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629B1 - 서적 표시 프로그램 및 서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서적 표시 프로그램 및 서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629B1
KR102362629B1 KR1020217014220A KR20217014220A KR102362629B1 KR 102362629 B1 KR102362629 B1 KR 102362629B1 KR 1020217014220 A KR1020217014220 A KR 1020217014220A KR 20217014220 A KR20217014220 A KR 20217014220A KR 102362629 B1 KR102362629 B1 KR 10236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ook
displayed
page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082A (ko
Inventor
토모아키 요코츠카
슈사쿠 후루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세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세루시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세루시스
Publication of KR2021009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표시부에 표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를 변화시키는 조작자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적용되는 상기 서적의 표시의 천이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적을 3차원적 또는 2차원적으로 표시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서적 표시 프로그램이며,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상기 서적의 표시 상태를 취득하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맨드 변환 규칙 중에서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이며, 선택된 상기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은 수취된 상기 커맨드에 적용되어 상기 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에 사용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서적 표시 프로그램 및 서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서적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및 서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적을 2차원적 또는 3차원적으로 컴퓨터나 휴대 단말 등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기술이 있다.
지정된 수의 가상 페이지가, 일측의 가상 3차원 물체로부터 분할되고, 분할된 가상 페이지가 넘겨져 결합하는 타측의 가상 3차원 물체를 제1 가상 3차원 물체로 하고, 넘겨지는 가상 페이지가 분할되는 일측의 가상 3차원 물체로부터 지정된 수의 가상 페이지가 분할되고 남은 복수의 가상 페이지로 이루어지는 가상 3차원 물체를 제2 가상 3차원 물체로 하고, 지정된 수의 가상 페이지로 이루어지는 가상 3차원 물체를 제3 가상 3차원 물체로 했을 경우, 가상 페이지가 넘겨지도록, 제3 가상 3차원 물체가 제2 가상 3차원 물체로부터 제1 가상 3차원 물체로 이동함과 함께, 제3 가상 3차원 물체가 이동하는 동안, 2개의 좌우 양면의 가상 페이지가 제1 기준선에서 접속하고, 또한 제3 가상 3차원 물체를 제1 가상 3차원 물체의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새롭게 좌우 양면으로 되는 제3 가상 3차원 물체와 제2 가상 3차원 물체의 2개의 가상 페이지가 제2 기준선에서 접속하는 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가상 평면에 대하여 제1 가상 3차원 물체의 좌우 양면의 가상 페이지의 면이 멀어지고, 또한 가상 평면에 대하여 제2 가상 3차원 물체가 새롭게 좌우 양면의 가상 페이지로 되는 가상 페이지의 면이 가까워지고, 제3 가상 3차원 물체의 제1 가상 3차원 물체의 위치까지의 이동이 완료된 경우에는 새롭게 좌우 양면으로 되는 제3 가상 3차원 물체와 제2 가상 3차원 물체의 2개의 가상 페이지의 면이 가상 평면에 면하도록, 표시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술이 존재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제1 및 제2 페이지에 걸치는 제1 넘김 경계선을 규정하고, 제1 위치와 공통 경계선의 톱 위치 사이의 거리로 규정된 반경을 갖는 원호에 의해 제1 넘김 경계선이 규정되고, 톱 위치는 제1 넘김 경계선을 규정하는 원호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제1 및 제2 페이지에 걸치는 제2 넘김 경계선을 규정하고, 제1 위치와 공통 경계선의 바텀 위치 사이의 거리로 규정된 반경을 갖는 원호에 의해 제2 넘김 경계선이 규정되고, 바텀 위치는 제2 넘김 경계선을 규정하는 원호의 중심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넘김 경계선은 교차하여 넘김 영역을 규정하고, 넘김 영역의 내측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포인터를 트레이스하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에의 트레이스된 이동에 따라 제2 페이지의 경계선을 접는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기술이 존재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제476176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 제5992934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현실에 존재하는 서적에 관한 가상적인 표시에 관하여, 현실의 서적을 보도록 화면 상에 충실하게 서적을 재현하는 것에 주력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적을 가상적으로 표시할 때에 사용자에 대하여 서적을 더욱 읽기 쉽게 하는 것이나 서적을 가상 공간에 표시한다고 하는 특수성에 기인하는 특유의 문제점에 대한 대처로 인해, 충분한 배려까지는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개시된 기술은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적인 서적을 가상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대하여 간편하게 취급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상적인 서적을 읽을 때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표시부에 표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를 변화시키는 조작자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적용되는 상기 서적의 표시의 천이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적을 삼차원적 또는 이차원적으로 표시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서적 표시 프로그램이며,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상기 서적의 표시 상태를 취득하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맨드 변환 규칙 중에서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이며, 선택된 상기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은 수취된 상기 커맨드에 적용되어 상기 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에 사용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적인 서적을 가상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대하여 간편하게 취급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상적인 서적을 읽을 때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컴퓨터의 화면 등에 서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B)는 휴대 단말 등의 세로로 긴 화면에 서적의 일측 페이지를 표시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서적을 2차원적 또는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서적 표시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서적 표시 프로그램이 동작함으로써 서적 표시 장치가 실현되는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서적 표시 프로그램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서적의 콘텐츠를 확대 표시한 경우의 콘텐츠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서적의 콘텐츠 표시가 소정 확대율 이상인 경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8은 페이지 넘기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서적이 좌우 양면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의 페이지 넘김 처리 흐름도이다.
