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882A - 축사용 송풍기 - Google Patents

축사용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882A
KR20210013882A KR1020190091630A KR20190091630A KR20210013882A KR 20210013882 A KR20210013882 A KR 20210013882A KR 1020190091630 A KR1020190091630 A KR 1020190091630A KR 20190091630 A KR20190091630 A KR 20190091630A KR 20210013882 A KR20210013882 A KR 20210013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frame
arc
guide pie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874B1 (ko
Inventor
구영남
Original Assignee
구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영남 filed Critical 구영남
Priority to KR102019009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8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돈사 및 우사 등의 축사내에 바람을 송풍시켜 주기 위해 축사의 천장 또는 일측에 설치되는 축사용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송풍팬설치홀(20)이 형성된 송풍기프레임(10)과, 상기 송풍기프레임(10)에 모터지지대(35)를 매개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모터(30) 및 이 모터(3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송풍팬설치홀(20)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송풍팬(40)으로 이루어지는 축사용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은, 양단부에 결합부(12)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은 사분원형의 호형부(13)를 갖도록 사출성형되는 4개의 단위프레임(11)과, 인접되는 각 단위프레임(11)의 결합부(12)를 서로 결합하여 중앙에 상기 송풍팬설치홀(20)이 형성된 사각판체로 구비하는 결합부재(16)로 구성되어 단위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단위프레임(11)의 호형부(13)에는 후방을 향해 일체 또는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40)의 작동시 후방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송풍팬설치홀(20)을 통해 전방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단면이 호형으로 된 공기유도편(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사용 송풍기{Blower for cattle shed}
본 발명은 돈사 및 우사 등의 축사내에 바람을 송풍시켜 주기 위해 축사의 천장 또는 일측에 설치되는 축사용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는 주로 고온다습해지는 하절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강제적으로 공기를 대류시켜 축사내부를 환기 또는 소기의 공기조화를 이루게 하고 있다.
이러한 송풍기는 통상 축사의 실내 천장에 와이어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크게 금속재로 된 송풍기프레임과, 그 송풍기프레임에 모터지지대로 지지되게 결합되는 모터 및 이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송풍팬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송풍기의 재질이 금속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특히 송풍기프레임이 금속재임에 따라 부식에 약하여 단기간내에 부식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재구매 등 구매비용이 부담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송풍기는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저항을 적게 하고는 있으나, 송풍팬의 작동시 후방의 주변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하지 못함에 따라 주변공기가 송풍팬의 흡입력에 의해 이끌려 송풍프레임의 후면에 부딪히게 되어 송풍기프레임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공기의 부딪힘으로 인한 풍절음이나 풍속음이 발생하게 되어 가축에게 스트레스를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송풍기는 대략 1200~1500㎜의 직경으로 제작되는데, 종래에는 금속재로 일체로 제작됨에 따라 그 부피로 인해 운반이 쉽지않아 취급시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20695호(2000.12.05., 축사공조를 위한 송풍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380호(2006.04.25., 축사 공조를 위한 송풍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5271호(2013.09.05., 환기팬, 송풍팬, 교반팬 등의 농축산용 팬)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송풍기프레임의 제작시 사출성형된 4개의 단위프레임의 상호 결합을 통해 제작됨으로써 부피를 줄여주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등 취급이 용이하고, 수지재질로 성형됨에 따라 종래 금속재질로 형성됨에 따른 부식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축사용 송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도편이 설치됨으로써 송풍팬의 작동시 후방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전방으로 송풍시켜 줄 수 있는 축사용 송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중앙에 송풍팬설치홀(20)이 형성된 송풍기프레임(10)과, 상기 송풍기프레임(10)에 모터지지대(35)를 매개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모터(30) 및 이 모터(3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송풍팬설치홀(20)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송풍팬(40)으로 이루어지는 축사용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은, 양단부에 결합부(12)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은 사분원형의 호형부(13)를 갖도록 사출성형되는 4개의 단위프레임(11)과, 인접되는 각 단위프레임(11)의 결합부(12)를 서로 결합하여 중앙에 상기 송풍팬설치홀(20)이 형성된 사각판체로 구비하는 결합부재(16)로 구성되어 단위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단위프레임(11)의 호형부(13)에는 후방을 향해 일체 또는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40)의 작동시 후방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송풍팬설치홀(20)을 통해 전방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단면이 호형으로 된 공기유도편(5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도편(50)이 단위프레임(11)에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된 경우, 상기 공기유도편(50)의 테두리부분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걸림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부(13)에는 공기유도편(50)의 걸림돌기(51)가 끼워져 걸림결합되도록 걸림돌기(51)와 대응되는 부위에 걸림홀(13a)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도편(50)이 