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52B1 -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52B1
KR102362052B1 KR1020200094551A KR20200094551A KR102362052B1 KR 102362052 B1 KR102362052 B1 KR 102362052B1 KR 1020200094551 A KR1020200094551 A KR 1020200094551A KR 20200094551 A KR20200094551 A KR 20200094551A KR 102362052 B1 KR102362052 B1 KR 10236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a
blank
jig
vacuum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661A (ko
Inventor
박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테크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테크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테크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09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0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3/00Measuring resonant frequ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Fl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 감지 센서 없이 단순하게 유량 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메사블랭크의 반전 여부를 감지하는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는, 일면 중앙에 음각으로 홈이 형성된 메사블랭크가 그 상면에 놓이는 지그; 상기 지그의 중앙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메사블랭크 홈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진공홀; 상기 지그 상면 중 상기 진공홀과 인접하게 상기 지그를 음각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사블랭크 홈을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연통홈; 상기 진공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진공홀을 통하여 상기 메사블랭크와 지그 사이의 기체를 흡입하는 진공라인; 상기 진공라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기체를 흡입하는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 상기 진공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 라인을 통하여 이동하는 기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상기 유량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량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지그에 안착된 상기 메사블랭크의 반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A DEVICE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MESA BLANK}
본 발명은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밀 감지 센서 없이 단순하게 유량 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메사블랭크의 반전 여부를 감지하는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리스탈은 진동자 등 정밀 제조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크리스탈은 그 두께 등을 정밀하게 관리하여야 하며, 이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현재 정밀한 진동자, 메사블랭크 등의 크리스탈의 두께는 수 ㎛ 이하로 가공되고 있으며, 더욱 정밀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밀한 크리스탈의 두께를 기존의 측정방법으로 측정할 수 없어서, 상기 크리스탈에 교류전원을 인가하고 인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공진되는 주파수를 찾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크리스탈의 두께를 역산하는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메사블랭크와 같은 정밀 크리스탈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취급이 어려운 반면에 도 1, 2에 도시된 같이, 홈(11)이 형성된 전면과 홈(11)이 없는 배면(12)이 명확한 구조의 차이가 존재해서 제조 과정에서 상기 메사블랭크의 반전 여부를 명확하게 감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 방법은 별도의 비전 카메라와 센서 등 매우 복잡한 구조의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매우 고가이고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밀 감지 센서 없이 단순하게 유량 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메사블랭크의 반전 여부를 감지하는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는, 일면 중앙에 음각으로 홈이 형성된 메사블랭크가 그 상면에 놓이는 지그; 상기 지그의 중앙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메사블랭크 홈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진공홀; 상기 지그 상면 중 상기 진공홀과 인접하게 상기 지그를 음각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사블랭크 홈을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연통홈; 상기 진공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진공홀을 통하여 상기 메사블랭크와 지그 사이의 기체를 흡입하는 진공라인; 상기 진공라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기체를 흡입하는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 상기 진공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 라인을 통하여 이동하는 기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상기 유량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량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지그에 안착된 상기 메사블랭크의 반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지그는 상기 메사블랭크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연통홈은 상기 지그 상면을 폭 방향으로 길게 음각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에서, 상기 진공홀과 연통홈의 이격 간격은 상기 메사블랭크 홈의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에는, 상기 지그에는 상기 메사블랭크의 검사 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그에는, 상기 진공홀 방향으로 상기 메사블랭크를 공급하는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에 의하면 정밀 감지 센서 없이 단순하게 유량 차이를 감지하여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는 상기 메사블랭크의 반전 여부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2는 메사블랭크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 4는 메사블랭크가 뒤집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의 작용 및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 6은 메사블랭크가 엎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의 작용 및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10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110), 진공홀(120), 연통홈(130), 진공 라인(140), 진공 펌프(150), 유량 센서(160) 및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그(110)는 상기 메사블랭크(10)가 반전 여부 검사를 위하여 통과하는 구간에 설치되며,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 중앙에 음각으로 홈(11)이 형성된 메사블랭크(10)가 그 상면에 놓이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지그(110)에는 상기 지그(110)에 상기 메사블랭크(10)를 공급하는 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홀(120)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110)의 중앙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메사블랭크 홈(11)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진공홀(120)은 단순하게 상기 지그(1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멍이며, 상기 진공홀(120)의 직경은 상기 메사블랭크(10)에 형성되어 있는 홈(1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사 블랭크(10)가 상기 지그(110)의 검사 위치에 안착되면,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사블랭크의 홈(11)에 의하여 상기 진공홀(120) 전체가 덮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통홈(130)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110) 상면 중 상기 진공홀(120)과 인접하게 상기 지그(110)를 음각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사블랭크 홈(11)을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연통홈(130)은 상기 메사블랭크(10) 전체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사블랭크(10)가 엎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메사블랭크(10)의 홈(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 공간과 연통시킨다.
이렇게 상기 메사블랭크의 홈(11)이 상기 연통홈(130)에 의하여 외부 공간과 연통되면, 상기 진공홀(120)을 통하여 진공 배기하는 과정에서 밀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진공 라인(140)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 유량이 크게 된다.
물론 상기 메사블랭크(10)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힌 경우에는 홈(11)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의 상기 메사블랭크(10) 배면(12)이 상기 지그(110) 상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진공홀(110)과 상기 연통홈(130)이 상기 메사블랭크(10) 배면(12)에 의하여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 라인(140)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 유량이 작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그(110)는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사블랭크(10)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연통홈(130)은 상기 지그(110) 상면을 폭 방향으로 길게 음각하여 형성되는 것이, 상기 메사블랭크(10)의 전복 여부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100)에서 상기 진공홀(120)과 연통홈(130)의 이격 간격(D)은 상기 메사블랭크 홈(11)의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그(110)에는 상기 메사블랭크(10)의 검사 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그(110) 상면에서 상기 진공홀(120)과 상기 연통홈(130)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메사블랭크(10)의 안착 위치를 정확하게 한정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 스토퍼에 의하여 상기 메사블랭크(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진입하는 경우 다른 얼라인 과정없이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 라인(140)은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110)에서 상기 진공홀(12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진공홀(120)을 통하여 상기 메사블랭크(10)와 지그(110) 사이의 기체를 흡입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진공라인(140)은 상기 진공홀(120)과 상기 진공 펌프(15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배관으로서, 상기 진공홀(120)을 통하여 상기 진공홀(120) 주변의 기체를 흡입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 펌프(150)는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라인(14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기체를 흡입하는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 펌프(150)는 일반적인 펌프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량 센서(160)는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라인(140)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 라인을 통하여 이동하는 기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유량센서(160)는 상기 진공 라인 중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 라인(140)을 통과하는 유량을 감지하는 것이며, 특히, 상기 메사블랭크(10)가 검사 위치로 안착된 상태에서의 유량을 감지하고 그 유량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센서(160)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량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지그(110)에 안착된 상기 메사블랭크(10)의 반전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사블랭크(10)가 홈(11)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110)의 검사 위치에 안착된 경우에는 상기 진공홀(120)의 입구가 상기 메사블랭크(10)의 배면(12)에 의하여 막힌 상태이므로 유량이 작게 검출되고 이 유량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한다.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사블랭크(10)가 홈(11)이 하측을 향하도록 엎어진 상태에서 상기 지그(110)의 검사 위치에 안착된 경우에는 상기 진공홀(120)의 입구가 상기 홈(11) 및 상기 연통홈(130)을 통하여 외부 공간과 연통되므로 상기 진공 라인(140)을 통과하는 유량이 크게 검출되고 이 유량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이렇게 감지된 유량 데이터를 근거로 검사 위치에 안착된 상기 메사블랭크(10)의 반전 여부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단하는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
110 : 지그 120 : 진공홀
130 : 연통홈 140 : 진공 라인
150 : 진공 펌프 160 : 유량 센서
10 : 메사블랭크

