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962B1 -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962B1
KR102186962B1 KR1020200119549A KR20200119549A KR102186962B1 KR 102186962 B1 KR102186962 B1 KR 102186962B1 KR 1020200119549 A KR1020200119549 A KR 1020200119549A KR 20200119549 A KR20200119549 A KR 20200119549A KR 102186962 B1 KR102186962 B1 KR 10218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air
guide
discharge
guid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동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에이씨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에이씨케이 filed Critical (주)에스엠에이씨케이
Priority to KR1020200119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01D46/001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24F2003/165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공장 건물에 적용하여 공장 건물 내의 오염도 높은 공기를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장 건물 주변의 공기도 함께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켜 실내 측으로 오염도가 극소화된 쾌적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된 기록을 저장시켜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시스템에 대한 공기청정효율을 체크하면서 체크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한 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방식을 통해 프로그램화하여 측정된 기록에 따라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인공지능 기능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Smart clean exhaust chimney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공장 건물에 적용하여 공장 건물 내의 오염도 높은 공기를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장 건물 주변의 공기도 함께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켜 실내 측으로 오염도가 극소화된 쾌적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된 기록을 저장시켜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시스템에 대한 공기청정효율을 체크하면서 체크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한 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방식을 통해 프로그램화하여 측정된 기록에 따라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인공지능 기능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창이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건축이 된다.
그러나 건물에 구비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경우, 건물의 냉난방효율이 하락되고, 최근에는 건물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의 설치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건물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가 건물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의 환기장치는 건물의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덕트가 설치되고, 이 덕트를 통해 실내 및 실외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 및 유입하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건물의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환기장치는 창을 통해 직접적으로 환기를 시키지 않기 때문에 건물의 냉난방효율을 향상시키고, 창이 없는 실내에서도 환기를 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환기장치는 공장 건물이 아닌 일반 건물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공장 건물에 적용될 경우에는 공장 내부의 오염도가 높은 공기와 공장 주변의 오염도가 높은 공기에 대하여 청정화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공장 건물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공장 건물에 적용하여 공장 건물 내의 오염도 높은 공기를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장 건물 주변의 공기도 함께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켜 실내 측으로 오염도가 극소화된 쾌적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53626호 2018.04.30.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41226호 2017.05.23.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08349호 2012.11.29.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5995호 2012.01.06.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공장 건물에 적용하여 공장 건물 내의 오염도 높은 공기를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장 건물 주변의 공기도 함께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켜 실내 측으로 오염도가 극소화된 쾌적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의 구성을 통해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된 기록을 저장시켜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시스템에 대한 공기청정효율을 체크하면서 체크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한 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방식을 통해 프로그램화하여 측정된 기록에 따라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인공지능 기능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은 사각박스 타입에 대한 상단 중앙으로부터 일단에 이르는 부분이 상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건물외부노출연장부가 형성되는 박스 타입으로 형성되어,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하측 일정길이에 걸친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되고,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내부에 내벽과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상단이 내향 라운드진 중공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어 외기흡입공을 통해 건물 외부에서 흡입되는 외기를 상향 배출안내하는 흡입외기배출가이드가 구비되며, 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 중앙에서 일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이르도록 판 상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과, 제1격벽의 하단과 일정거리 떨어진 내부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단 중앙에 이르도록 판 상으로 구비되는 제2격벽에 의해, 내부공간이 건물외부노출연장부 상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배출안내공간,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의 바이패스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과 상측부분이 연통되는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한편, 외부배출안내공간의 하측 부분에 상기 제1격벽 하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분리벽이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과 바이패스안내공간 각각 1/2씩 연통되게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고, 외부배출안내공간의 상측 부분에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안내되는 실내공기배출관이 구비되며, 실내유입안내공간의 상측 부분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유입관이 구비되고, 실내유입안내공간의 하측 부분에 외부공기 또는 바이패스된 실내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는 외부공기배출관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실내공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송풍 안내하는 제1송풍팬;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공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상기 