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46B1 - 공기청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청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46B1
KR102362046B1 KR1020200095311A KR20200095311A KR102362046B1 KR 102362046 B1 KR102362046 B1 KR 102362046B1 KR 1020200095311 A KR1020200095311 A KR 1020200095311A KR 20200095311 A KR20200095311 A KR 20200095311A KR 102362046 B1 KR102362046 B1 KR 10236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intake
fan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157A (ko
Inventor
주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피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피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피엔에스
Priority to KR102020009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0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청정 시스템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단일 실내 공간의 상기 각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오염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각 구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흡기부; 및 상기 각 구역으로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기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및 상기 복수개의 오염센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의 흡입량 및 정화 공기의 배출량을 상기 각 구역별 차등 제어하는 중앙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 시스템{Ai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공기청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복수개의 공기청정기를 중앙 관리하며, 각 공기청정기가 정화하는 실내 공간을 구획하여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주거공간이나 작업공간에 있어서 공기의 순환 및 정화는 필수적이며 따라서 모든 건축물들은 건축법 등과 같이 정해진 법에 의하여 설계되어지고 설치되어지는 환기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실내의 공기는 출입문의 개폐, 거주자의 이동, 창문을 통한 환기 등에서 발생되는 기류가 전부이며 동절기나 악천후에는 창문을 통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체된 공기는 호흡질환,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두통 등 매우 불쾌하고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 및 이러한 실내 공간이 다수 배치된 건물 등의 공기를 정화하는 시스템을 중앙 관리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또한, 실내 공간에서도 공기의 오염도가 상이할 수 있는 바, 실내 공간에서 오염도가 높은 구역에 대하여 집중적인 공기 정화가 실시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75105호(출원일 : 2004.01.15)
본 발명은 사람이 활동하는 실내 공간이 복수개 배치된 건물이나 학교 등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각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를 중앙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공기청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임의로 구획하고 각 구역별 오염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실내 공간의 구역별로 구동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공기청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내 공간의 사람의 유무, 온도/습도 및 계절에 따라 공기정화필터를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기정화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은,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단일 실내 공간의 상기 각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오염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각 구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흡기부; 및 상기 각 구역으로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기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및 상기 복수개의 오염센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의 흡입량 및 정화 공기의 배출량을 상기 각 구역별 차등 제어하는 중앙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센서모듈은 상기 실내 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공기 흡입량 및 정화 공기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움직임이 미감지되면 상기 공기 흡입량 및 정화 공기 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정화하는 건식 필터 및 습식 필터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의 센서모듈은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센싱 데이터와 온라인으로 수집된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식 필터 또는 상기 습식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개의 오염센서의 오염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기 질이 양호하면 상기 흡기부의 흡입 공기가 필터를 우회하도록 상기 공기청정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부는 상기 실내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 흡입 공기를 상기 공기청정기로 전달하는 흡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정화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으로 전달하는 배기덕트 및 상기 정화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흡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풍량을 측정하는 풍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에 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덕트팬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팬 모듈은, 상기 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덕트팬; 상기 덕트팬을 상기 흡기덕트 또는 배기덕트에 연결하되 상기 덕트팬이 상기 흡기덕트 또는 배기덕트의 벽면에 회동되어 밀착되도록 상기 덕트팬을 연결하는 전자제어식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은, 