Claims (5)

  1. 일면 중앙에 음각으로 홈이 형성된 메사블랭크가 그 상면에 놓이는 지그;
    상기 지그의 중앙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메사블랭크 홈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진공홀;
    상기 지그 상면 중 상기 진공홀과 인접하게 상기 지그를 음각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사블랭크 홈을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연통홈;
    상기 진공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진공홀을 통하여 상기 메사블랭크와 지그 사이의 기체를 흡입하는 진공라인;
    상기 진공라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기체를 흡입하는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 펌프;
    상기 진공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 라인을 통하여 이동하는 기체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
    상기 유량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량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지그에 안착된 상기 메사블랭크의 반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메사블랭크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연통홈은 상기 지그 상면을 폭 방향으로 길게 음각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홀과 연통홈의 이격 간격은 상기 메사블랭크 홈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는 상기 메사블랭크의 검사 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는,
    상기 진공홀 방향으로 상기 메사블랭크를 공급하는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사블랭크 반전 감지 장치.
KR1020200094551A 2020-07-29 2020-07-29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 KR10236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551A KR102362052B1 (ko) 2020-07-29 2020-07-29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551A KR102362052B1 (ko) 2020-07-29 2020-07-29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61A KR20220014661A (ko) 2022-02-07
KR102362052B1 true KR102362052B1 (ko) 2022-02-11

Family

ID=8025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551A KR102362052B1 (ko) 2020-07-29 2020-07-29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0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541A (ja) 1999-09-30 2001-04-10 Shinko Electric Co Ltd 部品整列装置
JP2012141168A (ja) 2010-12-28 2012-07-26 Icom Inc 筐体の密閉性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541A (ja) 1999-09-30 2001-04-10 Shinko Electric Co Ltd 部品整列装置
JP2012141168A (ja) 2010-12-28 2012-07-26 Icom Inc 筐体の密閉性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61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331B1 (ko) 연마 장치
JP2006276003A (ja) 分注装置
JP2010216956A (ja) サンプリング機構
KR102362052B1 (ko) 메사블랭크 반전 여부 검사장치
CN101598538A (zh) 工件检测装置
KR20060009804A (ko) 액정 패널 검사장치
US20140366611A1 (en) Sensing device
KR101774373B1 (ko) 액처리 장치, 액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710573B1 (ko) 확장가변형 2축레일이 구비된 초음파 탐상장치
JP2007192748A (ja) リークデテクタ
TWI497050B (zh) Rectangular plate-like crack inspection method and an inspection apparatus of
JPH1070209A (ja) 半導体装置用セラミック板の封止材の厚み測定装置
JP3860313B2 (ja) 超音波液面検知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液面検知方法
JP3224054U (ja) ガラス基板の分断縁検査装置
JP4037071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検出方法
JP4280169B2 (ja) 平行調整装置及び平行調整方法、ボンディング装置
KR101871698B1 (ko) 반송 장치
JP2010066242A (ja) 基板検査装置、及び、基板検査方法
TWM591613U (zh) 地板直角度測量儀器
JP2003004406A (ja) ウェーハのオリエンテーションフラットの直線性測定装置
JP2004028681A (ja) 液体分注装置用ヘッド
JP2001201304A (ja) 面取り寸法測定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面取り寸法測定方法
JP4029975B2 (ja) 半導体ウェーハのノッチの肩円弧部半径の測定方法
US7424828B2 (en) Device for detecting a cracked substrate
CN214372391U (zh) 木地板合格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