실내공기유입관을 통해 바이패스된 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송풍 안내하는 제2송풍팬; 상기 실내공기유입관 내의 바이패스안내공간과 연통되는 분리벽 일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실내로 바이패스 안내되도록 조절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 내의 외부배출안내공간과 연통되는 분리벽 타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 실내공기유입관 내부의 외부배출안내공간과 연통되는 측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 상기 케이스의 건물외부노출연장부 상단에 설치되는 배출안내갓; 상기 케이스의 실내공기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배출안내갓의 하면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공기오염도측정센서; 및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의 중앙부분, 외부배출안내공간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 내부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 하측과 상측에 설치되며,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안내되는 공기 또는 건물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에서의,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은 정역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 조작시키며, 실내공기를 실내로 바이패스 안내되도록 하는 정역모터와, 정역모터로부터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 회전되며, 실내공기유입관의 일 측 외부에 배치되는 정역모터로부터 분리벽 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관통 설치되며, 정역모터로부터 돌출된 단부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축과, 일단이 구동축 단부와 연결설치되고, 구동축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 측인 타단의 단부가 분리벽에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며, 구동축과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구동축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동축과, 상기 연동축과 구동축의 마주하는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와, 한 쌍으로 제공되어, 구동축의 나사산 및 연동축의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구동축과 연동축의 정, 역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구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거나 연결구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는 개폐조절구 및 산형 또는 역 산형으로 중앙부분이 힌지구조로 절첩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개폐조절구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연결되며, 개폐조절구의 이송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안내공간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개폐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의 개폐조절구는 연결구 반대 측으로 이송시에 실내공기유입관의 내면 또는 분리벽과 밀착되는 단부에 긴밀한 밀폐를 위한 실리콘 도포층이 더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에서의,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은 정역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 조작시키며,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정역모터와, 정역모터로부터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 회전되며, 실내공기유입관의 타 측 외부에 배치되는 정역모터로부터 분리벽 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관통 설치되며, 정역모터로부터 돌출된 단부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축과, 일단이 구동축 단부와 연결설치되고, 구동축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 측인 타단의 단부가 분리벽에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며, 구동축과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구동축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동축과, 상기 연동축과 구동축의 마주하는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와, 한 쌍으로 제공되어, 구동축의 나사산 및 연동축의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구동축과 연동축의 정, 역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구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거나 연결구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는 개폐조절구 및 산형 또는 역 산형으로 중앙부분이 힌지구조로 절첩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개폐조절구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연결되며, 개폐조절구의 이송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실내공기를 외부배출안내공간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개폐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의 개폐조절구는 연결구 반대 측으로 이송시에 실내공기유입관의 내면 또는 분리벽과 밀착되는 단부에 긴밀한 밀폐를 위한 실리콘 도포층이 더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외기배출가이드는 중공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리된 2개 이상의 판으로 제공되는 한편, 흡입외기배출가이드가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내부 중앙 측으로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외기흡입공을 통한 흡입 외기의 흡입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건물외부노출연장부 내벽에 회전을 통해 흡입외기배출가이드를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내부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배출가이드유동캠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외부노출연장부 내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 내측 중앙에는 외부배출안내공간을 거쳐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감속과 증속이 연이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단과 상단이 협소하고 중앙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외부배출안내공간을 거쳐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감속 또는 증속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건물외부노출연장부 내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 내측 중앙에는 하단이 협소하고 상향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상단이 일정면적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는 협소한 단부가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축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협소한 단부가 상단에 위치하도록 조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물외부노출연장부는 외기흡입공이 형성되는 길이에 대하여 길이방향 중앙부분이 내향 부등호 타입으로 함몰형성되며, 내향 부등호 타입으로 함몰형성된 측벽부분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외부배출안내공간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내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협소해진 후 확장되는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가속 후 확산되면서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격벽의 하단과 일정거리 떨어진 내부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단 중앙에 이르도록 판 상으로 구비되는 제2격벽에 의해, 내부공간이 건물외부노출연장부 상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배출안내공간,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의 바이패스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과 상측부분이 연통되는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도록, 제2격벽은 상측부분에 바이패스안내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개폐수단인 