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717B1 - 천장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천장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717B1
KR102365717B1 KR1020200000640A KR20200000640A KR102365717B1 KR 102365717 B1 KR102365717 B1 KR 102365717B1 KR 1020200000640 A KR1020200000640 A KR 1020200000640A KR 20200000640 A KR20200000640 A KR 20200000640A KR 102365717 B1 KR102365717 B1 KR 10236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late
frame
extend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654A (ko
Inventor
권영철
최성희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픽스
Priority to KR102020000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7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7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of the tra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Abstract

프레임 유닛과 상기 프레임 유닛이 포함된 천장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 유닛은, 복수의 프레임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1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하단(下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굽어져 연장된 형상의 제2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상단(上端)에서 상부로 연장된 삽입부;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핑거;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핑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 어셈블리{S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천장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육각형 보드를 온전히 지지하는 천장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천장재는 실내 천장을 마감하는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천장재의 형상은, 대체적으로 사각형이며, 실내가 사각형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기능적으로 적합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형상의 천장재가 요구되고 있다. 심미적인 고려뿐만 아니라 기능적 고려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천장재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육각형의 천장재가 요구될 수 있다.
육각형의 천장재가 기존의 체결 시스템에 결합될 경우, 천장재가 온전히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육각형의 천장재의 일부가 아래 방향으로 쳐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9-00584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육각형 형상의 보드를 온전히 지지하는 천장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프레임 유닛과 클립 바를 포함하는 천장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프레임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1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하단(下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굽어져 연장된 형상의 제2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상단(上端)에서 상부로 연장된 삽입부;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핑거;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핑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핑거를 포함하는 프레임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천장(ceiling)에 설치되는 클립 바; 상기 클립 바에 결합되고, 복수의 프레임 모듈을 구비한 프레임 유닛; 그리고 상기 프레임 유닛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는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1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하단(下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굽어져 연장된 형상의 제2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상단(上端)에서 상부로 연장된 삽입부;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핑거;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핑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핑거를 포함하는, 천장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어셈블리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육각형 형상의 보드를 온전히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 유닛과 클립 바는 분리 및 용이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사각 형상의 보드로 마감한 천장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육각형 형상의 보드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립 바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프레임 유닛을 B1-B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클립 바와 프레임 유닛을 C-C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프레임 유닛을 클립 바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어셈블리를 천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사각 형상의 보드로 마감한 천장 어셈블리(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천장 어셈블리(10)는 종전 기술(prior art)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천장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구성요소 중 클립 바(1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종전 기술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천장 어셈블리(10)는, 케링(20, carrying)을 포함할 수 있다. 케링(20)은, 천장(ceiling)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케링(20)은, 빔(beam)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케링(2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케링(20)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케링(2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elongat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천장 어셈블리(10)는, 행거(30, hanger)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30)는, 케링(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행거(30)는, 케링(20)에 체결될 수 있다. 행거(30)는, 천장(ceiling)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거(30)는 수직 볼트(40)에 결합되어 천장에 지지될 수 있다. 수직 볼트(40)의 일단(一端)은 천장(ceiling)에 고정되고, 수직 볼트(40)의 타단(他端)은 행거(30)에 고정될 수 있다. 행거(30)는, 케링(20)에 결합되어 케링(2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행거(30)에 의하여, 케링(20)은 천장(ceiling)에서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케링(2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케링(20) 중 인접하는 양 케링(20)은,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천장 어셈블리(10)는, 클립 바(1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바(100, clip bar)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elongat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클립 바(1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클립 바(100)는, 예를 들어, 케링(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클립 바(100)는, 케링(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 바(100)는, 와이어 클립(60)에 의하여 케링(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클립 바(100)는, 케링(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천장 어셈블리(10)는, 마이너 채널(70, minor channel)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너 채널(7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마이너 채널(70)은, 케링(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마이너 채널(70)은, 케링(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마이너 채널(70)은, 예를 들어, 마이너 클립(80)에 의하여 케링(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마이너 채널(70)은, 인접하는 양 케링(20)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천장 어셈블리(10)는, 프레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클립 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유닛(200)은, 클립 바(100)의 아래에서 클립 바(100)를 향하여 이동하여 클립 바(100)에 결합될 수 있다. 클립 바(100)에 결합된 프레임 유닛(200)은, 클립 바(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 바(100)에 결합된 프레임 유닛(200)은, 아래 방향으로 프레임 유닛(200)에 일정 크기의 외력이 가해지면, 클립 바(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천장 어셈블리(10)는, 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300, board)는, 프레임 유닛(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드(300)는, 프레임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드(300)는 판(板)의 형상일 수 있다. 보드(3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보드(300)의 상면(上面)은, 천장을 마주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드(300)의 상면(上面)이 관찰될 수 있다. 보드(300)의 하면(下面)은, 천장 어셈블리(10)가 모두 시공된 이후, 실내에서 관찰될 수 있다.
