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001B1 -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001B1
KR102057001B1 KR1020190014525A KR20190014525A KR102057001B1 KR 102057001 B1 KR102057001 B1 KR 102057001B1 KR 1020190014525 A KR1020190014525 A KR 1020190014525A KR 20190014525 A KR20190014525 A KR 20190014525A KR 102057001 B1 KR102057001 B1 KR 102057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information
malicious
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제
Original Assignee
조홍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홍제 filed Critical 조홍제
Priority to KR102019001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3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inven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1Request for offers or quo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시스템은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들의 입고를 관리하는 제1 직원에 의해 소지되며, 상기 상품들이 상기 매장으로 입고되는 경우 상기 상품들 각각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입고 수량, 입고 날짜, 정가, 생산 날짜, 유통 기한을 포함하는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스캔부; 상기 상품들의 출고를 관리하는 제2 직원에 의해 소지되며, 상기 상품들이 매장에서 출고되는 경우 상기 상품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출고 수량, 출고 날짜, 판매가 정보를 포함하는 출고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 스캔부;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에서 획득한 상기 입고 정보와 상기 제2 상품 스캔부에서 획득된 상기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되 상기 상품들 중 악성 재고 상품을 판정하고,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율을 산출하여 전송하는 상품 관리 서버; 및 상기 상품들 각각의 진열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품들의 판매가 정보가 표시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입고 정보와 상기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간 별로 상기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되, 현재 시점의 이전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들 각각의 평균 출고량과, 날씨,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상기 상품들의 유통 기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 각각이 악성 재고 상품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재고 관리부;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 또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을 포함하는 경쟁 업체의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하는 할인율 산출부;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 중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진열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직원의 상기 제2 상품 스캔부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들의 구매자들에게 표시하고, 상기 제2 상품 스캔부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OS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상품의 재고 상태에 기초하여 상품의 주문을 효율적으로 의뢰할 수 있고,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할인율을 산출함으로써 상기한 악성 재고 상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주문 의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악성 재고 상품을 단순한 일반 재고 상품으로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Produ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store using POS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OS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상품의 재고 상태에 기초하여 상품의 주문을 효율적으로 의뢰할 수 있는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은 팔린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판매 시점에서 즉시 기록함으로써 판매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점포 판매 시스템이며, 매장의 주문 처리 시스템과 관리자의 메인 컴퓨터를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판매 시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분석, 평가하여 미래의 고객 대응 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판매 관리 시스템이다.
POS 시스템은 상품에 바코드(barcode)나 OCR 태그(광학식 문자해독 장치용 가격표) 등을 붙여놓고, 이를 스캐너로 읽어서 가격을 자동 계산하는 동시에 상품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집, 입력시키는 방식으로서, 백화점, 은행, 대형서점 등 유통 서비스 업계의 매장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 
POS 시스템은 각종 판매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상품 회전율을 높이고 적정 재고량을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수집된 POS 데이터에 의해 신제품 및 판촉 상품의 판매경향, 인기 상품 및 무매출 사멸품의 동향, 유사품 및 경합품과의 판매경향, 구입 고객별 분석, 시간대별 분석, 판매가격과 판매량의 상관 분석, 그 밖에 진열상태, 대중매체 광고 효과 등을 파악하여, 생산계획 판매계획 광고계획을 세울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POS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재고 상태만을 파악할 뿐이며, 특히 악성 재고 상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처리하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상품의 재고 상태에 기초하여 상품의 주문을 효율적으로 의뢰할 수 있는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들의 입고를 관리하는 제1 직원에 의해 소지되며, 상기 상품들이 상기 매장으로 입고되는 경우 상기 상품들 각각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입고 수량, 입고 날짜, 정가, 생산 날짜, 유통 기한을 포함하는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스캔부; 상기 상품들의 출고를 관리하는 제2 직원에 의해 소지되며, 상기 상품들이 매장에서 출고되는 경우 상기 상품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출고 수량, 출고 날짜, 판매가 정보를 포함하는 출고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 스캔부;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에서 획득한 상기 입고 정보와 상기 제2 상품 스캔부에서 획득된 상기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되 상기 상품들 중 악성 재고 상품을 판정하고,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율을 산출하여 전송하는 상품 관리 서버; 및 상기 상품들 각각의 진열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품들의 판매가 정보가 표시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입고 정보와 상기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간 별로 