다방향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센서모듈;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의 위치에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흡기팬;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의 위치로 건식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건식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및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의 흡입량 및 정화 공기의 배출량을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의 방향별로 차등 제어하는 중앙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흡기팬이 설치되는 흡기 덕트; 일단이 상기 흡기 덕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식 필터에 연결되는 건식정화 덕트; 일단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측 중앙부위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식정화 덕트에 연결되는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건식정화 덕트에는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에 의해 절첩 및 구동 제어되는 절첩형 팬 및 상기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와의 사이를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에는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송풍하는 배기팬과 흡입된 공기로 정화수를 분사하는 습식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밸브 및 상기 절첩형 팬을 제어하여 상기 건식 필터에 의한 건식 정화 또는 상기 습식필터에 의한 습식 정화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흡기팬, 상기 절첩형 팬 및 상기 배기팬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의 흡입량 및 상기 정화 공기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 시스템에 따르면, 사람이 활동하는 실내 공간이 복수개 배치된 건물이나 학교 등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각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를 중앙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을 임의로 구획하고 각 구역별 오염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오염도에 따라 실내 공간의 구역별로 구동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의 사람의 유무, 온도/습도 및 계절에 따라 공기정화필터를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기정화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공기청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덕트에 설치된 덕트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청정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공기청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의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공기청정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의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공기청정기(110)와 이 공기청정기(110)들을 중앙 관리 및 제어하는 중앙 관리 시스템(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 시스템(100)은 사람이 활동하는 복수개의 실내 공간을 갖는 상가건물, 학교, 병원, 관공서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실내 공간에 하나의 공기청정기(110)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복수개의 공기청정기(110)는 각 실내 공간의 천장이나 벽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공기청정기(110)는 실내 공간의 수에 따라 제1공기청정기, 제2공기청정기 및 제n공기청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청정기 내지 제n공기청정기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110)는 흡기팬(111)과 흡기덕트(112)로 구성된 흡기부를 통해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정화한 후 배기팬(113)과 배기덕트(114)로 구성된 배기부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배기한다. 공기청정기(110)는 실내 공간을 임의로 구획한 후 각 구역별로 흡기부와 배기부를 한 쌍으로 배치하게 된다. 즉, 하나의 실내 공간을 4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게 되면, 4개의 구역 각각에 대하여 흡기부와 배기부 한 쌍이 모두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흡기부와 배기부는 각 구역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각 구역의 벽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내 공간의 구획 수 및 흡기부와 배기부의 수는 설치 공간의 형태, 면적, 부피 등을 고려하여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10)는 중앙 관리 시스템(130)과 통신하여 중앙 관리 시스템(130)으로 실내 공간의 환경 데이터를 전송하고 중앙 관리 시스템(130)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청정기(110)는 통신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부(115)는 중앙 관리 시스템(130)과 유선으로 통신하는 CAN(Corporate Area Network), RS-485 등의 유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유선 통신모듈이거나, 와이파이,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통신모듈일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10)는 센서모듈(116)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16)은 공기청정기(110)에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는 바, 공기청정기(110)는 센서모듈(116)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근거리에서 센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센서모듈(116)과 공기청정기(110)는 각각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10)는 실내 공간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16)은 모션 센서(116a), 온도 센서(116b), 습도 센서(116c) 및 흡기부와 배기부의 풍량을 감지하는 풍량 센서(116d)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116a)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실내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주기로 실내 공간을 센싱하여 모션 센싱 데이터를 공기청정기(110)로 전송한다.
온도 센서(116b)와 습도 센서(116c)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온도 센싱 데이터와 습도 센싱 데이터를 공기청정기(110)로 전송한다.