도 10은 세로로 긴 표시 장치에 일측 페이지를 표시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페이지 표시 제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측 페이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가상적인 시선의 방향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측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의 페이지를 넘기는 데 있어서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3은 페이지 넘김 지시와, 서적을 회전시켜 표시시키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서적을 3차원적으로 회전시켜 표시시키는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측 페이지를 비스듬하게 표시하고 있을 때에 전후의 페이지를 표시하였을 때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측 페이지를 비스듬하게 표시하고 있을 때에 전후의 페이지를 표시하였을 때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서적 전체를 표시시킨 경우와, 서적의 콘텐츠 부분의 대략 전체를 표시시켰을 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서적의 콘텐츠 부분의 대략 전체를 표시시켰을 때의 전후의 페이지의 표시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가로로 긴 표시 화면에 서적을 좌우 양면으로 표시하는 모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표시 화면의 종횡비의 검출에 따라 좌우 양면 페이지 모드로 전환하는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화면에 대략 평행하게, 휴대 단말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좌우의 페이지에 걸쳐 있는 콘텐츠를 표시하였을 때에 좌우 양면 페이지 모드로 서적을 표시시키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좌우의 페이지에 걸쳐 있는 콘텐츠를 표시하였을 때에 좌우 양면 페이지 모드로 서적을 표시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방법 및 프로그램의 각 스텝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꾸어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스텝은 다른 스텝과 병행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스텝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모순이 없는 한, 일부 스텝이 존재하지 않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각 스텝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하드웨어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탠저블(tangible)한 매체에 기억시켜 배포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컴퓨터의 화면(11) 등에 가상적인 서적(12)을 3차원적으로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B)는 휴대 단말 등의 세로로 긴 화면(15)에 가상적인 서적의 일측 페이지(16)를 표시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서적이 3차원적으로 표시 화면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의 서적을 읽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서적을 읽을 수 있다.
도 2는 서적 표시 장치(10)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서적 표시 장치(10)는 표시부(102)와, 콘텐츠 상태 인식부(104)와,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106)와, 커맨드 수취부(110)와, 하드웨어 상태 인식부(108)를 갖는다. 또한,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106)는 표시 상태 취득부(114)와,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112)를 구비한다.
표시부(102)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가상적인 서적을 2차원적 또는 3차원적으로 표시한다.
콘텐츠 상태 인식부(104)는 콘텐츠의 상태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펼쳐진 서적의 좌우 양면의 좌우 페이지에 걸치는 형태로 만화의 1프레임이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 콘텐츠에 동화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콘텐츠에 움직이는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등을 인식한다. 이 인식 결과에 의해,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106)는 적절한 표시 규칙을 선택할 수 있다. 혹은 표시 규칙에 대하여, 추가적인 표시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106)는,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에 관한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102)에 부여함으로써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커맨드 수취부(110)는 서적 표시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 원격지에 존재하는 사용자, 네트워크에서 접속된 서버 장치 등으로부터 커맨드를 수취한다. 수취된 커맨드는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106)에 건네지고,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에 대한 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에 사용된다. 또한, 수취된 커맨드를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112)에서 선택된 커맨드 변환 규칙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상태 인식부(108)는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 태블릿, 랩탑 등, 또한 데스크탑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의 상태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이 세로로 긴 상태로 되어 있는지, 가로로 길게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휴대 단말의 자이로 센서 등의 정보가 이용되어 하드웨어의 상태가 인식된다. 또한, 데스크탑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가 세로로 긴 상태로 되어 있는지, 가로로 길게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데스크탑 디스플레이 자체의 센서 등의 정보가 이용되어 하드웨어의 상태가 인식된다. 인식된 상태는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106)에 건네진다.
또한,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106)에 포함되는 표시 상태 취득부(114)는 예를 들어 표시 상태가 서적을 좌우 양면으로 표시시키고 있는지, 좌우 중 일측 페이지만을 표시시키고 있는지, 서적을 비스듬히 본 것 같이 표시시키고 있는지, 서적의 콘텐츠 부분이 확대 표시되어 있는지 등의 표시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표시 상태 취득부(114)는 표시 제어 정보 또는 표시부(102)에 표시되어 있는 서적의 표시 정보를 감시함으로써 표시 상태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106)에 포함되는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112)는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표시 제어 정보로 변환하는 복수의 커맨드 변환 규칙 중에서 적절한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한다. 또한,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커맨드 변환 규칙으로부터의 출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구체적인 커맨드를 명기하지만, 이들 커맨드는 예시이며 예시된 커맨드와 비슷한 다른 커맨드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서적 표시 장치(10)는 사용자 커맨드, 하드웨어의 상태, 콘텐츠의 상태, 표시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표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적인 서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적 표시 장치(10)의 더욱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사례와 처리 플로우에 의해 설명하는 동작과 같다. 즉, 더욱 상세한 동작은 방법 및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서적 표시 장치(10)의 상세한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 하드웨어 구성>
도 3은 실시 형태의 각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드웨어 구성은 CPU(201), 본 실시 형태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ROM(202), RAM(2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5), 입력 인터페이스(206), 표시 인터페이스(207),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208)를 갖는다. 이 하드웨어는 버스(2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5)는 네트워크(215)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215)에는 유선 LAN, 무선 LAN, 인터넷, 전화망 등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06)에는 입력부(216)가 접속되어 있다. 표시 인터페이스(207)에는 표시부(217)가 접속된다.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208)에는 기억 매체(218)가 접속된다. 기억 매체(218)는 RAM, ROM, CD-ROM, DVD-ROM, 하드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일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및 방법은 도 3에 도시되는 하드웨어 구성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즉, 실시 형태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방법으로서 임플리먼트(implement)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일부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기억 매체(218), ROM(202), 또는 RAM(203)에 기억될 수도 있다
각 실시 형태는 하드웨어의 장치로서 임플리먼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각 실시 형태는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취급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4는 서적 표시 프로그램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각 스텝을 설명한다. 또한, 이 플로우는 스텝 S422에서 종료가 인식될 때까지, 반복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화면의 표시 상태는 과거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변화하게 된다.