상기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되, 현재 시점의 이전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들 각각의 평균 출고량과, 날씨,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상기 상품들의 유통 기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 각각이 악성 재고 상품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재고 관리부;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 또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을 포함하는 경쟁 업체의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하는 할인율 산출부;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 중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진열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직원의 상기 제2 상품 스캔부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들의 구매자들에게 표시하고, 상기 제2 상품 스캔부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재고 관리부는, 상기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해, 상기 특정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에서의 출고량이 상기 상품들 중 상기 특정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에서의 평균 출고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 작고, 상기 특정 상품이 소비되는 계절이 현재 시점의 계절과 동일한 계절인 경우, 상기 특정 상품을 상기 악성 재고 상품으로 판정하거나, 상기 특정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에서의 출고량이 상기 상품들 중 상기 특정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에서의 평균 출고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 작고, 상기 특정 상품의 유통 기한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점 전인 경우, 상기 특정 상품을 상기 악성 재고 상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할인율 산출부는, 상기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수집하되, 상기 온라인으로 상기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경쟁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를 상품 판매 사이트에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경쟁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할인율 산출부는, 상기 경쟁 상품 중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와 상기 경쟁 상품 중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상기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보다 큰 경우, 상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와 상기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의 사이의 값을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로 산출하고, 상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상기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보다 작은 경우, 상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이하의 특정 판매가를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의 주문을 의뢰하는 주문 의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문 의뢰부는, 상기 상품이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이 아닌 경우,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과 상기 상품의 현재 재고량의 차이만큼 상기 상품을 주문 의뢰하고, 상기 상품이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인 경우에 있어,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상기 상품이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보다 제1 배수 이상으로 큰 경우 상기 상품의 주문을 의뢰하지 않고,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보다 상기 제1 배수 이하 제2 배수 이상으로 큰 경우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의 기 설정된 배수만큼 상기 상품을 주문 의뢰할 수 있다.
상기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는 할인 판매가 정보와 할인되지 않는 판매가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는 미리 상기 상품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는 대응되는 상기 상품들의 물리적인 위치이고, 상기 제1 상품 스캔부는 통신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상품 관리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를 획득하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재고 관리부로부터 현재의 상기 상품들의 재고량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상품들 중에서 상기 구매자가 찾는 상품 A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획득된 상품 A에 대한 물리적인 위치가 포함된 매장 지도 및 상기 획득된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정보는 상기 제1 직원 또는 상기 구매자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에는 매장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에는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되 상기 구매자의 고객 정보와 대응되는 구매자 식별 정보가 상기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구매자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에 의해 스캔될 수 있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이며, 상기 구매자가 찾는 상품 A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 스캔부는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에 표시된 구매자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를 인식함으로써 통신 연결되고, 상기 인식된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상기 획득된 상품 A에 대한 물리적인 위치가 포함된 매장 지도 및 상기 획득된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로 구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된 매장 지도 및 상기 획득된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를 상기 구매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의 상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품들의 입고를 관리하는 제1 직원에 의해 소지된 제1 상품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들이 상기 매장으로 입고되는 경우의 상기 상품들 각각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입고 수량, 입고 날짜, 정가, 생산 날짜, 유통 기한을 포함하는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a); 상기 상품들의 출고를 관리하는 제2 직원에 의해 소지된 제2 상품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들이 매장에서 출고되는 경우의 상기 상품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출고 수량, 출고 날짜, 판매가 정보를 포함하는 출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및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에서 획득한 상기 입고 정보와 상기 제2 상품 스캔부에서 획득된 