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040B1 -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040B1
KR102365040B1 KR1020210063399A KR20210063399A KR102365040B1 KR 102365040 B1 KR102365040 B1 KR 102365040B1 KR 1020210063399 A KR1020210063399 A KR 1020210063399A KR 20210063399 A KR20210063399 A KR 20210063399A KR 102365040 B1 KR102365040 B1 KR 102365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side
barn
mot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용
Original Assignee
박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용 filed Critical 박한용
Priority to KR102021006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면서 배출되는 내부 공기의 자체 열을 이용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롤 높여서 유입시킴에 따라 별도의 열원 없이 축사 내부 공기의 자체 열원을 이용하여 축사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는, 내기를 배출하고 외기를 유입시키면서 외기와 내기 사이의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덕트 케이싱, 상기 덕트 케이싱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어 축사 내부로부터 내기를 배출하는 내기 배출관, 축사 외부로부터 상기 덕트 케이싱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팬 및 상기 내기 배출관의 한쪽 끝부분에 축사 외부로 연결되어 내기 배출관을 통해 내기를 유입시켜 배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Air circulation device for livestock that can heat exchange by using the heat source inside the livestock house}
본 발명은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면서 배출되는 내부 공기의 자체 열을 이용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롤 높여서 유입시킴에 따라 별도의 열원 없이 축사 내부 공기의 자체 열원을 이용하여 축사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에서 가축을 사육함에 있어서, 가축의 배설물이나 호흡에 의해 발생되는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 등에 의해 내부 공기가 오염되어 가축이 병에 걸리거나 폐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쾌적하게 유지함에 따라 가축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동절기에는 외부 기온이 낮아 공기 순환 과정에서 축사 내부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저온으로 인한 질병에 걸리거나 폐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0872385 축사용 환기시스템)에서는 배기되는 공기의 열을 이용해 외부 공기를 가온하여 유입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외기 유입 경로가 교차 없이 연통되어 있어서 외기 유입 시 외기를 충분히 가온하지 못하고 유입시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와류형성부를 형성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와류에 의해 체류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있지만 공기의 유입 방향이 직선 형태로 개방되어있어서 외기의 체류시간을 지연시키기에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0872385 축사용 환기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관을 이용해 내기를 배출하면서 내기가 배출되는 관의 외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며 접촉되어 열교환에 의해 외기를 가온하여 축사로 유입시킴에 있어서, 다수개의 격벽을 형성하되, 서로 교차되도록 내기 배출관 주변에 외기 이동홀을 관통 형성하여 외기가 교차 형성된 외기 이동홀을 통해 지그제그 형태로 유입되며 외기 이동홀을 통해서만 이동 가능하여, 외기가 배기관과 접촉되는 시간이 지연되어 열교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스테인리스 재질로 전체적인 구성을 제작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내기와 외기가 유입되는 위치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필터가 설치되 암모니아 등의 성분에 의해 필터가 부식되지 않고, 간편하게 분리하여 고압 물세척이 가능한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는, 내기를 배출하고 외기를 유입시키면서 외기와 내기 사이의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덕트 케이싱(100), 상기 덕트 케이싱(10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어 축사 내부로부터 내기를 배출하는 내기 배출관(200), 축사 외부로부터 상기 덕트 케이싱(100)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팬(400) 및 상기 내기 배출관(200)의 한쪽 끝부분에 축사 외부로 연결되어 내기 배출관(200)을 통해 내기를 유입시켜 배출하는 배기팬(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덕트 케이싱(100)은 내기가 유입되는 반대방향 끝부분에 구비되어 내기를 축사 외부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기 덕트(110)와, 덕트 케이싱(100) 내부에 다수개가 나란하게 구비되어 다수개의 내기 배출관(200)이 관통되도록 구비되고, 덕트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가 지그 제그 형태로 교차되게 유입되도록 지연시키는 지연 칸막이(120)와, 덕트 케이싱(100)에서 상기 배기 덕트(110)가 구비된 타측에서 축사 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홀(130) 및 덕트 케이싱(100)에서 축사 내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축사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내기 유입홀(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연 칸막이(120)에는 각 칸막이마다 순차적으로 교차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홀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기가 지연 칸막이(120)를 통과함에 있어서, 지그제가 방향으로 교차되며 지연되게 통과되도록 유도하는 외기 이동홀(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기를 배출하면서 내기의 열을 이용하여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함에 따라 별도의 열원 없이 축사 내부 온도를 가온하여 유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덕트 케이싱 내부에 내기가 배출되면서 외기가 유입되는 경로에 다수개의 격벽 형태로 구획하고, 격벽을 형성하는 지연 칸막이에는 내기 배출관 주변으로 교차되게 외기 이동홀을 형성하여 외기 이동홀을 지그제그 형태로 교차 이동하며 내기와 외기의 접촉 시간을 지연시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전체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하여 내식성을 높이고, 외기와 내기가 유입되는 위치에는 각각 필터를 설치하되 필터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필터를 적용하여 내식성을 높이면서 오염 시 간편하게 분리하여 고압 물세척을 통해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의 내기와 외기 순환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에서 필터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에 