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086B1 -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086B1
KR100772086B1 KR1020060130170A KR20060130170A KR100772086B1 KR 100772086 B1 KR100772086 B1 KR 100772086B1 KR 1020060130170 A KR1020060130170 A KR 1020060130170A KR 20060130170 A KR20060130170 A KR 20060130170A KR 100772086 B1 KR100772086 B1 KR 10077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main
sub
case
pane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태
Original Assignee
이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태 filed Critical 이희태
Priority to KR102006013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086B1/ko
Priority to PCT/KR2007/006614 priority patent/WO20080758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4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26Details of the casing section radially opposing blade t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04D29/547Ducts having a special shape in order to influence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B2230/21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casting
    • F05B2230/211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casting by precision casting, e.g. microfusing or investment c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은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단이 연통된 원통형의 메인마우스(52)가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메인마우스(52)에 의해 중앙에 통기공(50a)이 형성되는 패널케이스(50); 상기 패널케이스(50)의 상기 메인마우스(52)에 대칭상태로 대응형성되어 내주면에 통기공(60a)이 형성되고, 메인마우스(52)와 대칭을 이루면서 메인마우스(52)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메인마우스(52)와 연통되면서 메인마우스(52)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연장시키는 서브마우스(62); 상기 서브 및 메인마우스(62, 52)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서브 및 메인마우스(62, 52)의 내주면으로 구동축의 회전익(82)이 삽입되는 구동모터(80); 이 구동모터(80)를 패널케이스(50)에 고정시키는 고정대(85) 및; 상기 패널케이스(50)에 형성되는 리브(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가 분할구성되므로 사출성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공기, 환풍, 마우스, 분할, 유선형

Description

환풍기 { AIR EXCHANGER }
도 1은 일반적인 환풍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측단면도; 및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환풍기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패널케이스 50a, 60a : 통기공
50b : 끼움홈 52 : 메인마우스
52a : 끼움공 60 : 커버케이스
60b : 끼움돌기 62 : 서브마우스
62a : 끼움축 72: 볼트
72a : 볼트공 80 : 구동모터
82 : 회전익 85 : 고정대
90 : 다리 B : 관통볼트
N : 가압너트 R : 리브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순환하는데 사용되는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토출구의 내주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된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건물이나 축사 또는 공장 등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러한 환풍기는 통풍구가 형성된 벽체에 설치되거나 천장에 매달려서 사용된다. 또, 지면에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환풍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에 장착된 송풍익(12: 送風瀷)이 회전됨에 따라 패널(20)의 중앙에 형성된 마우스(22)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킨다. 여기서, 도시된 환풍기는 패널(20)이 철판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유선형의 마우스(22)는 패널(20)의 성형시 형성된다. 물론, 패널(20)은 마우스(22)와 함께 프레스금형에 의해 성형된다.
패널(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 직각으로 절곡된 테두리벽(20a)을 갖는다. 이러한 테두리벽(2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이렇게, 테두리벽(20a)이 벽체(1)를 향해 절곡될 경우, 패널(20)은 테두리측에 고무재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도시된 바와 같은 판상의 스페이서(S)가 삽입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의 표면에 볼팅고정된다. 따라서, 패널(20)은 스페이서(S)에 의해 테두리측이 지지된다. 이때, 마우스(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의 통풍구(1a)에 삽입된다.
이러한, 패널(20)은 벽체(1)의 통풍구(1a)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패널(20)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루리벽(20a)이 통풍구(1a)의 내주면에 볼팅고정됨에 따라 벽체(1)에 고정된다.
한편, 테두리벽(20a)은 도면의 우측 중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의 반대편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두리벽(20a)이 벽체(1)의 반대편으로 절곡형성될 경우, 패널(2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S)가 없는 상태로 벽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일반적인 환풍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22)가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송풍익(12)에 의해 토출되는 바람은 마우스(22)의 내주면을 유연하게 통과한다. 따라서, 도시된 일반적인 환풍기는 토출되는 바람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송풍되는 바람의 직진성이 매우 우수하다.