상기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되 상기 상품들 중 악성 재고 상품을 판정하고,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율을 산출하는 단계 (c);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c)는,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품 스캐너에서 획득한 상기 입고 정보와 상기 제2 상품 스캐너에서 획득된 상기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간 별로 상기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되, 현재 시점의 이전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들 각각의 평균 출고량과, 날씨,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상기 상품들의 유통 기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 각각이 악성 재고 상품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c1);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 또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을 포함하는 경쟁 업체의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c2); 및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진열대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판매가 정보가 표시되는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직원의 상기 제2 상품 스캐너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3);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 중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들의 구매자들에게 표시하고, 상기 제2 상품 스캐너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상품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OS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상품의 재고 상태에 기초하여 상품의 주문을 효율적으로 의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할인율을 산출함으로써 상기한 악성 재고 상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주문 의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악성 재고 상품을 단순한 일반 재고 상품으로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상품 스캔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이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100)는 제1 상품 스캔부(110), 제2 상품 스캔부(120), 상품 관리 서버(130) 및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상품 스캔부(110)는 상품들의 입고를 관리하는 제1 직원에 의해 소지되는 장치로서, 상품들이 매장으로 입고되는 경우 상품들 각각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입고 수량, 입고 날짜, 정가, 생산 날짜, 유통 기한을 포함하는 입고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식별 정보는 고유 식별 코드로도 호칭되며, 상품 별로 부여되는 바코드 또는 OCR 태그를 포함하며, 제1 상품 스캔부(110)는 고유 식별 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또는 OCR 태그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상품 스캔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상품 스캔부(11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상품 스캔부(120)는 상품들의 출고를 관리하는 제2 직원에 의해 소지되는 장치로서, 상품들이 매장으로 출고되는 경우 상품들 각각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출고 수량, 출고 날짜, 판매가 정보를 포함하는 출고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제2 상품 스캔부(120)는 프로세서가 연결된 장치일 수도 있고, 출고 정보를 관리하는 출고 단말 장치와 별도로 연결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 때, 제2 상품 스캔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2 상품 스캔부(12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품 관리 서버(130)는 제1 상품 스캔부(110), 제2 상품 스캔부(120) 및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와 각각 연결되며, 상품의 입고 정보, 출고 정보,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품 관리 서버(130)는 제1 상품 스캔부(110)에서 획득한 상기 입고 정보와 제2 상품 스캔부(120)에서 획득된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들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되 상품들 중 악성 재고 상품을 판정하고,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율을 산출하여 전송하는 것과 같은 악성 재고 상품을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는 다수 개이며, 상품들이 배치되는 진열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품 관리 서버(130)에서 수신한 상품들 각각의 판매가 정보를 구매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장치는 소형 액정(LED)를 사용하여 전자 POP 광고 기타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함으로써 여러 장소에 분산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통하여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와 시간에 따라, 타겟 고객 대상에 대한 맞춤형 광고 제공이 가능하며, 광고 효과의 실시간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인 상품 관리 서버(13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리 서버(1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리 서버(130)는 통신부(131), 재고 관리부(132), 할인율 산출부(133) 및 주문 의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31)는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제1 상품 스캔부(110), 제2 상품 스캔부(120) 및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수신부 및 전송부를 포함한다. 즉, 수신부를 통해 제1 상품 스캔부(110)에서 획득한 입고 정보 및 제2 상품 스캔부(120)에서 획득한 출고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부를 통해 하기에서 설명하는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제2 상품 스캔부(120) 및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로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부(131)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재고 관리부(132)는 상품들 각각에 대한 재고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이 때, 재고 관리부(132)는 제1 상품 스캔부(110)에서 획득한 입고 정보와 제2 상품 스캔부(120)에서 획득된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간 별로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한 기간은 한달, 일주일 등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기간은 상품 별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즉, 재고 관리부(132)는 상기한 기간 별로 상품의 재고 상태 정보를 생성하되, 해당 기간 내에 제1 시점(일례로, 기간의 첫 날)에서의 상품의 재고 상태 정보와, 해당 기간 내의 제1 시점에 입고된 상품의 입고 정보와, 해당 기간 내의 제2 시점(일례로, 기간의 마지막 날)에 출고된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점에서의 상품의 재고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기간의 제2 시점의 다음 날은 다음 기간의 제1 시점일 수 있다.
