y 방향의 층간의 굴절률차가 이러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이러한 방향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어, 상기 X 방향에 있어서의 반사 특성과 아울러 편광 성능이 보다 높아져 바람직하다.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도 (度) 향상 부재나 반사형 편광판으로서 사용될 때ㅇ에, 제 1 층의 X 방향의 굴절률 nX 에 대해서, 1.80 ∼ 1.90 의 고굴절률 특성이 바람직하다. 제 1 층에 있어서의 X 방향의 굴절률이 이러한 범위에 있을 경우, 제 2 층과의 굴절률차를 크게 하기 쉬워져, 반사 편광 성능을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또, 제 1 층의 Y 방향의 1 축 연신 후의 굴절률 nY 와 Z 방향의 1 축 연신 후의 굴절률 nZ 의 차는 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축 연신 필름은, 배향이 언밸런스하기 때문에, 고온 처리시의 컬이 보다 발생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사상이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여기서 아래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은 일례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이한 양태에 대해서도, 아래의 것을 참조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제 1 층을 구성하는 폴리머와 제 2 층을 구성하는 폴리머를, 다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용융 상태에서 교대로 중첩시켜 합계로 30 층 이상의 교대 적층체를 제작하고, 그 양면에 버퍼층을 형성하고, 그 후 레이어 더블링이라고 불리는 장치를 사용하여 그 버퍼층을 갖는 교대 적층체를 예를 들어 2 ∼ 4 분할하고, 그 버퍼층을 갖는 교대 적층체를 1 블록으로 하여 블록의 적층수 (더블링수) 가 2 ∼ 4 배가 되도록 다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적층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다층 구조의 내부에 버퍼층 끼리가 2 층 적층된 중간층과, 버퍼층 1 층으로 이루어지는 최외층을 양면에 갖는 다층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다층 구조는, 제 1 층과 제 2 층의 각 층의 두께가 원하는 경사 구조를 갖도록 적층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층 피드 블록 장치에 있어서 슬릿의 간격이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원하는 적층수로 적층한 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캐스팅 드럼 상에서 냉각시켜, 다층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다층 미연신 필름은, 제막 기계 축 방향 (종 방향, 길이 방향 또는 MD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그것에 필름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 (횡 방향, 폭 방향 또는 TD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적어도 1 축 방향 (이러한 1 축 방향은 필름면을 따른 방향이다.) 으로 연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는, 제 1 층의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 (Tg + 20) ℃ 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보다 낮은 온도에서 연신을 행함으로써, 필름의 배향 특성을 보다 고도로 제어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2.0 ∼ 7.0 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6.5 배이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연신 배율이 클수록, 제 1 층 및 제 2 층에 있어서의 개개의 층의 면 방향의 굴절률의 편차가 연신에 의한 박층화에 의해서 작아지고, 다층 적층 필름의 광 간섭이 면 방향으로 균일화되며, 또 제 1 층과 제 2 층의 연신 방향의 굴절률차가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때의 연신 방법은, 봉상 히터에 의한 가열 연신, 롤 가열 연신, 텐터 연신 등 공지된 연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롤과의 접촉에 의한 흠집의 저감이나, 적절한 연신 속도로 할 수 있는 등의 관점에서 텐터 연신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연신 방향과 필름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 (Y 방향) 으로도 연신 처리를 실시하고, 2 축 연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용도에 따라서 상이하기도 하지만, 반사 편광 특성을 구비시키고자 할 때에는, 1.03 ∼ 1.20 배 정도의 연신 배율로 그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Y 방향의 연신 배율을 그 이상 높이면, 편광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연신 후에 추가로 (Tg) ∼ (Tg + 30) ℃ 의 온도에서 열고정을 행하면서, 5 ∼ 15 % 의 범위에서 연신 방향으로 토아웃 (재연신) 시킴으로써, 얻어진 다층 적층 필름의 배향 특성을 고도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도포층을 형성할 경우, 다층 적층 필름에 대한 도포는 임의의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지만,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신 전의 필름에 대해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금속 광택 필름이나 반사 미러의 용도에 사용하는 다층 적층 필름인 경우에는, 2 축 연신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축차 2 축 연신법, 동시 2 축 연신법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연신 배율은,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 층의 굴절률 및 막두께가, 원하는 반사 특성을 얻도록 조정되도록 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이들 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통상적인 굴절률을 고려하면, 종 방향 및 횡 방향 모두 2.5 ∼ 6.5 배 정도로 하면 된다.