[S402] 조작자인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수취한다. 커맨드의 예로서는 표시 화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의, 탭, 플릭, 트레이스, 핀치 인, 핀치 아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우스에 의한 클릭, 드래그, 드롭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성, 소리, 손가락 등으로 하우징을 두드리는 소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버튼 조작, 키 조작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커맨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커맨드의 예를 들었으나, 본 명세서의 모든 사례의 열거는 예시이며, 제한 열거가 아니다.
처리는 스텝 S404로 이행한다.
[S404] 하드웨어의 상태가 인식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의 상태로서 이하의 예를 들 수 있다.
휴대 단말의 종횡비가 가로로 긴 상태로 되어 있다.
휴대 단말이, 표시 화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미소 진동하고 있다.
표시 화면의 종횡의 어스펙트비로부터 표시 단말이 랩탑, 데스크탑,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인 것으로 추정된다.
하드웨어에 인스톨되어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언어가 영어이다.
이상이 하드웨어의 상태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의 기본 프로그램의 상태까지 검출할 수도 있다. 처리는 스텝 S406로 이행한다.
[S406] 콘텐츠의 상태가 인식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상태로서 이하의 예를 들 수 있다.
펼쳐진 서적의 좌우 페이지의 콘텐츠가, 페이지를 걸쳐서 하나의 의미를 이루는 콘텐츠이다(예를 들어, 만화 등의 1프레임이 페이지를 걸치고 있다).
펼친 페이지의 콘텐츠에 동화상이 삽입되어 있다.
펼친 페이지의 콘텐츠에 표시 효과가 삽입되어 있다.
펼친 페이지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콘텐츠의 인식에 대해서는 콘텐츠를 해석할 수도 있고, 미리 콘텐츠의 상태에 대응시킨 식별자 또는 플래그 등이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처리는 스텝 S410로 이행한다.
[S410] 상기 각 스텝에 의해 얻어진 표시 상태, 하드웨어의 상태, 콘텐츠의 상태 등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S420] 표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포함하는 서적이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처리는 스텝 S422로 이행한다.
[S422] 처리를 종료할 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처리의 종료는 조작자에 의한 명시적인 종료 처리 지시를 들 수 있다. 혹은 메뉴 조작이 행해지는 등을 계기로 하여 처리를 종료할 수도 있다. 이 체크가 YES이면 처리는 종료된다. 이 체크가 NO이면, 처리는 스텝 S402로 복귀한다.
이상이 처리 플로우의 개요이다.
도 5는 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플로우는 도 4에 있어서의 스텝 S410(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 중에서의 실행에 있어서, 커맨드 변환 규칙의 선택 처리로 실행할 수 있다.
[S502] 표시에 있어서의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 상태가 취득된다. 표시 상태는 예를 들어 표시 제어 정보를 순차 감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상태로서는 이하의 예를 들 수 있다.
서적이 좌우 양면으로 전체가 표시되어 있다.
서적의 좌우 페이지 중 일측 페이지의 대략 전체가 표시되어 있고, 타측 페이지는 일부분이 표시되어 있다.
서적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선 방향에서 보는 것 같이 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다.
서적의 표면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에서 보는 것 같이 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다.
처리는 스텝 S504로 이행한다.
[S504] 수취된 커맨드를 표시 제어 정보로 변환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이 선택된다. 커맨드 변환 규칙은 미리 정해 둘 수도 있으며, 복수 존재한다. 커맨드 변환 규칙은 표시 상태, 하드웨어의 상태, 콘텐츠의 상태 등에 따라 복수의 커맨드 변환 규칙 중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혹은 인식된 표시 상태에 따라서 선택된 커맨드 변환 규칙으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제어 정보에 대하여, 하드웨어의 상태, 콘텐츠의 상태 등에 따라 표시 제어 정보가 수정되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스텝 S504의 처리가 끝나면, 처리의 호출원(caller)으로 복귀한다.
도 6은 서적의 콘텐츠를 확대 표시한 경우의 콘텐츠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콘텐츠를 확대 표시하여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화면을 화살표(Y1) 방향으로 트레이스 하려고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B)는 손가락에 의한 상기 트레이스가 종료된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나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 넘김 또는 서적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확대된 콘텐츠의 표시 부분이 이동한다. 즉, 이 경우에는 표시 상태가 소정 확대율 이상으로 콘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 인식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화면을 손가락으로 트레이스하는 조작에 의해, 확대된 콘텐츠의 표시 부분을 슬라이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으로 트레이스하는 대신에 마우스의 드래그 동작에 의해, 마찬가지의 표시 제어가 행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콘텐츠를 확대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고 있을 때에, 페이지의 이송 조작이 실행되어버리는 등의, 사용자가 예기하지 않은 표시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히려 확대 표시하고 있는 콘텐츠 주위의 상황도 포함하여 콘텐츠를 보고 싶어하는 것이 자연스러우므로, 이러한 표시 제어를 행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에서 설명한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7은 서적의 콘텐츠 표시가 소정 확대율 이상인 경우의 처리 흐름도이다.