개폐댐퍼가 구비되거나, 상측부분에 별도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유닛은 실내유입안내공간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유입필터유닛과, 외부배출안내공간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 내부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 하측에 설치되는 제1배출필터유닛과, 외부배출안내공간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 내부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 상측에 순차적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제2, 제3배출필터유닛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유입필터유닛은 실내유입안내공간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되 외부공기유입관 측에 배치되는 프리필터와, 프리필터로부터 외부공기배출관 측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플라즈마 이오나이저 및 플라즈마 이오나이저의 프리필터와 대향되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카본 나노볼 필터로 구성된 나노 플라즈마필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공장 건물에 적용하여 공장 건물 내의 오염도 높은 공기를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장 건물 주변의 공기도 함께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둘째,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켜 실내 측으로 오염도가 극소화된 쾌적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셋째,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의 구성을 통해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된 기록을 저장시켜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시스템에 대한 공기청정효율을 체크하면서 체크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한 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방식을 통해 프로그램화하여 측정된 기록에 따라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인공지능 기능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낮을 경우 실내공기가 바이패스되고 외부공기도 유입되면서, 바이패스 공기와 외부유입공기가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1 사용상태 정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 실내공기가 바이패스되지 않으면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바이패스 공기와 외부유입공기가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2 사용상태 정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낮을 경우 실내공기가 바이패스되고 외부공기도 유입되면서, 바이패스 공기와 외부유입공기가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1 사용상태 정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 실내공기가 바이패스되지 않으면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바이패스 공기와 외부유입공기가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2 사용상태 정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은 크게 분류하면, 케이스(110), 제1송풍팬(141), 제2송풍팬(142),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131'), 배출안내갓(101), 외부공기오염도측정센서(101a) 및 필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10)는 사각박스 타입에 대한 상단 중앙으로부터 일단에 이르는 부분이 상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가 형성되는 박스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특히,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하측 일정길이에 걸친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110a')이 관통형성되며,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내부에 내벽과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상단이 내향 라운드진 중공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어 외기흡입공(110a')을 통해 건물 외부에서 흡입되는 외기를 상향 배출안내하는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가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케이스(110)는 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 중앙에서 일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이르도록 판 상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111)과, 제1격벽(111)의 하단과 일정거리 떨어진 내부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단 중앙에 이르도록 판 상으로 구비되는 제2격벽(112)에 의해, 내부공간이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상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배출안내공간(121), 제1격벽(111)과 제2격벽(112) 사이의 바이패스안내공간(122), 바이패스안내공간(122)과 상측부분이 연통되는 실내유입안내공간(123)으로 구획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10)는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의 하측 부분에 상기 제1격벽(111) 하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분리벽(131a)이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과 바이패스안내공간(122) 각각 1/2씩 연통되게 실내공기유입관(131)이 구비되고,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의 상측 부분에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안내되는 실내공기배출관(132)이 구비되며,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상측 부분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유입관(133)이 구비되고,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하측 부분에 외부공기 또는 바이패스된 실내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는 외부공기배출관(1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141)은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실내공기배출관(1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송풍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송풍팬(142)은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3)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공기배출관(134)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상기 실내공기유입관(131)을 통해 바이패스된 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송풍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은 실내공기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하거나 또는 실내로 바이패스 안내되도록 조절하는 것이며,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으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와 같은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은 상기 실내공기유입관(123) 내의 바이패스안내공간(122)과 연통되는 분리벽(131a) 일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실내로 바이패스 안내되도록 조절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과, 실내공기유입관(131) 내의 외부배출안내공간(121)과 연통되는 분리벽(131a) 타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에서의,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은 크게 분류하면, 정역모터(151)와, 구동축(152)과, 연동축(153)과, 연결구(154)와, 개폐조절구(155) 및 개폐편(156)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정역모터(151)는 정역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 조작시키며, 실내공기를 실내로 바이패스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축(152)은 정역모터(151)로부터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 회전되며, 실내공기유입관(123)의 일 측 외부에 배치되는 정역모터(151)로부터 분리벽(131a) 