도 2는, 육각형 형상의 보드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프레임 유닛(200)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유닛(200)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드(300)는 육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보드(300)의 변(edge)은 육각형일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보드(300)의 변에 대응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유닛(200)은, 제1 점(P1), 제2 점(P2), 제3 점(P3), 제4 점(P4), 제5 점(P5) 및 제6 점(P6)을 꼭지점으로 하는 육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복수의 프레임 모듈(200a, 200b, 200c, 200d, 200e, 200f)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 모듈(200a, 200b, 200c, 200d, 200e, 200f)은, 제1 프레임 모듈(200a), 제2 프레임 모듈(200b), 제3 프레임 모듈(200c), 제4 프레임 모듈(200d), 제5 프레임 모듈(200e) 및 제6 프레임 모듈(200f)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클립 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유닛(200)의 제1 점(P1)에서 제2 점(P2)까지의 변(edge)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 모듈(200b)은, 클립 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유닛(200)의 제3 점(P3)에서 제4 점(P4)까지의 변(edge)을 형성하는 제5 프레임 모듈(200e)은, 클립 바(10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의 제5 점(P5)과 제6 점(P6)은, 클립 바(100)에 결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프레임 유닛(200)의 제5 점(P5)과 제6 점(P6)에서 보드(300)는 프레임 유닛(200)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보드(300)가 아래로 쳐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립 바(100)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바(100)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레임 유닛(200, 도 1 참조)과 보드(300, 도 1 참조)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립 바(100)는, 탑 플레이트(105)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05)의 상면(上面)은 천장을 마주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05)는, 케링(20, 도 1 참조)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05)는, 클립 바(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클립 바(100)는,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는, 탑 플레이트(105)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는, 서로 대칭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한 쌍의 클립 플레이트(110, 120)"는,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를 칭할 수 있다.
클립 플레이트(110, 120)는,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클립 플레이트(110, 120)는, 탑 플레이트(10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 플레이트(110, 12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사이의 간격은, 일정 범위의 외력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그 외력이 제거되면 회복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범위의 외력은, 클립 플레이트(110, 120)의 탄성이 유지될 수 있는 범위의 외력을 의미할 수 있다. 클립 플레이트(110, 120)는, 금속(metal)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 플레이트(110, 120)의 탄성(또는 탄성력)은, 예를 들어,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립 플레이트(110, 120)의 탄성(또는 탄성력)은, 제1 클립 플레이트(110)에서 제2 클립 플레이트(120)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클립 플레이트(110)는, 제1 상부 클립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클립부(111)는, 탑 플레이트(105)에서 아래로 연장되되 제2 클립 플레이트(120)를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클립 플레이트(120)는, 제2 상부 클립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 클립부(121)는, 탑 플레이트(105)에서 아래로 연장되되 제1 클립 플레이트(120)를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상부 클립부(111, 121)는, 제1 상부 클립부(111)와 제2 상부 클립부(121)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클립 플레이트(110)는, 제1 하부 클립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클립부(113)는, 제1 상부 클립부(111)의 하단(下端)에서 굽어져(bent) 연장되어 제2 클립 플레이트(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부 클립부(113)는, 제1 절곡부(112)에서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제1 절곡부(112)는, 제1 상부 클립부(111)의 하단(下端)일 수 있다.