[S702] 표시가 소정 확대율 이상인지가 체크된다. 이 체크가 YES라면 처리는 S704로 이행한다. 이 체크가 NO라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S704] 소정 확대율 이상의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표시 화면에의 플릭 또는 슬라이드 커맨드이고, 콘텐츠를 슬라이드하여 표시시킨다고 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한다. 이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 화면이 슬라이드되어 다른 부분의 콘텐츠가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커맨드는 플릭 및 슬라이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우스의 드래그 등일 수도 있다. 혹은 화살표 키의 누름일 수도 있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도 8은 대략 좌우 양면으로 화면에 서적이 표시되어 있을 때의 페이지 넘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좌우 양면의 상태일 때는 사용자는 좌우의 페이지를 일람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화살표(Y2) 방향으로 사용자가 화면을 스와이프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겨지는 표시가 이루어지고, 페이지를 넘기는 모습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는 스와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플릭, 탭, 마우스의 클릭, 마우스의 드래그, 음성, 손가락으로 하우징을 두드리거나 하여 소리를 발생시켜 그 소리를 장치의 마이크가 검지하는 것 등일 수도 있다. 이들은 커맨드의 예시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서적이 좌우 양면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의 페이지 넘김 처리 흐름도이다.
[S902] 표시 화면의 서적 표시가, 좌우 페이지의 대략 전체가 보이는 좌우 양면의 표시로 되어 있는지가 체크된다. 이 체크가 YES라면 처리는 S904로 이행한다. 이 체크 결과가 NO라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S904] 커맨드가 탭 또는 좌우 방향의 플릭 혹은 스와이프 커맨드이고, 페이지를 넘기는 표시를 행한다고 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한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이 처리에 의해, 서적의 좌우 페이지의 대략 전체가 표시되어 있으면, 탭 또는 좌우 방향의 플릭 혹은 스와이프 커맨드에 의한 사용자의 지시가 있으면 이 지시는 페이지 넘김 지시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페이지 넘김의 표시가 행해져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세로로 긴 표시 장치에 일측 페이지를 표시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페이지 표시 제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 등의 세로로 긴 표시 화면을 갖는 단말에서는, 서적을 좌우 양면으로 표시시키는 것 보다는 좌우 페이지의 일측 페이지의 대략 전체가 표시되고 타측 페이지는 표시시키지 않거나, 또는 타측 페이지의 일부분만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서적을 읽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서적을 가상적으로 3차원 표시시키고 있는 경우에, 일측 페이지의 표시와 페이지 넘김과 표시 영역의 원활한 이동 사이에는, 사용자가 서적을 읽기 쉽도록 하기 위한 배려가 필요한 것이 발견되었다. 이하의 예는 표시에 있어서의 제어의 일례이다.
도 10의 (A)는 윈도우(W1)에 어느 타이밍에서 좌우 페이지 중 어느 페이지를 표시시킬 지의 타이밍과, 페이지 넘김 동작을 시각(t1 내지 t4) 중 어느 타이밍에서 행할 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와 다른 타이밍에서의 처리 플로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0의 (A)의 처리 플로우를 설명한다.
W1은 휴대 단말 등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서적에는 알기 쉽도록 페이지의 순서대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시각(t1)에서 윈도우(W1)에 2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넘김 커맨드를 수취한 것으로 가정한다.
시각(t2)에서 페이지 이송 처리가 행해지는데, 그 때 윈도우(W1)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 윈도우(W1)에는 4페이지가 표시된다.
시각(t3)에서 윈도우(W1)가 m11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여 3페이지가 윈도우(W1)에 표시된다.
시각(t4)에서 윈도우(W1)가 m12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여 4페이지가 윈도우(W1)에 표시된다.
이상의 일련의 처리의 경우, 사용자는 2페이지, 4페이지, 3페이지, 4페이지의 순서대로 페이지를 보게 되어, 4페이지가 3페이지보다도 먼저 표시되어 버린다. 이는 사용자의 읽는 순서를 어지럽히는 것이 된다.
이어서, 도 10의 (B)의 처리 플로우를 설명한다.
W2는 휴대 단말 등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서적에는 알기 쉽도록 페이지의 순서대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시각(t1)에서 윈도우(W2)에 2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넘김 커맨드를 수취한 것으로 가정한다.
시각(t2)에서 페이지 이송 처리가 행해지는데, 그 때 윈도우(W2)의 위치를 m21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인다. 윈도우(W2)에는 페이지 넘김 도중의 3페이지와 1페이지 부분의 양자가 표시된다.
시각(t3)에서 3페이지의 전체가 윈도우(W2)에 표시된다.
시각(t4)에서 윈도우(W2)가 m22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여 4페이지가 윈도우(W2)에 표시된다.
이상의 일련의 처리의 경우, 사용자는 2페이지, 페이지 넘김 중인 3페이지(및 1페이지의 일부분), 3페이지, 4페이지의 순서대로 페이지를 보게 되어, 4페이지가 3페이지보다도 먼저 표시되어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읽는 순서를 어지럽히는 것을 충분히 감소시킨다.
이상과 같이 도 10의 (B)의 처리에서, 서적을 가상적으로 3차원 표시시키고 있는 경우에, 일측 페이지의 표시와 페이지 넘김과 표시 영역의 원활한 이동이 실현된다.
도 11은 일측 페이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가상적인 시선의 방향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좌우 양면의 형태로 서적이 표시되어 있지만, 표시 화면에는 좌우의 페이지 중 어느 일측이 메인으로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표시 화면에 메인으로서 페이지(P1)가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가상적인 시선(B)에 의해 얻어지는 3차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서적의 좌우 페이지의 경계 부근의 만곡된 부분의 콘텐츠가, 사용자에 있어서 인식이 용이하도록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메인으로서 페이지(P2)가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가상적인 시선(A)에 의해 얻어지는 3차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서적의 좌우 페이지의 경계 부근의 만곡된 부분의 콘텐츠가, 사용자에 있어서 인식이 용이하도록 표시된다.
