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067B1 - 연하 의료 장치, 장착 유닛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연하 의료 장치, 장착 유닛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067B1
KR102363067B1 KR1020227000529A KR20227000529A KR102363067B1 KR 102363067 B1 KR102363067 B1 KR 102363067B1 KR 1020227000529 A KR1020227000529 A KR 1020227000529A KR 20227000529 A KR20227000529 A KR 20227000529A KR 102363067 B1 KR102363067 B1 KR 10236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allowing
control unit
electrode
mou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943A (ko
Inventor
히로시 우에노
요시타카 오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 크래프트
유센스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 크래프트, 유센스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메덱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 크래프트
Publication of KR2022000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by whole-body plethys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A61B5/1135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by monitoring thoracic expa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05Evaluating swallo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연하 유도 장치(1)는,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으로서 연하 유도 동작을 실행한다. 연하 유도 장치(1)는 연하 유도 동작을 위해서 인체의 대상 부위(인두부)에 장착되는 전극 유닛(20)과, 연하 유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3)과, 전극 유닛(20)의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23)를 구비한다. 제어 유닛(3)은 전극 유닛(20)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사용 정보가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연하 의료 장치, 장착 유닛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을 실행하는 연하 의료 장치,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을 할 때 인체에 장착되는 장착 유닛, 및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이른바 「오연(誤嚥)」에 의해서 일으켜지는 오연성 폐렴이, 특히, 고령자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오연」이란 적절히 연하를 발생시키지 못하고, 삼켜진 것이 식도가 아니라 기관으로 들어가는 병태(病態)이다. 오연성 폐렴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타이밍에 연하를 행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의 특허 문헌 1에는, 인두부에 전기 자극을 줌으로써, 적정한 타이밍에 연하를 유도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환자의 인두부 부근에 첩착된 전극으로부터 환자의 상 인두 신경에 전기 자극이 부여되어, 연하가 유도된다. 전기 자극은 환자의 호식 기간에 있어서 부여된다. 또, 이하의 특허 문헌 2에는, 환자의 호흡, 연하음 및 후두부의 변위의 각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연하를 감시하여, 오연의 리스크를 판정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국제 공개 제2014/038390호 특허 문헌 2 : 국제 공개 제2018/003127호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환자의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극의 상면에 겔 시트 등의 도전성의 점착 부재가 겹쳐진다. 이것에 의해, 점착 부재가 환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전극으로부터 인두부에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이 부여된다. 그 결과, 환자에 대해서 적절히 연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환자에 대한 치료 등에 있어서 장치가 사용될 때마다, 점착 부재가 피부에 밀착되는 상태로 인두부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장치의 사용 횟수에 따라 점착 부재에 환자의 피지 등이 부착되고, 그 결과, 점착 부재는 서서히, 접착력이 저하하게 되어 버린다. 또, 점착 부재가 점착성 도전 함수(含水)겔인 경우는, 환자의 발한에 의한 땀 등이, 점착성 도전 함수겔에 침투하여 점착력이 저하된다. 또한, 반복 사용함으로써, 현저하게 점착력이 저하되어, 피부와의 밀착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도전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 점착 부재가 점착성 도전 소수(疎水)겔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현저하게 점착력이 저하되어 피부로의 밀착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도전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점착 부재의 본래의 특성이 담보되지 않는 경우, 환자의 인두부에 적절히 전기 자극을 부여하지 못하고, 그 결과, 연하의 유도를 적절히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특허 문헌 2의 구성에서는, 환자의 호흡이나 후두부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사용에 따라서 열화되는 것이 상정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이들 센서에 열화가 생기면, 환자의 호흡이나 후두부의 변위를 적절히 검출하지 못하고, 그 결과, 연하의 감시를 적절히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의 적정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한 연하 의료 장치, 장착 유닛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을 실행하는 연하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양태에 따른 연하 의료 장치는, 상기 의료 동작을 위해서 인체의 대상 부위에 장착되는 장착 유닛과, 상기 의료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장착 유닛의 경시적인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장착 유닛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상기 사용 정보가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본 양태에 따른 연하 의료 장치에 의하면, 장착 유닛의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장착 유닛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본 양태에 따른 연하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은 교환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장착 유닛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착 유닛이 다른 제어 유닛에 조합된 경우도,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를, 장착 유닛에 있어서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에 있어서,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를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 유닛은 상기 사용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함과 아울러, 그 판정 결과를 상기 제어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 유닛에 있어서의 처리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덧붙여, 사용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의 판정은, 제어 유닛에 있어서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 장착 유닛은 기억부로부터 사용 정보를 읽어내어 제어 유닛에 송신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장착 유닛이 진정품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를 더 기억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확인 정보에 의해 상기 장착 유닛이 진정품인 것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착 유닛이 진정품이 아닌 경우에,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장착 유닛의 조악한 모방품이 사용되는 것이 배제된다. 따라서,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의 적정성을 보다 확실히 담보할 수 있다.
본 양태에 따른 연하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료 동작은, 예를 들어, 환자에게 연하를 유도하기 위한 연하 유도 동작이다.
이 경우, 연하 의료 장치는 상기 장착 유닛으로서, 연하를 촉진시키는 자극을 부여하기 위해서 인두부에 장착되는 전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유닛은 상기 자극을 부여하기 위한 전극과, 상기 전극을 상기 대상 부위에 밀착시키는 도전성의 점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 정보가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즉, 점착 부재에 경시적인 열화가 생겼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전극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연하 유도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을 상기 대상 부위에 밀착시키는 도전성의 점착 부재」란, 전극에 점착 부재를 겹쳐서 배치하는 형태 외, 점착 부재 자신이 전극을 구성하는 형태, 즉, 점착 부재가 전극의 기능도 겸비하는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이 경우, 연하 의료 장치는 상기 장착 유닛으로서 호흡을 검출하기 위해서 동체(胴體)에 장착되는 호흡 검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호흡 검출 유닛은 호흡에 따른 상기 동체의 확대 및 축소를 검출하기 위한 신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 정보가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즉, 신축 센서에 경시적인 열화가 생겼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호흡 검출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연하 유도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혹은, 본 양태에 따른 연하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료 동작은 환자의 연하를 감시하기 위한 연하 감시 동작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 연하 의료 장치는 상기 장착 유닛으로서, 후두부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후두부에 장착되는 변위 검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 검출 유닛은 상기 후두부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 정보가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즉, 변위 센서에 경시적인 열화가 생겼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변위 검출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연하 감시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연하 의료 장치는, 상기 장착 유닛으로서 호흡을 검출하기 위해서 동체에 장착되는 호흡 검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호흡 검출 유닛은 호흡에 따른 상기 동체의 확대 및 축소를 검출하기 위한 신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 정보가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즉, 신축 센서에 경시적인 열화가 생겼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호흡 검출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연하 감시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장착 유닛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오연의 리스크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열화된 장착 유닛의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오연의 리스크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본 양태에 따른 연하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동작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착 유닛에 경시적인 열화가 생겼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의료 동작 자체가 중지된다. 따라서, 열화가 생긴 장착 유닛에 의해 의료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의료 동작의 적정성을 확실히 담보할 수 있다.
본 양태에 따른 연하 의료 장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지하기 위한 알림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사 등의 사용자는, 알림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열화된 장착 유닛의 사용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설정 조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사 등의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장착 유닛의 경시적인 열화 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적당히, 장착 유닛을 교환하는 등의 대응을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동작을 보다 적정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 위해 대상 부위에 장착되는 교환 가능한 장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양태에 따른 장착 유닛은, 해당 장착 유닛의 경시적인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를, 해당 장착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의료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유닛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양태에 따른 장착 유닛에 의하면, 제어 유닛에 있어서, 사용 정보가 장착 유닛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인체의 대상 부위에 장착되는 장착 유닛을 이용하여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유닛의 제어부에, 상기 장착 유닛의 경시적인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상기 장착 유닛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양태와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상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한 연하 의료 장치, 장착 유닛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연하 유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연하 유도 장치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a)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사용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b)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확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유닛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연하 유도 동작을 개시시킬 때 전극 유닛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연하 유도 동작을 개시시킬 때 제어 유닛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의 (a), (b)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연하 유도 동작의 개시시에 표시되는 개시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연하 유도 동작의 개시시에 표시되는 개시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b)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연하 유도 동작의 개시시에 표시되는 개시 화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사용 정보의 갱신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의 (a)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호흡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의 (b)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호흡 검출 장치를 환자에게 장착하기 위한 조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호흡 검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전기 자극 장치와 호흡 검출 장치가 환자에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연하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연하 감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호흡 검출 장치와 연하 감시 장치가 환자에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변경예에 따른 전극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변경예에 따른, 연하 유도 동작을 개시시킬 때 제어 유닛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만, 도면은 오로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은, 예를 들어 오연을 치료하기 위해서 환자에게 연하를 유도하기 위한 연하 유도 장치(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연하 유도 장치(1) 및 전기 자극 장치(2)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연하 의료 장치」에 대응하며, 전극 유닛(20)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장착 유닛」에 대응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했을 경우의 하나의 구성예로서,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연하 유도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연하 유도 장치(1)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연하 유도 장치(1)는 전기 자극 장치(2)와 제어 유닛(3)을 구비한다. 전기 자극 장치(2)는 환자의 인두부에 전기 자극을 부여한다. 제어 유닛(3)은 전기 자극 장치(2)에 대해, 연하를 유도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전기 자극 장치(2)와 제어 유닛(3)은, 블루투스(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다. 제어 유닛(3)은, 예를 들어, 태블릿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 유닛(3)이 휴대 전화기 등의 다른 정보 단말 장치여도 된다. 또, 전기 자극 장치(2)와 제어 유닛(3)이 유선에 의해 통신 가능해도 된다. 제어 유닛(3)은 서로 다른 복수의 전기 자극 장치(2)에 대해서 개별로 통신 가능해도 된다.