풍량 센서(116d)는 흡기부를 구성하는 흡기덕트(112)와 배기부를 구성하는 배기덕트(1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양, 즉 풍량을 감지하여 풍량 센싱 데이터를 공기청정기(110)로 전송한다. 이때 풍량 센서(116d)는 공기청정기(110)와 이격되어 덕트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110)로 풍량 센싱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기 위한 BLE 통신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공기청정기(110)에는 모두 4개의 흡기부 및 배기부 쌍이 구비됨에 따라, 풍량 센서(116d)는 4개의 흡기덕트(112a~112d) 및 4개의 배기덕트(114a~114d)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풍량 센서(116d)의 수량은 실내 공간의 구획 수, 흡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수량에 대응하여 증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공기청정기(110)에는 복수개의 흡기덕트(112)와 배기덕트(114)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10)는 하나의 실내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고 각 구역별로 흡기부와 배기부를 쌍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4개의 구역을 갖는 하나의 실내 공간에는 모두 4쌍의 흡기부와 배기부가 설치된다. 흡기팬(111)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흡기덕트(112)를 통해 공기청정기(110)로 유입되고, 공기청정기(110)에서 정화된 공기는 배기덕트(114)를 통해 배기팬(113)으로 전달되어 배출된다. 여기서, 흡기팬(111) 또는 배기팬(113)과 공기청정기(110)의 거리가 멀어 흡기덕트(112) 및 배기덕트(114)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그 내부의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흡기덕트(112) 및 배기덕트(114)에는 송풍을 위핸 덕트팬 모듈(117)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덕트팬 모듈(117)이 설치된 흡기덕트(112)를 일례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로, 덕트팬 모듈(117)은 송풍을 위한 덕트팬(117a)과 이 덕트팬(117a)을 흡기덕트(112) 및 배기덕트(114)의 벽면으로 회동시키는 전자제어식 힌지(117b) 및 중앙 관리 시스템(130)과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덕트팬(117a)은 흡기덕트(112) 또는 배기덕트(114)에서의 송풍량이 양호한 경우에는 전자제어식 힌지(117b)에 의해 접혀져 흡기덕트(112) 또는 배기덕트(114)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고, 송풍량이 불량한 경우에는 흡기덕트(112) 또는 배기덕트(114)의 송풍방향에 직교하게 펼쳐져 구동되어 흡기덕트(112) 또는 배기덕트(114) 내부의 송풍이 더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10)는 내부에 3가지 방식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배관이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패널 형태의 건식 필터로 오염 공기를 전달하는 건식 정화 배관, 수분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습식 필터로 오염 공기를 전달하는 습식 정화 배관 및 공기의 질이 양호한 경우 공기 정화 없이 공기를 순환 배출하는 환기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건식 정화 배관, 습식 정화 배관 및 환기 배관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나, 각 배관 사이에는 송풍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차단하는 전자제어식 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전자제어식 밸브는 중앙 관리 시스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관리 시스템(130)은 여름이나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습식 정화 배관과 환기 배관을 차단하도록 밸브를 제어하여 오염 공기를 건식 필터로 정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리 시스템(130)은 겨울이나 공기 중의 습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건식 정화 배관과 환기 배관을 차단하도록 밸브를 제어하여 오염 공기를 습식 필터로 정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리 시스템(130)은 실내 공기의 질이 양호하여 공기 정화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건식 정화 배관 및 습식 정화 배관을 차단하도록 밸브를 제어하여 공기의 정화 없이 환기 배관 및 배기부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식/습식/환기의 공기 순환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계절이나 공기 상황에 맞는 공기정화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도출될 수 있다.
중앙 관리 시스템(130)은 복수개의 공기청정기(110)를 중앙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공기청정기 내지 제n공기청정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 관리 시스템(130)은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시스템(130)은 복수개의 공기청정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공기청정기(110)의 구동을 제어하며, 도 1을 참조로, 중앙 관리 시스템은 공기청정기(110)의 구동 모드 제어(131), 필터 전환 제어(132), 덕트팬 제어(133) 및 청정기 팬 제어(134)를 실시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10)의 구동 모드 제어(131)는 저속모드(131a) 및 고속모드(13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 전환은 복수개의 공기청정기(110)에 설치된 모션 센서(116a)의 모션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각 공기청정기(110)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저속모드(131a)는 공기청정기(110)의 모션 센서(116a)를 통해 실내 공간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실시된다. 공기청정기의 구동시 흡기팬(111) 및 배기팬(113), 그리고 선택적으로 흡기덕트(112) 및 배기덕트(114)의 송풍을 돕는 덕트팬(117a)이 구동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학교나 도서관과 같이 학습을 위한 실내 공간에서 이러한 팬의 소음은 학습 장애 요소가 되므로, 모션 센싱 데이터에 의해 실내 공간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중앙 관리 시스템(130)은 공기청정기(110)를 저속 모드로 구동하게 되어, 상술한 팬의 구동 속도가 감속된다. 고속모드(131b)는 공기청정기(110)의 모션 센서(116a)를 통해 실내 공간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실시된다. 공기청정기(110)의 고속모드에서는 팬의 구동 속도가 증속되게 되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즉, 고속모드는 실내 공간에 사람이 없을 경우, 고속모드를 수행하여 해당 실내 공간의 공기를 집중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있게 한다.