[용도]
이하,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용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휘도 향상 부재)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상기 서술한 폴리머 조성이나 층 구성, 배향의 양태로 함으로써, 일방의 편광 성분을 선택적으로 반사하고, 그 편광 성분과 수직 방향의 편광 성분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축 연신한 양태이다. 이러한 성능을 이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휘도 향상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휘도 향상 부재로서 사용했을 경우, 일방의 편광 성분은 투과하고, 타방의 투과하지 못한 편광 성분은 흡수되지 않고 광원 측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을 재이용할 수 있어, 양호한 휘도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프리즘층이나 확산층 등의 경화성 수지층을 적층해도 된다. 여기서 경화성 수지층은, 열경화성 수지층이나 전자선 경화성 수지층이다. 그 때, 프라이머 기능 등을 갖는 도포층을 개재하여 이들 프리즘층 혹은 확산층을 적층할 수도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프리즘층 등의 부재와 첩함하고, 유닛화함으로써, 조립시의 부재수를 저감할 수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층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이들 부재와 첩합함으로써, 가공시 등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층간 박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이 높은 휘도 향상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을 휘도 향상 부재로서 사용할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의 광원과, 편광판/액정 셀/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액정 패널 사이에 휘도 향상 부재를 배치하는 양태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예시된다. 프리즘층을 추가로 형성할 경우에는, 휘도 향상 부재의 액정 패널 측에 프리즘층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편광판)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흡수형 편광판과 병용하거나, 혹은 단독으로 사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반사 편광 성능을 높여, 후술하는 편광도 (P) 로 85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5 % 이상이 되는 고편광도를 갖는 것에 대해서는, 흡수형 편광판을 병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액정 셀에 인접하여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다층 필름의 용도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적층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편광판, 액정 셀, 및 제 2 편광판이 이 순으로 적층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아래에 나타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물성이나 특성은,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1) 필름 전체 두께
필름 샘플을 스핀들 검출기 (안리츠 전기 (주) 제조 K107C) 에 끼우고, 디지털 차동 전자 마이크로미터 (안리츠 전기 (주) 제조 K351) 로, 상이한 위치에서 두께를 10 개 지점 측정하고, 평균치를 구하여 필름 두께로 하였다.
(2) 각 층의 두께
다층 적층 필름을 필름 길이 방향 2 ㎜, 폭 방향 2 ㎝ 로 잘라내고, 포매 캡슐에 고정 후, 에폭시 수지 (리파인 테크 (주) 제조 에포마운트) 로 포매하였다. 포매된 샘플을 마이크로톰 (LEICA 제조 ULTRACUT UCT) 으로 폭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단하고, 50 ㎚ 두께의 박막 절편으로 하였다. 투과형 전자 현미경 (히타치 S-4300) 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100 ㎸ 에서 관찰 촬영하고, 사진으로부터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1 ㎛ 를 초과하는 두께의 층에 대해서, 다층 구조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중간층, 최표층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최외층으로 하여, 각각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 얻어진 각 층의 두께를 기초로, 최외층 (2) 에 대한 최외층 (1) 의 비율, 다층 구조의 합계 두께 100 % 에 대한 최외층 (1) 과 최외층 (2) 의 합계 두께의 비율을 구하였다.