전기 자극 장치(2)는 홀더 유닛(10)과 전극 유닛(20)을 구비한다. 홀더 유닛(10)은 환자의 목을 따르는 형상을 가진다. 즉, 홀더 유닛(10)은 장착시에 환자의 상흉 부근에 늘어지는 2개의 단부(10b)가 접속부(10a)에 의해 접속된 형상을 가진다. 홀더 유닛(10)의 장착시에, 접속부(10a)가 환자의 목의 뒤를 따라서 선회한다. 홀더 유닛(10)의 외측면은, 예를 들어, ABS 소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목에 감기는 접속부(10a)는, 예를 들어, EVA 소재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단부(10b)의 표면 등에, 각 단부(10b)가 환자의 목의 좌우 어느 쪽으로 돌려지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기호(좌/우, L/R) 등이 부기되어도 된다.
홀더 유닛(10)에는, 한쪽의 단부(10b)의 표면에, 전원 버튼(11)과 긴급 정지 버튼(12)이 배치되어 있다. 전원 버튼(11)은 전기 자극 장치(2)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긴급 정지 버튼(12)은 전기 자극 장치(2)의 동작을 긴급정지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전원 버튼(11) 및 긴급 정지 버튼(12)의 내측에는, 회로 기판이 내포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에, 제어 유닛(3)과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나, 제어 유닛(3)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 등이 실장되어 있다.
2개의 단부(10b)의 내측면에, 각각, 탄력성이 있는 누름 부재(13)가 장착되어 있다. 누름 부재(13)는 홀더 유닛(10)이 환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전극 유닛(20)의 전극 부분을 환자의 목에 눌러 붙이기 위한 것이다. 누름 부재(13)는, 예를 들어, 신축성이 있는 천에 의해 주머니 모양으로 구성되고, 이 주머니의 내부에 마이크로 비즈 등의 완충 부재(13a)가 내포되어 있다.
2개의 단부(10b)의 내측면에는, 추가로, 띠 모양의 벨트(14)가 장착되어 있다. 벨트(14)는 홀더 유닛(10)을 환자의 목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쪽의 벨트(14)의 내측면에는, 면파스너의 한쪽측을 구성하는 고정부(14a)가 마련되어 있다. 다른 쪽의 벨트(14)의 외측면은, 전면이 면파스너의 다른 쪽의 고정부가 되고 있다. 한쪽의 벨트(14)의 고정부(14a)를 다른 쪽의 벨트(14)의 외측면에 겹침으로써, 2개의 벨트(14)가 접합되는, 2개의 벨트(14)의 겹침을 잡아 뗌으로써, 2개의 벨트(14)의 접합이 해제된다.
2개의 단부(10b)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케이블(15b)이 인출되어 있다. 케이블(15b)은 홀더 유닛(10)에 내장된 상술한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15b)의 선단에, 전극 유닛(20)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5a)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의 일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처럼, 커넥터(15a)에, 전극 유닛(20)의 단자(22)가 삽입된다.
커넥터(15a)에는 삽입된 단자(22)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5a)의 외측면에, 고정과 해제를 전환하기 위한 레버(15c)가 마련된다. 레버(15c)를 커넥터(15a)의 외측면으로부터 세움으로써, 커넥터(15a)에 대한 단자(22)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로 단자(22)를 커넥터(15a)에 삽입하고, 그 후, 레버(15c)를 커넥터(15a)의 외측면으로 눕힘으로써, 단자(22)가 커넥터(15a)에 고정된다.
전극 유닛(20)은 가요성을 가지는 얇은 판 모양의 구조를 가진다. 평면시에 있어서, 전극 유닛(20)은 일 발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이다. 전극 유닛(20)의 한쪽의 단부의 내측면에는, 2개의 점착 부재(21)가 배치되고, 이들 점착 부재(21)의 내측에 전극(24)이 배치되어 있다. 점착 부재(21)는 도전성을 가진다. 점착 부재(21)는, 예를 들어, 겔 재료로 이루어지는 패드에 의해 구성된다. 겔 재료로서, 점착성 도전 함수겔 또는 점착성 도전 소수겔을 이용할 수 있다.
전극 유닛(20)의 다른 쪽의 단부로부터 단자(22)가 돌출되어 있다. 전극 유닛(20)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회로 기판이 내장되고, 이 회로 기판에 단자(22)가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에는, 예를 들어, EEPROM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23)가 탑재되어 있다. 후술과 같이, 기억부(23)에는, 전극 유닛(20)의 경시적인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 및 전극 유닛(20)이 진정품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 등이 기억된다.
전기 자극 장치(2)가 사용 상태가 아닌 경우, 전극 유닛(20)은 커넥터(15a)로부터 분리되어, 수납 시트(양식지)에 의해, 습기나 태양광에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된다. 전기 자극 장치(2)가 사용될 때, 전극 유닛(20)이 커넥터(15a)에 장착되고, 홀더 유닛(10)에 일체화된다.
그 후, 홀더 유닛(10)의 접속부(10a)가 환자의 목에 걸리고, 2개의 전극 유닛(20)의 단부가, 각각, 환자의 후두부의 좌측 및 우측의 부분에 닿게 된다. 이 때, 전극 유닛(20)의 단부에 배치된 점착 부재(21)가, 피부의 표면에 점착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누름 부재(13)가 각각 전극 유닛(20)의 단부의 상면에 닿게 되고, 추가로 2개의 벨트(14)가 겹쳐져 접합된다. 이 때, 누름 부재(13)가 휘어, 그 반력에 의해서, 전극 유닛(20)의 단부가, 환자의 목에 눌려 붙는다. 이렇게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점착 부재(21)가 환자의 목에 눌려 붙은 상태로, 전극 유닛(20)이 환자에게 장착된다.
그 후, 제어 유닛(3)에 의해서 전극 유닛(20)이 구동되면, 점착 부재(21)의 내측에 배치된 전극(24)에 전류가 흘러 연하 반사가 촉진된다. 2개의 전극(24)이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2개의 전극(24)이,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극으로 설정된다. 한 쌍의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과, 다른 한 쌍의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이, 갑상 연골을 중심으로 X자 모양으로 배치되도록, 4개의 전극(24)이 배치된다. 2쌍의 전극(24)은 모두 중주파수가 되도록 구동되고, 또한 2쌍의 전극(24) 간의 주파수의 차가 저주파수가 되도록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심부에 이들 주파수의 차에 따른 저주파의 간섭파가 발생하고, 이 간섭파에 의해서 상 후두 신경이 자극된다. 이것에 의해, 상 후두 신경을 경유하여 인두·후두로부터 뇌의 중추부로 전달되는 구심성 신호가 증강되어, 연하 반사가 촉진된다. 이와 같이 2쌍의 전극에 의한 간섭파를 이용하면, 피부의 통증이나 불쾌감을 억제하면서, 효과적으로, 연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3은 전기 자극 장치(2)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덧붙여, 편의상, 도 3에는, 홀더 유닛(10)에 장착되는 2개의 전극 유닛(20) 중 한쪽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쪽의 전극 유닛(20)도 같은 구성이다. 드라이버(113), 커넥터(15a) 및 다른 쪽의 전극 유닛(20)의 조합이, 도 3의 구성에 더 추가된다.
홀더 유닛(10) 및 전극 유닛(20)은, 각각, 회로 기판(110, 120)을 구비한다. 상술한 것처럼, 회로 기판(110)은 홀더 유닛(10)에 내장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120)은, 전극 유닛(20)의 단자(22)측의 단부에 내장되어 있다. 이들 회로 기판(110, 120)은 커넥터(15a)에 단자(22)가 접속됨으로써, 서로 접속된다.
홀더 유닛(10)의 회로 기판(110)에는, 제어부(111)와 기억부(112)와 드라이버(113)와, 무선 통신부(114)와 전원(115)이 실장되어 있다. 이 외, 도 1에 나타낸 전원 버튼(11) 및 긴급 정지 버튼(12)도, 회로 기판(110)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11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기억부(1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부를 제어한다. 기억부(112)는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 기억부(112)는 제어부(111)가 각부를 제어할 때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드라이버(113)는 제어부(11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전극(24)을 구동한다. 무선 통신부(114)는 제어부(11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제어 유닛(3)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전원(115)은 전지를 구비하고, 회로 기판(110, 120)의 각 회로부에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전원 전압은 도 1의 케이블(15b)을 통해서 전극 유닛(20)측의 회로 기판(120)에 공급된다.
전극 유닛(20)의 회로 기판(120)에는, 제어부(121)와 기억부(23)가 실장되어 있다. 제어부(12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기억부(2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21)는, 현재의 일시를 계시하는 시계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억부(23)는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 기억부(23)는 제어부(121)가 각부를 제어할 때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기억부(23)는 데이터를 기입 소거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EEPROM)를 포함하고 있다. 기억부(23)는 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전극 유닛(20)의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를 기억한다. 또, 기억부(23)는 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있어서의 사용 정보의 기입 에어리어 이외의 소정의 에어리어에, 전극 유닛(20)이 진정품인 것, 즉, 적정한 제조원에 의해 제조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를 기억한다.
도 4의 (a)는 사용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b)는 확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것처럼, 사용 정보는 전극 유닛(20)이 사용된 횟수와, 각 사용시의 개시 일시, 종료 일시 및 사용시간과, 전극 유닛(20)이 처음에 사용된 시점으로부터의 누적 사용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시간은 개시 일시와 종료 일시의 차분으로서 산출된다. 누적 사용시간은 각 사용 횟수까지의 사용시간을 가산함으로써 산출된다.
덧붙여, 사용 정보가 개시 일시와 종료 일시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개시 일시와 종료 일시의 세트의 수가, 사용 횟수가 된다. 또, 사용시간과 누적 사용시간은,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개시 일시와 종료 일시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에 의해 수시 산출될 수 있다.