공기청정기(110)의 필터 전환 제어(132)는 실내 공기의 습도 또는 계절에 따라 건식 필터를 사용하는 건식 필터 모드(132a)와 습식 필터를 사용하는 습식 필터 모드(132b)를 전환한다. 즉, 필터 전환 제어(132)는 공기청정기(110)의 온도 센서(116b), 습도 센서(116c)의 센싱 데이터 및 필요한 경우에는 온라인 기상청 등에서 제공하는 Online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공기의 습도 및 계절을 판별하여 필터를 전환한다. 예를 들면, 공기 중의 습도가 높거나 여름의 경우에는 건식 필터를 사용하도록 전환하고, 공기 중의 습도가 낮거나 겨울의 경우에는 정화된 공기와 함께 습기를 제공하도록 습식 필터를 사용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 전환 제어(132)는 모든 공기청정기(110)를 일괄적으로 통합 제어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공기청정기(110)의 습도 센서(116c)의 습도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공기청정기(110)별로 개별 제어할 수도 있다.
공기청정기(110)의 덕트팬 제어(133)는 흡기덕트(112)와 배기덕트(114)의 풍량을 감지하는 풍량 센서(116d)의 풍량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덕트팬(117a)을 구동 제어한다. 흡기덕트(112)나 배기덕트(114)의 풍량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낮게 되면 덕트팬(117a)을 구동하게 되며, 이때 덕트팬 모듈(117)의 전자제어식 힌지(117b)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접혀진 덕트팬(117a)을 펼치고 이후 덕트팬(117a)을 구동시켜 송풍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풍량 센서(116d)를 통해 감지된 풍량이 설정된 기준치에 도달하게 되면 힌지(117b)를 가동시켜 덕트팬(117a)이 덕트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덕트팬(117a)을 접을 수 있다.
공기청정기(110)의 청정기 팬 제어(134)는 실내 공간의 각 구역에 설치된 오염 센서(116e)의 오염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흡기팬(111)과 배기팬(113)의 구동 속도를 증감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로, 실내 공간에는 1구역부터 4구역까지 모두 4개의 구역이 임의로 구획되고, 각 구역에는 제1오염 센서(116e-1) 내지 제4오염 센서(116e-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오염 센서(116e-1) 내지 제4오염 센서(116e-4)는 각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센싱하여 오염 센싱 데이터를 공기청정기(110)로 무선 전송하게 되며, 이 오염 센싱 데이터는 중앙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되게 된다. 중앙 관리 시스템(130)은 각 구역별 오염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실내 공간의 각 구역의 흡기팬(111)과 배기팬(113)의 구동 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도 각 구역마다 공기의 오염도가 상이할 수 있다. 1구역에 출입문, 창문 등이 설치되어 외부의 오염 공기가 유입되거나 1구역에 히터 등의 난방기 등이 설치되어 있어 1구역의 공기 오염도가 다른 구역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는 경우, 1구역의 공기를 더 빠르게 흡입하여 정화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1구역의 제1흡기팬(111a)과 제1배기팬(113a)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4구역에 아레카야자, 관음죽, 대나무 야자, 스파티필룸 등의 공기정화식물이 배치되어 있어, 4구역의 공기 오염도가 다른 구역에 비하여 양호한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 4구역의 제4흡기팬(111d)과 제4배기팬(113d)의 구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공기청정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4를 참조로 공기청정기 구동 확인 단계(S110), 공기청정기 주변 환경 데이터 수집 단계(S120), 구동 모드 제어 단계(S130), 필터 전환 제어 단계(S140), 구역별 청정기 팬 제어 단계(S150) 및 덕트팬 제어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모드 제어 단계(S130), 필터 전환 제어 단계(S140), 구역별 청정기 팬 제어 단계(S150) 및 덕트팬 제어 단계(S160)는 공기청정기 주변 환경 데이터 수집 단계(S120)에서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 구동 확인 단계(S110)는 건물이나 학교 등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실내 공간에 하나씩 설치된 공기청정기(110)의 구동 여부를 확인한다. 공기청정기(110)가 구동됨이 확인되면 구동된 공기청정기(110)를 중앙 집중 제어하도록 공기청정기(110)에 센서모듈(116)로부터의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공기청정기 주변 환경 데이터 수집 단계(S120)는 중앙 관리 시스템(130)의 지시를 수신한 공기청정기(110)가 센서모듈(116)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중앙 관리 시스템(130)으로 전송한다. 센싱 데이터는 실내 공간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싱 데이터,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 온도 및 습도 센싱 데이터, 흡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풍량을 감지한 풍량 센싱 데이터, 실내 공간의 각 구역별로 설치된 복수개의 오염센서로부터 공기 오염도를 측정한 오염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드 제어 단계(S130)는 모션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내 공간에 사람의 유무를 판별하여 구동 모드를 전환한다. 실내 공간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청정기를 고속 구동하는 고속모드로, 실내 공간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공기청정기를 저속 구동하는 저속모드로 전환한다. 실질적으로 고속모드와 저속모드는 흡기팬과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증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전환 제어 단계(S140)는 실내 공간의 온도, 습도 및 계절에 대응하여 건식 필터와 습식 필터를 전환 제어한다. 실내 공간의 습도가 높거나 여름인 경우 건식 필터로 공기를 정화하도록 제어하고, 실내 공간의 습도가 낮거나 겨울인 경우 습식 필터로 공기를 정화하도록 제어하여 공기 중에 수분을 함께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 관리 시스템은 온라인 기상 정보를 획득하여 계절을 판단할 수 있다.
