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529B1 -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529B1
KR102362529B1 KR1020210091566A KR20210091566A KR102362529B1 KR 102362529 B1 KR102362529 B1 KR 102362529B1 KR 1020210091566 A KR1020210091566 A KR 1020210091566A KR 20210091566 A KR20210091566 A KR 20210091566A KR 102362529 B1 KR102362529 B1 KR 10236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display
manager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운제
고형주
Original Assignee
신운제
고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운제, 고형주 filed Critical 신운제
Priority to KR102021009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isplay Rack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바코드 리더기가 구비된 스마트 진열대를 통해 관리자는 효율적으로 상품을 관리하고 소비자는 구매할 상품의 잔여수량 및 할인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products and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hrough smart stand}
본 발명은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바코드 리더기가 구비된 스마트 진열대를 통해 관리자는 효율적으로 상품을 관리하고 소비자는 구매할 상품의 잔여수량 및 할인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백화점, 대형마트 및 편의점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대량으로 판매하는 매장에서는 무수히 많은 상품진열대를 설치하여 종류별로 정리된 각종 상품을 진열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각 상품이 진열된 상품진열대의 전면에는 해당 상품의 명칭, 가격 등의 정보를 기록한 표시장치를 부착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원하는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품의 종류와 수량이 증가하게 되고 매장을 관리하는데 있어 종래와 같이 관리자가 수작업을 통해 직접 모든 상품의 종류와 가격 및 수량을 관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자 선반 라벨(Electronic Shelf Label, ESL)을 도입하여 전자제어장치를 통해 각종 상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해당 상품을 표시하는 전자 라벨로 전송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자 선반 라벨은 이를 통합 관리하는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수의 상품에 대한 관리가 대단히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물품 종류, 가격 등의 단순한 정보만을 표시하므로 정보 제공 및 구매 유도에 한계가 있고, 구매와 동시에 재고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결품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 종래의 매장은 매장에 직접 가야만 매장의 상품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할 수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구매할 상품이 없는 경우 발길을 돌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7628호 “스마트 쇼케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진열할 상품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지지부와; 그 선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걸쳐진 상태로 상하 회동 운동 가능하고, 진열할 상품을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후단부를 승강시켜 받침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본체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에 기초하여 본체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와; 상기 경사조절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스마트 쇼케이스에 구비된 표시창에서만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바코드 리더기가 구비된 스마트 진열대를 통해 관리자는 효율적으로 상품을 관리하고 소비자는 구매할 상품의 잔여수량 및 할인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품의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진열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진열대; 상기 스마트 진열대에 상품진열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상기 스마트 진열대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진열정보를 제공받고 관리자로부터 진열상품의 상품추가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관리자단말 및 상기 스마트 진열대 또는 서버로부터 매장 내 상품진열정보를 수신 받는 소비자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진열대는 상기 상품이 진열되는 복수 개의 진열구역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품진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진열될 상품의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품의 진열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진열상태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열된 상품의 잔여수량을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 서버, 관리자단말 및 소비자단말에 전송하는 상품수량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상기 스마트 진열대가 관리자를 식별하도록 하는 식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진열대는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하는 관리자식별부 및 상기 관리자식별부의 관리자 인식정보를 기초로 상기 바코드 리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품추가정보를 표시하는 보조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진열대는 상기 관리자단말에 설치된 상품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소비자단말에 설치된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상기 상품진열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품진열정보는 상품종류, 상품명, 제조회사, 판매회사, 가격정보, 유통기한, 진열대 위치정보, 진열상태정보, 진열수량, 판매수량, 잔여수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품추가정보는 할인정보, 행사정보, 타임딜정보, 반값행사정보, 관리자의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소비자단말에서 입력된 매장을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지도상으로 표시해주는 매장위치 인터페이스; 검색된 매장 내 상기 상품진열정보를 제공하되,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한 경우 매장 내부 맵 상에서 선택한 상품의 위치정보를 기호로 표시하는 상품정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상품추가정보를 유형별로 제공하는 할인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센서부로부터 실시간 제공된 상기 진열상태정보를 기초하여 관리자단말에 수량이 부족한 상품의 