제2 클립 플레이트(120)는, 제2 하부 클립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클립부(123)는, 제2 상부 클립부(121)의 하단(下端)에서 굽어져(bent) 연장되어 제1 클립 플레이트(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부 클립부(123)는, 제2 절곡부(122)에서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제2 절곡부(122)는, 제2 상부 클립부(121)의 하단(下端)일 수 있다. 하부 클립부(113, 123)는, 제1 하부 클립부(113)와 제2 하부 클립부(123)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절곡부(112, 122)는, 제1 절곡부(112)와 제2 절곡부(122)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클립 플레이트(110)는, 제2 클립 플레이트(120)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클립 플레이트(110)는 제2 클립 플레이트(120)를 볼록하게 마주할 수 있다. 제2 클립 플레이트(120)는, 제1 클립 플레이트(110)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클립 플레이트(120)는 제1 클립 플레이트(110)를 향하여 볼록하게 마주할 수 있다.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의 사이에 결합 공간(13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 도 1 및 도 2 참조)의 일부가 결합 공간(130)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유닛(200, 도 1 및 2 참조)의 일부가 결합 공간(130)에 삽입되면, 프레임 유닛(200, 도 1 및 도 2 참조)는 클립 바(10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 도1 및 도 2 참조)는, 클립 바(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클립 바(1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공간(130)은, 상부 결합 공간(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 공간(131)은, 탑 플레이트(105), 제1 상부 클립부(111) 및 제2 상부 클립부(1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결합 공간(131)은, 하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상부 결합 공간(131)의 폭(width)은, 아래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결합 공간(131)은, 상부 클립부(111, 121)의 상단(上端)에서 하단(下端)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폭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 공간(130)은, 하부 결합 공간(13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결합 공간(133)은, 제1 하부 클립부(113) 및 제2 하부 클립부(1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결합 공간(133)은, 하부 및 상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하부 결합 공간(133)의 폭(width)은, 아래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결합 공간(133)은, 하부 클립부(113, 123)의 상단(上端)에서 하단(下端)으로 갈수록 커지는 폭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 공간(130)은, 병목 결합 공간(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병목 결합 공간(132)은, 상부 결합 공간(131)과 하부 결합 공간(13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병목 결합 공간(132)은, 상부 결합 공간(131) 및 하부 결합 공간(133)에 연통될 수 있다.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사이의 간격은, 병목 결합 공간(132)에서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사이의 거리(distance)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사이의 거리는, 병목 결합 공간(132)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또는,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사이의 간격은, 절곡부(112, 122)에서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사이의 거리(distanc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병목 결합 공간(13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립 플레이트(110)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절곡부(112, 122)에서 서로 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유닛(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프레임 유닛(200)의 일면(一面)이 관찰될 수 있다. 도 4에서 표시되는 프레임 유닛(200)은, 프레임 모듈(200a, 200b, 200c, 200d, 200e, 200f, 도 2 참조)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유닛(200)은, 제1 프레임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10)은, 클립 바(100, 도 1 내지 도 3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10)은, 전체적으로 판(板)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모듈(210)은, 도 4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10)은, 일단(一端)에서 타단(他端)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10)의 일단(一端)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좌측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10)의 타단(他端)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우측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10)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는, 제1 프레임 모듈(2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10)은, 삽입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12)는,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2)는, 예를 들어, 클립 바(100, 도 3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212)는,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2)는, 삽입변(212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변(2122)은, 삽입부(212)의 상단에 형성된 변(edge)을 의미할 수 있다. 삽입변(2122)의 길이 방향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삽입부(212)는, 경사변(212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변(2121)은, 삽입변(2122)에서 하부로 연장되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변(2121)은, 삽입변(2122)의 단부(端部)에서 제1 프레임 모듈(210)의 단부(端部)를 향하여 연장되되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10)은, 하부 핑거(213, lower finger)와 상부 핑거(214, upper fing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핑거(213)와 상부 핑거(214)는,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서 제1 프레임 모듈(210)의 일단(一端) 또는 타단(他端)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핑거(213)와 상부 핑거(214)는,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핑거(213)는 상부 핑거(21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핑거(213)는 상부 핑거(214)에 비하여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에 더 인접할 수 있다.