구역별 청정기 팬 제어 단계(S150)는 하나의 실내 공간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한 후 각 구역별로 설치되어 구역별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오염 센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각 구역별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흡기팬과 배기팬의 구동을 제어한다. 하나의 실내 공간에서 공기 오염도가 더 높게 측정되는 구역에 배치되는 흡기팬과 배기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해당 구역에서 더 많은 공기를 정화하여 집중 관리할 수 있다.
덕트팬 제어 단계(S160)는 하나의 공기청정기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흡기덕트 및 배기덕트 내부의 풍량을 측정하는 풍량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흡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내부에 설치된 덕트팬 모듈의 구동을 제어한다. 실내 공간의 형상에 따라 흡기팬 또는 배기팬으로부터 공기청정기까지의 거리가 멀 수 있다. 즉, 흡기덕트와 배기덕트의 길이가 길어져 덕트 내부에서 송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풍량센서로 덕트의 풍량을 감지한 후, 풍량이 기준치보다 낮게 되면 덕트팬 모듈을 구동하여 풍량 및 풍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공기청정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6은 제2실시예의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시스템(200)은 복수개의 공기청정기(210)와 이 공기청정기(210)들을 중앙 관리 및 제어하는 중앙 관리 시스템(2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 시스템(200)은 사람이 활동하는 복수개의 실내 공간을 갖는 상가건물, 학교, 병원, 관공서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실내 공간에 하나의 공기청정기(210)가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나의 실내 공간에 여러 대의 공기청정기(21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청정기(210)는 각 실내 공간의 바닥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청정기(210)는 제1공기청정기, 제2공기청정기 및 제n공기청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청정기 내지 제n공기청정기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210)는 흡기팬(211)으로 구성된 흡기부를 통해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정화한 후 배기팬(212)과 절첩형 팬(213)으로 구성된 배기부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배기한다. 공기청정기(210)는 실내 공간을 임의로 구획한 후 각 구역별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실내 공간을 4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게 되면, 4개의 구역 각각에 대하여 공기청정기(210)가 모두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210)는 중앙 관리 시스템(230)과 통신하여 중앙 관리 시스템(230)으로 실내 공간의 환경 데이터를 전송하고 중앙 관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청정기(210)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부는 중앙 관리 시스템(230)과 와이파이,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통신모듈일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210)는 실내 공간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214)은 모션 센서(214a), 온도 센서(214b), 습도 센서(214c) 및 오염 센서(214d)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214a)는 실내 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실내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주기로 실내 공간을 센싱하여 모션 센싱 데이터를 공기청정기(210)로 전송한다. 온도 센서(214b)와 습도 센서(214c)는 실내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온도 센싱 데이터와 습도 센싱 데이터를 공기청정기(210)로 전송한다. 오염 센서(214d)는 공기청정기(210)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센싱하여 공기청정기(210)로 전송한다.