만약, 마우스(22)가 도시된 바와 달리 일직선으로 형성될 경우, 송풍익(12)에 의해 토출되는 바람은 마우스(22)의 내주면에 부딪히면서 마찰저항에 의해 와류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마우스(22)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환풍기는 마우스(22)에 발생되는 바람의 마찰저항으로 인해 "쉑쉑"거리는 매우 시끄러운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바람의 마찰저항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면서 직진성이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마우스(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환풍기는 철판으로 제조됨에 따라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다. 특히, 마우스(22)를 제조할 경우, 철판을 원통형으로 드로잉한 후 드로잉된 부분을 유선형으로 다시 스웨이징하거나 비딩가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선형의 마우스(22)를 갖는 일반적인 환풍기는 제조비용이 매우 과도하게 소요된다. 이러한 제조비용은 환풍기를 1개씩 제조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소요된다.
또, 철판으로 제조되는 일반적인 환풍기는 재질특성에 의해 중량이 매우 무거울 뿐만 아니라 외기에 의해 발청되면서 부식된다. 따라서, 제조와 이송 및 설치가 매우 불편하고, 영구적인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 철판재 환풍기는 암모니아에 의해 매우 쉽게 부식되므로, 축사나 실험실 또는 공장에 설치될 경우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철판으로 제조되는 일반적인 환풍기는 마우스(22)의 단부 및 테두리벽(20a)의 단부가 매우 날카로우므로, 제조 및 설치시에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된다.
물론, 유선형의 마우스(22)를 갖는 일반적인 환풍기를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할 경우 제조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부식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환풍기는 마우스(22)가 유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출성형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마우스(22)가 유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마우스(22)의 곡선진 선단부가 금형에 걸려서 이젝트되지 않기 때문이다.
삭제
한편, 환풍기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경우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벽(20a)이 벽체(1)의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테두리벽(20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22)의 돌출방향과 반대로 돌출된다.
이렇게,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기를 구성할 경우, 패널(20)은 철판 보다 강성이 약한 플라스틱재나 합성수지재로 성형됨에 따라, 표면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20b)가 형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리브(20b)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0)의 표면에만 형성되고 마우스(22)에는 형성될 수 없다. 따라서, 마우스(22)는 강성이 약화되어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떨리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때, 리브(20b)가 마우스(22)를 지지하도록, 리브(20b)를 마우스(22)의 내주면까지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마우스(22)의 내주면에 리브(20b)를 형성할 경우, 마우스(22)를 고속으로 통과하는 바람이 리브(20b)와 마찰되므로 소음이 심하게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유선형의 마우스(22)가 성형되도록 테두리벽(20a)을 생략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패널(20)을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의 통풍구(1a)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없다.
다른 한편, 도면상 미설명부호 1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모터(10) 및 패널(20)에 제각기 볼팅고정되는 막대형의 고정대이다. 즉, 고정대(10a)는 모 터(10)를 패널(2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모터(10)는 패널(20)에 고정된 상태로 송풍익(12)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마우스가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분할구성됨에 따라 용이하게 사출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할구성된 마우스가 연결되면서 마우스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환풍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분할구성된 마우스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면서 유선형의 마우스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환풍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사출성형되는 마우스의 외주면에 강성을 보강하는 부재가 마련되어 마우스가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도 마우스의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풍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분할구성된 마우스를 한쌍을 이루면서 대칭상태로 결합되는 판상의 케이스에 동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으므로, 한쌍의 케이스가 대칭상태로 결합되면서 마우스의 외주면을 은폐할 수 있는 환풍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환풍기는, 양단이 연통된 원통형의 메인마우스가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메인마우스에 의해 중앙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패널케이스; 상기 패널케이스의 상기 메인마우스에 대칭상태로 대응형성되어 내주면에 통기공이 형성되고, 메인마우스와 대칭을 이루면서 메인마우스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메인마우스와 연통되면서 메인마우스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연장시키는 서브마우스; 상기 서브마우스를 상기 메인마우스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기 서브 및 메인마우스의 내주면으로 구동축에 장착된 회전익이 삽입되고, 회전익을 회전시켜서 서브 및 메인마우스를 통해 공기를 소통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 및 패널케이스에 양단부가 제각기 연결되어 구동모터를 패널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가 연결된 상기 패널케이스의 표면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마우스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리브;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마우스(52)를 갖는 패널케이스(50); 서브마우스(62); 결합수단; 구동모터(80) 및; 고정대(8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패널케이스(50)는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서 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판재이다. 즉, 패널케이스(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판상을 이루는 사출물이다. 패널케이스(50)는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관통된 원통형의 메인마우스(52)가 중앙에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패널케이스(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마우스(52)에 의해 중앙에 통기공(50a)이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마우스(52)는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와 연결되는 부분이 고정단을 이루고, 패널케이스(5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자유단을 이룬다. 즉, 패널케이스(50)는 고정단의 반대편측 단부가 자유단을 이룬다.