혹은, 사용 정보가 사용시간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시간의 수가, 사용 횟수가 된다. 또, 사용시간을 가산함으로써 누적 사용시간이 수시 산출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것처럼, 확인 정보는 소정 자리수의 시리얼 번호와 암호키로 이루어진다. 시리얼 번호는 암호키에 의해서 암호화되어 있고, 암호키로 시리얼 번호가 격잡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복호함으로써, 소정 자리수의 시리얼 번호가 취득된다.
도 5는 제어 유닛(3)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유닛(3)은 제어부(201)와, 기억부(202)와, 표시 입력부(203)와, 제1 무선 통신부(204)와, 제2 무선 통신부(205)를 구비한다.
제어부(201)는, 예를 들어 CPU 등의 연산 처리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기억부(202)에 기억된 프로그램(202a)에 따라서, 각부를 제어한다. 기억부(202)는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연하 유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202a)을 기억한다. 또, 기억부(202)는 제어부(201)가 각부를 제어할 때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표시 입력부(203)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시킴과 아울러,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입력부(203)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 유닛(3)이 태블릿인 경우, 제어 유닛(3)의 전면(前面)의 대략 전체 범위가, 표시 입력부(203)의 배치 영역이 된다.
제1 무선 통신부(204)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전기 자극 장치(2)의 무선 통신부(114)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제2 무선 통신부(205)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외부 통신망(210)에 접속된 서버(220)와 통신을 행한다. 외부 통신망(210)은, 예를 들어, 공중회선이다. 서버(220)는 연하 유도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관리한다.
연하 유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202a)은, 제2 무선 통신부(205)를 통해서, 서버(220)로부터 제어 유닛(3)에 다운로드되어, 기억부(202)에 인스톨된다. 이 외, 프로그램(202a)이 USB 메모리나 광 디스크를 통해서 제어 유닛(3)에 취입되어, 기억부(202)에 인스톨되어도 된다.
도 6은 연하 유도 동작을 개시시킬 때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연하 유도 동작을 개시시킬 때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의사 등의 사용자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극 유닛(20)을 환자에게 장착한 후, 제어 유닛(3)에 인스톨된 프로그램(202a)에 기초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고, 또한, 홀더 유닛(10)의 전원 버튼(11)을 조작하여 전기 자극 장치(2)에 전원을 투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는 전원이 투입되면(S101), 제어 유닛(3)으로부터 정보 송신 요구가 송신되는 것을 대기한다(S102). 또,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는, 프로그램(202a)에 기초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S201), 제1 무선 통신부(204)를 통해서, 전기 자극 장치(2)와의 통신을 확립한다(S202). 그리고, 통신이 확립되면, 제어부(201)는 확인 정보와 사용 정보의 송신 요구를 전기 자극 장치(2)에 송신하고(S203), 전기 자극 장치(2)로부터 확인 정보와 사용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대기한다(S204). 송신된 송신 요구는 전기 자극 장치(2)의 회로 기판(110)에 배치된 제어부(111)를 통해서,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에 전송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는, 제어 유닛(3)으로부터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하면(S102:YES), 기억부(23) 상의 확인 정보의 기억 에어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고, 읽어낸 데이터를, 회로 기판(110)에 배치된 제어부(111)를 통해서, 제어 유닛(3)에 송신한다(S103). 또한, 제어부(121)는 기억부(23) 상의 사용 정보의 기억 에어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고, 읽어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의 사용 상황의 적부를 판정한다(S104).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1)는 사용 정보로부터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를 취득하고, 사용 횟수가, 전극 유닛(20)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즉, 전극 유닛(20)의 특성을 담보 가능한 상한 횟수 Nth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5). 여기서, 상한 횟수 Nth는 전극 유닛(20)에 배치된 점착 부재(21)의 경시적인 열화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즉, 환자에 대한 치료 등에 있어서 전기 자극 장치(2)가 사용될 때마다, 점착 부재(21)가 환자의 피부에 밀착된다. 이 때문에,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에 따라 점착 부재(21)에 환자의 피지 등이 부착되고, 이것에 의해, 점착 부재(21)는, 서서히, 접착력이 저하되어 간다. 또, 점착 부재(21)가 흡수성의 경우는, 환자의 땀 등이 점착 부재(21)에 침투하여, 점착 부재(21)의 본래의 특성이 담보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혹은, 점착 부재(21)가 비흡수성인 경우는, 점착 부재(21)의 수분이 휘발되어 점착 부재(21)의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점착 부재(21)의 본래의 특성이 담보되지 않는 경우, 환자의 인두부에 적절히 전기 자극을 부여하지 못하고, 그 결과, 연하의 유도를 적절히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상한 횟수 Nth는, 연하의 유도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는 정도로 점착 부재(21)에 점착성이 남아 있다고 상정되는 사용 횟수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한 횟수 Nth는 14회~20회 정도로 설정된다. 상한 횟수 Nth는 프로그램(202a)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유저가 상한 횟수 Nth를 디폴트값으로부터 조정 가능해도 된다.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 미만인 경우(S105:YES), 제어부(121)는 전극 유닛(20)의 특성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기억부(23)로부터 읽어낸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상황 정보를, 제어 유닛(3)에 송신한다(S106). 다른 한편,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 이상인 경우(S105:NO), 제어부(121)는 전극 유닛(20)의 특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기억부(23)로부터 읽어낸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상황 정보를, 제어 유닛(3)에 송신한다(S107). 이들 정보도, 회로 기판(110)에 배치된 제어부(111)를 통해서, 제어 유닛(3)에 송신된다.
덧붙여, 스텝 S101~S107의 처리는, 홀더 유닛(10)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전극 유닛(20)마다 행해진다. 따라서, 제어 유닛(3)에는 이들 2개의 전극 유닛(20)에 대해서, 확인 정보와 사용 상황 정보가 각각 송신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는 전극 유닛(20)으로부터 확인 정보와 사용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S204:YES), 우선, 수신한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의 진위를 판정한다(S205).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1)는 확인 정보에 포함되는 암호키에 기초하여 시리얼 번호를 복호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복호한 시리얼 번호의 자리수가 미리 결정된 자리수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의 진위를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복호한 시리얼 번호가 서버(220)에 2중 등록되지 않은지를 서버(220)에 문의하고, 그 응답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의 진위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1)는 복호한 시리얼 번호를, 해당 제어 유닛(3)이 사용되는 의료 시설의 코드 번호와 함께, 서버(220)에 송신한다. 서버(220)는 수신한 시리얼 번호를 의료 시설의 코드 번호에 대응지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한다. 여기서, 모방품인 전극 유닛(20)의 기억부(23)에, 진정품인 전극 유닛(20)의 확인 정보가 그대로 카피되었을 경우, 서버(220)에는, 예를 들어, 동일한 시리얼 번호가, 다른 의료 시설의 코드 번호에 대응지어져, 복수 등록된다. 서버(220)는 제어부(201)로부터 수신한 시리얼 번호가, 다른 의료 시설의 코드 번호에 대응지어져 등록되어 있는 경우, 2중 등록이 존재하는 것(전극 유닛(20)이 모방품인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제어부(201)에 송신한다. 다른 한편, 서버(220)는 제어부(201)로부터 수신한 시리얼 번호가, 다른 의료 시설의 코드 번호에 대응지어져 등록되지 않은 경우, 2중 등록이 존재하지 않는 것(전극 유닛(20)이 진정품인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제어부(201)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전극 유닛(20)의 진위를 판정한 후, 제어부(201)는 진위의 판정 결과와, 스텝 S204에서 수신한 사용 상황 정보에 기초하는 개시 화면을, 표시 입력부(203)에 표시시킨다(S206). 제어부(201)는 개시 화면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에 따라서, 연하 유도 동작을 개시하거나, 혹은 연하 유도 동작을 중지한다(S207). 이것에 의해, 연하 유도 개시시의 처리가 종료한다.
도 8의 (a), (b) 및 도 9의 (a)는, 스텝 S206에 있어서 표시되는 개시 화면(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전극 유닛(20)의 진위 판정 결과가 참이며,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개시 화면(300)이고, 도 8의 (b)는 전극 유닛(20)의 진위 판정 결과가 참이며,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의 개시 화면(300)이다. 또, 도 9의 (a)는 전극 유닛(20)의 진위 판정 결과가 거짓이며,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개시 화면(300)이다. 여기에서는, 상한 횟수 Nth가 14회로 설정되어 있다.
덧붙여, 도 8의 (a), (b) 및 도 9의 (a)에는, 홀더 유닛(10)에 장착된 2개의 전극 유닛(20)의 한쪽(여기에서는, 좌측의 전극 유닛(20))에 관한 개시 화면(3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개시 화면(300)에 있어서 개시 버튼(340)이 조작되면, 다른 쪽의 전극 유닛(20)(여기에서는, 우측의 전극 유닛(20))에 대한 개시 화면(300)이 표시된다. 이 표시 방법을 대신하여, 2개의 전극 유닛(20)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개시 화면(300)이 구성되어도 된다.
도 8의 (a)을 참조하여, 개시 화면(300)은 영역(310, 320, 330)과, 개시 버튼(340)과, 중지 버튼(350)을 구비하고 있다.
영역(310)에는 전극 유닛(20)의 사용 상황이 표시된다. 영역(310)은 현시점까지의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와 상한 횟수 Nth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311)와, 상한 횟수 Nth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용 횟수(사용 가능 잔여 횟수(312))와, 현시점까지의 전극 유닛(20)의 누적 사용시간(313)과, 전극 유닛(20)의 사용 개시일(314) 및 최종 사용일(315)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 횟수, 누적 사용시간(313), 사용 개시일(314) 및 최종 사용일(315)은, 각각, 도 4의 (a)에 나타낸 사용 정보의 횟수, 누적 사용시간, 개시 일시, 종료 일시로부터 취득된다.