막두께가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범위 내에 있는 제 1 층 및 제 2 층의 층수를 각각 카운트하고, 각각에 대해서 막두께가 두꺼운 쪽에서부터 층수의 15 % 에 상당하는 수의 층에 대해서 평균을 산출하여, 최대 15 % 평균 막두께로 하고, 또, 막두께가 얇은 쪽에서부터 층수의 15 % 에 상당하는 수의 층에 대해서 평균을 산출하여, 최소 15 % 평균 막두께로 하여, 최소 15 % 평균 막두께에 대한 최대 15 % 평균 막두께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또, 막두께의 경사를 갖는 다층 구조에 있어서, 차지하는 부분이 많은 쪽의 다층 구조에 대해서 막두께의 증가의 방향을 확인하여, 최외층 (2)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1) 의 측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평가 ○, 최외층 (1)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2) 의 측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평가 × 로 하였다.
또한, 막두께의 경사를 갖는 다층 구조에 있어서, 차지하는 부분이 많은 쪽의 다층 구조에 대해서, 제 1 층과 제 2 층의 각각에 대해서, 막두께가 증가 경향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의 각 층의 층수를 5 등분하여, 최외층 (2)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1) 의 측으로 향하고, 등분된 각 에어리어에서의 막두께의 평균치가 단조롭게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조 증가이다 (평가 ○) 로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조 증가가 아니다 (평가 ×) 로 하였다.
(3) 컬
10 ㎝ × 10 ㎝ (X 방향 × Y 방향) 의 샘플을, 최외층 (1) 의 면을 위로 하여 유리판 상에 놓고, 90 ℃ 로 설정한 오븐에 투입하였다. 1 시간 후, 유리판에 재치 (載置) 한 상태에서 샘플을 꺼내고, 실온 환경하에서 그대로 30 분 방치하였다. 그 후, 유리판 표면으로부터의 샘플의 4 코너의 높이를 자로 측정하고, 그것들의 평균치를 컬의 크기로 하였다. 또한, 측정은 0.5 ㎜ 의 눈금을 구비하는 자를 사용하여 행하고, 눈금 사이인 경우에는 가까운 쪽의 눈금으로 읽어 0.5 ㎜ 단위로 구하였다. 샘플의 4 코너가 유리판으로부터 들떠 있지 않은 경우, 즉 아래로 볼록해지는 컬이 아닌 경우에는, 샘플을 뒤집어, 최외층 (2) 의 면을 위로 하고, 다시 유리판 표면으로부터의 샘플의 4 코너의 높이를 상기와 동일하게 자로 측정하고, 그것들의 평균치를 컬치로 하였다. 또한, 샘플의 4 코너가 최외층 (1) 측으로 들떠 있는 경우에는 플러스의 컬치, 최외층 (2) 측으로 들떠 있는 경우에는 마이너스의 컬치로 하였다.
컬치는 절대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컬치의 절대치는, 4.0 ㎜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다.
(4) 편광도 (P)
편광 필름 측정 장치 (니혼 분광 주식회사 제조「VAP7070S」) 를 사용하여, 얻어진 다층 적층 필름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측정하고, 편광도 (P) (단위 : %) 로 하였다. 또한, 측정은 스포트 직경 조정용 마스크 Φ1.4, 및 편각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광의 입사각은 0 도 설정으로 하고, 크로스 니콜 서치 (650 ㎚) 에서 정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투과축과 그 투과축과 직행하는 축의 각각의 평균 투과율 (파장 범위 400 ∼ 800 ㎚) 을 기초로 산출된다.
편광도 (P) 는, 60 % 이상 있으면 적용할 수 있는 용도가 있을 수 있다. 휘도 향상 부재 등의 광학용에 사용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A)
제 1 층용 폴리에스테르로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 테레프탈산디메틸, 그리고 에틸렌글리콜을, 티탄테트라부톡시드의 존재하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하고, 추가로 계속해서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산 성분의 95 몰% 가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산 성분의 5 몰% 가 테레프탈산 성분,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성분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고유 점도 0.64 ㎗/g, o-클로로페놀, 35 ℃, 이하 동일) 를 준비하였다.
(폴리에스테르 B)
제 2 층용 폴리에스테르로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 테레프탈산디메틸, 그리고 에틸렌글리콜과 트리메틸렌글리콜을, 티탄테트라부톡시드의 존재하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하고, 추가로 계속해서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산 성분의 50 몰% 가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 산 성분의 50 몰% 가 테레프탈산 성분, 글리콜 성분의 85 몰% 가 에틸렌글리콜 성분, 글리콜 성분의 15 몰% 가 트리메틸렌글리콜 성분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고유 점도 0.63 ㎗/g) 를 준비하였다.