중앙 관리 시스템(230)은 복수개의 공기청정기(210)를 중앙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공기청정기 내지 제n공기청정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 관리 시스템(230)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시스템(230)은 복수개의 공기청정기(21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공기청정기(210)의 구동을 제어하며, 도 5를 참조로, 중앙 관리 시스템은 공기청정기(210)의 구동 모드 제어(231), 필터 전환 제어(232) 및 청정기 팬 제어(233)를 실시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210)의 구동 모드 제어(231)는 저속모드(231a) 일반모드(231c) 및 고속모드(23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 전환은 복수개의 공기청정기(210)에 설치된 모션 센서(214a)의 모션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각 공기청정기(210)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저속모드(231a)는 공기청정기(210)의 모션 센서(214a)를 통해 실내 공간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실시된다. 학교나 도서관과 같이 학습을 위한 실내 공간에서 공기청정기(210)의 팬의 소음은 학습 장애 요소가 되므로, 모션 센싱 데이터에 의해 실내 공간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중앙 관리 시스템(230)은 공기청정기(210)를 저속 모드로 구동하게 되어, 공기청정기(210)의 팬의 구동 속도가 감속된다. 고속모드(231b)는 공기청정기(210)의 모션 센서(214a)를 통해 실내 공간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실시된다. 공기청정기(210)의 고속모드에서는 팬의 구동 속도가 증속되게 되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즉, 고속모드는 실내 공간에 사람이 없을 경우, 고속모드를 수행하여 해당 실내 공간의 공기를 집중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있게 한다. 일반모드(231c)는 실내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나 공기 오염도가 높을 경우 실시된다.
공기청정기(210)의 필터 전환 제어(232)는 실내 공기의 습도 또는 계절에 따라 건식 필터를 사용하는 건식 필터 모드(232a)와 습식 필터를 사용하는 습식 필터 모드(232b)를 전환한다. 즉, 필터 전환 제어(232)는 공기청정기(210)의 온도 센서(214b), 습도 센서(214c)의 센싱 데이터 및 필요한 경우에는 온라인 기상청 등에서 제공하는 Online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공기의 습도 및 계절을 판별하여 필터를 전환한다. 예를 들면, 공기 중의 습도가 높거나 여름의 경우에는 건식 필터를 사용하도록 전환하고, 공기 중의 습도가 낮거나 겨울의 경우에는 정화된 공기와 함께 습기를 제공하도록 습식 필터를 사용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 전환 제어(232)는 모든 공기청정기(210)를 일괄적으로 통합 제어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공기청정기(210)의 습도 센서(214c)의 습도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공기청정기(210)별로 개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210)는 내부에 3가지 방식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배관이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패널 형태의 건식 필터로 오염 공기를 전달하는 건식 정화 배관, 수분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습식 필터로 오염 공기를 전달하는 습식 정화 배관 및 공기의 질이 양호한 경우 공기 정화 없이 공기를 순환 배출하는 환기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건식 정화 배관, 습식 정화 배관 및 환기 배관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나, 각 배관 사이에는 송풍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차단하는 팬과 전자제어식 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팬과 전자제어식 밸브는 중앙 관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 전환 제어는 도 7을 참조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청정기(210)의 청정기 팬 제어(233)는 공기청정기(210) 내부의 다양한 팬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청정기 팬 제어(233)도 도 7을 참조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공기청정기(2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21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박스 형태를 가지나 공기청정기(210)의 외관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210)는 상측 중앙 부위에 정화 공기 또는 환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15)가 형성되고, 저면측에는 실내 공간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4개의 유입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210)는 유입구(216)의 아래쪽에 오염 공기의 습식 정화에 사용되는 정화수(물)이 보관되는 습식 필터용 수조(217)가 슬라이드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며, 센서모듈(214)과 건식 필터(218)가 구비될 수 있다. 건식 필터(218)는 유입구(216)의 수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건식 정화 시 유입구(216)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해당 유입구(216)가 배치되는 면의 건식 필터(218)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공기청정기(210)는 중앙 관리 시스템(230)의 제어에 의해 건식 정화, 습식 정화 및 환기가 제어될 수 있으며, 건식 정화시 유입구(216)를 통해 유입된 오염 공기는 건식 필터(218)를 통해 배출되고, 습식 정화 및 환기시 유입구(216)를 통해 유입된 오염 공기는 배출구(215)를 통해 배출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210)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의 덕트가 구비되며 각 덕트는 중앙 관리 시스템(23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공기청정기(2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210)는 내부에 흡기팬(211), 배기팬(212) 및 절첩형 팬(213)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팬들은 중앙 관리 시스템(230)에 의해 구동 및 절첩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210)는 내부에 공기를 유동하며 서로 연통되는 덕트(2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흡기 덕트(221), 건식정화 덕트(222),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223)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흡기 덕트(221)는 유입공(216)과 연통되며 흡기 덕트(221)에는 실내 공간의 오염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흡기팬(211)이 구비된다.