그래프(311)에는, 현재의 사용 횟수(여기에서는 13회)가 문자 정보와 막대 그래프로 나타나고, 상한 횟수 Nth(여기에서는 14회)가 문자 정보와 파선으로 나타난다. 사용자는 그래프(311)를 참조함으로써, 전극 유닛(20)의 현재의 사용 횟수와 상한 횟수 Nth의 관계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사용 가능 잔여 횟수(312)를 참조함으로써, 전극 유닛(20)을 적정하게 사용 가능한 잔여 횟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누적 사용시간(313)을 참조함으로써, 전극 유닛(20)이 사용되기 시작한 다음의 사용시간의 합계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사용 개시일(314) 및 최종 사용일(315)을 참조함으로써, 전극 유닛(20)의 경시적 열화의 가능성이나 품질 담보의 보증 기간의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영역(320)에는, 도 7의 스텝 S205에 있어서 이루어진 전극 유닛(20)의 진위 판정 결과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영역(320)을 참조함으로써, 환자에게 장착된 전극 유닛(20)이 진정품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영역(330)에는, 전극 유닛(20)의 특성 담보의 가부를 시사하는 코멘트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영역(330)에는, 도 7의 스텝 S205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나, 현시점까지의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와 상한 횟수 Nth의 관계 등을 나타내는 코멘트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영역(330)을 참조함으로써, 전극 유닛(20)의 특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개시 버튼(340)은 연하 유도 장치(1)의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버튼이며, 중지 버튼(350)은 연하 유도 장치(1)의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홀더 유닛(10)에 장착된 2개의 전극 유닛(20)의 각 개시 화면(300)에 있어서 개시 버튼(340)이 조작되면, 연하 유도 장치(1)의 동작이 개시되고,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환자의 인두부에 전기 자극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환자에게 연하가 유도된다.
사용자는 영역(310, 320, 330)에 표시된 정보를 파악한 다음, 개시 버튼(340)과 중지 버튼(350)의 어느 쪽인지를 조작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a)의 개시 화면(300)이 표시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전극 유닛(20)의 진위 및 사용 상황의 어느 쪽에도 문제없는 것을 파악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시 버튼(340)을 조작하면 된다.
또, 도 8의 (b)의 개시 화면(300)이 표시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전극 유닛(20)의 진위에는 문제없기는 하지만, 사용 횟수에 문제가 있는 것을 파악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중지 버튼(350)을 조작하고, 해당 전극 유닛(20)을 교환하면 된다. 덧붙여,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과 일치하고 있지만, 누적 사용시간(313)이 짧은 경우 등, 사용자가 전극 유닛(20)의 품질이 담보될 수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사용자는 개시 버튼(340)을 조작해도 된다.
도 9의 (a)의 개시 화면(300)이 표시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전극 유닛(20)이 진정품이 아닌 것을 파악한다. 이 경우, 개시 버튼(340)이 무효화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중지 버튼(350)을 조작한 다음, 진위 판정이 가짜라고 된 전극 유닛(20)을 교환한다. 중지 버튼(350)이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다른 쪽의 전극 유닛(20)의 개시 화면(300)이 표시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다른 쪽의 전극 유닛(20)의 진위 판정 결과 및 사용 횟수를 파악할 수 있고, 적당히, 다른 쪽의 전극 유닛(20)의 교환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것은, 도 8의 (b)의 개시 화면(300)이 표시되었을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도 8의 (b)의 개시 화면(300)에서는,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에 도달해 있어도 개시 버튼(340)이 조작 가능했지만, 도 9의 (b)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에 도달하면 개시 버튼(340)이 조작 불능하게 무효화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전극 유닛(20)의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에 도달해도, 누적 사용시간(313)이 소정의 상한 시간보다 짧은 경우는, 개시 버튼(340)이 유효화되어도 된다.
혹은,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를 초과하고, 또한 그 차분이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개시 버튼(340)이 조작 불능하게 무효화되어도 된다. 이 경우도, 누적 사용시간(313)이 소정의 상한 시간보다 짧은 경우는, 개시 버튼(340)이 유효화되어도 된다.
또, 사용 개시일(314)로부터 경과시간이 소정의 상한 시간(예를 들어, 전극 유닛(20)의 품질 보증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나, 최종 사용일(315)로부터 경과시간이 소정의 상한 시간(예를 들어, 전극 유닛(20)의 품질 보증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취지를 주의 환기시키기 위한 메시지가, 영역(330)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 경우에, 개시 버튼(340)이 무효화되어도 된다.
도 10은 도 4의 (a)에 나타낸 사용 정보의 갱신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의 (a), (b)에 나타낸 각 전극 유닛(20)의 개시 화면(300)에 있어서, 사용자가 개시 버튼(340)을 조작하면,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는 홀더 유닛(10)의 제어부(111)에 개시 통지를 송신한다. 이것에 따라서, 제어부(111)는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에, 개시 통지를 송신한다.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는 개시 통지를 수신하면(S111:YES), 현재의 사용 정보에 있어서의 사용 횟수를 1 카운트업한 사용 횟수의 행을 사용 정보의 테이블에 추가하고(S112), 이 행의 개시 일시의 란에 현재의 일시를 기억시킨다(S113). 그 후, 제어부(121)는 홀더 유닛(10)의 제어부(111)로부터 종료 통지가 송신되는 것을 대기한다(S114).
연하 유도 장치(1)의 동작이 개시하면, 제어 유닛(3)의 표시 입력부(203)에 표시되는 화면이, 동작 화면으로 전환된다. 이 동작 화면에는, 동작시간 등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영역과,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동작 화면 중의 종료 버튼을 조작하면,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로부터 홀더 유닛(10)의 제어부(111)에 종료 통지가 송신된다. 이것에 따라서, 제어부(111)는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에, 종료 통지를 송신한다. 덧붙여, 연하 유도 동작의 개시시부터 소정 시간(디폴트 시간,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의해, 연하 유도 동작이 자동으로 종료해도 된다. 이 경우, 연하 유도 동작의 종료에 따라서, 종료 통지가 제어 유닛(3)으로부터 홀더 유닛(10)의 제어부(111)에 송신되고, 이것에 따라서, 제어부(111)로부터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에 종료 통지가 송신된다.
제어부(121)는 종료 통지를 수신하면(S114:YES), 상기 행의 종료 일시의 란에 현재의 일시를 기억시킨다(S115). 또한, 제어부(121)는 이 행의 개시 일시와 종료 일시의 시간차를 해당 행의 사용시간의 란에 기억시키고(S116), 이 시간차를 직전의 누적 사용시간에 가산한 시간을 이 행의 누적 사용시간의 란에 기억시킨다(S117). 이것에 의해, 전극 유닛(20)에 있어서의 사용 정보의 갱신 처리가 종료된다.
덧붙여, 도 10의 처리는 홀더 유닛(10)에 장착된 2개의 전극 유닛(20)의 각각에 있어서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전극 유닛(20)의 기억부(23)에 유지된 사용 정보가, 각각 갱신된다.
또, 도 6 및 도 7의 처리에 의해 제어 유닛(3)에 축적된 데이터가, 도 5의 제2 무선 통신부(205)를 통해서 제어 유닛(3)으로부터 서버(220)로 송신되고, 서버(220)에 있어서 관리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1의 효과>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전극 유닛(20)의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사용 횟수)가 전극 유닛(20)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상한 횟수 Nth)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전극 유닛(2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개시 화면(300)의 표시)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전극 유닛(20)의 점착 부재(21)에 경시적인 열화가 생겼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전극 유닛(20)의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연하 유도 동작(의료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사용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23)가, 전극 유닛(20)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극 유닛(20)이 상이한 제어 유닛(3)에 조합된 경우도, 사용 정보를 전극 유닛(20)에 있어서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3)에 있어서, 전극 유닛(2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를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사용 정보(사용 횟수)가 설정 조건(상한 횟수 Nth)을 충족하는지 여부가 전극 유닛(20)측에 있어서 판정되고, 그 판정 결과가 제어 유닛(3)에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유닛(3)에 있어서의 처리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덧붙여, 사용 정보(사용 횟수)가 설정 조건(상한 횟수 Nth)을 충족하는지 여부의 판정이, 제어 유닛(3)측에 있어서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 전극 유닛(20)은 기억부(23)로부터 사용 정보를 읽어내어 제어 유닛(3)에 송신하는 것 만으로 된다.
전극 유닛(20)의 기억부(23)에는, 또한, 전극 유닛(20)이 진정품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가 더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3)은 확인 정보에 의해 전극 유닛(20)이 진정품인 것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것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개시 화면(300)에 있어서의 개시 버튼(340)의 무효화)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전극 유닛(20)의 조악한 모방품이 사용되는 것이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연하 유도 동작의 적정성을 보다 확실히 담보할 수 있다.
도 9의 (b)에 나타낸 개시 화면(300)에서는, 사용 정보(사용 횟수)가 설정 조건(상한 횟수 Nth)을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개시 버튼(340)을 무효화시켜, 연하 유도 동작이 중지된다. 즉, 전극 유닛(20)에 경시적인 열화가 생겼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연하 유도 동작 자체가 중지된다. 따라서, 열화가 생긴 전극 유닛(20)에 의해 연하 유도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연하 유도 동작의 적정성을 확실히 담보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제어 유닛(3)은 사용 정보(사용 횟수)가 설정 조건(상한 횟수 Nth)을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의 사용을 제지하기 위한 알림 정보(영역(330)의 메시지)를 표시 입력부(203)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의사 등의 사용자는, 알림 정보(영역(330)의 메시지)를 참조함으로써, 열화된 전극 유닛(20)의 사용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연하 유도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8의 (a)~도 9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제어 유닛(3)은 사용 정보(사용 횟수)와 설정 조건(상한 횟수 Nth)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그래프(311), 사용 가능 잔여 횟수(312), 영역(330)의 메시지)를 표시 입력부(203)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의사 등의 사용자는, 표시 입력부(203)에 표시된 이들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전극 유닛(20)의 경시적인 열화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적당히, 전극 유닛(20)을 교환하는 등의 대응을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하 유도 동작을 보다 적정하게 진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1의 (a)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호흡 검출 장치(4)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의 (b)는 호흡 검출 장치(4)를 환자에게 장착하기 위한 조끼(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환자의 호흡을 검출하기 위한 호흡 검출 장치(4)가, 연하 유도 장치(1)에 더 포함되어 있다. 연하 유도 장치(1)는 호흡 검출 장치(4)에 의해 검출된 환자의 호흡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에 의한 전기 자극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호식 기간에 전기 자극의 전기간이 포함되도록, 전극 유닛(20)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오연이 생기지 않는 적정한 타이밍에 환자에게 연하가 유도되어, 환자에 있어서의 오연의 증상이 개선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전극 유닛(20) 외, 호흡 검출 유닛(40)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장착 유닛」에 대응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2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했을 경우의 하나의 구성예로서,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것처럼, 호흡 검출 장치(4)는 본체 유닛(30)과, 호흡 검출 유닛(40)을 구비한다.