한편, 전술한 메인마우스(52)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측단면도)된 바와 같이 곡률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곡률은 예컨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4사분면을 갖는 가상의 원(C)을 기준으로, 측단면상 반원의 절반에 해당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메인마우스(52)의 곡률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가상 원(C)의 제 4사분면(IV)에 해당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률은 도시된 바와 달리 필요에 따라 아주 완만하게 구성하거나, 도시된 것보다 급하게 구성할 수 있다. 만약, 메인마우스(52)의 곡률을 아주 완만하게 구성할 경우, 곡률이 메인마우스(52)의 자유단측 단부로 갈수로 수평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마우스(52)는 자유단측의 곡률을 고정단측의 곡률 보다 완만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다음, 전술한 서브마우스(62)는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관통되어 내주면에 통기공(60a)을 갖는 원통형의 부재이다. 이러한 서브마우스(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마우스(52)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메인마우스(52)와 마주한다.
서브마우스(62)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마우스(52)에 곡률이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하는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서브마우스(62)의 곡률은 메인마우스(52)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원(C)의 4사분면에서 제 3사분면(Ⅲ)에 해당하는 곡률로 형성된다. 즉, 서브마우스(62)는 메인마우스(52)의 곡률과 대칭을 이루도록 곡률이 형성된다. 따라서, 서브마우스(62)는 메인마우스(52)에 대응한다.
서브마우스(62)는 후술되는 결합수단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메인마우스(52)의 돌출된 타단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서브 및 메인마우스(52, 62)는 서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메인마우스(62, 52)는 서브마우스(62)의 결합에 의해 길이가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한편,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곡률이 대칭형성될 경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면서,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상 유선형의 곡률을 형성한다. 이때, 서브 및 메인마우스(62, 5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면서 가상의 원(C)을 기준으로 제 3 및 제 4사분면(Ⅲ, IV)에 해당하는 반원형의 곡률을 형성한다.
그 다음, 전술한 결합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마우스(62)를 메인마우스(52)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수단은 서브마우스(62)의 일단부를 메인마우스(52)의 자유단측 단부에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즉, 서브마우스(62)는 일측이 메인마우스(52)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예컨대,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분해사시도)된 바와 같이,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에 볼트(72)가 관통체결되는 볼트공(72a)을 형성하여,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가 볼팅에 의해 서로를 구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볼트공(72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의 외주면에 보스를 형성하고, 이 보스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볼트(7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의 후방에서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의 볼트공(7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트(72)는 메인마우스(52)의 볼트공(72a)을 통해 서브마우스(62)의 볼트공(72a)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볼트(72)는 확대 도시된 바와 달리 서브마우스(62)에서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볼트(72)는 서브마우스(62)의 볼트공(72a)을 통해 메인마우스(52)의 볼트공(72a)에 체결될 수 있다.
볼트(72)는 볼트공(72a)에 체결되면서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킨다. 물론,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볼트(72)가 해체될 경우 다시 분리된다. 즉,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볼트(7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전술한 바와 달리 예컨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측단면도)된 바와 같이 메인마우스(52)의 타단부 외주면 및 서브마우스(62)의 일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암형 및 수형 나사산(S)을 제각기 형성하여,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가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를 구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서브마우스(62)는 회전되면서 메인마우스(52)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이와 달리 결합수단은 예컨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측단면도)된 바와 같이 서브마우스(62)의 일단부 내주면에 걸림돌기(P)를 형성하고, 메인마우스(52)의 타단부 외주면에 걸림홈(G)을 형성하여, 서브 및 메인마우스(62, 52)가 걸림식 체결에 의해 서로를 구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P)는 걸림홈(G)에 걸린 후 이탈되지 않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림돌기(P)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나사산(S)과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전술한 구동모터(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의 통기공(50a) 중앙에 배치된다. 즉, 구동모터(80)는 메인마우스(52)의 중앙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동모터(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익(82)이 구동축에 장착된다.