특히, 재고 관리부(132)는 상품들 각각에 대해, 현재 시점(일례로, 해당 기간의 제2 시점) 이전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상품의 평균 출고량과, 날씨,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상품의 유통 기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이 악성 재고 상품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때, 상품의 평균 출고량은 제2 상품 스캔부(120)에서 획득된 출고 정보에 포함되고, 상품은 유통 기한은 제1 상품 스캔부(110)에서 획득된 입고 정보에 포함된다. 그리고, 날씨는 온도, 비가 내리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습도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계절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일 수 있으며, 봄은 3월~5월의 기간, 여름은 6월~8월의 기간, 가을은 9월~11월의 기간, 겨울은 12월~2월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재고 관리부(132)는 상품들 각각의 재고가 많이 존재하는지 적게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바람직하게는 이전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상품의 평균 출고량 정보가 항상 사용되고, 환경 정보 및 상품의 유통 기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고 관리부(132)는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해, 특정 상품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출고량이 상품들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평균 출고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 작고, 특정 상품이 소비되는 계절이 현재 시점의 계절과 동일한 계절인 경우, 특정 상품을 악성 재고 상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즉, 해당 상품이 소비되는 계절이 현재 계절과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상품보다 해당 상품의 출고량이 현저히 상황인 경우, 해당 상품은 소비자의 구매 패턴을 따라가지 못하는 상품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재고 관리부(132)는 해당 상품을 악성 재고 상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품 A, 상품 B, 상품 C 및 상품 D가 존재하고, 기간이 15일이며, 현재 시점으로부터 2달(4개의 기간) 동안의 평균 출고량이 100개, 90개, 10개, 110개이고, 현재 시점이 여름이고, 상기한 퍼센트가 15%이고, 상기 4개의 상품들이 소비되는 계절이 여름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때, 상품 C를 해당 상품으로 할 때, 상품 A, 상품 B 및 상품 D의 평균 출고량은 100개이고, 상품 C의 평균 출고량은 10개이다. 이 때, 상품 C의 평균 출고량은 상품 A, 상품 B 및 상품 D의 평균 출고량의 10%이며, 이는 상기한 퍼센트는 15%보다 작다. 따라서, 재고 관리부(132)는 상품 C를 악성 재고 상품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고 관리부(132)는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해, 특정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에서의 출고량이 상품들 중 특정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평균 출고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 작고, 특정 상품의 유통 기한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점 전인 경우, 특정 상품을 상기 악성 재고 상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품 A, 상품 B, 상품 C 및 상품 D가 존재하고, 기간이 일주일이며, 현재 시점으로부터 2주(2개의 기간) 동안의 평균 출고량이 50개, 40개, 6개, 60개이며, 상기한 퍼센트가 15%이며, 유통 기한을 기준으로 한 기 설정된 시점이 3일이라고 가정한다. 이 때, 상품 C를 해당 상품으로 할 때, 상품 C에 대한 유통 기한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3일 전이라고 가정하면, 상품 A, 상품 B 및 상품 D의 평균 출고량은 50개이고, 상품 C의 평균 출고량은 10개이다. 이 때, 상품 C의 평균 출고량은 상품 A, 상품 B 및 상품 D의 평균 출고량의 12%이며, 이는 상기한 퍼센트는 15%보다 작으며, 현재 시점은 상품 C의 유통 기한의 3일전인 상황이다. 따라서, 재고 관리부(132)는 상품 C를 악성 재고 상품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재고 관리부(132)의 악성 재고 상품의 판정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전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상품의 평균 출고량과, 환경 정보와, 상품의 유통 기한 모두에 기초하여 상품이 악성 재고 상품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할인율 산출부(133)는 해당 상품이 악성 재고 상품인 경우, 경쟁 업체의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고,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한다.
즉, 악성 재고 상품은 이전에도 판매율이 저조하고, 앞으로도 판매될 확률이 낮은 상품이므로, 악성 재고 상품을 할인하여 판매하는 것이 상품 판매자 및 상품 구매자에게 모두 이득이 된다. 따라서, 할인율 산출부(133)는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할인된 판매가를 산출하며, 경쟁 업체의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경쟁 상품은 해당 상품(즉,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 또는 해당 상품의 대체 상품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해당 상품이 제조사 A에서 생산하는 믹스 커피인 경우, 경쟁 상품 중 동일한 상품은 제조사 B에서 생산하는 믹스 커피일 수 있고, 경쟁 상품 중 대체 상품은 믹스 커피의 대체 상품인 가루 형태의 아메리카노 커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할인율 산출부(133)는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으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상품 관리 서버(130)에 연결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경쟁 매장에 대한 경쟁 매장의 판매가 정보가 집적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으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경쟁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품 판매 사이트에서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할인율 산출부(133)는 경쟁 상품 중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와, 경쟁 상품 중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보다 큰 경우, 할인율 산출부(133)는 상기한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와 상기한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의 사이의 값을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로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대체 상품의 최저가가 더 저렴한 경우 구매자는 상기한 동일한 상품을 대신하여 상기한 대체 상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할인율 산출부(133)는 상기한 구성과 같이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악성 재고 상품의 판매가가 5000원이고, 상기한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4000원이며, 상기한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3500원인 경우, 할인율 산출부(133)는 상기한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4000원)와 상기한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3500원)의 사이의 값인 3700원을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된 판매가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상기한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보다 작은 경우, 상기한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이하의 특정 판매가를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로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대체 상품의 최저가보다 상기한 동일한 상품이 더 저렴한 경우 구매자는 상기한 동일한 상품을 구매하므로, 할인율 산출부(133)는 상기한 구성과 같이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악성 재고 상품의 판매가가 10000원이고, 