본체 유닛(30)은 조끼(5)의 포켓(52)에 수납되는 형상을 가진다. 본체 유닛(30)의 형상은, 모서리가 둥글게 된 직육면체의 형상이다. 본체 유닛(30)에, 전지 등의 전원과, 호흡 검출 유닛(4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다. 본체 유닛(30)의 표면에 전원 버튼(31)이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 유닛(30)으로부터 케이블(32b)이 인출되고, 그 케이블(32b)의 선단에 커넥터(32a)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32b)은 본체 유닛(30)에 수납된 회로 기판에 연결되어 있다. 도 11의 (a)의 일점 쇄선의 화살표와 같이, 커넥터(32a)에 호흡 검출 유닛(40)의 단자(43)가 삽입된다.
커넥터(32a)에는 삽입된 단자(43)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32a)의 외측면에, 고정과 해제를 전환하기 위한 레버(32c)가 마련된다. 레버(32c)를 커넥터(32a)의 외측면으로부터 세움으로써, 커넥터(32a)에 대한 단자(43)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단자(43)를 커넥터(32a)에 삽입하고, 그 후, 레버(32c)를 커넥터(32a)의 외측면으로 눕힘으로써, 단자(43)가 커넥터(32a)에 고정된다.
호흡 검출 유닛(40)은 호흡에 따른 환자의 동체의 확대 및 축소를 검출하기 위한 띠 모양의 신축 센서(41)를 구비한다. 신축 센서(41)는, 예를 들어, 신축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구성이다. 신축 센서(41)는, 예를 들어, 고무 소재로 구성된다.
신축 센서(41)의 한쪽의 단부에 파지부(42)가 장착되고, 이 파지부(42)로부터 단자(43)가 돌출되어 있다. 파지부(42)에는 회로 기판이 내장되고, 이 회로 기판에 단자(43)가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은 신축 센서(41)에도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회로 기판에는, 예를 들어, EEPROM로 이루어지는 기억부(44)가 탑재되어 있다. 후술과 같이, 기억부(44)에는 신축 센서(41)의 경시적인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 및 신축 센서(41)가 진정품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 등이 기억된다.
또한, 신축 센서(41)의 양단에 각각 폭이 넓은 베이스부(45)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베이스부(45)의 이면에, 면파스너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5a)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45a)는 조끼(5)의 장착 영역(53)에 호흡 검출 유닛(40)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부(45a)는 면파스너의 한쪽측을 구성하고, 장착 영역(53)에 면파스너의 다른 쪽측이 마련된다. 이 외, 신축성이 있는 천에 신축 센서(41)가 접착되고, 이 천이 조끼(5)의 장착 영역(53)에 면파스너 등에 의해 장착되어도 된다.
도 11의 (b)에 나타내는 것처럼, 조끼(5)는 환자의 상반신에 착의 가능한 쟈켓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조끼(5)는 신축 가능한 소재로 구성된다. 조끼(5)의 한쪽의 측부는,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측부에 벨트(51)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51)의 단부 이면에, 면파스너로 이루어지는 고정부(51a)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51a)가 겹치는 조끼(5)의 표면에도 면파스너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51)의 단부를 조끼(5)의 표면에 겹쳐짐으로써, 고정부(51a)가 조끼(5)에 가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조끼(5)의 측부가 닫힌다.
조끼(5)의 흉부 부근에 포켓(52)이 마련되어 있다. 포켓(52)의 바닥부에는, 커넥터(32a) 및 케이블(32b)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끼(5)의 복부 부근에 장착 영역(5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 영역(53)에는 면파스너가 마련되어 있다.
도 12는 호흡 검출 장치(4)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체 유닛(30) 및 호흡 검출 유닛(40)은, 각각, 회로 기판(410, 420)을 구비한다. 상술한 것처럼, 회로 기판(410)은 본체 유닛(30)에 내장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420)은 호흡 검출 유닛(40)의 파지부(42)에 내장되어 있다. 이들 회로 기판(410, 420)은 커넥터(32a)에 단자(43)가 접속됨으로써, 서로 접속된다.
본체 유닛(30)의 회로 기판(410)에는 제어부(411)와, 기억부(412)와, 검출부(413)와, 무선 통신부(414)와, 전원(415)이 실장되어 있다. 이 외, 도 11에 나타낸 전원 버튼(31)도, 회로 기판(410)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41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기억부(4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부를 제어한다. 기억부(412)는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 기억부(412)는 제어부(411)가 각부를 제어할 때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검출부(413)는 신축 센서(41)의 양단에 전압을 부여함과 아울러, 신축 센서(41)의 신축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411)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414)는 제어부(41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제어 유닛(3)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전원(415)은 전지를 구비하고, 회로 기판(410, 420)의 각 회로부에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전원 전압은 도 11의 케이블(32b)을 통해서 호흡 검출 유닛(40)측의 회로 기판(420)에 공급된다.
호흡 검출 유닛(40)의 회로 기판(420)에는, 제어부(421)와 기억부(44)가 실장되어 있다. 제어부(42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기억부(44)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부를 제어한다. 제어부(421)는 현재의 일시를 계시하는 시계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억부(44)는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 기억부(44)는 제어부(421)가 각부를 제어할 때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기억부(44)는 데이터를 기입 소거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EEPROM)를 포함하고 있다. 기억부(44)는 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호흡 검출 유닛(40)의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를 기억한다. 또, 기억부(44)는 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있어서의 사용 정보의 기입 에어리어 이외의 소정의 에어리어에, 호흡 검출 유닛(40)이 진정품인 것, 즉, 적정한 제조원에 의해 제조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를 기억한다. 사용 정보 및 확인 정보의 구성은, 각각, 도 4의 (a), (b)와 같다.
도 13은 전기 자극 장치(2)와 호흡 검출 장치(4)가 환자에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끼(5)가 환자에게 장착되고, 조끼(5)의 측부가 벨트(51)로 닫힌다. 이 때, 환자의 가슴 부근을 약간 단단히 조여지도록, 벨트(51)가 조끼(5)에 겹쳐진다. 다음에, 본체 유닛(30)이 포켓(52)에 수납되고, 커넥터(32a)에 호흡 검출 유닛(40)의 단자(43)가 접속된다. 그 후, 환자가 숨을 내쉬고 멈춘 상태에서, 호흡 검출 유닛(40)이 조끼(5)의 장착 영역(53)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호흡 검출 장치(4)가 환자에게 장착된다. 그 후, 상기 실시 형태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전기 자극 장치(2)가 환자에게 장착된다. 이렇게 하여, 환자에 대한 전기 자극 장치(2) 및 호흡 검출 장치(4)의 장착이 완료된다. 도 13의 상태에 있어서, 환자가 호흡을 하면, 환자의 동체의 확대 및 축소에 따라서, 신축 센서(41)가 신축된다. 이것에 의해, 호흡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의사 등의 사용자는, 홀더 유닛(10)의 전원 버튼(11)을 조작하고, 본체 유닛(30)의 전원 버튼(31)을 조작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어 유닛(3)에 인스톨된 연하 유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도 5의 프로그램(202a))을 기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어 유닛(3)과, 전기 자극 장치(2) 및 호흡 검출 장치(4)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로가 확립된다.
그 후,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와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에 있어서, 각각, 도 6 및 도 7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제어 유닛(3)의 표시 입력부(203)에, 도 8의 (a)~도 9의 (a)에 나타낸 개시 화면(300)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개시 화면(300)을 참조하여, 전극 유닛(20)의 특성이 담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개시 버튼(340) 또는 중지 버튼(350)을 조작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호흡 검출 유닛(40)의 제어부(421)와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에 있어서, 각각, 도 6 및 도 7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도 6의 스텝 S105에 있어서의 상한 횟수 Nth가, 신축 센서(41)의 특성을 담보 가능하다고 상정될 수 있는 횟수로 설정된다. 신축 센서(41)는 신축이 반복됨으로써 열화된다. 이 열화를 상정하여, 상한 횟수 Nth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1회의 연하 유도 동작이 30분 정도 행해지는 경우, 상한 횟수 Nth는 100회 정도로 설정된다.
호흡 검출 유닛(40)에 대해서, 도 6 및 도 7과 같은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어 유닛(3)의 표시 입력부(203)에, 도 8의 (a)~도 9의 (a)에 나타낸 개시 화면(300)과 같은 개시 화면이 표시된다. 이 개시 화면은, 예를 들어, 전극 유닛(20)에 관해서 표시된 개시 화면(300)에 있어서, 개시 버튼(340)이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표시된다. 이 개시 화면에는, 호흡 검출 유닛(40)에 관한 사용 상황, 진위 판정 결과 및 특성 담보의 가부를 시사하는 코멘트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영역(영역(310, 320, 330)과 같은 영역)이 포함되고, 또한 개시 버튼(340)과 중지 버튼(350)에 각각 대응하는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개시 화면을 참조하여, 호흡 검출 유닛(40)의 특성이 담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개시 버튼 또는 중지 버튼을 조작한다. 전극 유닛(20)에 관해서 표시된 개시 화면(300)에 있어서 개시 버튼(340)이 조작되고, 또한 호흡 검출 유닛(40)에 관해서 표시된 개시 화면에 있어서 개시 버튼이 조작됨으로써, 연하 유도 동작이 개시된다.
