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226B1 -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226B1
KR101741226B1 KR1020160128092A KR20160128092A KR101741226B1 KR 101741226 B1 KR101741226 B1 KR 101741226B1 KR 1020160128092 A KR1020160128092 A KR 1020160128092A KR 20160128092 A KR20160128092 A KR 20160128092A KR 101741226 B1 KR101741226 B1 KR 10174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air
bypass
inflow
guid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Priority to KR102016012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2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과,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 실내유입안내공간 중앙에 설치되는 열교환유닛 및 외부배출안내공간 내에 설치되는 오염측정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시켜 열교환유닛을 거치면서 냉각되도록 하여 종래의 복잡한 전열교환 구조와 달리 전열교환의 열교환효율과 상관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냉방을 위한 냉각된 공기를 실내 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된 후에 냉각되어 실내 측으로 차가운 공기가 바이패스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Ventilation system with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과,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 실내유입안내공간 중앙에 설치되는 열교환유닛 및 외부배출안내공간 내에 설치되는 오염측정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시켜 열교환유닛을 거치면서 냉각되도록 하여 종래의 복잡한 전열교환 구조와 달리 전열교환의 열교환효율과 상관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냉방을 위한 냉각된 공기를 실내 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된 후에 냉각되어 실내 측으로 차가운 공기가 바이패스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창이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건축이 된다.
그러나, 건물에 구비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경우, 건물의 냉난방효율이 하락되고, 최근에는 건물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의 설치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건물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가 건물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의 환기장치는 건물의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덕트가 설치되고, 이 덕트를 통해 실내 및 실외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 및 유입하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건물의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환기장치는 창을 통해 직접적으로 환기를 시키지 않기 때문에 건물의 냉난방효율을 향상시키고, 창이 없는 실내에서도 환기를 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환기장치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가 크게 발생할 경우, 실외의 공기가 직접적으로 실내로 유입되어 건물의 냉난방효율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90987호 2007.02.27.등록;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과 같은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은 내부에 외부공기가 이송되는 외기 이송통로와 실내공기가 이송되는 내기 이송통로가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게 분리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두 개씩 연결되어 외부공기와 실내공기의 유입 및 토출을 가이드하는 덕트들과, 상기 외기 이송통로의 출구측과 내기 이송통로의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외부공기와 실내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공기팬과, 상기 외기 이송통로와 상기 내기 이송통로의 교차부분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외부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및 상기 공기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은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하여 실내와 유사한 온도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건물의 냉난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로 적용되고 있는 종래의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은 열교환기 측으로 안내되어 실내공기와 외부공기가 단순히 상호 교차하면서 열교환 되는 것으로서 열교환기를 상호 교차하면서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외부공기의 온도차가 크므로,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5995호 2012.01.06.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열회수환기장치가 개발되어 환기장치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개선된 환기장치인 열회수환기장치는 실내공기와 외부공기에 대하여 전열교환유닛을 상호 교차하면서 통과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실내공기의 일부를 실내 측으로 안내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전열교환유닛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개선된 종래의 열회수환기장치는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통하여, 실내공기의 일부를 외부공기와 함께 전열교환유닛 측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열교환유닛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개선된 종래의 열회수환기장치는 바이패스유로를 통하여 실내공기의 일부를 전열교환유닛 측으로 안내하여 전열교환유닛의 열교환 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바이패스되어 전열교환유닛을 거쳐 실내 측으로 안내되는 실내공기에 대한 오염정도와 상관없이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시키므로 오염된 공기가 실내 측으로 재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복잡한 전열교환 구조와 달리 전열교환의 열교환효율과 상관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냉방을 위한 냉각된 공기를 실내 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된 후에 냉각되어 실내 측으로 차가운 공기가 바이패스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환기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90987호 2007.02.27.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5995호 2012.01.06.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과,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 실내유입안내공간 중앙에 설치되는 열교환유닛 및 외부배출안내공간 내에 설치되는 오염측정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시켜 열교환유닛을 거치면서 냉각되도록 하여 종래의 복잡한 전열교환 구조와 달리 전열교환의 열교환효율과 상관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냉방을 위한 냉각된 공기를 실내 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과,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 실내유입안내공간 중앙에 설치되는 열교환유닛 및 외부배출안내공간 내에 설치되는 오염측정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된 후에 냉각되어 실내 측으로 차가운 공기가 바이패스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은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토록 구비되는 제2격벽과, 상기 제2격벽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3격벽에 의해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과 연통되는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의 일 측에 실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의 일 측에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안내되는 실내공기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공기유입안내공간의 일 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의 일 측에 외부공기 또는 바이패스된 실내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는 외부공기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 내부에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측정센서가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을 통해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송풍팬;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으로 