회전익(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의 내주면에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익(82)은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의 내주면으로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고정대(8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80) 및 패널케이스(50)에 양단부가 제각기 볼팅된다. 따라서, 고정대(85)는 구동모터(80)를 메인마우스(52)의 중앙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대(85)는 매우 강한 강성을 가지면서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도록, 금속재 막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널케이스(50)는 성형시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사시도)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벽(W)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벽(W)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와 직각을 이루면서 패널케이스(50)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된다. 이와 같은 테두리벽(W)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마우스(52)와 평행을 이루면서 메인마우스(52)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다.
이렇게, 테두리벽(W)이 형성된 패널케이스(50)는 전술한 도 1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의 통풍구(1a)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패널케이스(50)는 테두리벽(W)이 벽체(1)의 통풍구(1a)에 끼워짐에 따라 통풍구(1a)에 삽입될 수 있다.
또, 패널케이스(50)는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형태의 볼트공(BH)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볼트공(BH)에는 후술되는 볼트(B)가 삽입된다. 볼트(B)는 볼트공(BH)을 통해 벽체(1: 도 1 참조)에 체결된다. 따라서, 패널케이스(50)는 볼트(B)에 의해 벽체(1)에 고정된다.
또한, 패널케이스(50)는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R)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R)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의 성형시 패널케이스(50)의 표면에 동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리브(R)는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에 형성된 메인마우스(52)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리브(R)는 메인마우스(52)의 외주면을 지지하면서 메인마우스(52)의 강성을 보강한다.
다른 한편, 패널케이스(50)는 후방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망(99)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망(99)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의 후방에 볼팅고정되어 구동모터(80)의 회전익(82)을 감싼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유선형의 곡률을 갖는 것을 그 예로 설명한다.
패널케이스(50) 및 서브마우스(62)는 미도시된 사출금형에 의해 서로 별개로 성형된다. 이때, 패널케이스(50)는 메인마우스(52)와 테두리벽(W) 및 리브(R)가 함께 성형된다. 이러한 패널케이스(50)는 메인마우스(52)에 서브마우스(62)가 결합된다. 이때,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마우스(52)는 실질적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한편,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서로 대칭되는 곡률을 갖도록 별개로 성형된다. 따라서,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서로 결합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상 반원형태의 유선형을 형성한다.
구동모터(80)는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가 결합된 패널케이스(50)의 후방에 장착된다. 구동모터(80)는 고정대(85)에 의해 패널케이스(50)에 고정된다. 이때, 구동모터(80)의 회전익(82)은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에 삽입된다. 회전익(82)은 패널케이스(50)의 후방에 설치되는 안전망(99)에 의해 보호된다.
구동모터(80)는 구동하면서 회전익(82)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익(82)은 회전하면서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 후방의 실내공기를 흡기하여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의 통기공(50a, 60a)을 통해 고속으로 토출한다. 이때, 메인마우스(52)는 서브마우스(52, 62)가 결합되면서 길이가 연장된 동시에, 유선형으로 형성된 형상적인 특성에 의해 토출되는 실내공기를 원활하게 안내한다. 즉,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형상적 특성으로 인해 고속으로 토출되는 실내공기의 마찰저항을 감쇠시키면서 실내공기를 멀리 송풍한다. 따라서, 실내공기는 고속으로 송풍되어도 소음 없이 원활하게 토출된다.
이렇게, 고속으로 토출되는 실내공기는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가 유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와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내공기는 직진성이 유지되어 아주 멀리 송풍된다.
한편, 패널케이스(50)에 형성된 리브(R)는 실내공기가 고속으로 통과하는 메인마우스(52)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메인마우스(52)는 실내공기가 내주면에 마찰되어도 떨리지 않는다.