외기 유입팬에서 외기 유도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사 내부 공기를 배출하면서 내부 공기의 열을 이용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도록 함에 따라 외기의 온도를 높여 축사 내부로 유입시키면서 축사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축사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면서 외기를 유입시키는 덕트 케이싱(100)과, 상기 덕트 케이싱(100) 내부에 다수개의 관 형태로 설치되어 내기가 외기와 혼합되지 않도록 배출하는 내기 배출관(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 케이싱(100)에는 축사 내측으로 송풍하도록 설치되어 축사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팬(400) 및 상기 내기 배출관(200)에서 축사 외부 측으로 설치되어 내기 배출관(200)을 통해 축사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팬(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는 덕트 케이싱(100) 내부의 공간이고, 내기의 배출은 내기 배출관(200)을 통해 이루어져 외기와 내기가 혼합되지 않으면서 배출되는 내기의 열기가 내기 배출관(200)의 외측으로 전달되면 외기가 유입되면서 내기 배출관(200)과 접촉되어 가온된 상태로 축사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덕트 케이싱(100)은 내기 배출관(200)으로 축사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외측 끝부분에 구비되어 내기를 유도 배출하는 배기 덕트(110)와, 덕트 케이싱(100) 내부에 이격된 다수개의 판 형태로 구비되어 내기 배출관(200)이 설치된 주변으로 외기를 유도하여 접촉시키며 유입을 지연시키는 지연 칸막이(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덕트 케이싱(100)에서 축사 외측으로 개방되게 구비되어 축사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홀(130) 및 축사 내부 측으로 연결되어 축사 내부의 공기를 내기 배출관(200) 측으로 유입시키는 내기 유입홀(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연 칸막이(120)는 내기 배출관(200)이 관통되며 설치되고 지연 칸막이(120)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만 외기 이동홀(1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외기 이동홀(121)은 외기가 바로 유입되지 않고 덕트 케이싱(100) 내부에서 지연되며 지그제그 형태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이로 인해 외기가 내기 배출관(200)에 보다 장시간 접촉될 수 있고 접촉 시간에 따라 외기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잇게 된다.
한편 상기 덕트 케이싱(100)에서 외기 유입홀(130)과 내기 유입홀(140)에는 각각 공기가 유입될 때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30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30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져 내기가 배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될때 오염이 심해지면 분리하여 고압 물세척으로 간편하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재질의 특성상 부식을 최소화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들은 모두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축사 내부의 암모니아 등 독성 물질을 배출함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증대되고, 물세척에 의해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의 내기와 외기 순환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기팬(500)이 구동되면서 축사 내부의 공기가 내기 배출관(200)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내기는 내기 배출관(200)을 통해 배기 덕트(110) 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이때, 내기는 축사 내부에서 가축의 체온이나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로 인해 비교적 고온 상태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내기 배출관(200)은 배출되는 내기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방출하게 된다.
내기가 배출되면서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외기 유입팬(400)을 구동시키면 외기가 덕트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어 축사 내부로 배출된다.
유입된 외기는 지연 칸막이(120)에 의해 지연되면서 외기 이동홀(121)을 통해 서서히 축사 내부 측으로 이동하고, 이때 내기 배출관(200)과 접촉되며 상호 열교환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가 가열된 상태로 축사 내부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동절기에도 축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별도의 발열수단 없이 축사 내부의 자체 열기만으로 외기의 온도를 높여 축사 내부로 유입시킴에 따라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에서 필터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기 유입홀(130)과 내기 유입홀(140)에는 필터 설치부(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필터 설치부(150)는 필터(300)의 하부 양측 모서리를 고정하는 필터 하부 고정편(151)과, 필터(300)의 상부를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필터 상부 고정 탄성체(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상부 고정 탄성체(152)는, 필터(300)가 노출되는 외측으로 일정구간 돌출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52a)가 형성되고, 필터(300)가 설치된 상부 내측에는 필터(300) 설치 상태에서 필터(300)의 상부 내측을 지지하다가 상기 파지부(152a)를 조작하면 탄성이 해제되면서 필터(300)의 상부를 외측으로 밀어주는 분리 돌부(15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필터(300)의 하부를 필터 하부 고정편(151)에 끼운 상태에서 필터(300)의 상부를 밀어주면 필터 상부 고정 탄성체(152)가 변형되면서 필터(300)가 고정 설치되고, 필터(300)의 세척이나 교환이 필요할 경우 파지부(152a)를 상부로 올리면 필터(300)를 고정한 탄성이 해제되면서 분리 돌부(152b)가 필터(300)의 상부 내측을 밀어주어 간편하게 필터(3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에 외기 유입팬에 외기 유도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기 유입팬(400)은 회전에 의해 외기를 덕트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시켜 축사 내부로 송풍하는 팬(410)과, 상기 팬(410)을 회전시키는 모터(420) 및 상기 팬의 둘레를 따라 관 형태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멀리 송풍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송풍 유도관(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4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덕트 케이싱(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모터(420)와 접촉되도록 유도하는 외기 유도부(44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420)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모터(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다수개의 방열핀(421)이 구비된다.