송풍 안내하는 제2송풍팬;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거나, 바이패스시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 측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에 의해 안내되는 바이패스되는 실내공기를 실내유입안내공간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 상기 케이스의 제3격벽 일 측으로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의 작동에 의해 실내공기가 바이패스 유도될 경우에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측으로 바이패스 유도되는 실내공기를 송풍시키는 바이패스용 송풍팬;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으로부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을 통해 실내 측으로 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면서 안내되도록 하는 열교환유닛; 및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과 실내유입안내공간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을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거친 후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안내되면서 상기 열교환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을 통해 실내 측으로 냉각된 공기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의 상기 필터부재 일 측에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가이드 판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확산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으로부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처리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측으로부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 측을 향하여 저밀도 프리필터, 중밀도 미듐필터, 고밀도 필터 순으로 밀착되는 다수의 필터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은, 일 측에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으로부터 안내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와 대향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평배출안내부 및 상기 수평배출안내부와 유입부가 연결되는 중앙에 일 측으로 직교하여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측으로 안내하는 직교배출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배출안내부로 안내되거나 상기 직교배출안내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배출안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평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수평개폐부재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배출안내부를 밀폐시키는 개폐볼과, 상기 개폐볼 타단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볼을 일정길이 왕복운동시키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배출안내부로 안내되거나 상기 직교배출안내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직교배출안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직교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직교개폐부재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직교배출안내부를 밀폐시키는 개폐볼과, 상기 개폐볼 타단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볼을 일정길이 왕복운동시키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은, 일 측에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으로부터 안내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와 직교하여 상기 실내공간유입공간 측으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안내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 및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와 대향되어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를 거쳐 상기 실내유입공간 측으로 안내하는 외부공기유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은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를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 측으로 안내되거나, 상기 외부공기유입안내부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를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공기유입안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외부유입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외부유입개폐부재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공기유입안내부를 밀폐시키는 개폐볼과, 상기 개폐볼 타단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볼을 일정길이 왕복운동시키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의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와 외부공기유입안내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어 상호 대향되되 각각 2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닛은 증발기(evaporator)로 제공되는 한편, 하부에 열교환 시 발생하는 수분을 집수하는 물받이가 설치되며, 상기 물받이는 상기 열교환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을 일 측으로 집수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과,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 실내유입안내공간 중앙에 설치되는 열교환유닛 및 외부배출안내공간 내에 설치되는 오염측정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시켜 열교환유닛을 거치면서 냉각되도록 하여 종래의 복잡한 전열교환 구조와 달리 전열교환의 열교환효율과 상관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냉방을 위한 냉각된 공기를 실내 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과,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 실내유입안내공간 중앙에 설치되는 열교환유닛 및 외부배출안내공간 내에 설치되는 오염측정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된 후에 냉각되어 실내 측으로 차가운 공기가 바이패스 공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후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서, 요부인 실내공기와 외부공기의 환기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낮을 경우에 실내공기가 바이패스되어 실내 측으로 안내되는 유로를 나타낸 제1 사용상태 평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에 실내공기가 외부로 안내됨과 동시에, 외부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유로를 나타낸 제2 사용상태 평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인 실내공기와 외부공기의 환기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후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서, 요부인 실내공기와 외부공기의 환기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낮을 경우에 실내공기가 바이패스되어 실내 측으로 안내되는 유로를 나타낸 제1 사용상태 평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에 실내공기가 외부로 안내됨과 동시에, 외부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유로를 나타낸 제2 사용상태 평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은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건축물 실내에 대하여 외부와의 환기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케이스(110), 제1송풍팬(141), 제2송풍팬(142),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170), 바이패스용 송풍팬(145), 열교환유닛(190) 및 필터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0)는 제1격벽(111)과, 상기 제1격벽(111)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토록 구비되는 제2격벽(112)과, 상기 제2격벽(112)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3격벽(113)에 의해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121),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과 연통되는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케이스(110)는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의 일 측에 실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관(131)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의 일 측에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안내되는 실내공기 배출관(132)이 구비된다.