호형부(13)에 결합되는 경우에, 각 단위프레임(11)의 호형부(13)에 테두리 일부분만이 각각 결합되어져 서로 인접되는 2개의 단위프레임의 호형부를 함께 결속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의 양측면에는 지면에 받쳐 세워 사용하도록 받침대(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축사용 송풍기에 따르면, 송풍기프레임이 4개의 단위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임에 따라 부피감소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등 취급이 용이하고, 수지재질로 성형됨에 따라 부식가능성이 전혀 없어 부식으로 인한 동작불능 등의 문제발생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유도편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공기가 효과적으로 유도되어 송풍됨에 따라 송풍량이 증가되는 등 송풍효율을 높여줄 수 있게 되며, 송풍팬 주변의 후방공기가 유도됨에 따라 송풍기프레임의 후면으로 부딪히는 주변공기가 그만큼 줄어들게 되어 후면으로 부딪히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기프레임의 흔들림이 최소화됨은 물론 풍절음이나 풍속음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송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송풍기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프레임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프레임을 이루는 단위프레임에 결합되는 공기유도편의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프레임의 결합각도와 엇갈리게 결합된 공기유도편을 보인 송풍기프레임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도편에 의해 유도되는 흡입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에 의해 지면에 세워진 축사용 송풍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송풍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송풍기는 중앙에 송풍팬설치홀(20)이 형성된 송풍기프레임(10)과, 상기 송풍기프레임(10)에 모터지지대(35)를 매개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송풍팬설치홀(20)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송풍팬(40)과, 공기유도편(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30)와 송풍팬(40)은 공기를 송풍시켜 주기 위한 구성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상 축사용으로 사용되는 송풍기의 직경이 1200~1500㎜임에 따라 운반 등 취급상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을 수지재질로 하여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며,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가짐에 따라 운반 등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4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결합에 의해 하나의 송풍기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은 양단부에 결합부(12)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은 사분원형의 호형부(13)를 갖도록 사출성형되는 4개의 단위프레임(11)과, 인접되는 각 단위프레임(11)의 결합부(12)를 서로 결합하여 중앙에 상기 송풍팬설치홀(20)이 형성된 사각판체로 구비하는 결합부재(1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기프레임(10)이 4개의 단위프레임(11)으로 분할되게 구비됨에 따라 부피를 줄여줄 수 있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됨에 따라 종래 금속재질로 형성됨에 따른 부식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되며, 단기간내 부식으로 인한 수명단축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4개의 단위프레임(11)은 작은 부피는 물론,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분없이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2)의 결합을 통해 하나의 송풍기프레임(10)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금형비용의 절감은 물론 결합작업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위프레임(11)은 내측에 사분원형으로 호형부(13)가 형성됨에 따라 4개를 서로 결합하게 되면 중앙에 상기 송풍팬설치홀(2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16)는 상기 결합부(12)를 서로 결합하는 부재로서, 공지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위프레임(11)은 전면이 판판하게 평면으로 형성되고, 후면은 보강을 위해 다수의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에서는 격자형으로 리브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도편(50)은 상기 단위프레임(11)의 호형부(13)에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호형부(13)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첨부 도면과 같이 분리결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유도편(50)은 단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송풍팬(40)의 작동시 후방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송풍팬설치홀(20)로 유도해주어 송풍팬에 의해 전방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기유도편(50)은 상기 호형부(13)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도록 벌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유도편이 설치됨에 따라, 송풍팬(40)의 회전동작시 후방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전방으로 송풍되게 안내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더 많은 양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결국 송풍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유도편(50)이 단위프레임(11)에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공기유도편(50)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유도편(50)의 테두리부분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걸림돌기(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형부(13)에는 공기유도편(50)의 걸림돌기(51)가 끼워져 걸림결합되도록 걸림돌기(51)와 대응되는 부위에 걸림홀(1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홀(13a)이 걸림돌기(51)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손쉽고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고, 결합후에는 걸림돌기(51)에 형성된 단턱이 걸림홀(13a)의 턱에 걸려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유도편(50)이 호형부(13)에 결합되는 경우에 테두리부분이 호형부(13) 전체에 끼움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이렇게 되면 결합부(12)만이 인접되는 단위프레임(11)을 연결하고 있음에 따라 송풍팬의 회전동작시 