하부 핑거(213)와 상부 핑거(214)는, 제1 프레임 모듈(210)의 단부(端部)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핑거(213)는, 상부 핑거(214)에 비하여 더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핑거(213)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서 연장된 길이는, 상부 핑거(214)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서 연장된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하부 핑거(213)와 상부 핑거(214)의 사이에 갭(215, gap)이 형성될 수 있다. 갭(215)은, 하부 핑거(213)와 상부 핑거(21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갭(215)은, 하부 핑거(213), 상부 핑거(214) 및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갭(215)은, 예를 들어, 하부 핑거(213)의 상변(上邊), 상부 핑거(214)의 하변(下邊) 및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의 측변(側邊)에 의해 정의(defined)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제2 프레임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모듈(220)은,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는,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는,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는, 도 4에서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와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는,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는, 보드(300, 도 1 및 도 2 참조)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에서, 보드(300, 도 1 및 도 2 참조)는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에 안착될 수 있다.
절곡선(230)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와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의 경계일 수 있다. 절곡선(230)은,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의 하단(下端)과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의 상단(上端)이 만나는 경계일 수 있다. 제2 프레임 플레이트(221)는,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로부터 연장되되 절곡선(230)에서 굽어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프레임 유닛(200)을 B1-B2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유닛(200)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 제2 프레임 모듈(220)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와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도 5에서 제2 프레임 모듈(220)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서 굽어진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프레임 유닛(200)의 삽입부(212)는 삽입 돌기(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2123)는, 삽입변(2122)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 돌기(2123)는, 삽입부(212)의 단부(端部)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 돌기(2123)는, 삽입부(212)의 다른(another) 부분에 비하여 큰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 돌기(2123)의 두께는, 제1 클립 플레이트(110, 도 3 참조)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도 3 참조) 사이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삽입 돌기(2123)는, 제1 클립 플레이트(110, 도 3 참조)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도 3 참조)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돌기(2123)는, 하부 결합 공간(133, 도 3 참조)을 통과하여 상부 결합 공간(131, 도 3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 돌기(2123)가 하부 클립부(113, 123, 도 3 참조)에서 상부 클립부(111, 121, 도 3 참조)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클립 플레이트(110, 120, 도 3 참조)의 탄성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돌기(2123)가 절곡부(112, 122, 도 3 참조)를 통과하면서, 제1 클립 플레이트(110, 도 3 참조)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도 3 참조) 사이의 간격이 커질 수 있다. 삽입 돌기(2123)가 상부 결합 공간(131, 도 3 참조)에 위치하게 되면, 제1 클립 플레이트(110, 도 3 참조)와 제2 클립 플레이트(120, 도 3 참조) 사이의 간격이 탄성에 의해 작아질 수 있다.
삽입 돌기(2123)가 상부 결합 공간(131, 도 3 참조)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정 크기 이하의 외력이 아래 방향으로 프레임 유닛(200)에 가해지면 프레임 유닛(200)은 클립 바(100, 도 3 참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일정 크기 초과 외력이 아래 방향으로 프레임 유닛(200)에 가해지면 프레임 유닛(200)은 클립 바(100, 도 3 참조)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크기의 외력"은, 클립 플레이트(110, 120, 도 3 참조)의 탄성력에 대응될 수 있다. 이로써 프레임 유닛(200)과 클립 바(100, 도 3 참조) 사이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삽입 돌기(2123)는, 삽입부(212)의 단부(端部)를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 돌기(2123)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삽입 돌기(2123)는, 삽입부(212)의 상단(上端)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고리(hook)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삽입 돌기(2123)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삽입 돌기(2123)는, 삽입부(212)의 상단(上端)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2123)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마름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돌기(2123)의 두께는, 삽입부(212)의 상단(上端)에서 상부로 갈수록 커지고 이후 작아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 모듈(220)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서 연장되되 절곡선(230)에서 굽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 모듈(220)은, 제1 프레임 플레이트(211)에서 수직으로 굽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클립 바(100)와 프레임 유닛(200)을 