진열을 요청하고, 다른 상품이 진열된 것이 판단되면 상품의 재진열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품 관리자가 직접 상품의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스마트 진열대의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상품의 입고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 진열대와 연동된 상품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상품진열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상품관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진열대와 연동된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자는 실시간으로 상품진열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구매할 상품을 찾거나 구매할 상품이 없어 발길을 돌리는 수고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진열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진열대의 모습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관리자식별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한 상태에서 식별수단과 통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도 1의 표시부의 보조표시부의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관리자단말에서 실행된 상품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소비자단말에서 실행된 상품정보 제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진열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진열대의 모습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관리자식별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한 상태에서 식별수단과 통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의 (a) 내지 (d)는 도 1의 표시부의 보조표시부의 예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관리자단말에서 실행된 상품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소비자단말에서 실행된 상품정보 제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스마트 진열대(10), 서버(20), 관리자단말(30) 및 소비자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30) 및 소비자단말(40)은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스마트폰의 형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에 기재된 기능을 할 수 있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형태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관리자단말(30) 및 소비자단말(40)을 스마트폰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들(10, 20, 30, 40)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인터넷,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의 통신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마트 진열대(10)는 매장 내부에 다수 개로 구비되되, 상품(P)의 바코드 정보를 기초로 소비자에게 상품진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P)의 바코드 정보는 상품종류, 상품명, 제조회사, 판매회사, 가격정보, 유통기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진열정보는 바코드 정보, 진열대 위치정보, 진열상태정보, 진열수량, 판매수량, 잔여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진열대(10)는 상품진열정보를 서버(20), 관리자단말(30) 및 소비자단말(4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스마트 진열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 진열대(10)는 프레임(11), 표시부(12), 바코드 리더기(13), 센서부(14) 및 상품수량판단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상품(P)이 진열되는 복수 개의 진열구역(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1)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진열구역(110)은 하나의 상품(P)이 다수개로 진열되고 하나의 표시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2)는 진열구역(110)의 정면에 형성되어 소비자가 상품(P)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품진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는 액정 모니터나 세그먼트 표시기, 전자 페이퍼 등의 경량이면서 박형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바코드 리더기(13)는 표시부(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진열될 상품(P)의 바코드를 읽을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13)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바코드 리더기(13)는 상품(P)에 구비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 정보를 수집하고 진열될 상품(P)의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코드 리더기(13)는 진열할 상품(P)의 바코드를 인식하고 표시부(12)는 바코드 리더기(13)에 수집된 바코드 정보를 기초로 상품진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바코드 인식이 완료된 상품(P)은 해당 진열구역(110)에 진열될 수 있다.
센서부(14)는 프레임(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진열된 상품(P)의 진열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품수량판단부(15)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14)는 진열된 상품(P)의 상측에 형성되되, 해당 상품(P)이 진열된 진열구역(110)의 상측에 위치한 다른 진열구역(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센서부(14)는 다수 개로 구비되되, 진열구역(110) 각각에 구비되어 진열상태정보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센서부(14)는 이미지센서, 광 센서, 거리 센서, 영상센서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열상태정보는 센서부(14)로부터 수집된 상품(P)의 이미지 정보, 가로길이정보, 세로길이정보, 재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수량판단부(15)는 센서부(14)의 진열상태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열된 상품(P)의 잔여수량을 판단하여 표시부(12), 서버(20), 관리자단말(30) 및 소비자단말(40)에 전송할 수 있다. 상품수량판단부(15)는 센서부(14)로부터 진열상태정보를 수신 받아 진열된 상품(P)의 수량을 파악하여 진열구역(110)에 있는 상품(P)의 잔여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은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스마트 진열대(10)가 관리자를 식별하도록 하는 식별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수단(50)은 관리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형태로 구비되되, 손목밴드형, 카드형, 유니폼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식별수단(50)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고 관리자식별부(16)에 인식되는 기능이 발현되는 형태는 모두 가능하다.