도 12는 일측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의 페이지를 넘기는 데 있어서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1202] 메인으로서 일측 페이지의 대략 전체가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가 YES라면 처리는 S1204로 이행한다. 체크 결과가 NO라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1204] 탭 또는 좌우 방향의 플릭 혹은 스와이프 커맨드로부터 페이지 넘김의 표시 또는 일측 페이지로부터 타측 페이지로의 표시를 행한다고 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한다. 또한, 페이지를 전후로 이송하는 커맨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는 스텝 S1206로 이행한다.
[S1206] 페이지 넘김일 때는, 페이지가 넘겨지는 가상적인 종이의 이면측 페이지의 영역의 콘텐츠의 대략 모든 표시 쪽이 이면측 페이지와 대면하고 있었던 페이지의 콘텐츠의 대략 모든 표시보다도 먼저 행해지도록, 페이지가 넘겨지는 도중에 좌우 양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표시를 이동시킨다고 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한다. 이 처리는 도 10의 (B)에서 나타낸 처리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좌우 양면의 일측 페이지로부터 타측 페이지로의 윈도우(W2)의 슬라이드를 행함으로써, 좌우 양면의 페이지 중, 아직 표시되어 있지 않은 페이지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페이지 넘김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처리는 스텝 S1208로 이행한다.
[S1208] 페이지에의 시점의 방향을 변경한다고 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한다. 즉, 좌우 페이지 중 어느 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는지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적인 시선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휴대 단말 등의 세로로 긴 표시 화면에 일측 페이지를 표시시키는 경우, 사용자에 있어서, 더욱 보기 쉬운 표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도13은 페이지 넘김 지시와 서적을 회전시켜 표시시키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예를 들어 화살표(Y3)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하게 스와이프 또는 플릭을 행한 경우에 페이지 이송이 행해지는(일측 페이지의 표시인 경우에는 전후의 페이지로 표시가 이동한다) 처리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B)는 예를 들어 화살표(Y4)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스와이프 또는 플릭을 행하는(그 후에도 손을 떼지 않고 트레이스하였다) 경우에 서적의 회전 표시가 행해지는 처리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플릭이나 스와이프 커맨드를 부여할 때, 대략 수평 방향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페이지 이송(페이지 넘김)과 서적 전체의 표시의 회전 지시를 구분지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매우 심플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적에 대하여 다양한 처리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4는 서적을 3차원적으로 회전시켜 표시시키는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1402] 서적이 좌우 양면의 표시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가 YES라면 처리는 스텝 S1406로 이행한다. NO라면 처리는 스텝 S1404로 이행한다.
[S1404] 서적이 일측 페이지의 표시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가 YES라면 처리는 스텝 S1406로 이행한다. NO라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S1406] 상하 방향의 플릭 또는 스와이프 후에 손가락이 떨어질 때까지의 일련의 커맨드로부터, 서적의 표시를 3차원적으로 회전시켜 표시한다고 하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한다. 이 처리는 도 13의 (B)에 나타낸 처리이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또한, 도 13의 (A)에 나타낸 처리는 이미 설명했으므로 생략하고 있다.
도 15는 일측 페이지를 비스듬한 시선 방향에서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전후의 페이지를 표시시켰을 때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측 페이지를 비스듬한 시선 방향에서 본 표시 화면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페이지 넘김이나 페이지의 평행 이동 등, 페이지를 이동할 때에는 이동 후의 페이지 표시를, 종이면에 대략 수직한 시선 방향으로부터 본 화상으로 하는(되돌린다)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의 (A)에서는 일측 페이지를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본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표시가 전후의 페이지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면에 대략 수직한 시선 방향으로부터 본 설정의 확대율의 화상으로 하도록(되돌린다)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기 쉬운 화면 표시로 일측 페이지를 볼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일측 페이지를 비스듬한 시선 방향에서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전후의 페이지를 표시시켰을 때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1602] 일측 페이지의 표시이며, 종이면에 대하여 시선이 소정의 각도 이상 기울어진 각도에서 본 표시인지가 체크된다. 체크 결과가 YES라면 처리는 스텝 S1604로 이행한다. NO라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S1604] 서적의 페이지 넘김의 표시의 천이 또는 일측 페이지로부터 타측 페이지로의 표시의 천이를 실행시킬 때, 소정 확대율로 페이지의 대략 정면으로부터 서적을 본 표시로 변경하도록 표시한다고 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한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도 17은 서적 전체를 표시시킨 경우와 서적의 콘텐츠 부분의 대략 전체를 표시시켰을 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서적의 주변도 포함하여 조금 여유를 갖게 하여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서는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대략 가장자리 끝까지가 화면의 가장자리가 되도록 하거나, 콘텐츠의 가장자리가 화면으로부터 조금 비어져 나온 상태라도 괜찮으니까 콘텐츠 표시를 가능한 한 확대하면서, 콘텐츠의 대략 전체가 보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러한 확대율을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페이지 전환(페이지 넘김 및 일측 페이지로부터 타측 페이지로의 슬라이드) 조작을 행해도 설정 배율을 변경시키지 않는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확대율 범위를 미리 유지해 두고, 그 확대율 범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페이지 전환 처리를 행해도 설정된 확대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확대율을 유지하면서, 서적을 사용자가 읽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서적의 콘텐츠 부분의 대략 전체를 표시시켰을 때의 전후의 페이지의 표시 처리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1802] 좌우의 페이지가 좌우 양면으로 표시되어 있고 또한 좌우 페이지의 콘텐츠의 대략 전체가 소정 확대율의 범위로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좌우 페이지 중 일측 페이지의 콘텐츠의 대략 전체가 표시되어 있고 타측 페이지의 콘텐츠는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만이 표시되어 있고 소정 확대율 범위로 표시되어 있는지가 체크된다. 체크 결과가 YES라면 처리는 스텝 S1804로 이행한다. NO라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S1804] 표시의 확대율을 유지하고, 상기 페이지 넘김의 표시 또는 일측 페이지로부터 타측 페이지로 슬라이드 표시한다고 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한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도 19는 가로로 긴 표시 화면에 서적을 좌우 양면으로 표시하는 모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화면을 갖는 휴대 단말을 가로방향으로 든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일측 페이지만을 표시하는 모드를 채용하는 것은 표시 화면의 일부밖에 사용되지 않는 것이 되고, 또한, 표시 영역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측 페이지밖에 표시시키지 않는 것은 사용자에게는 서적을 보기 어렵게 해버리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로로 긴 화면을 갖는 하드웨어에 대해서는 서적을 좌우 양면으로 표시시키는 모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사각형 화면을 갖는 단말를 세로로 긴 화면 상태로부터 가로로 긴 화면 상태로 회전시키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 세로로 긴 상태였을 때에 일측 페이지의 표시 모드이었을 경우에는, 가로로 긴 화면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좌우 양면의 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읽기 쉬운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되게 된다.