(도액 A)
고형분 조성이, 아래에 나타내는 아크릴 바인더, 계면 활성제 및 입자를, 질량비로 89 : 10 : 1 이 되도록 혼합한 것인, 고형분 농도 4 질량% 의 수성 도액을 준비하였다.
아크릴 바인더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 몰%/에틸아크릴레이트 30 몰%/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 몰%/N-메틸올아크릴아미드 5 몰% 로 구성되어 있다 (Tg = 40 ℃). 4 구 플라스크에, 이온 교환수 302 부를 투입하여 질소 기류 중에서 60 ℃ 까지 승온시키고, 이어서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 0.5 부, 아황산수소나트륨 0.2 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모노머류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6.7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23.3 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5 부,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3.4 부의 혼합물을 3 시간에 걸쳐, 액온이 60 ∼ 70 ℃ 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후에도 동 온도 범위로 2 시간 유지하면서, 교반하면서 반응을 계속하게 하고, 이어서 냉각시켜 고형분이 25 질량% 인 아크릴의 수분산체를 얻었다.
계면 활성제 : 폴리옥시에틸렌트리벤질페닐에테르
입자 : 아크릴 진구상 입자 (평균 입자경 150 ㎚, 주식회사 닛폰 쇼쿠바이 제조, 상품명「에포스타 MX-100W」)
(다층 적층 필름)
상기 서술한 제 1 층용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A 로 한다.) 를 170 ℃ 에서 5 시간 건조, 및, 상기 서술한 제 2 층용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B 로 한다.) 를 85 ℃ 에서 8 시간 건조시킨 후, 각각 제 1, 제 2 압출기에 공급하고, 300 ℃ 까지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하고, 제 1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138 층, 제 2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137 층으로 분기시킨 후, 제 1 층과 제 2 층이 교대로 적층되고, 제 1 층 및 제 2 층의 막두께가 후술하는 최외층 (2)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1) 의 측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는 다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제 1 층과 제 2 층이 교대로 적층된 층수 275 층의 적층 상태의 용융체로 하였다. 이 때, 최종적인 필름에 있어서 제 1 층과 제 2 층의 평균 층두께비가 1.0 : 1.3 이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하였다.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그 양측에 제 3 압출기로부터 제 2 층용 폴리에스테르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를 3 층 피드 블록으로 유도하고, 층수 275 층의 적층 상태의 용융체의 적층 방향의 양측에 버퍼층을 추가로 적층하였다. (최외층 (1) 의 두께)/(최외층 (2) 의 두께) 의 비율이 1.2 가 되고, 양측의 버퍼층의 두께의 합계가 전체의 두께에 대해서 40 % 가 되도록 제 3 압출기의 공급량을 조정하였다. 그 적층 상태를 추가로 레이어 더블링 블록으로 2 분기하여 1 : 1 의 비율로 적층하고, 내부에 2 개의 버퍼층이 결합된 1 개의 중간층, 각 표층에 1 개씩 합계 2 개의 최외층을 포함하는 전층수 553 층의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이로 유도하고, 캐스팅 드럼 상에 캐스트하여, 전층수 553 층의 미연신 다층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미연신 다층 적층 필름의 최외층 (2) 상에 도액 A 를, 연신 건조 후의 도포 두께가 0.1 ㎛ 가 되도록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도포 후의 미연신 다층 적층 필름을 스텐터로 유도하고, 135 ℃ 의 온도에서 폭 방향으로 6.0 배로 연신하고, 150 ℃ 에서 20 초간 열고정시켜 다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다층 적층 필름의 두께는 75 ㎛ 였다. 또, 제 1 층은 복굴절성이고, 제 2 층, 최외층 및 중간층은 등방성이었다.
[실시예 2 ∼ 9, 비교예 1 ∼ 3]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층의 두께, 총층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막두께의 증가 방향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다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다층 적층 필름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얻어진 다층 적층 필름은, 모두 제 1 층은 복굴절성이고, 제 2 층, 최외층 및 중간층은 등방성이었다.