여기서, 카드형의 식별수단(50)은 관리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목걸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니폼형 식별수단(50)은 유니폼에 인식칩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진열대(10)는 관리자식별부(16) 및 제어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식별부(16)는 프레임(11) 일측에 형성되어 식별수단(50)을 인식하고 관리자를 식별할 수 있다. 관리자식별부(16)는 인식영역으로의 관리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인식영역으로의 관리자가 감지되는 경우, 관리자 인식정보를 제어부(17)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관리자식별부(16)로부터 관리자 인식정보를 수신 받아 스마트 진열대(10)의 바코드 리더기(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관리자식별부(16)로부터 관리자 인식정보를 수신 받았을 경우에만 바코드 리더기(13)의 전원을 공급되도록 하여 관리자만이 상품(P)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소비자가 진열된 상품(P)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품(P)의 바코드가 스마트 진열대(10)의 바코드 리더기(13)에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서버(20)는 스마트 진열대(10)로부터 수신 받은 상품진열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스마트 진열대(10), 관리자단말(30) 및 소비자단말(40)에 상품진열정보 또는 상품추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상품진열정보 중 유통기한에서 남은 일수를 파악하고 기설정된 값보다 적게 날짜가 남아있을 경우, 스마트 진열대(10)로 타임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상품진열정보 중 진열상태정보를 기초로 하여 관리자단말(30)에 수량이 부족한 상품(P)의 진열을 요청하고, 다른 상품이 진열된 것이 판단되면 상품(P)의 재진열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매장 안의 진열대를 직접 살펴보지 않더라고 부족한 상품(P)을 진열할 수 있고 잘못 진열된 상품(P)을 제자리에 진열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관리자단말(30)로부터 상품추가정보를 수신 받아 스마트 진열대(10)의 표시부(12) 및 소비자단말(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추가정보는 할인정보, 행사정보, 타임딜정보, 반값행사정보, 관리자의 메시지 등일 수 있다. 할인정보는 상품 가격에 대한 할인에 대한 정보로 할인율의 형태로 “30% 할인”, “60% 할인” 및 “80% 할인” 등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할인정보는 상품(P)에 관련된 할인행사가 진행되는 홈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링크로 연결되는 QR코드일 수 있다.
타임딜정보는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P)에 대한 정보로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타임딜정보는 관리자로부터 유통기한 기준 일수를 입력 받고 서버(20)가 유통기한에서 남은 일수와 유통기한 기준 일수를 비교하여 유통기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부(12)로 전송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의 메시지는 주요 이벤트명이나 소비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일 수 있으며, 문구, 이미지, 기호, 심볼, 이모지, 이모티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소비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관리자의 메시지는 “사장님 추천”, “우리매장 1위”, “고마움을 표현하세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음료의 경우 “힘들 때”, “활기차게”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품추가정보가 표시부(12)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경우 표시부(12)는 보조표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표시부(120)는 표시부(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서버(20)로부터 상품추가정보를 수신 받아 표시할 수 있다. 보조표시부(120)는 표시부(12)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보조표시부(120)는 표시부(12)와는 구분되어 상품추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품추가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보조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정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보조표시부(120)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P)의 할인행사 홈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QR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 내지 (c)와 같이 “1+1”, “타임딜”을 표시하여 소비자에게 상품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d)와 같이 “화이트데이”라는 관리자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보조표시부(120)는 상품추가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임과 동시에 매장의 매출상승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관리자단말(30)은 매장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다. 관리자단말(30)은 스마트 진열대(10) 또는 서버(20)로부터 상품진열정보를 제공받고 관리자로부터 진열된 상품(P)의 상품추가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30)은 상품관리 어플리케이션(60)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상품관리 어플리케이션(60)은 스마트 진열대(10)와 연동되어 상품진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품진열 인터페이스(61), 재고관리 인터페이스(62) 및 추가정보기입 인터페이스(6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품진열 인터페이스(61)는 스마트 진열대(10) 또는 서버(20)로부터 상품진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재고관리 인터페이스(62)는 관리하는 매장 내 상품재고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상품재고정보에서 추가로 진열된 상품 수량을 차감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정보기입 인터페이스(63)는 진열된 상품(P)에 대한 상품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진열 인터페이스(61)와 재고관리 인터페이스(62)는 연동되어 자동으로 상품(P)의 재고수량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재고관리 인터페이스(62)는 매장 내 재고보유량을 초코과자 100개, 딸기과자 100개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가 초코과자 진열구역(110)에 5개를 진열하고 딸기과자 진열구역(110)에 10개를 진열한 경우, 상품진열 인터페이스(61)는 도 6b와 같이 진열수량에 각각 5개, 10개로 표시할 수 있다. 