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관통 설치되며, 정역모터(151)로부터 돌출된 단부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동축(153)은 일단이 구동축(152) 단부와 연결설치되고, 구동축(152)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 측인 타단의 단부가 분리벽(131a)에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며, 구동축(152)과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구동축(152)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154)는 상기 연동축(153)과 구동축(153)의 마주하는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며, 즉 연결구(154)는 통상의 조인트나 커넥터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연동축(153)과 구동축(153)이 정역모터(151)의 회전구동시 상호 연동하여 동일방향으로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조절구(155)는 한 쌍으로 제공되어, 구동축(152)의 나사산 및 연동축(153)의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구동축(152)과 연동축(153)의 정, 역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구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거나 연결구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편(156)은 산형 또는 역 산형으로 중앙부분이 힌지구조로 절첩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개폐조절구(155)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연결되며, 개폐조절구(155)의 이송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안내공간(122)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에서, 특히 개폐조절구(155)는 연결구 반대 측으로 이송시에 실내공기유입관(131)의 내면 또는 분리벽(131a)과 밀착되는 단부에 긴밀한 밀폐를 위한 실리콘 도포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이패스용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15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10)의 외부 일 측에 구비된 컨트롤박스(미도시)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에서의,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은 바이패스안내공간(122) 측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안내되거나 안내되지 못하게 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과는 실내공기유입관(131)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은 크게 분류하면, 정역모터(161)와, 구동축(162)과, 연동축(163)과, 연결구(164)와, 개폐조절구(165) 및 개폐편(166)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정역모터(161)는 정역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 조작시키며,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축(162)은 정역모터(161)로부터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 회전되며, 실내공기유입관(131)의 타 측 외부에 배치되는 정역모터(161)로부터 분리벽(131a) 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관통 설치되며, 정역모터(161)로부터 돌출된 단부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동축(163)은 일단이 구동축(162) 단부와 연결설치되고, 구동축(162)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 측인 타단의 단부가 분리벽(131a)에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며, 구동축(162)과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구동축(162)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164)는 상기 연동축(163)과 구동축(162)의 마주하는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구(164)는 예컨대, 통상의 조인트나 커넥터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연동축(163)과 구동축(163)이 정역모터(161)의 회전구동시 상호 연동하여 동일방향으로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부재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조절구(165)는 한 쌍으로 제공되어, 구동축(162)의 나사산 및 연동축(163)의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구동축(162)과 연동축(163)의 정, 역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구(164)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거나 연결구(164)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편(166)은 산형 또는 역 산형으로 중앙부분이 힌지구조로 절첩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개폐조절구(165)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연결되며, 개폐조절구(165)의 이송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실내공기를 외부배출안내공간(121)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에서, 특히 상기 개폐조절구(165)는 연결구(164) 반대 측으로 이송시에 실내공기유입관(131)의 내면 또는 분리벽(131a)과 밀착되는 단부에 긴밀한 밀폐를 위한 실리콘 도포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은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과 마찬가지로서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10)의 외부 일 측에 구비된 컨트롤박스(미도시)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131')는 실내공기유입관(131) 내부의 외부배출안내공간(121)과 연통되는 측의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안내갓(101)은 상기 케이스(110)의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공기오염도측정센서(101a)는 상기 케이스(110)의 실내공기배출관(13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배출안내갓(101)의 하면 일 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중앙부분, 외부배출안내공간(121)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부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하측과 상측에 설치되며, 실내유입안내공간(123)으로 안내되는 공기 또는 건물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유닛은 특히,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유입필터유닛(191)과, 외부배출안내공간(121)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부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하측에 설치되는 제1배출필터유닛(181)과, 외부배출안내공간(121)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부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상측에 순차적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제2, 제3배출필터유닛(182, 183)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유입필터유닛(191)은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되 외부공기유입관(133) 측에 배치되는 프리필터와, 프리필터로부터 외부공기배출관(134) 측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플라즈마 이오나이저 및 플라즈마 이오나이저의 프리필터와 대향되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카본 나노볼 필터로 구성된 나노 플라즈마필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필터유닛 중에서, 제1배출필터유닛(181)과 제2, 제3배출필터유닛(182, 183)도 유입필터유닛(191)과 마찬가지로, 프리필터와, 플라즈마 이오나이저 및 카본 나노볼 필터로 구성된 나노 플라즈마필터로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은 제1격벽(111)의 하단과 일정거리 떨어진 내부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단 중앙에 이르도록 판 상으로 구비되는 제2격벽(112)에 의해, 내부공간이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상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배출안내공간(121), 제1격벽(111)과 제2격벽(112) 사이의 바이패스안내공간(122), 바이패스안내공간(122)과 상측부분이 연통되는 실내유입안내공간(123)으로 구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제2격벽(112)은 