C-C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 모듈(200a)과 제2 프레임 모듈(200b)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00a)의 삽입부(212)와 제2 프레임 모듈(200b)의 삽입부(212)는, 클립 바(100)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보드(300, 도 2 참조)는 프레임 유닛(200)에 의해 온전히 지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프레임 모듈(200a)과 제2 프레임 모듈(200b)이 만나는 단부가 클립 바(100)에 결합되면, 보드(300, 도 2 참조)는 프레임 유닛(2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6은, 프레임 모듈(200a, 200b)의 단부가 클립 바(100)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과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클립부(113, 123)는, 하부 핑거(213)와 상부 핑거(214)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클립부(113, 123)는, 갭(215)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 클립부(113, 123)가 갭(215)에 삽입되면, 상부 핑거(214)는 하부 클립부(113, 123)에 결합되어 프레임 모듈(200a, 200b)의 낙하(falling)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부 클립부(113)는 제1 프레임 모듈(200a)의 갭(215)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부 클립부(123)는 제2 프레임 모듈(200b)의 갭(215)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클립부(113, 123)가 갭(215)에 삽입되기 위한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핑거(214)는 클립 바(100)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부 핑거(214)가 클립 바(100)의 길이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하부 클립부(113, 123)는 인접하는 프레임 모듈(200a, 20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 이후에, 상부 핑거(214)는 원래 자세로 회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프레임 유닛(200)을 클립 바(100)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드(300)는 프레임 유닛(200)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 유닛(200)은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보드(300)의 외주(outer circumference)는, 프레임 유닛(20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드(300)의 외주(outer circumference)는, 프레임 유닛(200)에 의해 형성된 폐루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드(300)의 외주(outer circumference)는, 프레임 유닛(200)의 내주(inner circumference)에 대응될 수 있다.
실내(indoor)에서 프레임 유닛(200)을 클립 바(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의 6개 변(edges) 중에서 2개의 변을 형성하는 프레임 모듈(200a, 200b, 200c, 200d, 200e, 200f, 도 2 참조)은 클립 바(1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클립 바(100)에 삽입된 프레임 모듈은 클립 바(100)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립 바(100)에 결합된 프레임 유닛(200)은 고정될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될 위치에서 프레임 유닛(200)은 인접하는 프레임에 접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될 위치로 프레임 유닛(200)이 위치하게 되면, 마감 캡(90)이 부가될 수 있다. 마감 캡(90)은, 인접하는 프레임 유닛(20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 유닛(200) 또는/및 보드(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 캡(90)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삼각형의 3개 꼭지점은, 인접하는 3개의 프레임 유닛(2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어셈블리(10)를 천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케링(20), 행거(30), 수직 볼트(40), 와이어 클립(60), 마이너 채널(70) 및 마이너 클립(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클립 바(100)는, 도 3에 도시된 클립 바(100)일 수 있다. 클립 바(100)에 결합되는 프레임 유닛(200)의 6개 변 중 2개 변은 클립 바(1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클립 바(100)에 결합되는 프레임 유닛(200)의 6개 변 중 클립 바(100)에 삽입되지 않는 4개의 변은, 각각 2개의 변이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변이 만나는 부위는, 클립 바(100)의 하부 클립부(113, 123, 도 3 참조)에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프레임 유닛(200)은 클립 바(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보드(300)는 프레임 유닛(2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천장 어셈블리 100: 클립 바
200: 프레임 유닛 300: 보드

Claims (17)

  1. 복수의 프레임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1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하단(下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굽어져 연장된 형상의 제2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상단(上端)에서 상부로 연장된 삽입부;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핑거;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핑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핑거는,
    상기 상부 핑거 보다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더 돌출된,
    프레임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핑거와 상부 핑거는,
    두 개로 제공되어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양단(兩端)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상단(上端)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다른 부분 보다 큰 두께를 형성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프레임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고리(hook)의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커지고 이후 작아지는 두께를 형성하는,
    프레임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상단(上端)을 형성하는 삽입변;
    상기 삽입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되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변을 포함하는,
    프레임 유닛.