상품진열 인터페이스(61)에 진열수량이 표시된 뒤, 재고관리 인터페이스(62)는 도 6c와 같이 재고보유량에서 각 상품(P)의 진열 수량을 차감하여 초코과자 95개, 딸기과자 90개라는 결과값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품진열 인터페이스(61)는 스마트 진열대(10)로부터 판매수량, 잔여수량 등의 상품진열정보를 수신 받아 도 6b와 같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품관리 어플리케이션(60)의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는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여 상품(P)을 관리하지 않고 상품진열정보를 확인하여 상품(P)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상품진열정보를 확인하여 상품(P)을 관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소비자단말(40)은 상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가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다. 소비자단말(40)은 스마트 진열대(10) 또는 서버(20)로부터 상품진열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단말(40)은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70)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70)은 스마트 진열대(10)와 연동되어 상품진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매장위치 인터페이스(71), 상품정보 인터페이스(72) 및 할인정보 인터페이스(7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매장위치 인터페이스(71)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자단말(40)의 위치와 인접한 매장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소비자단말(40)이 입력한 매장 이름을 검색하면 검색결과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품정보 인터페이스(72)는 선택한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P)의 내역 중 하나의 상품(P)을 선택했을 경우, 상품진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가 초코과자를 선택했을 경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이름, 위치정보, 가격정보, 잔여수량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초코과자가 진열된 스마트 진열대(10)의 위치를 표시한 매장 지도를 제공하고 스마트 진열대(10)에서 초코과자가 진열된 위치를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매장 지도에서 스마트 진열대(10)는 진열방향을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1”, ”A2”, ”A3”, “A4”로 표시할 수 있다. 초코과자의 위치정보는 “B2 위에서 1번째 칸”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정보에 대한 표현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마지막으로 할인정보 인터페이스(73)는 상품추가정보를 유형별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임딜정보 및 할인상품으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할인상품은 할인율에 따라 상품(P)이 분류되고 해당 할인율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P)의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처럼 소비자는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70)을 통해 매장의 상품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할 수 있어, 오프라인 상으로 구매할 상품(P)을 찾거나 구매할 상품이 없는 경우 발길을 돌리는 수고로움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0 : 스마트 진열대
11 : 프레임
110 : 진열구역
12 : 표시부
120 : 보조표시부
13 : 바코드 리더기
14 : 센서부
15 : 상품수량판단부
16 : 관리자식별부
17 : 제어부
20 : 서버
30 : 관리자단말
40 : 소비자단말
50 : 식별수단
60 : 상품관리 어플리케이션
61 : 상품진열 인터페이스
62 : 재고관리 인터페이스
63 : 추가정보기입 인터페이스
70 :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71 : 매장위치 인터페이스
72 : 상품정보 인터페이스
73 : 할인정보 인터페이스
P : 상품

Claims (8)

  1. 상품의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진열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진열대;
    상기 스마트 진열대에 상품진열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상기 스마트 진열대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진열정보를 제공받고 관리자로부터 진열상품의 상품추가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관리자단말 및
    상기 스마트 진열대 또는 서버로부터 매장 내 상품진열정보를 수신 받는 소비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진열대는,
    상기 상품이 진열되는 복수 개의 진열구역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품진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진열될 상품의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품의 진열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진열상태정보를 기초로 하여 진열된 상품의 잔여수량을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 서버, 관리자단말 및 소비자단말에 전송하는 상품수량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진열정보는,
    상품종류, 상품명, 제조회사, 판매회사, 가격정보, 유통기한, 진열대 위치정보, 진열상태정보, 진열수량, 판매수량, 잔여수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추가정보는,
    할인정보, 행사정보, 타임딜정보, 반값행사정보, 관리자의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상품진열정보 중 유통기한에서 상품의 남은 일수를 파악하여 기 설정된 값 또는 상기 관리자에게 입력 받은 유통기한 기준 일수와 비교하여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에 대한 정보인 타임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진열대의 표시부에 상기 타임딜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상기 스마트 진열대가 관리자를 식별하도록 하는 식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수단은,
    상기 관리자가 소지하거나 착용되도록 손목밴드형, 카드형 및 유니폼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카드형 식별수단은,
    상기 관리자가 목에 착용되는 목걸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유니폼형 식별수단은,
    상기 관리자가 착용하는 유니폼에 인식칩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 진열대는,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하는 관리자식별부; 및