아울러, 전술한 케이스(110)는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공기유입안내공간(125)의 일 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관(133)이 구비되고,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일 측에 외부공기 또는 바이패스된 실내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는 외부공기 배출관(134)이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 내부에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으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측정센서(1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송풍팬(141)은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134)을 통해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송풍팬(142)은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으로 송풍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은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 내부에 설치되며,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을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거나, 바이패스시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170)은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133)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에 의해 안내되는 바이패스되는 실내공기를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용 송풍팬(145)은 상기 케이스(110)의 제3격벽(113) 일 측으로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의 작동에 의해 실내공기가 바이패스 유도될 경우에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 바이패스 유도되는 실내공기를 송풍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닛(190)은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으로부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134)을 통해 실내 측으로 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면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200)는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과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필터부재(200)는 특히,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으로부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처리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200)는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부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을 향하여 저밀도 프리필터(210), 중밀도 미듐필터(220), 고밀도 필터(230) 순으로 밀착되는 다수의 필터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은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을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200)를 거친 후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안내되면서 상기 열교환유닛(190)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134)을 통해 실내 측으로 냉각된 공기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상기 필터부재(200) 일 측에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127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가이드 판(127b')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확산가이드 유닛(127')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서, 특히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은 일 측에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으로부터 안내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입부(151)와, 상기 유입부(151)와 대향되어 상기 유입부(15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평배출안내부(153) 및 상기 수평배출안내부(153)와 유입부(151)가 연결되는 중앙에 일 측으로 직교하여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부(15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 안내하는 직교배출안내부(15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직교배출안내부(155)는 깔때기 형상의 확장된 측의 단부가 연결덕트(미부호)와 연통 연결되어 상기 연결덕트(미부호)를 통해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으로부터 실내공기를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 바이패스 안내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은 상기 유입부(15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배출안내부(153)로 안내되거나 상기 직교배출안내부(155)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은 상기 수평배출안내부(1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평개폐부재(161)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수평개폐부재(161)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배출안내부(153)를 밀폐시키는 개폐볼(161a)과, 상기 개폐볼(161a) 타단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볼(161a)을 일정길이 왕복운동시키는 로드(16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로드(161b)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단이 실린더(미도시)와 연결설치되어 일정길이 왕복운동이 가능토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은 상기 유입부(15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배출안내부(153)로 안내되거나 상기 직교배출안내부(155)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므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은 상기 직교배출안내부(15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직교개폐부재(165)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직교개폐부재(165)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직교배출안내부(155)를 밀폐시키는 개폐볼(165a)과, 상기 개폐볼(165a) 타단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볼(165a)을 일정길이 왕복운동시키는 로드(165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로드(165b)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단이 실린더(미도시)와 연결설치되어 일정길이 왕복운동이 가능토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은 일 측에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으로부터 안내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입부(171)와, 상기 유입부(171)와 직교하여 상기 실내공간유입공간(127) 측으로, 상기 유입부(17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안내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 및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와 대향되어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133)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를 거쳐 상기 실내유입공간(127) 측으로 안내하는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은 특히,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부(17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를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으로 안내되거나, 상기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를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은 상기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외부유입개폐부재(181)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외부유입개폐부재(181)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밀폐시키는 개폐볼(181a)과, 상기 개폐볼(181a) 타단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볼(181a)을 일정길이 왕복운동시키는 