건식정화 덕트(222)는 흡기 덕트(221)에 연통되고 공기청정기(210)의 수직방향을 따라 건식 필터(218)까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 흡기 덕트(221)의 내부에는 전자제어식 힌지를 통해 흡기 덕트(221)에 대해 절첩될 수 있는 절첩형 팬(213)이 구비될 수 있다. 절첩형 팬(213)은 중앙 관리 시스템(230)의 제어에 의해 절첩 및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절첩형 팬(213)은 건식 정화 시 흡기팬(211)이 고속 구동되어 건식정화 덕트(222)의 유속이 충분할 경우 중앙 관리 시스템(230)에 의해 접혀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절첩형 팬(213)은 건식 정화 시 흡기팬(211)이 저속 구동되어 건식정화 덕트(222)의 유속이 부족할 경우 중앙 관리 시스템(230)에 의해 펼쳐져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절첩형 팬(213)은 습식 정화 시 오염 공기가 건식 필터(218)쪽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펼쳐져 오염 공기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건식정화 덕트(222)는 건식 정화 시 오염 공기가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223)로 유동됨을 방지하도록 폐쇄하는 전자제어식 밸브(224)를 구비하며, 이 밸브(224)도 중앙 관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223)는 건식정화 덕트(222)와 연통되고 타측은 공기청정기(210)의 상측 중앙부위의 배출구(215)와 연통된다. 또한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223)는 건식정화 덕트(222)를 통해 전달되는 오염 공기를 습식 정화하기 위한 분무형 습식필터(225)와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212)을 구비한다. 분무형 습식필터(225)는 습식 필터용 수조(217)에 보관된 정화수를 오염 공기 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오염 공기의 유해물질이 정화수에 흡착되게 함으로써 오염 공기를 습식 정화하게 된다. 이렇게 습식 정화된 청정 공기는 배기팬(212)에 의해 상승하여 배출구(2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배출구(215)로 배출되는 청정 공기는 수분을 포함하게 되며, 이를 통해 실내의 습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분무된 정화수는 습식 필터용 수조(217)로 연통되는 배수구를 통해 습식 필터용 수조(217)에 보관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의 공기청정기(210)는 센서모듈(214)로부터 수집된 공기청정기(210) 주변의 공기 상태(오염, 온도, 습도 등)에 따라 중앙 관리 시스템(23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중앙 관리 시스템(230)은 여름이나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223)를 폐쇄하도록 밸브(224)를 차단하고 배기팬(212)과 습식필터(225)를 미구동 제어하여 건식 정화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중앙 관리 시스템(230)은 겨울이나 공기 중의 습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건식정화 덕트(222)를 폐쇄하도록 절첩형 팬(213)을 펼치게 되고 배기팬(212) 및 습식필터(225)를 구동하여 습기를 머금은 정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습식 정화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의 공기청정기(210)는 복수개의 센서모듈(214), 본 실시예에서는 4면을 센싱하도록 4개의 센서모듈(214)을 구비하고 있어, 공기청정기(210)의 4면의 공기 오염도를 각각 센싱할 수 있다. 즉, 공기청정기(21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일측면 또는 두개의 면 방향의 공기 오염도가 다른 면에 비해 월등히 높게 측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중앙 관리 시스템(230)은 공기 오염도가 높은 방향으로부터 더 많은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하도록 공기청정기(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앙 관리 시스템(230)은 높은 공기 오염도를 감지한 센서모듈(214)이 위치하는 흡기팬(211)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켜 더 많은 실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식/습식/환기의 공기 순환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계절이나 공기 상황에 맞는 공기정화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도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200: 공기청정 시스템
110,210: 공기청정기
111,211: 흡기팬
112: 흡기덕트
113,212: 배기팬
114: 배기덕트
117: 덕트팬 모듈
117a: 덕트팬
117b: 힌지
213: 절첩형 팬

Claims (10)

  1.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단일 실내 공간의 상기 각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오염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각 구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흡기부; 및 상기 각 구역으로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기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및
    상기 복수개의 오염센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의 흡입량 및 정화 공기의
    배출량을 상기 각 구역별 차등 제어하는 중앙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정화하는 건식 필터 및 습식 필터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의 센서모듈은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센싱 데이터와 온라인으로 수집된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건식 필터 또는 상기 습식 필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청정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센서모듈은 상기 실내 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공기 흡입량 및 정화 공기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움직임이 미감지되면 상기 공기 흡입량 및 정화 공기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공기청정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개의 오염센서의 오염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기 질이 양호하면 상기 흡기부의 흡입 공기가 필터를 우회하도록 상기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실내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 흡입 공기를 상기 공기청정기로 전달하는 흡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정화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으로 전달하는 배기덕트 및 상기 정화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흡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풍량을 측정하는 풍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에 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덕트팬 모듈이 구비되는 공기청정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덕트팬 모듈은,