    상기 관리자식별부의 관리자 인식정보를 기초로 상기 바코드 리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식별부는,
    인식영역에서 상기 식별수단을 감지하여 상기 관리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수단이 감지되어 상기 관리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인식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식별부로부터 상기 관리자 인식정보를 수신받았을 경우에만 상기 바코드 리더기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품추가정보를 표시하는 보조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진열대는,
    상기 관리자단말에 설치된 상품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소비자단말에 설치된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상기 상품진열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소비자단말에서 입력된 매장을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지도상으로 표시해주는 매장위치 인터페이스;
    검색된 매장 내 상기 상품진열정보를 제공하되,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한 경우 매장 내부 맵 상에서 선택한 상품의 위치정보를 기호로 표시하는 상품정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상품추가정보를 유형별로 제공하는 할인정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실시간 제공된 상기 진열상태정보를 기초하여 관리자단말에 수량이 부족한 상품의 진열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10091566A 2021-07-13 2021-07-13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6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566A KR102362529B1 (ko) 2021-07-13 2021-07-13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566A KR102362529B1 (ko) 2021-07-13 2021-07-13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529B1 true KR102362529B1 (ko) 2022-02-15

Family

ID=8032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566A KR102362529B1 (ko) 2021-07-13 2021-07-13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117B1 (ko) * 2022-06-14 2022-11-04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집품 카트에 집품 및 진열 작업을 함께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001B1 (ko) * 2019-02-07 2019-12-17 조홍제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1428B1 (ko) * 2019-08-20 2020-06-10 김승연 스마트 진열대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구매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001B1 (ko) * 2019-02-07 2019-12-17 조홍제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21428B1 (ko) * 2019-08-20 2020-06-10 김승연 스마트 진열대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구매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117B1 (ko) * 2022-06-14 2022-11-04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집품 카트에 집품 및 진열 작업을 함께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243791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집품 카트에 집품 및 진열 작업을 함께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444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ervations at a vending machine
JP2018527662A (ja) 以前に注文された商品を自動的に再注文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2314181A1 (en)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commodity price management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electronic shelf label device, commodity price management method, commodity price update method, commodity price management program, and commodity price update program
US20180293831A1 (en) Sales system, sales terminal, user terminal, and program
US8800869B2 (en) Inventory control using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s
JP2009501987A (ja) Rfidチップ内容情報の読取手及び表示手段を備えた電子ラベル
US10846721B2 (en) Method and system to reduce food waste and control prices in retail
JP2008293123A (ja) 販売価格設定システム
WO2008039157A1 (en) Shelf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503565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onic receipt displays according to user-selectable formats on a computing device
KR102362529B1 (ko)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JP5108863B2 (ja) 販売支援システム及び販売支援方法
JP7145606B2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978073B2 (en) System and method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JP2007319522A (ja) 電子棚札及び電子棚札システム
KR20150140198A (ko) 전자 정보 라벨의 변동 가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3072A (ko) 거래 조건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3152588A (ja)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768933B1 (ko) 전자가격표시 시스템
JP5079263B2 (ja) 電子棚札システム
KR20160032647A (ko)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JP6410688B2 (ja) 食品販売システム
KR102403286B1 (ko) 전자가격표시기를 통한 실시간 프로모션 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로모션 정보 제공방법
JP6427966B2 (ja) 商品表示システム
JP2019079141A (ja) 容器、決済装置、店舗システム、購入通知プログラム、決済プログラム、購入通知方法および決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