상기 외기 유도부(440)는 외기가 유입되면서 모터(420)와 접촉하여 모터(420)에서 발생되는 열과 열교환 함에 따라 외기의 온도를 높이면서 모터(420)의 온도는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외기 유입홀(130) 둘레를 따라 곡면, 또는 경사면을 이루되 모터(420) 측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기 유도부(440)는 모터(420)의 둘레를 따라 한쪽 방형으로 경사지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모터 접촉 순환부(441)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 접촉 순환부(441)는 모터(420) 외측으로 유도된 외기가 모터(420) 주변으로 회전 순환되도록 유도하고 모터(420)에 구비된 방열핀(421)은 모터(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면서 외기와 접촉시켜 외기와 모터(420)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줌에 따라 외기의 가열 효과를 높이면서 모터(420)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외기의 온도를 보다 높여 축사 내부로 유입시키면서 모터(420)에서 발생되는 열도 감소시켜 모터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가열에 의한 고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축사에서 가축의 배설물이나 사료 등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등 유해성분에 의해 오염된 축사 내기를 배출하면서 축사 외부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키는 구성에 관한 것으로, 유해 가스와 가축의 체온 등에 의해 온도가 높아진 내기를 배출하면서 배출되는 내기의 온도와 유입되는 외기를 서로 혼합되지 않으면서 열교환만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외기의 온도를 높여 축사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덕트 케이싱 110 : 배기 덕트
120 : 지연 칸막이 121 : 외기 이동홀
130 : 외기 유입홀 140 : 내기 유입홀
150 : 필터 설치부 151 : 필터 하부 고정편
152 : 필터 상부 고정 탄성체 152a : 파지부
152b : 분리 돌부 200 : 내기 배출관
300 : 필터 400 : 외기 유입팬
410 : 팬 420 : 모터
421 : 방열핀 430 : 송풍 유도관
440 : 외기 유도부 441 : 모터 접촉 순환부
500 : 배기팬

Claims (3)

  1. 내기를 배출하고 외기를 유입시키면서 외기와 내기 사이의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덕트 케이싱(100);
    상기 덕트 케이싱(10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어 축사 내부로부터 내기를 배출하는 내기 배출관(200);
    축사 외부로부터 상기 덕트 케이싱(100)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외기를 축사 내부로 배출하는 외기 유입팬(400); 및
    상기 내기 배출관(200)의 한쪽 끝부분에 축사 외부로 연결되어 내기 배출관(200)을 통해 내기를 유입시켜 배출하는 배기팬(500);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 케이싱(100)은 내기가 유입되는 반대방향 끝부분에 구비되어 내기를 축사 외부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기 덕트(110)와, 덕트 케이싱(100) 내부에 다수개가 나란하게 구비되어 다수개의 내기 배출관(200)이 관통되도록 구비되고, 덕트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가 지그 제그 형태로 교차되게 유입되도록 지연시키는 지연 칸막이(120)와, 덕트 케이싱(100)에서 상기 배기 덕트(110)가 구비된 타측에서 축사 외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홀(130) 및 덕트 케이싱(100)에서 축사 내측으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축사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내기 유입홀(140)을 포함하되,
    상기 외기 유입홀(130)과 내기 유입홀(140)에는 각각 공기가 유입될 때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300)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300)를 외기 유입홀(130)과 내기 유입홀(140)에서 탈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필터 설치부(1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필터 설치부(150)는 필터(300)의 하부 양측 모서리를 고정하는 필터 하부 고정편(151)과, 필터(300)의 상부를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필터 상부 고정 탄성체(152)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 상부 고정 탄성체(152)는, 필터(300)가 노출되는 외측으로 일정구간 돌출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52a)가 형성되고, 필터(300)가 설치된 상부 내측에는 필터(300) 설치 상태에서 필터(300)의 상부 내측을 지지하다가 상기 파지부(152a)를 조작하면 탄성이 해제되면서 필터(300)의 상부를 외측으로 밀어주는 분리 돌부(152b)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 칸막이(120)에는 각 칸막이마다 순차적으로 교차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홀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기가 지연 칸막이(120)를 통과함에 있어서, 지그제가 방향으로 교차되며 지연되게 통과되도록 유도하는 외기 이동홀(121)이 형성되어 상기 외기 유입홀(130)로 유입된 외기는 덕트 내부에서 상기 외기 이동홀(121)을 통과하여 외기 유입팬(400)을 통해 축사 내부로 배출되고, 상기 내기 유입홀(140)로 유입된 내기는 내기 배출관(200)을 통과하여 배기팬(500)에 의해 축사 외부로 배출되고,
    외기 유입팬(400)은 회전에 의해 외기를 덕트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시켜 축사 내부로 송풍하는 팬(410)과, 상기 팬(410)을 회전시키는 모터(420) 및 상기 팬(410)의 둘레를 따라 관 형태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멀리 송풍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송풍 유도관(430)을 포함하되,