이 경우,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는, 호흡 검출 유닛(40)으로부터 수신하는 신축 센서(41)의 신축에 따른 신호에 기초하여, 환자의 호흡을 검출하고, 호흡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기 자극 장치(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1)는 환자의 호식 기간에 전기 자극의 기간이 모두 포함되도록, 전기 자극 장치(2)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적절한 타이밍으로, 연하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연하 유도 동작이 개시되면,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처리가 행해지고, 또한, 호흡 검출 유닛(40)의 제어부(421)에 있어서 도 10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전극 유닛(20)의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 정보가 갱신되고, 또, 호흡 검출 유닛(40)의 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 정보가 갱신된다.
<실시 형태 2의 효과>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호흡 검출 유닛(40)의 사용 정보(사용 횟수)가 설정 조건(상한 횟수 Nth)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즉, 신축 센서(41)에 경시적인 열화가 생겼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호흡 검출 유닛(4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개시 화면(300)과 같은 개시 화면의 표시)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연하 유도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은 환자의 연하 동작을 감시하는 연하 감시 장치(6) 및 해당 연하 감시 장치(6)를 이용하여 환자의 오연의 리스크를 진단하기 위한 연하 진단 장치(7)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연하 감시 장치(6) 또는 연하 진단 장치(7)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연하 의료 장치」에 대응하고,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장착 유닛」에 대응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3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했을 경우의 하나의 구성예로서,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연하 감시 장치(6)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것처럼, 연하 감시 장치(6)는, 도 1과 대략 같은 구성의 홀더 유닛(10)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실시 형태 3에서는, 도 1의 누름 부재(13)가 홀더 유닛(10)으로부터 생략되고, 대신에, 누름 부재(16)가 홀더 유닛(10)에 포함되어 있다. 또, 2개의 단부(10b) 중 한쪽으로부터만 케이블(17b)이 인출되고, 이 케이블(17b)의 선단에 커넥터(17a)가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17a)의 구성은, 도 1의 커넥터(15a)와 같다. 레버(17c)를 조작함으로써, 변위 검출 유닛(60)의 단자(63)를 커넥터(17a)에 착탈할 수 있다.
누름 부재(16)는 홀더 유닛(10)이 환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변위 검출 유닛(60)의 변위 센서(61)를 환자의 후두부에 눌러 붙이기 위한 것이다. 누름 부재(16)는, 예를 들어, 신축성이 있는 천에 의해 주머니 모양으로 구성되고, 이 주머니의 내부에 마이크로 비즈 등의 완충 부재(16a)가 내포되어 있다. 또, 누름 부재(16)의 좌우의 돌기부의 표면에, 면파스너의 한쪽측을 구성하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는 벨트(14)의 이면에 마련된 다른 쪽의 면파스너로 이루어지는 고정부(14a)와 접합된다.
변위 검출 유닛(60)은 띠 모양의 변위 센서(61)와, 파지부(62)와, 단자(63)와, 기억부(64)를 구비한다. 변위 센서(61)는, 예를 들어, 필름 모양의 압전 센서(PVDF 고분자 압전체)이다. 변위 센서(61)는 변위에 따른 전압을 출력한다.
변위 센서(61)의 한쪽의 단부에 파지부(62)가 장착되고, 이 파지부(62)로부터 단자(63)가 돌출되어 있다. 파지부(62)에는 회로 기판이 내장되고, 이 회로 기판에 단자(63)가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은 변위 센서(61)에도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회로 기판에는, 예를 들어, EEPROM로 이루어지는 기억부(64)가 탑재되어 있다. 후술과 같이, 기억부(64)에는 변위 센서(61)의 경시적인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 및 변위 센서(61)가 진정품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 등이 기억된다.
도 15는 연하 감시 장치(6)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홀더 유닛(1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은, 각각, 회로 기판(130, 600)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 형태 1과 같이, 회로 기판(130)은 홀더 유닛(10)의 전원 버튼(11) 및 긴급 정지 버튼(12)의 내측에 내장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600)은 변위 검출 유닛(60)의 파지부(62)에 내장되어 있다. 이들 회로 기판(130, 600)은 커넥터(17a)에 단자(63)가 접속됨으로써, 서로 접속된다.
홀더 유닛(10)의 회로 기판(130)에는, 제어부(131)와, 기억부(132)와, 검출부(133)와, 무선 통신부(134)와, 전원(135)이 실장되어 있다. 이 외, 도 15에 나타낸 전원 버튼(11) 및 긴급 정지 버튼(12)도, 회로 기판(130)에 설치되어 있다. 긴급 정지 버튼(12) 이외의 각부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나타낸 도 12의 회로 기판(410)에 설치된 각부의 구성과 같다. 검출부(133)는 변위 센서(61)에 전압을 부여함과 아울러, 변위 센서(61)의 변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131)에 출력한다.
변위 검출 유닛(60)의 회로 기판(600)에는, 제어부(601)와 기억부(64)가 실장되어 있다. 제어부(601)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기억부(64)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부를 제어한다. 제어부(601)는 현재의 일시를 계시하는 시계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억부(64)는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 기억부(64)는 제어부(601)가 각부를 제어할 때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기억부(64)는 데이터를 기입 소거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EEPROM)를 포함하고 있다. 기억부(64)는 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변위 검출 유닛(60)의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를 기억한다. 또, 기억부(64)는 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있어서의 사용 정보의 기입 에어리어 이외의 소정의 에어리어에, 변위 검출 유닛(60)이 진정품인 것, 즉, 적정한 제조원에 의해 제조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를 기억한다. 사용 정보 및 확인 정보의 구성은, 각각, 도 4의 (a), (b)와 같다.
도 16은 호흡 검출 장치(4)와 연하 감시 장치(6)가 환자에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호흡 검출 장치(4)는 상기 실시 형태 2와 같은 구성이다. 호흡 검출 장치(4)는 상기 실시 형태 2와 같은 방법으로, 환자에게 장착된다. 그 후, 연하 감시 장치(6)가 환자에게 장착된다. 우선, 변위 검출 유닛(60)이 홀더 유닛(10)에 접속된다. 다음에, 홀더 유닛(10)이 환자의 목에 둘려진다. 그리고, 변위 센서(61)가 환자의 후두부에 겹쳐지고, 또한 변위 센서(61)의 표면에 누름 부재(16)가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2개의 벨트(14)가 겹쳐지고, 누름 부재(16)가 벨트(14)로 눌린다. 이것에 의해, 변위 센서(61)가 환자의 후두부에 장착된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제어 유닛(3)의 기억부(202)에, 환자의 연하를 감시하여 오연의 리스크를 진단하기 위한 프로그램(202a)이 인스톨되어 있다.
의사 등의 사용자는 홀더 유닛(10)의 전원 버튼(11)을 조작하고, 본체 유닛(30)의 전원 버튼(31)을 조작한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 유닛(3)에 인스톨된 연하 진단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프로그램(202a))을 기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어 유닛(3)과, 호흡 검출 장치(4) 및 연하 감시 장치(6)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로가 확립된다.
그 후, 상기 실시 형태 2와 같이, 호흡 검출 유닛(40)의 제어부(421)와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에 있어서, 각각, 도 6 및 도 7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제어 유닛(3)의 표시 입력부(203)에, 도 8의 (a)~도 9의 (a)에 나타낸 개시 화면(300)과 같은 개시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개시 화면을 참조하여, 호흡 검출 유닛(40)의 특성이 담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개시 버튼 또는 중지 버튼을 조작한다.
또한, 실시 형태 3에서는, 변위 검출 유닛(60)의 제어부(601)와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에 있어서, 각각, 도 6 및 도 7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도 6의 스텝 S105에 있어서의 상한 횟수 Nth가, 변위 센서(61)의 특성을 담보 가능하다고 상정될 수 있는 횟수로 설정된다. 변위 센서(61)는 변위가 반복됨으로써 열화된다. 이 열화를 상정하여, 상한 횟수 Nth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1회의 연하 유도 동작이 30분 정도 행해지는 경우, 상한 횟수 Nth는 100회 정도로 설정된다.
변위 검출 유닛(60)에 대해서, 도 6 및 도 7과 같은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어 유닛(3)의 표시 입력부(203)에, 도 8의 (a)~도 9의 (a)에 나타낸 개시 화면(300)과 같은 개시 화면이 표시된다. 이 개시 화면은, 예를 들어, 호흡 검출 유닛(40)에 관해서 표시된 개시 화면에 있어서, 개시 버튼이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표시된다. 이 개시 화면에는, 변위 검출 유닛(60)에 관한 사용 상황, 진위 판정 결과 및 특성 담보의 가부를 시사하는 코멘트를 각각 표시하기 위한 영역(영역(310, 320, 330)과 같은 영역)이 포함되고, 또한 개시 버튼(340)과 중지 버튼(350)에 각각 대응하는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개시 화면을 참조하여, 호흡 검출 유닛(40)의 특성이 담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개시 버튼 또는 중지 버튼을 조작한다. 호흡 검출 유닛(40)에 관해서 표시된 개시 화면에 있어서 개시 버튼이 조작되고, 또한 변위 검출 유닛(60)에 관해서 표시된 개시 화면에 있어서 개시 버튼이 조작됨으로써, 연하 진단 동작이 개시된다.
이 경우, 제어 유닛(3)의 제어부(201)는, 호흡 검출 유닛(40)으로부터 수신하는 신축 센서(41)의 신축에 따른 신호에 기초하여, 환자의 호흡을 검출하고, 또, 변위 검출 유닛(60)으로부터 수신하는 변위 센서(61)의 변위에 따른 신호에 기초하여, 환자의 연하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검출한 연하의 타이밍이 호흡에 대해서 적정한지 여부에 의해, 환자의 오연의 리스크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1)는 연하의 전후가 호식 기간인 경우에, 연하가 적정이라고 판정하고, 연하의 전후 중 어느 한쪽이 흡식 기간인 경우에, 연하가 부적정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01)는 연하마다 연하의 적부의 판정 결과를, 오연의 리스크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표시 입력부(203)에 표시시킨다.