송풍기프레임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도편(50)의 테두리 일부분만이 각 단위프레임(11)의 호형부(13)에 결합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서로 인접되는 2개의 단위프레임의 호형부를 함께 결속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유도편(50)이 인접되는 2개의 단위프레임에 형성된 호형부에 각각 일부분씩 결속결합됨에 따라 결합부(12)의 결합과 함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도편(50)의 외표면은 강도보강을 위해 일정간격으로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프레임(1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부(12)를 서로 중첩시켜 결합하게 되면 단위프레임의 두께만큼 턱이 형성됨에 따라 각 단위프레임을 모두 결합한 경우에 송풍기프레임(10)의 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고 결합부분마다 턱이 형성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외관이 미려하지 않을 뿐 아니라 흔들림이 발생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단위프레임(11)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단턱부(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턱부(14)가 형성됨으로써 인접되는 단위프레임(11)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부(12)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결합부재(16)로 결합된 경우에 각 단위프레임(11)의 전면이 동일선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단턱부(14)는 단위프레임(11)의 양단부 중 하나에만 형성되는데, 단턱부(1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합부를 단턱부(14)가 형성된 결합부 상면에 중첩시켜 놓은 상태로 결합부재(16)로 결합하면 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단위프레임의 배면으로 단턱부의 턱두께만큼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단턱부(14)는 단위프레임(11)의 양단부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 단위프레임의 전면은 물론 후면까지도 동일선상에 배치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축사용 송풍기는 축사의 실내 천장에 와이어 등으로 매달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받쳐 세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의 양측면에 받침대(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60)는 지면에 지지되어야 함에 따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단부가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의 측면에 볼트와 너트 등의 받침대고정부재(65)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의 측면에는 받침대고정부재(65)의 결합을 위해 받침대결합홀(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대결합홀(15)은 송풍기프레임(10)의 외형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모든 면에 형성되게 하여 받침대의 결합작업시 구분없이 보다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60)의 상단부에는 받침대결속편(61)이 구비되어 송풍기프레임(10)의 측면을 감싸 결속하도록 하여 흔들림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의 전면에는 안전을 위해 안전망(7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성형된 단위프레임을 서로 결합하여 송풍기프레임을 제작함으로써 부식문제을 완전히 해결하면서도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어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공기유도편의 설치로 인해 송풍팬 주변의 후방공기를 유도하여 전방으로 송풍시킴에 따라 송풍효율을 높여줄 수 있게 되며, 주변 후방공기가 유도됨에 따라 종래 송풍팬의 흡입력에 의해 송풍기프레임의 후면으로 부딪히는 공기가 줄어들어 후면으로 부딪히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기프레임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송풍기프레임 11: 단위프레임
12: 결합부 13: 호형부
13a: 걸림홀 14: 단턱부
15: 받침대결합홀 16: 결합부재
20: 송풍팬설치홀 30: 모터
35: 모터지지대 40: 송풍팬
50: 공기유도편 51: 걸림돌기
60: 받침대 61: 받침대결속편
65: 받침대고정부재 70: 안전망

Claims (4)

  1. 중앙에 송풍팬설치홀(20)이 형성된 송풍기프레임(10)과, 상기 송풍기프레임(10)에 모터지지대(35)를 매개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모터(30) 및 이 모터(3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송풍팬설치홀(20)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송풍팬(40)으로 이루어지는 축사용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은, 양단부에 결합부(12)가 각각 형성되고 내측은 사분원형의 호형부(13)를 갖도록 사출성형되는 4개의 단위프레임(11)과, 인접되는 각 단위프레임(11)의 결합부(12)를 서로 결합하여 중앙에 상기 송풍팬설치홀(20)이 형성된 사각판체로 구비하는 결합부재(16)로 구성되어 단위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단위프레임(11)의 호형부(13)에는 후방을 향해 일체 또는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40)의 작동시 후방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송풍팬설치홀(20)을 통해 전방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단면이 호형으로 된 공기유도편(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송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편(50)이 단위프레임(11)에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된 경우,
    상기 공기유도편(50)의 테두리부분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걸림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부(13)에는 공기유도편(50)의 걸림돌기(51)가 끼워져 걸림결합되도록 걸림돌기(51)와 대응되는 부위에 걸림홀(13a)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도편(50)이 호형부(13)에 결합되는 경우에, 각 단위프레임(11)의 호형부(13)에 테두리 일부분만이 각각 결합되어져 서로 인접되는 2개의 단위프레임의 호형부를 함께 결속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송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프레임(11)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인접되는 단위프레임(11)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부(12)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결합부재(16)로 결합된 경우에 각 단위프레임(11)의 전면이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단턱부(14)가 형성된 것을 축사용 송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프레임(10)의 양측면에는 지면에 받쳐 세워 사용하도록 받침대(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송풍기.