상기한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8000원이며, 상기한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9000원인 경우, 할인율 산출부(133)는 상기한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8000원) 이하는 특정 판매가인 7500원을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된 판매가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주문 의뢰부(134)는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들의 주문을 의뢰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문 의뢰부(134)는 해당 상품이 악성 재고 상품이 아닌 경우,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과 해당 상품의 현재 재고량의 차이만큼 해당 상품을 주문 의뢰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100개이고, 해당 상품의 현재 재고량이 70개인 경우, 주문 의뢰부(134)는 해당 상품에 대해 30개를 주문 의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문 의뢰부(134)는 해당 상품이 악성 재고 상품인 경우에 있어,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보다 제1 배수 이상으로 큰 경우, 상기 상품의 주문을 의뢰하지 않는다. 또한, 주문 의뢰부(134)는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보다 제1 배수 이하 제2 배수 이상으로 큰 경우,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의 기 설정된 배수만큼 해당 상품을 주문 의뢰할 수 있다. 이는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더 이상의 재고를 만들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서, 제1 배수가 10배로 설정되고, 제2 배수가 3배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100개이고,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이 8개인 경우, 평균 재고량은 평균 출고량 보다 12.5배 크므로, 주문 의뢰부(134)는 해당 상품의 주문을 의뢰하지 않는다.
다른 일례로서, 제1 배수가 10배로 설정되고, 제2 배수가 5배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100개이고,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이 25개인 경우, 평균 재고량은 평균 출고량 보다 4배 크므로, 주문 의뢰부(134)는 해당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의 기 설정된 배수, 일례로 2배만큼 해당 상품을 주문 의뢰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부(131) 내의 전송부는 악성 재고 상품에 진열된 진열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로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전송부는 출고를 관리하는 제2 직원의 제2 상품 스캔부(120)로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는 할인 판매가 정보와 구매자에기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한인 판매가 정보와 할인되지 않는 판매가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의 구매 편의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2 상품 스캔부(120)는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기초로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가 찾는 상품 A가 어디에 있는지 여부 및 재고량이 얼마인지 여부를 입고를 관리하는 제1 직원에게 물어보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100)는 상품 A의 물리적인 위치 및 재고량을 효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 때, 구매자는 일반적으로 단말 장치를 소지하고 있으며, 구매자 단말 장치에는 매장에 대한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매장에는 다수의 제1 직원이 상품들의 관리를 위해 매장을 돌아다니며, 제1 직원이 소지한 제1 상품 스캔부(110)에도 매장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상품 스캔부(110)는 통신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이 존재하며, 진열대에 위치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는 상품 관리 서버(130)에 물리적인 위치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의 물리적인 위치는 대응되는 상품의 물리적인 위치와 대응된다.
이 때, 제1 상품 스캔부(11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상품 관리 서버(130)와 통신 연결되어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품 스캔부(11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재고 관리부(131)로부터 현재의 상품들의 재고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구매자가 찾는 상품 A의 물리적인 위치 및 재고량을 검색하여 구매자에게 알려주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매자가 상품 A에 대해 질문을 하는 경우, 제1 직원의 제어 하에 제1 상품 스캔부(110)는 상품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상품 A 내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의 물리적인 위치가 포함된 매장 지도를 획득한다. 이 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의 물리적인 위치는 상품 관리 서버(130)에 미리 등록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상품 스캔부(110)는 상품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및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를 재고 관리부(131)로부터 획득한다.
그 후, 제1 상품 스캔부(110)는 상기 획득된 상품 A에 대한 물리적인 위치가 포함된 매장 지도 및 상기 획득된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정보는 제1 직원 또는 구매자를 통해 확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매자는 상품 A에 대한 위치 및 재고량을 확인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의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제1 상품 스캔부(110)는 획득된 정보를 직접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구매자가 해당 정보들을 직접 받아서 이동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는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에는 구매자의 고객 정보와 대응되는 구매자 식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구매자 식별 정보는 제1 상품 스캔부(110)에 의해 스캔될 수 있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품 스캔부(110)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에 표시된 구매자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구매자의 단말 장치를 인식함으로써 통신 연결되며, 인식된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상기 획득된 상품 A에 대한 물리적인 위치가 포함된 매장 지도 및 상기 획득된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로 구성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매자의 단말 장치는 전송된 매장 지도 및 획득된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를 구매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쉽게 상품 A로의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POS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상품의 재고 상태에 기초하여 상품의 주문을 효율적으로 의뢰할 수 있다. 또한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할인율을 산출함으로써 상기한 악성 재고 상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주문 의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악성 재고 상품을 단순한 일반 재고 상품으로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상기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510)에서는, 상품들의 입고를 관리하는 제1 직원에 의해 소지된 제1 상품 스캐너(110)를 이용하여 상품들이 매장으로 입고되는 경우의 상기 상품들 각각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스캔한다. 이에 따라, 입고 수량, 입고 날짜, 정가, 생산 날짜, 유통 기한을 포함하는 입고 정보가 획득된다.