다른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제2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고, 다만 패널케이스(50)에 다리(90)를 설치하고 패널케이스(50)의 전방에 안전망(99)을 설치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널케이스(5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전망(99)은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안전망(99)과 동일하다. 이렇게, 패널케이스(5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전망(9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마우스(62)를 보호한다.
패널케이스(50)에 설치되는 다리(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의 하부를 지지하여 패널케이스(5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러한 다리(9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양갈래로 갈라지는 막대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다리(90)는 패널케이스(50)의 양측에 제각기 설치된다.
이와 같은 다리(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회전자재하는 케스터(96)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케이스(50)는 케스터(96)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다리(90)는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조절기(9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기(94)는 예컨대, 도면의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90)를 관 통하여 패널케이스(50)에 고정되는 힌지(92); 가이드장공(GH)이 형성되어 다리(90)에 부착되는 가이드판(94a) 및; 이 가이드판(94a)의 가이드장공(GH)을 관통하여 패널케이스(50)에 체결되는 체결돌기(94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패널케이스(50)는 체결돌기(94b)가 약간 풀릴 경우 힌지(9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체결돌기(94b)는 가이드장공(GH)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패널케이스(50)는 체결돌기(94b)가 조여질 경우 회전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다리(90)는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베이스(90a) 및; 이 베이스(90a)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패널프레임(50)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봉(90b);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다리(90)는 일반적인 선풍기의 다리 처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리(9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금속막대를 이용하여 사각의 박스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환풍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는 서브마우스(62)에 패널케이스(50)와 대칭을 이루는 커버케이스(60)가 형성된 것과, 서브 및 메인마우스(62, 52)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끼움축(62a) 및 끼움공(52a)으로 형성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커버케이스(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서브마우스(62)가 동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버케이스(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와 대칭형성되어 패널케이스(50)와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갖는다. 즉, 커버케이스(6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마우스(62)에 의해 중앙에 통기공(60a)이 형성된다.
커버케이스(60)는 서브마우스(62)의 성형시 함께 성형된다. 즉, 커버케이스(60) 및 서브마우스(62)는 함께 성형되면서 단일체를 이룬다.
커버케이스(60)는 서브마우스(62)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의 메인마우스(52)에 결합됨에 따라 패널케이스(50)와 대향하면서 서로 마주한다. 즉, 커버케이스(60)는 패널케이스(50)와 대칭을 이루면서 마주한다. 따라서, 패널케이스(50)는 메인마우스(52)가 형성된 일측면이 커버케이스(60)에 의해 은폐된다.
커버케이스(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에 형성된 리브(R)와 동일한 리브(R)를 갖는다. 이러한 리브(R)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마우스(62)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서브마우스(62)의 강성을 보강한다.
커버케이스(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에 대칭상태로 마주하면서 후술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패널케이스(50)에 고정된다. 이때, 서브 및 메인마우스(52, 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면서 연통된다. 이러한 서브 및 메인마우스(52, 62)는 서로 대칭되는 곡률이 형성될 경우 서로 결합되면서 측단면상 반원형의 유선형 곡률을 형성한다.
여기서, 커버 및 패널케이스(50)를 고정하는 전술한 고정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60) 및 패널케이스(50)를 관통하는 관통볼트(B) 및; 이 관통볼트(B)의 단부에 체결되면서 커버케이스(60) 및 패널케이스(50)를 가압하는 가압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커버 및 패널케이스(50)는 볼팅에 의해 대칭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달리, 고정수단은 예컨대, 도면의 우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와 마주하는 커버케이스(60)의 후방측 표면에 끼움돌기(60b)를 형성하고, 커버케이스(60)와 마주하는 상기 패널케이스(50)의 전방측 표면에 끼움홈(50b)을 형성하여, 커버케이스 및 패널케이스(60, 50)가 억지끼움에 의한 정합식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를 구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끼움돌기(60b)는 끼움홈(50b)에 압입고정되는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끼움돌기(60b)는 끼움홈(50b)에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된다.