KR1020190091630A 2019-07-29 2019-07-29 축사용 송풍기 KR102306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30A KR102306874B1 (ko) 2019-07-29 2019-07-29 축사용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30A KR102306874B1 (ko) 2019-07-29 2019-07-29 축사용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882A true KR20210013882A (ko) 2021-02-08
KR102306874B1 KR102306874B1 (ko) 2021-09-28

Family

ID=7456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630A KR102306874B1 (ko) 2019-07-29 2019-07-29 축사용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040B1 (ko) * 2021-05-17 2022-02-17 박한용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95A (ko) 1998-09-23 2000-04-15 윤종용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415380Y1 (ko) 2006-02-24 2006-05-02 조규일 축사 공조를 위한 송풍기
KR20100012392U (ko) * 2009-06-04 2010-12-14 이상근 축사의 환기 장치
KR101125186B1 (ko) * 2011-10-04 2012-03-20 세원시스템벤트 주식회사 환풍기용 벨마우스
KR20130005271U (ko) 2012-02-28 2013-09-05 후루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환기팬, 송풍팬, 교반팬 등의 농축산용 팬
JP5459075B2 (ja) * 2010-05-28 2014-04-02 富士通株式会社 ファンユニット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95A (ko) 1998-09-23 2000-04-15 윤종용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415380Y1 (ko) 2006-02-24 2006-05-02 조규일 축사 공조를 위한 송풍기
KR20100012392U (ko) * 2009-06-04 2010-12-14 이상근 축사의 환기 장치
JP5459075B2 (ja) * 2010-05-28 2014-04-02 富士通株式会社 ファンユニットおよび装置
KR101125186B1 (ko) * 2011-10-04 2012-03-20 세원시스템벤트 주식회사 환풍기용 벨마우스
KR20130005271U (ko) 2012-02-28 2013-09-05 후루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환기팬, 송풍팬, 교반팬 등의 농축산용 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040B1 (ko) * 2021-05-17 2022-02-17 박한용 축사 내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가능한 축사용 공기 순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874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9413S1 (en) High efficiency air conditioner condenser twisted fan blades and hub
USD566829S1 (en) High efficiency air conditioner condenser twisted fan blades and hub
US5803709A (en) Axial flow fan
KR20210013882A (ko) 축사용 송풍기
USD555782S1 (en) High efficiency air conditioner condenser twisted fan blades and hub
BRPI0602416A (pt) conjunto de ventilação com ventilador duplo para veìculos
KR20110003176U (ko) 대형선풍기 회전장치
KR100772086B1 (ko) 환풍기
KR200470951Y1 (ko) 환기팬, 송풍팬, 교반팬 등의 농축산용 팬
CN207673592U (zh) 一种换气扇
KR102529540B1 (ko)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CN211314605U (zh) 一种羊舍通风用负压风机
CN210371282U (zh) 一种新型吊扇
KR101757102B1 (ko) 농축산용 환풍기
KR102482637B1 (ko) 에어컨의 측면풍 가이드 구조
CN205744529U (zh) 一种壁挂式工业风扇
CN208996987U (zh) 一种直驱式风机
JP2004232548A (ja) 換気扇、送風扇、撹拌扇等の農畜産用扇
CN210512150U (zh) 暖风机侧出风结构
CN216111374U (zh) 挂脖风扇
KR20190084373A (ko) 아이스 손 선풍기
JP6545382B2 (ja) 換気扇
CN218565707U (zh) 一种新风机的外罩组件及新风机
KR200187965Y1 (ko) 축사용 환풍기
KR102482636B1 (ko) 에어컨 무빙커버 덮개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