다음으로, 단계(520)에서는, 상품들의 출고를 관리하는 제2 직원에 의해 소지된 제2 상품 스캐너(120)를 이용하여 상품들이 매장에서 출고되는 경우의 상품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스캔한다. 이에 따라 출고 수량, 출고 날짜, 판매가 정보를 포함하는 출고 정보가 획득된다.
계속하여, 단계(530)에서는,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제1 상품 스캐너(110)에서 획득한 입고 정보와 제2 상품 스캐너(120)에서 획득된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간 별로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이 때, 단계(530)에서는 현재 시점의 이전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상품들 각각의 평균 출고량과, 날씨,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상품들의 유통 기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들 각각이 악성 재고 상품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530)에서는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해, 특정 상품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출고량이 상품들 중 특정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평균 출고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 작고, 특정 상품이 소비되는 계절이 현재 시점의 계절과 동일한 계절인 경우, 특정 상품을 악성 재고 상품으로 판정하거나, 특정 상품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출고량이 상품들 중 특정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평균 출고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 작고, 특정 상품의 유통 기한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점 전인 경우, 특정 상품을 악성 재고 상품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그 후, 단계(540)에서는, 악성 재고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 또는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을 포함하는 경쟁 업체의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고,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한다.
이 때, 단계(540)에서는,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수집하되, 온라인으로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경쟁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를 상품 판매 사이트에서 수집하고, 수집된 경쟁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단계(540)에서는, 경쟁 상품 중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와 경쟁 상품 중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하되,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보다 큰 경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와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의 사이의 값을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로 산출하고,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보다 작은 경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이하의 특정 판매가를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로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50)에서는, 악성 재고 상품의 진열대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악성 재고 상품의 판매가 정보가 표시되는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로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하고, 제2 상품 스캐너(120)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140) 중 악성 재고 상품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는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들의 구매자들에게 표시하고, 제2 상품 스캐너(120)는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기초로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560)에서는,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들의 주문을 의뢰한다.
이 때, 단계(560)에서는, 상품이 악성 재고 상품이 아닌 경우,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과 상품의 현재 재고량의 차이만큼 상품을 주문 의뢰하고, 상품이 악성 재고 상품인 경우에 있어,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상품이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보다 제1 배수 이상으로 큰 경우 상품의 주문을 의뢰하지 않고,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보다 제1 배수 이하 제2 배수 이상으로 큰 경우 상품의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의 기 설정된 배수만큼 상품을 주문 의뢰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상품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100)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상품 관리 시스템 110: 제1 상품 스캔부
120: 제2 상품 스캔부 130: 상품 관리 서버
131: 통신부 132: 재고 관리부
133: 할인율 산출부 134: 주문 의뢰부
140: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

Claims (10)

  1.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들의 입고를 관리하는 제1 직원에 의해 소지되며, 상기 상품들이 상기 매장으로 입고되는 경우 상기 상품들 각각에 부착된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입고 수량, 입고 날짜, 정가, 생산 날짜, 유통 기한을 포함하는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스캔부;
    상기 상품들의 출고를 관리하는 제2 직원에 의해 소지되며, 상기 상품들이 매장에서 출고되는 경우 상기 상품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출고 수량, 출고 날짜, 판매가 정보를 포함하는 출고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 스캔부;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에서 획득한 상기 입고 정보와 상기 제2 상품 스캔부에서 획득된 상기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되 상기 상품들 중 악성 재고 상품을 판정하고,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율을 산출하여 전송하는 상품 관리 서버; 및