이러한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볼트(B) 및 가압너트(N)와 병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은 관통볼트(B) 및 가압너트(N)가 생략된 상태에서 독단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는 관통볼트(B) 및 가압너트(N)가 없는 상태에서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예컨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마우스(62)의 외주면에 끼움축(62a)을 형성하고, 메인마우스(52)의 외주면 끼움공(52a)을 형성하여, 서브 및 메인마우스(62, 52)가 억지끼움에 의한 정합식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를 구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끼움축(62a)은 끼움공(52a)에 압입고정되는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끼움축(62a)은 끼움공(52a)에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된다.
이러한, 끼움축(62a) 및 끼움공(52a)이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에 형성될 경우 전술한 고정수단의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은 생략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는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이 생략될 경우, 끼움축(62a) 및 끼움공(52a)에 의해 통기공(50a, 60a)측이 고정되고, 전술한 고정볼트(B) 및 가압너트(N)에 의해 테두리측이 고정된다. 즉, 끼움축(62a) 및 끼움공(52a)은 생략된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 대신 고정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결론적으로, 제3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결합수단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결합수단과 다르다. 물론, 제3 실시예에 의한 결합수단은 제2 실시예에 의한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에 의한 결합수단은 제3 실시예에 의한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커버케이스(60)는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 테두리벽(W)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벽(W)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60)와 직각을 이루면서 커버케이스(60)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케이스(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에 대향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커버케이스(60)의 테두리벽(W)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케이스(50)의 테두리벽(W)과 마주한다. 따라서, 테두리벽(W)은 패널케이스(50) 및 커버케이스(60)의 테두리를 차폐한다. 따라서,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만 노출된다.
한편,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가 결합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면서 내주면을 통해 유선형의 토출구를 형성한다. 즉,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의 통기공(50a, 60a)에는 유선형의 마우스가 형성된다.
또 한편, 안전망(9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60) 및 패널케이스(50)의 전방 및 후방에 제각기 설치되어 회전익(82)을 보호한다. 이러한 안정망(99)은 도시된 바와 달리 패널케이스(50) 또는 커버케이스(6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관통볼트(B) 및 가압너트(N), 그리고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이 병용된 것을 그 예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는 고정수단의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을 서로 결합시켜서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를 일체적으로 결합한다. 이때,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에 형성된 끼움축(62a) 및 끼움공(52a)도 함께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서로 결합되면서 유선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의 결합이 완료되면 고정수단의 관통볼트(B) 및 가압너트(N)를 이용하여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를 대향상태로 고정한다.
이어서, 고정대(85)를 이용하여 구동모터(80)를 패널케이스(50)에 설치한다. 따라서, 구동모터(80)의 회전익(82)은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에 삽입된다. 즉, 회전익(82)은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의 통기공(50a, 60a)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안전망(99)을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에 볼팅고정한다. 따라서, 회전익(82)은 안전망(99)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는 회전익(82)이 구동모터(80)에 의해 회전되면서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를 통해 실내공기를 순환시킨다.
한편, 제3 실시예에 의한 환풍기는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다리(9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환풍기에 다리(90)를 설치하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한편, 서브마우스(62)가 연결되는 커버케이스(60)는 패널케이스(50)와 대칭형성되므로, 메인마우스(52)가 형성된 패널케이스(50)를 반대로 돌려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커버케이스(60)는 메인마우스(52)가 형성된 패널케이스(50)를 반대로 돌려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메인마우스(52)는 반대로 돌려지면서 서브마우스(62)가 된다.