    모터(4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덕트 케이싱(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모터(420)와 접촉되도록 유도하는 외기 유도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420)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모터(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다수개의 방열핀(421)이 구비되며,
    외기 유도부(440)는 외기가 유입되면서 모터(420)와 접촉하여 모터(420)에서 발생되는 열과 열교환 함에 따라 외기의 온도를 높이면서 모터(420)의 온도는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외기 유입홀(130) 둘레를 따라 곡면, 또는 경사면을 이루되 모터(420) 측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기 유도부(440)는 모터(420)의 둘레를 따라 한쪽 방형으로 경사지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모터 접촉 순환부(441)가 구비되어 모터(420) 외측으로 유도된 외기가 모터(420) 주변으로 회전 순환되도록 유도하고 모터(420)에 구비된 방열핀(421)은 모터(4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면서 외기와 접촉시켜 외기와 모터(420)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줌에 따라 외기의 가열 효과를 높이면서 모터(420)도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3399A 2021-05-17 2021-05-17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KR102365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99A KR102365040B1 (ko) 2021-05-17 2021-05-17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99A KR102365040B1 (ko) 2021-05-17 2021-05-17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040B1 true KR102365040B1 (ko) 2022-02-17

Family

ID=8049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99A KR102365040B1 (ko) 2021-05-17 2021-05-17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13A1 (ko) * 2022-05-27 2023-11-3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사시설의 환기 시스템 및 환기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012Y1 (ko) * 2006-05-25 2006-08-02 전화철 농축산용 공기정화장치
KR100872385B1 (ko) 2008-06-26 2008-12-05 이건원 축사용 환기시스템
KR20210013882A (ko) * 2019-07-29 2021-02-08 구영남 축사용 송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012Y1 (ko) * 2006-05-25 2006-08-02 전화철 농축산용 공기정화장치
KR100872385B1 (ko) 2008-06-26 2008-12-05 이건원 축사용 환기시스템
KR20210013882A (ko) * 2019-07-29 2021-02-08 구영남 축사용 송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13A1 (ko) * 2022-05-27 2023-11-3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사시설의 환기 시스템 및 환기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040B1 (ko)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RU23392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в птичниках
JP4792101B2 (ja) 空気式輻射層流ユニット
BR112012014451B1 (pt) Instalação e processo de pré-aquecimento de uma tira de aço em movimento contínuo
CN208597502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养猪房
US4590990A (en) Ventilation heat recovery system
KR100939591B1 (ko) 냉난방겸용이 가능한 농업시설용 열회수형 환기장치
ES2796975B2 (es) Equipo de calefaccion por aire y generador de aire caliente para utilizar en dicho sistema
KR101185628B1 (ko) 폐열을 회수하는 축사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방법
US2205451A (en) Furnace construction
JP344954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938389B1 (ko) 바닥 매립형 컨벡터
KR20200040159A (ko)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KR102054690B1 (ko) 부식케이스 교체 용이한 축사용 부식방지 공기 조화장치
KR20160059016A (ko) 무창돈사의 환기장치
CN109735792B (zh) 一种渗碳、碳氮共渗加热炉
RU200211665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в птичнике
RU2799154C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с рекуператором
CN216532343U (zh) Uv干燥机灯箱散热装置
JP3449553B2 (ja) 上下吹出形直近空調ユニット
JP2013201969A (ja) 鶏の飼育装置
JPH07260206A (ja) 空調機の洗浄殺菌装置
SU1743498A1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 ции и отоплени свинарника
JP2004353928A (ja) クリーンオーブン
BR102021002291A2 (pt) Processo de renovação de ar e limpeza de dejetos em barracões de criação e confinamento de suín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