    상기 상품들 각각의 진열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품들의 판매가 정보가 표시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입고 정보와 상기 출고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간 별로 상기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되, 현재 시점의 이전의 복수의 기간에서의 상기 상품들 각각의 평균 출고량과, 날씨, 계절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상기 상품들의 유통 기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 각각이 악성 재고 상품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재고 관리부;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 또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을 포함하는 경쟁 업체의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경쟁 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하는 할인율 산출부; 및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 중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진열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직원의 상기 제2 상품 스캔부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들의 구매자들에게 표시하고, 상기 제2 상품 스캔부는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악성 재고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할인율 산출부는, 상기 경쟁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를 상품 판매 웹 사이트에서 수집하고, 상기 경쟁 상품 중 상기 악성 재고 상품과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와 상기 경쟁 상품 중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 정보를 산출하되, 상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상기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보다 큰 경우, 상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와 상기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의 사이의 값을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로 산출하고, 상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가 상기 대체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보다 작은 경우, 상기 동일한 상품에 대한 최저 판매가 이하의 특정 판매가를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의 할인 판매가로 산출하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는 미리 상기 상품 관리 서버에 등록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는 대응되는 상기 상품들의 물리적인 위치이고,
    상기 제1 상품 스캔부는 통신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상품 관리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를 획득하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재고 관리부로부터 현재의 상기 상품들의 재고량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상품들 중에서 상기 구매자가 찾는 상품 A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획득된 상품 A에 대한 물리적인 위치가 포함된 매장 지도 및 상기 획득된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를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정보는 상기 제1 직원 또는 상기 구매자를 통해 확인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에는 매장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에는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되, 상기 구매자의 고객 정보와 대응되는 구매자 식별 정보가 상기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구매자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상품 스캔부에 의해 스캔될 수 있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이며,
    상기 구매자가 찾는 상품 A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상품 스캔부는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에 표시된 구매자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를 인식함으로써 통신 연결되고, 상기 인식된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상기 획득된 상품 A에 대한 물리적인 위치가 포함된 매장 지도 및 상기 획득된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로 구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된 매장 지도 및 상기 획득된 상품 A의 현재 재고량 정보를 상기 구매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부는, 상기 상품들 중 특정 상품에 대해,
    상기 특정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에서의 출고량이 상기 상품들 중 상기 특정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에서의 평균 출고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 작고, 상기 특정 상품이 소비되는 계절이 현재 시점의 계절과 동일한 계절인 경우, 상기 특정 상품을 상기 악성 재고 상품으로 판정하거나,
    상기 특정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에서의 출고량이 상기 상품들 중 상기 특정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에서의 평균 출고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 이상 작고, 상기 특정 상품의 유통 기한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점 전인 경우, 상기 특정 상품을 상기 악성 재고 상품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들의 재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들의 주문을 의뢰하는 주문 의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문 의뢰부는,
    상기 상품이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이 아닌 경우,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과 상기 상품의 현재 재고량의 차이만큼 상기 상품을 주문 의뢰하고,
    상기 상품이 상기 악성 재고 상품인 경우에 있어,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상기 상품이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보다 제1 배수 이상으로 큰 경우 상기 상품의 주문을 의뢰하지 않고,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재고량이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보다 상기 제1 배수 이하 제2 배수 이상으로 큰 경우 상기 상품의 상기 복수의 기간의 평균 출고량의 기 설정된 배수만큼 상기 상품을 주문 의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는 할인 판매가 정보와 할인되지 않는 판매가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4525A 2019-02-07 2019-02-07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57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25A KR102057001B1 (ko) 2019-02-07 2019-02-07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25A KR102057001B1 (ko) 2019-02-07 2019-02-07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001B1 true KR102057001B1 (ko) 2019-12-17

Family

ID=6905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525A KR102057001B1 (ko) 2019-02-07 2019-02-07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00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7726A (zh) * 2020-07-24 2020-11-20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物料管理方法、装置、系统及终端
KR102284675B1 (ko) * 2021-01-20 2021-08-03 주식회사 문구야놀자 인공지능 기반 무인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94125B1 (ko) * 2020-10-27 2021-08-26 (주)한알 인공지능을 적용한 제품 수요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334353B1 (ko) * 2021-05-21 2021-12-01 김서곤 고가 악세사리의 포장 및 입출고를 위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62529B1 (ko) * 2021-07-13 2022-02-15 신운제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20033395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데이타드림 판매 물품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39594B1 (ko) * 2021-09-09 2022-09-02 주식회사 그립컴퍼니 인터랙티브 상품 쇼핑 방법, 인터랙티브 상품 쇼핑 장치, 및 인터랙티브 상품 쇼핑 시스템