이렇게, 패널케이스(50)를 반대로 돌려서 커버케이스(60)로 이용할 경우, 전술한 고정수단의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에 모두 형성되어야 한다. 즉, 패널케이스(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에 끼움홈(50b) 및 끼움돌기(60b)가 제각기 형성되어야 하며, 커버케이스(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에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이 제각기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패널케이스(50)를 반대로 돌려서 커버케이스(60)로 이용할 경우, 결합수단의 끼움축(62a) 및 끼움공(52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에 모두 형성되어야 한다. 즉, 메인마우스(5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에 끼움공(52a) 및 끼움축(62a)이 제각기 형성되어야 하며, 서브마우스(62)는 상부 및 하부에 끼움축(62a) 및 끼움공(52a)이 제각기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끼움돌기(60b) 및 끼움홈(50b)과 끼움축(62a) 및 끼움공(52a)이 패널 및 커버케이스(50, 60)와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에 모두 제각기 형성됨에 따라, 패널케이스(50)를 반대로 돌려서 커버케이스(60)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환풍기는,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마우스가 서브 및 메인마우스로 분할구성되어 별개로 성형되므로 용이하게 사출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마우스에 서브마우스가 결합되므로 메인마우스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환풍기는 사출성형에 의해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므로, 종래의 철판식 환풍기 보다 중량이 매우 가벼울 뿐만 아니라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테두리벽이나 서브마우스의 단부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및 서브마우스를 유선형으로 사출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서브 및 메인마우스가 결합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리브가 패널 및 커버케이스의 표면과 서브 및 메인마우스의 외주면을 지지하므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패널 및 커버케이스와 서브 및 메인마우스가 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서브마우스 및 커버케이스를 동일체로 형성할 경우 커버케이스를 패널케이스에 대칭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외관을 깔끔하고도 미려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커버 및 패널케이스의 테두리에 테두리벽을 형성할 경우 테두리벽이 커버 및 패널케이스의 테두리를 차폐하므로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커버 및 패널케이스를 관통볼트 및 가압너트 또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으로 구성된 고정수단으로 결합시키므로, 커버 및 패널케이스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커버케이스가 패널케이스와 대칭형성되므로 패널케이스를 반대로 돌릴 경우 커버케이스로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효율 및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다.
게다가, 패널케이스에 다리를 설치할 경우 선풍기 처럼 실내에 세워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3)

  1.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기에 있어서,
    양단이 연통된 원통형의 메인마우스(52)가 중앙에 돌출형성되어 메인마우스(52)에 의해 중앙에 통기공(50a)이 형성되는 패널케이스(50);
    상기 패널케이스(50)의 상기 메인마우스(52)에 대칭상태로 대응형성되어 내주면에 통기공(60a)이 형성되고, 메인마우스(52)와 대칭을 이루면서 메인마우스(52)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메인마우스(52)와 연통되면서 메인마우스(52)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연장시키는 서브마우스(62);
    상기 서브마우스(62)를 상기 메인마우스(52)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기 서브 및 메인마우스(62, 52)의 내주면으로 구동축에 장착된 회전익(82)이 삽입되고, 회전익(82)을 회전시켜서 서브 및 메인마우스(62, 52)의 통기공(50a, 60a)을 통해 공기를 소통시키는 구동모터(80); 및
    상기 구동모터(80) 및 패널케이스(50)에 양단부가 제각기 연결되어 구동모터(80)를 패널케이스(50)에 고정시키는 고정대(8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85)가 연결된 상기 패널케이스(50)의 표면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마우스(52)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리브(R);를 더 포함하는 환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에 볼트(72)가 관통체결되는 볼트공(72a)을 형성하여, 상기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가 볼팅에 의해 서로를 구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서브마우스(62)의 외주면에 끼움축(62a)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마우스(52)의 외주면에 끼움공(52a)을 형성하여, 상기 서브 및 메인마우스(62, 52)가 억지끼움에 의한 정합식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를 구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마우스(62)가 중앙에 동일체로 연결되어 서브마우스(62)에 의해 중앙에 통기공(60a)이 형성되고, 서브마우스(62)가 상기 메인마우스(6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패널케이스(50)와 대칭상태로 마주하면서, 메인마우스(62)가 형성된 상기 패널케이스(50)의 일측면을 은폐하는 판상의 커버케이스(60) 및;
    상기 커버케이스(60)를 상기 패널케이스(50)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환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마우스(62)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커버케이스(60)의 표면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마우스(62)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리브(R);를 더 포함하는 환풍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케이스(60)의 테두리에서 상기 서브마우스(6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커버케이스(60)와 직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커버케이스(60)의 테두리를 차폐하는 테두리벽(W);을 더 포함하는 환풍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케이스(60) 및 패널케이스(50)를 관통하는 관통볼트(B); 및