    상기 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덕트팬; 상기 덕트팬을 상기 흡기덕트 또는 배기덕트에 연결하되 상기 덕트팬이 상기 흡기덕트 또는 배기덕트의 벽면에 회동되어 밀착되도록 상기 덕트팬을 연결하는 전자제어식 힌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7. 다방향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센서모듈;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의 위치에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개의 흡기팬;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의 위치로 건식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건식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및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기의 흡입량 및 정화 공기의 배출량을 상기 복수개의 센서모듈의 방향별로 차등 제어하는 중앙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흡기팬이 구비되는 흡기 덕트; 일단이 상기 흡기 덕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식 필터에 연결되는 건식정화 덕트; 일단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측 중앙부위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식정화 덕트에 연결되는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건식정화 덕트에는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에 의해 절첩 및 구동 제어되는 절첩형 팬 및 상기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와의 사이를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습식정화 및 환기 덕트에는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송풍하는 배기팬과 흡입된 공기로 정화수를 분사하는 습식필터가 구비되는 공기청정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밸브 및 상기 절첩형 팬을 제어하여 상기 건식 필터에 의한 건식 정화 또는 상기 습식필터에 의한 습식 정화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은 상기 흡기팬, 상기 절첩형 팬 및 상기 배기팬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의 흡입량 및 상기 정화 공기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KR1020200095311A 2020-07-30 2020-07-30 공기청정 시스템 KR10236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11A KR102362046B1 (ko) 2020-07-30 2020-07-30 공기청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311A KR102362046B1 (ko) 2020-07-30 2020-07-30 공기청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157A KR20220015157A (ko) 2022-02-08
KR102362046B1 true KR102362046B1 (ko) 2022-02-11

Family

ID=8025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311A KR102362046B1 (ko) 2020-07-30 2020-07-30 공기청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0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298B1 (ko) * 2009-10-23 2010-06-04 (주)동양테크놀로지 센싱 분산형 크린 공기 조화기
KR101311181B1 (ko) * 2012-06-21 2013-09-26 김송이 공기조화시스템
JP2017020734A (ja) * 2015-07-13 2017-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空気清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835A (ja) * 1989-12-25 1991-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調装置
KR100687360B1 (ko) 2004-01-15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298B1 (ko) * 2009-10-23 2010-06-04 (주)동양테크놀로지 센싱 분산형 크린 공기 조화기
KR101311181B1 (ko) * 2012-06-21 2013-09-26 김송이 공기조화시스템
JP2017020734A (ja) * 2015-07-13 2017-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空気清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157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03321A (ja) 換気システム
KR102008625B1 (ko) 천장 부착 외기 도입형 공기청정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KR102167857B1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시스템
KR102302110B1 (ko)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KR102081237B1 (ko) 환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기청정기
JP2009168428A (ja) 空気調和機
KR102142196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JP6466155B2 (ja) 住宅
JP4457774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並びに建物構造
JP7418852B2 (ja) ダクト式空調換気システム
JP2024036429A (ja) 空調換気システム
JPH11223370A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方法
KR102362046B1 (ko) 공기청정 시스템
JP5266494B2 (ja) 建築物の換気構造
JP2009236387A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JPH09280604A (ja) 空気調和装置
JP4756975B2 (ja) 住宅換気システム
KR100598130B1 (ko) 여과환기시스템
CN205372835U (zh) 主动式新风窗
KR102533650B1 (ko) 흡연 부스
JP2004003837A (ja) 空気調和装置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KR102186962B1 (ko)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102082421B1 (ko)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