KR102445827B1 (ko) * 2021-09-02 2022-09-21 (주)텐마인즈 밀키트 기획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102508232B1 (ko) 2022-12-15 2023-03-08 정형수 인공지능 기반 마트 운영을 위한 재고의 유통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21374A (ko) *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사운드파인트리 천연화장품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30133535A (ko)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엘에스컴퍼니 업종별 맞춤형 멀티플랫폼-pos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89B1 (ko) * 2003-12-30 2007-10-11 주식회사 수퍼하이터치 타임스탬프 바코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3080501A (ja) * 2012-12-12 2013-05-02 Rakuten Inc 商品情報提供サーバ装置、商品情報表示プログラム、商品情報表示方法及び商品情報表示システム
KR101547084B1 (ko) * 2015-01-12 2015-08-24 이현수 무인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758054B1 (ko) * 2016-12-23 2017-07-14 (주)비엠아이티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89B1 (ko) * 2003-12-30 2007-10-11 주식회사 수퍼하이터치 타임스탬프 바코드를 이용한 재고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3080501A (ja) * 2012-12-12 2013-05-02 Rakuten Inc 商品情報提供サーバ装置、商品情報表示プログラム、商品情報表示方法及び商品情報表示システム
KR101547084B1 (ko) * 2015-01-12 2015-08-24 이현수 무인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758054B1 (ko) * 2016-12-23 2017-07-14 (주)비엠아이티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재고관리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7726A (zh) * 2020-07-24 2020-11-20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物料管理方法、装置、系统及终端
KR102458245B1 (ko) * 2020-09-09 2022-10-24 주식회사 데이타드림 판매 물품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33395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데이타드림 판매 물품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94125B1 (ko) * 2020-10-27 2021-08-26 (주)한알 인공지능을 적용한 제품 수요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284675B1 (ko) * 2021-01-20 2021-08-03 주식회사 문구야놀자 인공지능 기반 무인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34353B1 (ko) * 2021-05-21 2021-12-01 김서곤 고가 악세사리의 포장 및 입출고를 위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62529B1 (ko) * 2021-07-13 2022-02-15 신운제 스마트 진열대를 통한 상품 관리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445827B1 (ko) * 2021-09-02 2022-09-21 (주)텐마인즈 밀키트 기획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102439594B1 (ko) * 2021-09-09 2022-09-02 주식회사 그립컴퍼니 인터랙티브 상품 쇼핑 방법, 인터랙티브 상품 쇼핑 장치, 및 인터랙티브 상품 쇼핑 시스템
KR20230121374A (ko) *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사운드파인트리 천연화장품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59316B1 (ko) * 2022-02-11 2024-04-18 주식회사 사운드파인트리 천연화장품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30133535A (ko)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엘에스컴퍼니 업종별 맞춤형 멀티플랫폼-pos 시스템
KR102508232B1 (ko) 2022-12-15 2023-03-08 정형수 인공지능 기반 마트 운영을 위한 재고의 유통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001B1 (ko) Pos 시스템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ou et al. Retail store operation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directions
JP6785244B2 (ja) 棚の表示ユニット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棚の表示ユニットに情報をグラフィカルに提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8359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customer response using data observable from customer buying decisions
US2007005556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cking consumers in a store environment
US20070050305A1 (en) RFID system for predictive product purchase date evaluation
KR101928039B1 (ko) 인공지능에 의한 적응적 판매 관리 서버 및 방법
TW200825972A (en) Shelf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90073039A (ko) 다수의 쇼핑몰의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6816840B1 (en) System and method of sending messages to a group of electronic price labels
JP2002167047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在庫管理方法及びその在庫管理システム
Hsu et al. Optimal delivery service strategy for Internet shopping with time-dependent consumer demand
CN11309590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信息处理系统
JP7066921B1 (ja) 倉庫内商品販売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080632A1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рекламной и цен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в магазине
JP2023529350A (ja) データマイグレーションおよびアクセス性を増加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方法
US20210012686A1 (en) Information Delivery Method an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 Templat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Products
Sigala RFID applications for integrating and informationalizing the supply chain of foodservice operators: perspectives from Greek operators
WO2003083740A1 (fr) Procede et programme de soutien aux ventes
CN113544753A (zh) 销售管理服务器、销售管理系统、销售管理方法和记录介质
US20180268424A1 (en) Recording and tracking system for home inventory
KR102310689B1 (ko) 지역 기반의 긴급 처리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WO202323846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M541065U (zh) 整合實體廣告的線上購物系統
Larson Emerging trends in the food distrib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