또한, 총층수는 최초의 분기수를 변경함으로써 바꾸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5 에 있어서는 제 1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180 층, 제 2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179 층으로 분기하였다. 실시예 6 에 있어서는 제 1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45 층, 제 2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44 층으로 분기하였다. 실시예 7 에 있어서는 제 1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270 층, 제 2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269 층으로 분기하였다. 실시예 8 에 있어서는 제 1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71 층, 제 2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70 층으로 분기하였다. 비교예 3 에 있어서는 제 1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200 층, 제 2 층용 폴리에스테르를 199 층으로 분기하였다.
[프리즘 렌즈층의 형성]
프리즘 렌즈의 패턴을 형성한 유리형에,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흘려 넣고, 그 위에 얻어진 필름의 도포면을 그 수지측으로 하여 밀착시키고, 유리제의 형의 면측의 30 ㎝ 의 거리로부터 자외선 램프 (조사 강도 80 W/㎝, 6.4 ㎾) 를 사용하여 30 초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키고, 꼭지각 90 도, 피치 50 ㎛, 높이가 30 ㎛ 인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를 얻었다.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히타치 화성 공업사 제조 FA-321M) 46 질량%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아크릴레이트 (닛폰 화약 화학 공업사 제조 R-604) 25 질량%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오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사 제조 비스코트192) 27 질량%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머크사 제조 Darocur1173) 2 질량%
Figure 112019063298316-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교대로 적층된 복굴절성의 층과 등방성의 층의 두께가 두께 방향으로 증가하면서도, 고온 처리시의 컬이 개선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편광 성능이 요구되는 휘도 향상 부재, 반사형 편광판 등으로서 사용할 경우, 필름의 후가공의 열처리나 최종 제품에서의 고온에서의 사용시에도 컬이 잘 발생되지 않는 점에서, 보다 신뢰성이 높은 휘도 향상 부재, 액정 디스플레이용 편광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다층 구조와, 상기 다층 구조의 일방의 면에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는 최외층 (1) 및 타방의 면에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는 최외층 (2) 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다층 구조는,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고 막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의 복굴절성의 층인 제 1 층과, 수지로 주로 이루어지고 막두께가 10 ㎚ 이상, 1000 ㎚ 이하의 등방성의 층인 제 2 층이 합계 30 층 이상이고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이고, 제 1 층 및 제 2 층의 막두께가, 최외층 (2) 의 측으로부터 최외층 (1) 의 측으로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고,
    상기 다층 구조의 합계 두께를 100 % 로 했을 때,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의 합계 두께가 10 % 이상이고, 최외층 (1) 의 두께가 최외층 (2) 의 두께보다 두꺼운, 다층 적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최외층 (1) 의 두께)/(최외층 (2) 의 두께) 의 비율이 1.1 이상, 10.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막두께가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는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각에 대해서, (최대 15 % 평균 막두께)/(최소 15 % 평균 막두께) 의 비율이 1.2 이상, 8.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막두께가 두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고 있는 제 1 층 및 제 2 층의 각각에 대해서, 막두께의 증가가 단조 증가인, 다층 적층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층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가 배향 결정성의 수지인, 다층 적층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최외층 (1) 및 최외층 (2) 이 등방성의 층인, 다층 적층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의 최외층 (1) 또는 최외층 (2) 상에 도포층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 가공품.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의 최외층 (1) 또는 최외층 (2) 상에 경화성 수지층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 가공품.