상측부분에 바이패스안내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개폐수단인 개폐댐퍼가 구비되거나, 상측부분에 별도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배출가이드유동캠(110c) 및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가 적용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서,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는 중공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리된 2개 이상의 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가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내부 중앙 측으로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외기흡입공(110a')을 통한 흡입 외기의 흡입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벽에 회전을 통해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를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내부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배출가이드유동캠(110c)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은 상기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내측 중앙에는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을 거쳐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감속과 증속이 연이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단과 상단이 협소하고 중앙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의 구성에 대하여서만 변경 적용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은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을 거쳐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감속 또는 증속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내측 중앙에는 하단이 협소하고 상향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상단이 일정면적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는 협소한 단부가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축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협소한 단부가 상단에 위치하도록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의 축 회전 조작은 케이스(110)의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컨트롤박스(미도시)를 통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6 실시예는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와는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외기흡입공(110a'')이 형성되는 길이에 대해 함몰형성되는 구조 및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가 더 적용되는 구조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에서,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는 외기흡입공(110a')이 형성되는 길이에 대하여 길이방향 중앙부분이 내향 부등호 타입으로 함몰형성되며, 내향 부등호 타입으로 함몰형성된 측벽부분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기흡입공(110a')이 관통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외부배출안내공간(121)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내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협소해진 후 확장되는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가속 후 확산되면서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은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내측 중앙에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을 거쳐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감속과 증속이 연이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단과 상단이 협소하고 중앙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공장 건물에 적용하여 공장 건물 내의 오염도 높은 공기를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장 건물 주변의 공기도 함께 청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켜 실내 측으로 오염도가 극소화된 쾌적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건물외부노출연장부의 상단에 배출안내갓이 설치되며,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실내공기유입관 내에 설치되되, 실내공기유입관의 분리벽에 의해 분할된 영역에 각기 설치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과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과, 실내공기유입관이 구비되는 케이스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배출안내갓 하부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와, 케이스 내부의 다수 곳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나노 플라즈마 필터로 제공되는 필터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의 구성을 통해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된 기록을 저장시켜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시스템에 대한 공기청정효율을 체크하면서 체크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한 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방식을 통해 프로그램화하여 측정된 기록에 따라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인공지능 기능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와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의 구성을 통해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된 기록을 저장시켜 실내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시스템에 대한 공기청정효율을 체크하면서 체크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함으로써 일정지역의 공장 주변에 대한 일정기간에 대한 대기오염도 측정값 등을 이용하여 지역환경 개발 등에 대한 연구 및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1: 배출안내갓 101a: 외부배출공기오염도감지센서
110: 케이스 110a: 건물외부노출연장부
110a': 외기흡입공 110b: 흡입외기배출가이드
110c: 배출가이드유동캠 111: 제1격벽
112: 제2격벽 121: 외부배출안내공간
122: 바이패스안내공간 123: 실내유입안내공간
131: 실내공기유입관 131a: 분리벽
131':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 132: 실내공기배출관
133: 외부공기유입관 134: 외부공기배출관
141: 제1송풍팬 142: 제2송풍팬
150: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 151: 정역모터
152: 구동축 153: 연동축
154: 연결구 155: 개폐조절구
156: 개폐편 160: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
161: 정역모터 162: 구동축
163: 연동축 164: 연결구
165: 개폐조절구 166: 개폐편
171: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 181: 제1배출필터유닛
182: 제2배출필터유닛 183: 제3배출필터유닛
191: 유입필터유닛

Claims (12)