이렇게 하여, 연하 감시 동작 및 연하 진단 동작이 개시되면, 상기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호흡 검출 유닛(40)의 제어부(421)에 있어서 도 10과 같은 처리가 행해지고, 또한 변위 검출 유닛(60)의 제어부(601)에 있어서 도 10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호흡 검출 유닛(40)의 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 정보가 갱신되고, 또 변위 검출 유닛(60)의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 정보가 갱신된다.
덧붙여, 제어 유닛(3)이 환자의 자택에서 이용되어 연하 감시 동작 및 연하 진단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 이들 동작의 결과가, 일자와 함께 제어 유닛(3)의 기억부(202)에 기억된다. 환자는 후일, 의료 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때, 제어 유닛(3)을 의사 등의 진료 관계자에게 지참하여, 자택에서 행해진 연하 감시 동작 및 연하 진단 동작의 결과를 의사에게 제시한다. 이것에 의해, 의사는 환자에 대한 진료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의사는 적절히, 제어 유닛(3) 내의 연하 진단 결과에 관한 정보를, 의료 기관의 단말 등으로 이동시킨다.
혹은, 제어 유닛(3)에 축적된 연하 진단 결과에 관한 정보가, 도 5의 제2 무선 통신부(205)를 통해서 서버(220)에 송신되어, 서버(220)에서 관리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유닛(3)은 환자의 ID 정보 및 진단 일시와 함께 진단 결과에 관한 정보를 서버(220)에 송신한다. 서버(220)는 환자의 ID 정보에 대응지어, 진단 일시와 진단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억한다.
<실시 형태 3의 효과>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호흡 검출 유닛(40)의 특성이 담보될 수 없는 경우에, 호흡 검출 유닛(40)의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연하 감시 동작 및 연하 진단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3에서는, 변위 검출 유닛(60)의 사용 정보(사용 횟수)가 설정 조건(상한 횟수 Nth)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즉, 변위 센서(61)에 경시적인 열화가 생겼다고 상정되는 경우에, 변위 검출 유닛(6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개시 화면(300)과 같은 개시 화면의 표시)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연하 감시 동작 및 연하 진단 동작의 적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도 상기 이외에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1~3에서는, 사용 정보 중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특성이 담보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었지만, 이것과 함께, 혹은, 이것을 대신하여,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특성이 담보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누적 사용시간이 미리 설정된 상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서,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특성이 담보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도 되고, 혹은 사용 개시시부터의 경과시간이나 최종 사용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상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서,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특성이 담보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도 된다. 또, 제조 년월일이나 출하일이 관리되고 있는 경우는, 이들 일부터의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상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의해서,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특성이 담보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3에서는, 확인 정보 및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도 8의 (a)~도 9의 (b)의 개시 화면(300)이 표시되었지만, 개시 화면(30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그래프(311)가 꺾인 선 그래프나 원 그래프 등의 다른 형식의 그래프여도 되고, 또, 상한 횟수 Nth에 대한 사용 횟수의 초과수가 영역(310)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 사용 횟수가 상한 횟수 Nth에 도달했을 경우에, 주의 환기를 위해서, 그래프(311)나 영역(330)의 배경색이나 테두리선 등이 강조 표시되어도 되고, 혹은 사용 가능 잔여 횟수(312)가 적색 등의 문자로 강조 표시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진위 판정 결과가 거짓인 경우에, 주의 환기를 위해서, 영역(320)의 배경색이나 테두리선 등이 강조 표시되어도 된다. 또, 도 8의 (a)~도 9의 (b)에 나타낸 개시 화면(300)으로부터 영역(310)이 생략되어도 되고, 혹은 이 개시 화면(300)으로부터 영역(330)이 생략되어도 된다. 또, 진위 판정 결과가 거짓인 경우에, 개시 버튼(340)이 무효화되지 않아도 되고, 그 취지가 영역(330)에 표시될 뿐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3에서는,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이 환자에게 장착된 후에, 도 6 및 도 7의 처리가 실행되는 흐름이었지만,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이 환자에게 장착되기 전에,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과 제어 유닛(3)을 동작시켜, 도 6 및 도 7의 처리가 실행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3에서는, 각 장치의 동작 개시시에 도 6 및 도 7의 처리가 실행되어,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적부가 판정되었지만, 또한, 장치의 동작 중에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적부가 마찬가지로 판정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3에서는, 도 7의 스텝 S205에 있어서의 진위 판정에 있어서, 제어 유닛(3)이 서버(220)에 시리얼 번호의 2중 등록의 유무를 문의했지만, 이 문의가 생략되고, 암호키를 이용한 시리얼 번호의 복호의 가부 및 복호된 시리얼 번호의 자리수의 적부만에 따라서,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진위가 판정되어도 된다.
또,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 1~3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환자의 인두부에 적절히 전기 자극을 부여할 수 있고, 또 환자의 호흡 및 후두부의 변위를 적절히 검출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극 유닛(20)의 길이가 단축되어도 된다. 이 변경예에서는, 전극 유닛(20)의 코스트를 삭감시킬 수 있다. 또, 호흡 검출 유닛(40)이 코캐뉼라(cannula)에 의해서 환자의 호흡압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은 직접 손으로 만질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유닛의 회로 기판에, 제어부(121, 421, 601) 및 기억부(23, 44, 64)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전기 보호 회로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어부(121, 421, 601) 및 기억부(23, 44, 64)의 신호 라인과 그라운드 라인 또는 쉴드 라인의 사이에, 정전기를 흡수하기 위한 배리스터 등의 정전기 흡수 소자가 개재되어 삽입된다. 적어도 제어부(121, 421, 601)에 정전기 보호 회로가 마련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사용 정보(사용 횟수)가 설정 조건(상한 횟수 Nth)을 충족하는지 여부의 판정이 전극 유닛(20)에 있어서 행해졌지만, 상기와 같이, 이 판정이, 제어 유닛(3)측에 있어서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 도 6의 순서도로부터 스텝 S104~S107가 생략되고, 스텝 S103에 있어서, 확인 정보와 함께 사용 정보가, 전극 유닛(20)으로부터 제어 유닛(3)으로 송신된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것처럼, 도 7의 순서도에 대해서 스텝 S210이 추가되어, 전극 유닛(2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전극 유닛(20)의 사용 상황의 적부가, 제어 유닛(3)측에서 행해진다. 전극 유닛(20)의 사용 상황의 적부의 판정 방법은, 도 6의 스텝 S104, S105와 같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8 및 도 9의 개시 화면(300)이 제어 유닛(3)에 표시되었지만, 환자의 휴대 전화기에 의해서 연하의 유도가 제어되는 경우는, 개시 화면(300)이 환자의 휴대 전화기에 표시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에 부여된 시계 기능에 의해, 도 4의 (a)의 개시 일시 및 종료 일시가 취득되었지만, 동작의 개시시 및 종료시에, 제어 유닛(3)측으로부터 전극 유닛(20)에 타임 스탬프의 정보를 송신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도 4의 (a)의 개시 일시 및 종료 일시가 취득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6의 처리를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가 행했지만, 이 처리를, 홀더 유닛(10)의 제어부(111)가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111)는 스텝 S101에 있어서 전원 버튼(11)이 온 되면, 전극 유닛(20)의 제어부(121)와 통신을 행하고, 기억부(23)로부터 확인 정보와 사용 정보를 취득한다. 그 후, 제어부(121)는 스텝 S102에 있어서 제어 유닛(3)으로부터 정보 송신 요구가 송신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하면, 전극 유닛(20)으로부터 취득한 확인 정보 및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스텝 S103~S107의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도, 제어부(121)는 사용 정보에 기초하는 사용 상황의 적부 판정을 행하는 일 없이, 확인 정보 및 사용 정보의 송신만을 행하고, 사용 상황 적부의 판정은, 제어 유닛(3)측에서 행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3에서는, 변위 센서(61)에 의해서 후두부의 변위를 검출함으로써 연하가 검출되었지만, 마이크로 연하음을 검출함으로써 연하가 검출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홀더 유닛(10)의 내부나 표면에 마이크가 설치되고, 마이크가 홀더 유닛(10) 내부의 회로 기판(130)에 접속되면 된다. 덧붙여, 이와 같이 마이크가 이용되는 경우, 변위 검출 유닛(60)은 생략되어도 된다. 또, 마이크가 이용되는 경우, 호흡 검출 유닛(40)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환자의 무호흡이 검출된 기간에 있어서, 마이크에 의해서 연하 검출을 위한 임계값 이상의 소리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연하가 생겼던 것이 검출되어도 된다. 변위 검출 유닛(60)과 마이크의 양쪽이 마련되는 경우, 예를 들어, 양자에 있어서 연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환자에게 연하가 생겼다고 판정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3의 구성에, 전극 유닛(20)이 조합되어, 연하 유도 동작이 가능해도 된다. 또, 연하 유도 장치(1) 및 연하 진단 장치(7) 이외의 연하 의료 장치에 발명이 적용되어도 된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 1~3에서는, 사용 정보가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에 있어서 관리되었지만,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이 조합되는 제어 유닛(3)이 고유하게 정해져 있는 경우는, 사용 정보가 제어 유닛(3)에서 관리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유닛(3)은, 예를 들어,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으로부터 시리얼 번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시리얼 번호에 대응지어 각 유닛의 사용 정보를 관리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전극 유닛(2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이 조합되는 홀더 유닛(10)이 고유하게 정해져 있는 경우는, 사용 정보가 홀더 유닛(10)에서 관리되어도 된다.
또,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의 사용 정보가 서버(220)에서 일원 관리되어도 된다. 서버(220)는, 예를 들어, 장치의 사용 개시시 및 사용 종료시에, 제어 유닛(3)을 통해서, 전극 유닛(20), 호흡 검출 유닛(40) 및 변위 검출 유닛(60)으로부터 시리얼 번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시리얼 번호에 대응지어 각 유닛의 사용 정보를 관리하면 된다.