    상기 관통볼트(B)의 단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커버케이스(60) 및 패널케이스(50)를 가압하는 가압너트(N);를 포함하는 환풍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패널케이스(50)와 마주하는 상기 커버케이스(60)의 표면에 끼움돌기(60b)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케이스(60)와 마주하는 상기 패널케이스(50)의 표면에 끼움홈(50b)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케이스 및 패널케이스(60, 50)가 억지끼움에 의한 정합식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를 구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케이스(50)를 지지하여 패널케이스(5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다리(90);를 더 포함하는 환풍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케이스(50)의 테두리에서 상기 메인마우스(5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패널케이스(50)와 직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패널케이스(50)의 테두리를 차폐하는 테두리벽(W);을 더 포함하는 환풍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5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기의 마찰저항을 감쇠시키는 곡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및 서브마우스(52, 62)는, 곡률이 서로 대칭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실질적으로 유선형 형태의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KR1020060130170A 2006-12-19 2006-12-19 환풍기 KR100772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170A KR100772086B1 (ko) 2006-12-19 2006-12-19 환풍기
PCT/KR2007/006614 WO2008075872A1 (en) 2006-12-19 2007-12-18 Air ex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170A KR100772086B1 (ko) 2006-12-19 2006-12-19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086B1 true KR100772086B1 (ko) 2007-10-31

Family

ID=3881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170A KR100772086B1 (ko) 2006-12-19 2006-12-19 환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2086B1 (ko)
WO (1) WO20080758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42Y1 (ko) 2010-04-07 2012-05-10 주식회사 상우테크 축사용 환풍기의 각도 조절장치
WO2020055185A1 (en) * 2018-09-14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9017511U1 (de) 2009-12-22 2011-05-05 Ebm-Pabst Mulfingen Gmbh & Co. Kg Lüftereinheit für Filterlüfter
JP6602722B2 (ja) * 2016-04-20 2019-11-0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換気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871A (ja) * 1991-04-25 1993-04-27 Matsushita Refrig Co Ltd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06331177A (ja) * 1993-05-24 1994-11-29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10011436A (ko) * 1999-07-28 2001-02-15 윤종용 천정형 에어컨의 벨 마우스장치
US6454427B1 (en) 2000-11-27 2002-09-24 Kun-Chen Chen Illuminating utility knife with easy-access spare blade drawer
KR20030035328A (ko) * 2001-10-3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871A (ja) * 1991-04-25 1993-04-27 Matsushita Refrig Co Ltd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06331177A (ja) * 1993-05-24 1994-11-29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10011436A (ko) * 1999-07-28 2001-02-15 윤종용 천정형 에어컨의 벨 마우스장치
US6454427B1 (en) 2000-11-27 2002-09-24 Kun-Chen Chen Illuminating utility knife with easy-access spare blade drawer
KR20030035328A (ko) * 2001-10-3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42Y1 (ko) 2010-04-07 2012-05-10 주식회사 상우테크 축사용 환풍기의 각도 조절장치
WO2020055185A1 (en) * 2018-09-14 2020-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1226120B2 (en) 2018-09-14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5872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086B1 (ko) 환풍기
KR101474181B1 (ko) 서큘레이터
CA2176194C (en) Fan
CA2216500A1 (en) Fan for air handling system
US20200158137A1 (en) Cross-flow wind turbine, and fan heater
US20140065940A1 (en)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US8702386B2 (en) Fan and blade thereof
US5507691A (en) Ventilator
JP201012759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611827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8202579A (ja) 送風ファンと、吸気専用換気扇または排気専用換気扇
US20090052820A1 (en) Fan, motor and bushing thereof
CN109519998A (zh) 一种带降噪装置的吸油烟机及降噪装置的安装方法
KR102306874B1 (ko) 축사용 송풍기
JPH0694280A (ja) 天井用換気扇
CN210178612U (zh) 风机装置以及吸油烟机
JP3250957B2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2011149367A (ja) ターボファン及びこのターボファン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216111374U (zh) 挂脖风扇
US20200173449A1 (en) Driving assembly for use with fan, and fan having same
GB2516687A (en) Ventilation Unit
JPS592409Y2 (ja) 窓用換気扇
JP7320246B2 (ja) 送風装置
JP4812969B2 (ja) 換気装置
KR102287027B1 (ko)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