  1. 사각박스 타입에 대한 상단 중앙으로부터 일단에 이르는 부분이 상향 일정길이 연장되어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가 형성되는 박스 타입으로 형성되어,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하측 일정길이에 걸친 측벽부분에 다수의 외기흡입공(110a')이 관통형성되고,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내부에 내벽과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상단이 내향 라운드진 중공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어 외기흡입공(110a')을 통해 건물 외부에서 흡입되는 외기를 상향 배출안내하는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가 구비되며, 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 중앙에서 일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이르도록 판 상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111)과, 제1격벽(111)의 하단과 일정거리 떨어진 내부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단 중앙에 이르도록 판 상으로 구비되는 제2격벽(112)에 의해, 내부공간이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상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배출안내공간(121), 제1격벽(111)과 제2격벽(112) 사이의 바이패스안내공간(122), 바이패스안내공간(122)과 상측부분이 연통되는 실내유입안내공간(123)으로 구획되는 한편,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의 하측 부분에 상기 제1격벽(111) 하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분리벽(131a)이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과 바이패스안내공간(122) 각각 1/2씩 연통되게 실내공기유입관(131)이 구비되고,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의 상측 부분에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안내되는 실내공기배출관(132)이 구비되며,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상측 부분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유입관(133)이 구비되고,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하측 부분에 외부공기 또는 바이패스된 실내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는 외부공기배출관(134)이 구비되는 케이스(110);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실내공기배출관(1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송풍 안내하는 제1송풍팬(141);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3)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공기배출관(134)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상기 실내공기유입관(131)을 통해 바이패스된 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송풍 안내하는 제2송풍팬(142);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3) 내의 바이패스안내공간(122)과 연통되는 분리벽(131a) 일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실내로 바이패스 안내되도록 조절하는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과, 실내공기유입관(131) 내의 외부배출안내공간(121)과 연통되는 분리벽(131a) 타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으로 구성된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
    실내공기유입관(131) 내부의 외부배출안내공간(121)과 연통되는 측의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공기오염도측정센서(131');
    상기 케이스(110)의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상단에 설치되는 배출안내갓(101);
    상기 케이스(110)의 실내공기배출관(13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배출안내갓(101)의 하면 일 측에 설치되는 외부공기오염도측정센서(101a); 및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중앙부분, 외부배출안내공간(121)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부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하측과 상측에 설치되며, 실내유입안내공간(123)으로 안내되는 공기 또는 건물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에서의,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은 정역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 조작시키며, 실내공기를 실내로 바이패스 안내되도록 하는 정역모터(151)와,
    정역모터(151)로부터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 회전되며, 실내공기유입관(123)의 일 측 외부에 배치되는 정역모터(151)로부터 분리벽(131a) 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관통 설치되며, 정역모터(151)로부터 돌출된 단부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축(152)과,
    일단이 구동축(152) 단부와 연결설치되고, 구동축(152)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 측인 타단의 단부가 분리벽(131a)에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며, 구동축(152)과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구동축(152)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동축(153)과,
    상기 연동축(153)과 구동축(153)의 마주하는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154)와,
    한 쌍으로 제공되어, 구동축(152)의 나사산 및 연동축(153)의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구동축(152)과 연동축(153)의 정, 역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구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거나 연결구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는 개폐조절구(155) 및
    산형 또는 역 산형으로 중앙부분이 힌지구조로 절첩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개폐조절구(155)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연결되며, 개폐조절구(155)의 이송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안내공간(122)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개폐편(1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용 개폐조절안내유닛(150)의 개폐조절구(155)는 연결구 반대 측으로 이송시에 실내공기유입관(131)의 내면 또는 분리벽(131a)과 밀착되는 단부에 긴밀한 밀폐를 위한 실리콘 도포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조절안내유닛에서의,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은 정역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 조작시키며,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정역모터(161)와,
    정역모터(161)로부터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 회전되며, 실내공기유입관(131)의 타 측 외부에 배치되는 정역모터(161)로부터 분리벽(131a) 측으로 회전 가능토록 관통 설치되며, 정역모터(161)로부터 돌출된 단부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축(162)과,
    일단이 구동축(162) 단부와 연결설치되고, 구동축(162)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 측인 타단의 단부가 분리벽(131a)에 공회전 가능케 고정설치되며, 구동축(162)과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에 걸쳐 구동축(162)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동축(163)과,
    상기 연동축(163)과 구동축(162)의 마주하는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164)와,
    한 쌍으로 제공되어, 구동축(162)의 나사산 및 연동축(163)의 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구동축(162)과 연동축(163)의 정, 역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구(164)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거나 연결구(164) 반대 측으로 일정거리 이송되는 개폐조절구(165) 및
    산형 또는 역 산형으로 중앙부분이 힌지구조로 절첩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한 쌍으로 제공되는 개폐조절구(165)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연결되며, 개폐조절구(165)의 이송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실내공기를 외부배출안내공간(121)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개폐편(1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배출용 개폐조절안내유닛(160)의 개폐조절구(165)는 연결구(164) 반대 측으로 이송시에 실내공기유입관(131)의 내면 또는 분리벽(131a)과 밀착되는 단부에 긴밀한 밀폐를 위한 실리콘 도포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는 중공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리된 2개 이상의 판으로 제공되는 한편,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가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내부 중앙 측으로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외기흡입공(110a')을 통한 흡입 외기의 흡입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벽에 회전을 통해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를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내부 