또, 사용 정보 및 확인 정보는, 도 4의 (a), (b)에 나타낸 항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 항목의 일부가 삭제되거나, 혹은, 이들 항목에 다른 항목이 추가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확인 정보로부터 암호키가 생략되어도 되고, 암호키를 대신하여, 제조자 코드 등이 추가되어도 된다.
이 외,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당히,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 연하 유도 장치(연하 의료 장치)
2 … 전기 자극 장치(연하 의료 장치)
3 … 제어 유닛
4 … 호흡 검출 장치(연하 의료 장치)
6 … 연하 감시 장치(연하 의료 장치)
20 … 전극 유닛
21 … 점착 부재
23 … 기억부
24 … 전극
40 … 호흡 검출 유닛
41 … 신축 센서
44 … 기억부
60 … 변위 검출 유닛
61 … 변위 센서
300 … 개시 화면(알림 정보)
311 … 그래프
312 … 사용 잔여 횟수
320, 330 … 영역

Claims (20)

  1.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을 실행하는 연하 의료 장치로서,
    상기 의료 동작을 위해서 인체의 대상 부위에 장착되는 장착 유닛과,
    상기 의료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장착 유닛의 경시적인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장착 유닛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상기 사용 정보가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은 교환 가능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장착 유닛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은 상기 사용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함과 아울러, 그 판정 결과를 상기 제어 유닛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장착 유닛이 진정품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정보를 더 기억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확인 정보에 의해 상기 장착 유닛이 진정품인 것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동작은 환자에게 연하를 유도하기 위한 연하 유도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으로서, 연하를 촉진시키는 자극을 부여하기 위해서 인두부에 장착되는 전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유닛은
    상기 자극을 부여하기 위한 전극과,
    상기 전극을 상기 대상 부위에 밀착시키는 도전성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으로서, 호흡을 검출하기 위해서 동체(胴體)에 장착되는 호흡 검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호흡 검출 유닛은 호흡에 따른 상기 동체의 확대 및 축소를 검출하기 위한 신축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동작은 환자의 연하를 감시하기 위한 연하 감시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으로서, 후두부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후두부에 장착되는 변위 검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 검출 유닛은 상기 후두부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으로서, 호흡을 검출하기 위해서 동체에 장착되는 호흡 검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호흡 검출 유닛은 호흡에 따른 상기 동체의 확대 및 축소를 검출하기 위한 신축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장착 유닛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오연의 리스크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 정보가 상기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지하기 위한 알림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설정 조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 의료 장치.
  15.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을 위해서 대상 부위에 장착되는 교환 가능한 장착 유닛으로서,
    해당 장착 유닛의 경시적인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를, 해당 장착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의료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유닛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유닛.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장착 유닛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상기 사용 정보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함과 아울러, 그 판정 결과를, 상기 사용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로서, 상기 제어 유닛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유닛.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해당 장착 유닛은
    연하를 촉진시키는 자극을 부여하기 위해서 인두부에 장착되는 전극 유닛이고,
    상기 자극을 부여하기 위한 전극과,
    상기 전극에 겹쳐서 배치되어 상기 대상 부위에 밀착되는 도전성의 점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유닛.
  18.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해당 장착 유닛은
    후두부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후두부에 장착되는 변위 검출 유닛이고,
    상기 후두부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유닛.
  19.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해당 장착 유닛은
    호흡을 검출하기 위해서 동체에 장착되는 호흡 검출 유닛이고,
    호흡에 따른 상기 동체의 확대 및 축소를 검출하기 위한 신축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유닛.
  20. 인체의 대상 부위에 장착되는 장착 유닛을 이용하여 연하에 관한 의료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 유닛의 제어부에,
    상기 장착 유닛의 경시적인 사용 상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상기 장착 유닛의 특성을 담보하기 위한 설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사용을 제한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7000529A 2019-06-24 2020-03-19 연하 의료 장치, 장착 유닛 및 프로그램 KR102363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6091 2019-06-24
JP2019116091 2019-06-24
PCT/JP2020/012352 WO2020261674A1 (ja) 2019-06-24 2020-03-19 嚥下医療装置、装着ユニット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943A KR20220008943A (ko) 2022-01-21
KR102363067B1 true KR102363067B1 (ko) 2022-02-16

Family

ID=7406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529A KR102363067B1 (ko) 2019-06-24 2020-03-19 연하 의료 장치, 장착 유닛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65110B2 (ko)
EP (1) EP3984592B1 (ko)
JP (1) JP7240686B2 (ko)
KR (1) KR102363067B1 (ko)
CN (1) CN114072201A (ko)
TW (1) TWI739333B (ko)
WO (1) WO2020261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62391S (ko) * 2019-11-21 2020-06-29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9552A (ja) 2014-05-25 2017-07-20 ハイイン エクイティ インベストメント ファンド エル.ピー. 経皮および経頭蓋刺激のためのカンチレバー電極
JP2017217427A (ja) 2016-06-02 2017-12-14 計芳 鈴木 喉筋肉鍛錬装置
JP2018108276A (ja) 2017-01-04 2018-07-1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気治療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8561B2 (en) * 2005-07-01 2013-03-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y from motor control via stimulation to a substituted site to an affected area
JP2007014727A (ja) * 2005-07-08 2007-01-25 Junichi Shimizu 飲み込み評価システム
JP4934805B2 (ja) * 2005-12-02 2012-05-23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口腔、咽頭、喉頭機能障害予防治療用電気刺激装置
US8449445B2 (en) * 2006-03-30 2013-05-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evice for volitional swallowing with a substitute sensory system
US7890178B2 (en) * 2006-12-15 2011-02-15 Medtronic Xo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eglutition
DK2667777T3 (en) * 2011-01-28 2016-10-03 Nestec Sa APPARATUS FOR DIAGNOSIS OF SAG dysfunction
US8644921B2 (en) * 2011-03-28 2014-02-04 Neurostream Technologies G. P. Neuromod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pnea
WO2014038390A1 (ja) * 2012-09-07 2014-03-13 学校法人兵庫医科大学 嚥下補助装置
JP2015058172A (ja) * 2013-09-19 2015-03-30 テルモ株式会社 電気刺激装置
JP6915990B2 (ja) * 2014-04-09 2021-08-11 ジャイラス エーシーエムアイ インク 使用が制限された製品のための強制装置
WO2015179950A1 (en) * 2014-05-24 2015-12-03 Rieger Jana Maure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TWI593389B (zh) * 2015-06-30 2017-08-01 學校法人兵庫醫科大學 吞嚥障礙檢查裝置、吞嚥障礙治療裝置以及刺激電流設定方法
WO2018003127A1 (ja) * 2016-07-01 2018-01-04 学校法人兵庫医科大学 嚥下訓練装置
TWM542463U (zh) * 2016-08-16 2017-06-01 國立臺北護理健康大學 吞嚥治療刺激器
EP3541279B1 (en) * 2016-11-15 2023-09-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es for improving peripheral nerve function
BR112019012824A2 (pt) * 2016-12-23 2019-11-26 GSK Consumer Healthcare S.A. aparelho e método para estimulação elétrica transcutânea de nervo.
US11135428B2 (en) * 2017-07-02 2021-10-05 Ebt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tient signaling and contingent stimu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9552A (ja) 2014-05-25 2017-07-20 ハイイン エクイティ インベストメント ファンド エル.ピー. 経皮および経頭蓋刺激のためのカンチレバー電極
JP2017217427A (ja) 2016-06-02 2017-12-14 計芳 鈴木 喉筋肉鍛錬装置
JP2018108276A (ja) 2017-01-04 2018-07-1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気治療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943A (ko) 2022-01-21
EP3984592A1 (en) 2022-04-20
JP7240686B2 (ja) 2023-03-16
EP3984592B1 (en) 2023-06-07
EP3984592A4 (en) 2022-08-03
TW202100130A (zh) 2021-01-01
US11565110B2 (en) 2023-01-31
JPWO2020261674A1 (ko) 2020-12-30
WO2020261674A1 (ja) 2020-12-30
TWI739333B (zh) 2021-09-11
CN114072201A (zh) 2022-02-18
US20220111204A1 (en)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3845B2 (ja) 身体着用可能な医療用装置
US20170181703A1 (en) Monitoring A Garment
CN106030586B (zh) 磨损评估系统和方法、患者接口和计算机可读介质
US11540762B2 (en) Wearable cardioverter defibrtillator with improved ECG electrodes
EP3727248B1 (en) Devices and method for bruxism management
CN104055484B (zh) 传感器支撑体和采集人体生理信号的装置
US20230021272A1 (en) Vibrotactile stimulation device
KR102363067B1 (ko) 연하 의료 장치, 장착 유닛 및 프로그램
KR102238777B1 (ko) 웨어러블 창상 치료장치
US20180092555A1 (en) Portable pediatric medical diagnostic device
EP3189778A1 (e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device
US20040044383A1 (en) Status indicator for implantable systems
US11590354B2 (en) Wearable medical device response mechanisms and methods of use
CN110234389B (zh) 用于经颅直流电刺激tdcs的头戴设备和包括头戴设备的系统
CN204016255U (zh) 传感器支撑体和采集人体生理信号的装置
WO2021240855A1 (ja) 電気刺激装置、導電性シートおよびパッケージ製品
KR20170109930A (ko) 생체정보 유효기간에 기초한 타임패치 장치
WO2022138289A1 (ja) 電気刺激装置および患者管理システム
US20190387983A1 (en) Portable, pediatric medical diagnostic device
CN114144216B (zh) 护帽组件
KR20150118706A (ko) 제세동기를 위한 자동 노출 패드 및 그 동작 방법
CN213188094U (zh) 一种智慧拇外翻矫正袜
CN116348177A (zh) 柔性经皮神经刺激装置
RO119664B1 (ro) Aparat reflexogen, antienurez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