또한, 가로로 긴 화면에서 좌우 양면 표시의 경우에, 사용자가 세로로 긴 화면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일측 페이지를 표시하는 모드로 해도 좋다. 혹은 초기 설정에서, 일측 표시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 좌우 양면 페이지 모드를 유지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0은 도 1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의 종횡비의 검출에 따라 좌우 양면 페이지 모드로 전환하는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2002] 표시 화면의 종횡비가 소정의 종횡비를 초과하여 가로로 길게 되어 있는지가 체크된다. 체크 결과가 YES라면 처리는 스텝 S2004로 이행한다. NO라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S2004] 좌우 페이지의 일측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모드가 선택되지 않도록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또한, 가로로 긴 표시 형태로부터 세로로 긴 표시 형태로 사용자가 단말를 회전시킨 경우에는, 도 19와 함께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그 플로우는 생략한다.
도 21은 화면에 대략 평행하게 휴대 단말 등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철을 타고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미소하게 휴대 단말 등이 화면에 대하여 평행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면이 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화면이 보기 어렵게 되는지 여부는 진동의 폭, 진동 주파수 등에 따라 다르다. 느린 진동 주파수인 경우에는 화면을 보는 것이 악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큰 진동 폭인 경우에는 몸 자체도 휴대 단말 등과 함께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면을 보는 것이 악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화면의 진동수, 진동의 진폭에 따라 이 진동을 상쇄하도록 화면의 표시를 이동시킬 것인지, 이동시키지 않는 것으로 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 정보로서는 진동 주파수, 진동 폭의 범위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보기 쉬운 표시로 할 수 있다.
[S2102] 표시부를 갖는 하드웨어가 표시 화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하고 있는지가 체크된다. 체크 결과가 YES라면 처리는 스텝 S2104로 이행한다. NO라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또한, 이 판단에 있어서는 진동 주파수, 진동 폭의 범위를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S2104] 미소한 이동을 상쇄하도록 서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도 22는 좌우의 페이지에 걸쳐 있는 콘텐츠를 표시시켰을 때에 좌우 양면 페이지 모드로 서적을 표시시키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좌우 양면으로, 좌우의 페이지에 걸치도록 산의 화상을 포함하는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의 페이지에 걸치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우 양면의 모드로 서적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콘텐츠에 좌우의 페이지에 걸쳐 있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시켜 둘 수도 있다. 혹은 패턴 인식에 의해 좌우의 페이지에 걸쳐 있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3은 좌우의 페이지에 걸쳐 있는 콘텐츠를 표시시켰을 때에 좌우 양면 페이지 모드로 서적을 표시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2302] 펼쳐진 서적이 좌우의 페이지에 걸치는 내용을 갖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가 체크된다. 체크 결과가 YES라면 처리는 스텝 S2104로 이행한다. NO라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S2304] 좌우의 페이지를 좌우 양면으로 표시하는 표시 모드가 선택 되도록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의 호출원으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이 높은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102 : 표시부
104 : 콘텐츠 상태 인식부
106 :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
108 : 하드웨어 상태 인식부
110 : 커맨드 수취부
112 :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
114 : 표시 상태 취득부

Claims (15)

  1. 표시부에 표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를 변화시키는 조작자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적용되는 상기 서적의 표시의 천이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적을 삼차원적 또는 이차원적으로 표시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서적 표시 프로그램이며,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상기 서적의 표시 상태를 취득하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맨드 변환 규칙 중에서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이며, 선택된 상기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은 수취된 상기 커맨드에 적용되어 상기 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에 사용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상태가, 상기 서적의 좌우 페이지 중 일측 페이지의 콘텐츠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고 타측 페이지의 콘텐츠는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 만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은, 상기 커맨드가 페이지 넘김 표시의 천이를 실행시키는 커맨드인 경우, 페이지가 넘겨지는 가성적인 종이의 이면측 페이지 영역의 콘텐츠의 모든 표시 쪽이 상기 이면측 페이지와 대면하고 있던 페이지의 콘텐츠의 모든 표시보다도 먼저 행해지도록, 페이지가 넘겨지는 도중에, 좌우 양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표시를 이동시키도록 표시시키는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2. 표시부에 표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를 변화시키는 조작자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취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적용되는, 상기 서적의 표시의 천이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적을 삼차원적 또는 이차원적으로 표시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서적 표시 프로그램이며,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상기 서적의 표시 상태를 취득하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맨드 변환 규칙 중에서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이며, 선택된 상기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은, 수취된 상기 커맨드에 적용되어, 상기 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에 사용되는,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상태가, 상기 서적의 좌우의 페이지가 좌우 양면으로 표시되어 있고 또한 상기 좌우의 페이지의 콘텐츠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좌우 페이지 중 일측 페이지의 콘텐츠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고 타측 페이지의 콘텐츠는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 만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이며, 상기 서적이 확대 배율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확대 배율이 소정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은, 탭 또는 좌우 방향의 플릭 혹은 스와이프 커맨드로부터, 상기 확대 배율을 유지하여, 상기 서적의 페이지 넘김 표시의 천이 또는 일측 페이지로부터 타측 페이지로의 표시의 천이를 실행시키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3.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의 상태를 인식하는 스텝을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인식된 상기 콘텐츠의 상태를 더 사용하여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4. 제1항에 있어서,