KR1020197017789A 2016-11-30 2017-11-28 다층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가공품 KR102365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2633 2016-11-30
JPJP-P-2016-232633 2016-11-30
PCT/JP2017/042503 WO2018101230A1 (ja) 2016-11-30 2017-11-28 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工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058A KR20190088058A (ko) 2019-07-25
KR102365801B1 true KR102365801B1 (ko) 2022-02-21

Family

ID=6224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789A KR102365801B1 (ko) 2016-11-30 2017-11-28 다층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가공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74489B2 (ko)
EP (1) EP3549759B1 (ko)
JP (1) JP6708752B2 (ko)
KR (1) KR102365801B1 (ko)
CN (1) CN110023076B (ko)
WO (1) WO2018101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397B1 (ko) * 2017-03-31 2022-06-03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적층 필름
KR102644128B1 (ko) * 2017-07-07 2024-03-07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적층 필름
JP2020042080A (ja) * 2018-09-07 2020-03-19 東洋紡フイ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輝度向上部材および偏光板
JP7238520B2 (ja) * 2019-03-20 2023-03-14 東洋紡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
US20220236466A1 (en) * 2019-05-23 2022-07-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and optical stack
CN113710035A (zh) * 2021-09-09 2021-1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壳体组件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435A (ja) 2006-03-06 2007-09-20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ヒートシール性フィルム
JP2009037235A (ja) 2007-07-09 2009-02-19 Toray Ind Inc 偏光反射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80987A1 (ja) 2011-11-29 2013-06-0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赤外線遮蔽構成体およびそれら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
WO2016010162A1 (ja) 2014-07-18 2016-01-21 帝人株式会社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光学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4373B2 (ja) 1987-08-19 1996-07-10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US5486949A (en) 1989-06-20 1996-01-23 The Dow Chemical Company Birefringent interference polarizer
DE69325283T2 (de) 1992-10-29 1999-11-04 Minnesota Mining & Mfg Formbarer reflektierender multischichtenkörper
KR100364029B1 (ko) 1993-12-21 2003-10-04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다층광학필름
KR100432457B1 (ko) 1993-12-21 2004-05-22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휘도 향상 디바이스
JP3752410B2 (ja) 1999-12-24 2006-03-08 帝人株式会社 多層積層延伸フィルム
US7345137B2 (en) 2004-10-18 2008-03-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dified copolyesters and optical films including modified copolyesters
US7385763B2 (en) 2005-04-18 2008-06-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ick film multilayer reflector with tailored layer thickness profile
US8530054B2 (en) 2006-09-27 2013-09-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ar control multilayer film
US8012571B2 (en) 2008-05-02 2011-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comprising birefringent naphthalate copolyester having branched or cyclic C4-C10 alkyl units
JP5801898B2 (ja) * 2011-10-20 2015-10-28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435A (ja) 2006-03-06 2007-09-20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ヒートシール性フィルム
JP2009037235A (ja) 2007-07-09 2009-02-19 Toray Ind Inc 偏光反射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80987A1 (ja) 2011-11-29 2013-06-0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赤外線遮蔽構成体およびそれら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
WO2016010162A1 (ja) 2014-07-18 2016-01-21 帝人株式会社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光学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74489B2 (en) 2021-04-13
EP3549759B1 (en) 2020-08-19
JPWO2018101230A1 (ja) 2019-06-24
EP3549759A1 (en) 2019-10-09
KR20190088058A (ko) 2019-07-25
CN110023076A (zh) 2019-07-16
JP6708752B2 (ja) 2020-06-10
US20190322087A1 (en) 2019-10-24
CN110023076B (zh) 2021-01-01
EP3549759A4 (en) 2019-12-18
WO2018101230A1 (ja)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801B1 (ko) 다층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가공품
KR102505572B1 (ko)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JP5801898B2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
JP7400724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5819930B2 (ja) 非平坦化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プロセス
JP6414380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5782302B2 (ja) 多層延伸フィルム
JP7400723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7400725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US20210003757A1 (en) Multilayer laminated film
JP5782303B2 (ja) 多層延伸フィルム
WO2018181841A1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7392344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2012088613A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積層体
JP6309848B2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光学部材
KR20170036679A (ko) 1 축 연신 다층 적층 필름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부재
JP2023052241A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5706246B2 (ja) 多層延伸フィルム
JP6411802B2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プリズム層付輝度向上フィルム
JP2016066079A (ja) 偏光子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587901B2 (ja) 1軸延伸多層積層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JP2019059069A (ja) 積層フィルム
US12001040B2 (en) Multilayer laminat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