중앙 측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배출가이드유동캠(110c)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내측 중앙에는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을 거쳐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감속과 증속이 연이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단과 상단이 협소하고 중앙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을 거쳐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감속 또는 증속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내측 중앙에는 하단이 협소하고 상향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상단이 일정면적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가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외부배출속도조절가이드(171)는 협소한 단부가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축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협소한 단부가 상단에 위치하도록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는 외기흡입공(110a')이 형성되는 길이에 대하여 길이방향 중앙부분이 내향 부등호 타입으로 함몰형성되며, 내향 부등호 타입으로 함몰형성된 측벽부분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기흡입공(110a')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외부배출안내공간(121)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의 내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협소해진 후 확장되는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가속 후 확산되면서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제1격벽(111)의 하단과 일정거리 떨어진 내부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단 중앙에 이르도록 판 상으로 구비되는 제2격벽(112)에 의해, 내부공간이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상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배출안내공간(121), 제1격벽(111)과 제2격벽(112) 사이의 바이패스안내공간(122), 바이패스안내공간(122)과 상측부분이 연통되는 실내유입안내공간(123)으로 구획될 수 있도록,
    제2격벽(112)은 상측부분에 바이패스안내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개폐수단인 개폐댐퍼가 구비되거나,
    상측부분에 별도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유입필터유닛(191)과,
    외부배출안내공간(121)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부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하측에 설치되는 제1배출필터유닛(181)과,
    외부배출안내공간(121)에 대한 건물외부노출연장부(110a) 내부의 흡입외기배출가이드(110b) 상측에 순차적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제2, 제3배출필터유닛(182, 183)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필터유닛(191)은 실내유입안내공간(123)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되 외부공기유입관(133) 측에 배치되는 프리필터와,
    프리필터로부터 외부공기배출관(134) 측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플라즈마 이오나이저 및
    플라즈마 이오나이저의 프리필터와 대향되는 반대 측에 배치되는 카본 나노볼 필터로 구성된 나노 플라즈마필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1020200119549A 2020-09-17 2020-09-17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10218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49A KR102186962B1 (ko) 2020-09-17 2020-09-17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49A KR102186962B1 (ko) 2020-09-17 2020-09-17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962B1 true KR102186962B1 (ko) 2020-12-04

Family

ID=7377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549A KR102186962B1 (ko) 2020-09-17 2020-09-17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96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866A (ko) * 2005-09-20 2007-03-23 주식회사 에어화인 급,배기 후드
KR101105995B1 (ko) 2009-06-10 2012-01-18 김상동 열회수환기장치
KR101208349B1 (ko) 2011-04-14 2012-12-05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기시스템
KR101717374B1 (ko) * 2015-10-12 2017-03-16 김상동 열회수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열회수환기 제어방법
KR101741226B1 (ko) 2016-10-05 2017-06-15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1853626B1 (ko) 2017-02-02 2018-05-04 남정위 굴뚝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960534B1 (ko) * 2018-09-03 2019-07-15 (주)코리스에어 에어타이트 역풍방지댐퍼
KR102141919B1 (ko) * 2019-04-04 2020-08-06 (주)에스엠에이씨케이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866A (ko) * 2005-09-20 2007-03-23 주식회사 에어화인 급,배기 후드
KR101105995B1 (ko) 2009-06-10 2012-01-18 김상동 열회수환기장치
KR101208349B1 (ko) 2011-04-14 2012-12-05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기시스템
KR101717374B1 (ko) * 2015-10-12 2017-03-16 김상동 열회수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열회수환기 제어방법
KR101741226B1 (ko) 2016-10-05 2017-06-15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1853626B1 (ko) 2017-02-02 2018-05-04 남정위 굴뚝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960534B1 (ko) * 2018-09-03 2019-07-15 (주)코리스에어 에어타이트 역풍방지댐퍼
KR102141919B1 (ko) * 2019-04-04 2020-08-06 (주)에스엠에이씨케이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04B1 (ko) 실시간 환경 감응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2159458B1 (ko)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EP1752715A1 (en)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050298B1 (ko)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102167857B1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시스템
KR100776602B1 (ko) 공기 순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02110B1 (ko)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US20050260946A1 (en) Ventilating system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102287901B1 (ko) 환기장치
KR102141919B1 (ko) 환기시스템
KR100582457B1 (ko) 청정모드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JPH02302539A (ja) 空気清浄機
KR102186962B1 (ko)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102193156B1 (ko) 기능성 공기 청정 환기시스템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20190029984A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IT201600084955A1 (it) Gruppo di analisi e controllo della ventilazione di un ambiente interno o primo ambiente.
KR102397618B1 (ko) 자연환기방식과 기계환기방식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KR20200107325A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602746B1 (ko) 스마트 공조장치
CN114950728A (zh) 一种隧道互补通风式空气净化系统
JPH05106883A (ja) 給気量可変式空気清浄システム
JP4320136B2 (ja) 空気清浄化装置
KR20220089826A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