    서적을 표시하는 장치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의 상태를 인식하는 스텝을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인식된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를 더 사용하여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5. 제2항에 있어서,
    콘텐츠의 상태를 인식하는 스텝을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인식된 상기 콘텐츠의 상태를 더 사용하여,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6. 제2항에 있어서,
    서적을 표시하는 장치에 포함되는 하드웨어의 상태를 인식하는 스텝을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인식된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를 더 사용하여,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상태가 소정 확대율 이상으로 상기 서적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은 플릭 또는 스와이프 커맨드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슬라이드시켜 표시시키는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상태가 상기 서적의 삼차원적인 표시이며, 상기 서적의 좌우 페이지 중 일측 페이지의 콘텐츠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고 타측 페이지의 콘텐츠는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만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은, 탭 또는 좌우 방향의 플릭 혹은 스와이프 커맨드로부터 상기 서적의 페이지 넘김의 표시의 천이 또는 일측 페이지로부터 타측 페이지로의 표시의 천이를 실행시키고, 당해 표시의 천이 실행 후에 메인으로서 표시되는 페이지가 만곡되어 있어 당해 페이지의 콘텐츠의 측부가 보기 어렵게 되는 것을 경감하도록, 당해 페이지에의 시점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상태가 상기 서적의 삼차원적인 표시이며, 상기 서적의 좌우 페이지가 좌우 양면으로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좌우의 페이지 중 일측 페이지의 콘텐츠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고 타측 페이지의 콘텐츠는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만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은 상하 방향의 플릭 또는 스와이프 후에 손가락이 떨어질 때까지의 일련의 커맨드로부터 상기 서적의 표시를 삼차원적으로 회전시켜 표시시키는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상태가 상기 서적의 삼차원적인 표시이며, 상기 서적의 좌우 페이지 중 일측 페이지의 콘텐츠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고 타측 페이지의 콘텐츠는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만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이며, 상기 서적의 표지와 평행한 평면에 대하여 시선이 소정의 각도 이상 비스듬하게 보았을 때의 표시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스텝은, 탭 또는 좌우 방향의 플릭 혹은 스와이프 커맨드로부터 상기 서적의 페이지 넘김의 표시의 천이 또는 일측 페이지로부터 타측 페이지로의 표시의 천이를 실행시키고, 또한 소정 확대율로 페이지의 정면으로부터 상기 서적을 본 표시로 변경하도록 표시시키는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11.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상태가, 상기 서적이 펼쳐진 좌우의 페이지에 걸쳐 있는 콘텐츠 부분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상기 좌우의 페이지가 좌우 양면의 상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12.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가, 표시 화면의 종횡비가 소정의 종횡비를 초과하여 가로로 길게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서적의 좌우 페이지의 일측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모드가 선택되지 않도록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13.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의 상태가, 표시 화면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미소한 이동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은, 상기 미소한 이동을 상쇄하도록 상기 서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서적 표시 프로그램.
  14. 표시부에 표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를 변화시키는 조작자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취하는 커맨드 수취부와,
    상기 표시부에 적용되는 상기 서적의 표시의 천이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표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적을 삼차원적 또는 이차원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서적의 표시 상태를 취득하는 표시 상태 취득부와,
    적어도 상기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맨드 변환 규칙 중에서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이며, 선택된 상기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은 수취된 상기 커맨드에 적용되어 상기 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에 사용되는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상태가, 상기 서적의 좌우 페이지 중 일측 페이지의 콘텐츠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고 타측 페이지의 콘텐츠는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 만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는, 상기 커맨드가 페이지 넘김 표시의 천이를 실행시키는 커맨드인 경우, 페이지가 넘겨지는 가상적인 종이의 이면측 페이지 영역의 콘텐츠의 모든 표시 쪽이 상기 이면측 페이지와 대면하고 있던 페이지의 콘텐츠의 모든 표시보다도 먼저 행해지도록, 페이지가 넘겨지는 도중에, 좌우 양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표시를 이동시키도록 표시시키는 상기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서적표시장치.
  15. 표시부에 표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가상적인 서적의 표시를 변화시키는 조작자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취하는 커맨드 수취부와,
    상기 표시부에 적용되는 상기 서적의 표시의 천이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표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적을 삼차원적 또는 이차원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서적의 표시 상태를 취득하는 표시 상태 취득부와,
    적어도 상기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커맨드 변환 규칙 중에서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이며, 선택된 상기 하나의 커맨드 변환 규칙은 수취된 상기 커맨드에 적용되어 상기 표시 제어 정보의 생성에 사용되는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상태가, 상기 서적의 좌우의 페이지가 좌우 양면으로 표시되어 있고 또한 상기 좌우의 페이지의 콘텐츠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좌우 페이지 중 일측 페이지의 콘텐츠의 전체가 표시되어 있고 타측 페이지의 콘텐츠는 표시되어 있지 않거나 일부 만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이며, 상기 서적이 확대 배율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확대 배율이 소정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 선택부는, 탭 또는 좌우 방향의 플릭 혹은 스와이프 커맨드로부터, 상기 확대 배율을 유지하여, 상기 서적의 페이지 넘김 표시의 천이 또는 일측 페이지로부터 타측 페이지로의 표시의 천이를 실행시키는 표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커맨드 변환 규칙을 선택하는, 서적 표시 장치.