  8. 천장(ceiling)에 설치되는 클립 바;
    상기 클립 바에 결합되고, 복수의 프레임 모듈을 구비한 프레임 유닛; 그리고
    상기 프레임 유닛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는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1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하단(下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굽어져 연장된 형상의 제2 프레임 플레이트;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상단(上端)에서 상부로 연장된 삽입부;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핑거;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一端)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핑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핑거는,
    상기 상부 핑거보다 상기 제1 프레임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더 돌출된,
    천장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바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상의 제1 클립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제2 클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천장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서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를 향하여 기울어진 제1 상부 클립부; 그리고
    상기 제1 상부 클립부에서 굽어져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와 멀어지도록 기울어진 제1 하부 클립부를 포함하는,
    천장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는,
    상기 탑 플레이트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상부 클립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를 향하여 기울어진 제2 상부 클립부; 그리고
    상기 제2 상부 클립부에서 굽어져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하부 클립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와 멀어지도록 기울어진 제2 하부 클립부를 포함하는,
    천장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의 사이에 탄성이 제공되고,
    상기 삽입부의 일 지점에서의 두께는,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 보다 큰,
    천장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상단(上端)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다른 부분 보다 큰 두께를 형성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천장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고리(hook)의 형상을 형성하는,
    천장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커지고 이후 작아지는 두께를 형성하는,
    천장 어셈블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클립부와 상기 제2 하부 클립부 사이의 거리는,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제1 상부 클립부와 상기 제2 상부 클립부 사이의 거리는, 상부로 갈수록 커지는,
    천장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제1 하부 클립부와 상기 제2 하부 클립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상부 클립부와 상기 제2 상부 클립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천장 어셈블리.
KR1020200000640A 2020-01-03 2020-01-03 천장 어셈블리 KR102365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40A KR102365717B1 (ko) 2020-01-03 2020-01-03 천장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40A KR102365717B1 (ko) 2020-01-03 2020-01-03 천장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54A KR20210087654A (ko) 2021-07-13
KR102365717B1 true KR102365717B1 (ko) 2022-02-22

Family

ID=7685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40A KR102365717B1 (ko) 2020-01-03 2020-01-03 천장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7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9529A1 (en) * 2012-09-04 2014-03-13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Concealed grid cei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245B1 (ko) * 2010-06-15 2012-06-13 송대성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KR101234678B1 (ko) * 2010-11-05 2013-02-19 김종화 천정재 설치구조
KR20140051530A (ko) * 2012-10-23 2014-05-02 유은화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KR20190058424A (ko) 2019-05-21 2019-05-29 디판 주식회사 금속 천장재 고정 시스템 및 이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9529A1 (en) * 2012-09-04 2014-03-13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Concealed grid cei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54A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4013B2 (en) Concealed grid ceiling system
US7546717B2 (en) Timber covering for exteriors and interiors
CA2746373C (en) Concealed suspension ceiling with downward removable panels
US5322480A (en) Dragchain substitute
US20200263426A1 (en) Carrier for a linear ceiling panel
CN103501923A (zh) 具有用于筛分介质的固定装置的支撑结构
US4785603A (en) Interlocking cross tee
KR102365717B1 (ko) 천장 어셈블리
RU2674486C1 (ru) Лыжное покрытие
CN100529432C (zh) 用于将安装体固定到基体时补偿偏差的装置
US7296680B2 (en) Packing structure and packing member of corrugated cardboard
CN107206430B (zh) 用于张紧的筛分介质的支撑件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KR102347027B1 (ko) 간편 결속구조의 파티션 연결유닛
US11619086B2 (en) Suspension holder and frame unit thereof
CA2121651C (en) Track and rail-form slider combination
EP2288451A1 (en) Means for fixing of screening media, and use of such means
CN204202105U (zh) 空气净化器及其集尘板安装架
KR20150002702U (ko) 홈 결합 구조를 가지는 파티션용 패널
US4422272A (en) Cosmetic cover for channelled type grid systems
JP2010261238A (ja) 防音壁の遮音板の支持構造
CN110761513B (zh) 一种带有卡扣结构的龙骨及其生产方法
CN209538582U (zh) 板组件
KR200492923Y1 (ko) 티바 연결용 클립
KR200488657Y1 (ko) 프레임 조립체용 볼트형캐스터 설치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