KR1020217014220A 2019-06-07 2019-09-05 서적 표시 프로그램 및 서적 표시 장치 KR102362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07500A JP6711979B1 (ja) 2019-06-07 2019-06-07 書籍表示プログラム及び書籍表示装置
JPJP-P-2019-107500 2019-06-07
PCT/JP2019/035072 WO2020246052A1 (ja) 2019-06-07 2019-09-05 書籍表示プログラム及び書籍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082A KR20210096082A (ko) 2021-08-04
KR102362629B1 true KR102362629B1 (ko) 2022-02-14

Family

ID=7107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220A KR102362629B1 (ko) 2019-06-07 2019-09-05 서적 표시 프로그램 및 서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40316A1 (ko)
EP (2) EP3842909A4 (ko)
JP (1) JP6711979B1 (ko)
KR (1) KR102362629B1 (ko)
CN (1) CN112789585A (ko)
TW (1) TWI714513B (ko)
WO (1) WO2020246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1420S1 (en) * 2014-11-26 2019-12-31 Maria Francisca Jones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544285B1 (ko) * 2021-10-14 2023-06-14 김종옥 전자 필사 시스템의 전자 필사 서비스 제공 방법
CN114546108A (zh) * 2022-01-14 2022-05-27 深圳市大富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vr/ar的用户操作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4527870A (zh) * 2022-01-14 2022-05-24 深圳市大富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vr/ar的用户操作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5016701A (zh) * 2022-07-25 2022-09-06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页面的翻页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2084A (ja) 2011-03-31 2012-11-0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2252214A (ja) 2011-06-03 2012-12-20 Sharp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をコンテンツ表示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WO2013137239A1 (ja) 2012-03-16 2013-09-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電子書籍コンテンツ再生用端末及び電子書籍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15076068A (ja) 2013-10-11 2015-04-20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とそ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79536A (ja) 2010-01-11 2015-10-0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テキスト処理及び表示
JP2018136449A (ja) 2017-02-22 2018-08-30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制御装置およ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6582B2 (ja) * 1998-09-28 2005-05-1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情報表示方法、電子情報閲覧装置および電子情報閲覧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3091343A (ja) * 2001-09-17 2003-03-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書籍情報閲覧方法及びその装置と、書籍情報閲覧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667703B2 (en) 2003-12-19 2010-02-2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 for turning pages in a three-dimensional electronic document
TWI380277B (en) * 2007-12-28 2012-12-21 Altek Corp Anti-vib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TW200941328A (en) * 2008-03-17 2009-10-01 Moda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digital publication in multi-dimensions
JP2010277456A (ja) * 2009-05-29 2010-12-09 Digitalmax Co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表示装置
FR2950446B1 (fr) * 2009-09-23 2011-11-11 Milibris Terminal mobile a ecran tactile
US8826191B1 (en) * 2011-01-05 2014-09-02 Google Inc. Zooming while page turning in document
AU2012235840B2 (en) 2011-03-17 2014-09-25 Lulu Software Method for three-dimensional viewing
US10969833B2 (en) * 2011-04-19 2021-04-0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data navigation and manipulation interface
JP5713855B2 (ja) * 2011-09-22 2015-05-0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JP5815392B2 (ja) * 2011-12-08 2015-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836199B2 (en) * 2013-06-26 2017-12-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interface device and display object operating method
JP6086851B2 (ja) * 2013-09-18 2017-03-01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9536A (ja) 2010-01-11 2015-10-0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テキスト処理及び表示
JP2012212084A (ja) 2011-03-31 2012-11-0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2252214A (ja) 2011-06-03 2012-12-20 Sharp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をコンテンツ表示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WO2013137239A1 (ja) 2012-03-16 2013-09-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電子書籍コンテンツ再生用端末及び電子書籍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15076068A (ja) 2013-10-11 2015-04-20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とそ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36449A (ja) 2017-02-22 2018-08-30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制御装置および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2909A1 (en) 2021-06-30
US20210240316A1 (en) 2021-08-05
EP3865989A1 (en) 2021-08-18
TWI714513B (zh) 2020-12-21
JP6711979B1 (ja) 2020-06-17
CN112789585A (zh) 2021-05-11
TW202046084A (zh) 2020-12-16
WO2020246052A1 (ja) 2020-12-10
KR20210096082A (ko) 2021-08-04
EP3842909A4 (en) 2021-11-24
JP2020201675A (ja)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629B1 (ko) 서적 표시 프로그램 및 서적 표시 장치
JP621553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974701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80691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EP18765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movement instruct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9436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viewing comic book electronic publications
WO2012040827A2 (en) Interactive input system having a 3d input space
JP2013016018A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7127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2547333B (zh) 信息处理设备以及立体显示方法
JP6065908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そのカーソル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99221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JP201620086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072091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6580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7161824B2 (ja) 表示コンテンツのパネルをナビゲートする方法
JP6723749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41376A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600992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6362110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70153788A1 (en) A non-depth multiple implement input and a depth multiple implement input
JP584354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166961B2 (ja) モバイル端末
CN112181226B (zh) 用于提供内容的方法和装置
JP648131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