로드(18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로드(181b)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단이 실린더(미도시)와 연결설치되어 일정길이 왕복운동이 가능토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에서, 상기 열교환유닛(190)은 증발기(evaporator)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하부에 열교환 시 발생하는 수분을 집수하는 물받이(190')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물받이(190')는 상기 열교환유닛(190)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을 일 측으로 집수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evaporator)로 제공되는 열교환유닛(190)은 실내의 냉방을 위해 냉동사이클을 가지는 통상의 냉난방장치의 증발기에서 냉각을 위한 냉동사이클에 의해 냉방용으로 작동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난방을 위한 냉동사이클로 전환시에는 난방용으로 작동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오염측정센서(121')를 통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에 실내공기 유입관(131)을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을 거쳐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을 경유하여 수평개폐부재(161)의 개폐볼(161a)의 개방상태에 의해 실내공기 배출관(1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의 직교배출안내부(155)는 직교개폐부재(165)의 개폐볼(165a)의 폐쇄상태에 의해 바이패스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오염측정센서(121')를 통한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낮을 경우에 실내공기 유입관(131)을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는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을 거쳐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을 경유한 후에, 직교개폐부재(165)의 개폐볼(165a)의 개방상태에 의해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 안내되어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의 유입부(171)와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필터부재(200)를 통과하면서 정화처리되어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을 거치면서 열교환유닛(190)에 의해 냉각처리되며, 이와 같이 냉각처리된 공기는 외부공기 배출관(134)을 통해 배출되어 실내 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수평개폐부재(161)의 개폐볼(161a)은 폐쇄상태가 되며, 아울러 외부유입개폐부재(181)의 개폐볼(181a)도 폐쇄상태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외부유입개폐부재(181)의 개폐볼(181a)에 대한 개방상태를 통해 외부공기가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의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거쳐 유입되어 필터부재(200)를 통과하면서 정화처리되어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을 거치면서 열교환유닛(190)에 의해 냉각처리되며, 이와 같이 냉각처리된 공기는 외부공기 배출관(134)을 통해 배출되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직교개폐부재(165)의 개폐볼(165a)은 폐쇄상태가 되어, 실내공기에 대한 바이패스는 차단이 된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상태를 통해 건축물의 실내에 대하여 정화처리된 공기의 공급을 통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열교환유닛(190)에 의해 냉각처리는 선택적으로 가열처리를 통해 실내공기에 대하여 냉방 또는 난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요부인 실내공기와 외부공기의 환기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면구성도이다.
도 6 및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이 2열 구조로 이루어지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은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의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와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는 상기 유입부(171)와 연통되어 상호 대향되되 각각 2열로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유입개폐부재(181)도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와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의 2열 구조와 대응되어, 2열의 구조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건축물 내부의 다수 개로 구비되는 룸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적용되기 위한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도 8에서 도시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서는 도 1 내지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은 건축물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룸(R1, R2, R3)에 대하여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110)는 실내유입공간(127)으로부터 외부공기 또는 바이패스된 실내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는 외부공기 배출관(134)이 상기 다수의 룸(R1, R2, R3)과 대응되어 다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외부공기 배출관(134)과 대응되어 제1송풍팬(141)도 다수 개로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일단이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룸(R1, R2, R3)을 향하여 분기되는 구조의 환기덕트용 라인들(VL1, VL2, VL3)을 통해 상기 다수의 룸(R1, R2, R3)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 측으로 실내공기가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다수 개의 외부공기 배출관(134)과 대응되어 다수 개로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룸(R1, R2, R3)을 각각 연결하는 배출덕트용 라인들(EL1, EL2, EL3)을 통해 각각의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134)로 부터 각각의 상기 룸(R1, R2, R3)으로 외부공기나 바이패스된 실내공기가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의 룸(R1, R2, R3)의 실내공기는 환기덕트용 라인들(VL1, VL2, VL3)을 따라 실내공기 유입관(131) 측으로 이동되고, 냉각된 공기는 배출덕트용 라인들(EL1, EL2, EL3)을 따라 각각의 상기 룸(R1, R2, R3)으로 공급됨으로 룸들에 대한 환기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과,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 실내유입안내공간 중앙에 설치되는 열교환유닛 및 외부배출안내공간 내에 설치되는 오염측정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공기를 바이패스시켜 열교환유닛을 거치면서 냉각되도록 하여 종래의 복잡한 전열교환 구조와 달리 전열교환의 열교환효율과 상관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냉방을 위한 냉각된 공기를 실내 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실내유입안내공간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과,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에 설치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 실내유입안내공간 중앙에 설치되는 열교환유닛 및 외부배출안내공간 내에 설치되는 오염측정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된 후에 냉각되어 실내 측으로 차가운 공기가 바이패스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건축물에서 단순히 실내공기만 순환되던 공기순환시스템에서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하면 외기에 대하여서도 실내 측으로 순환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건축물에서 단순히 실내공기만 순환되던 공기순환시스템에서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실내공기의 순환이 아닌 실내공기와 외부공기의 환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건축물에서 단순히 실내공기만 순환되던 공기순환시스템에서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와 외부공기의 환기 순환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환기 순환시에 필터부재를 통한 필터링을 통해 공기청정기능도 함께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케이스
111: 제1격벽 112: 제2격벽
113: 제3격벽 121: 외부배출안내공간
121': 오염측정센서 123: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
125: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 127: 실내유입안내공간
127': 확산가이드 유닛 127a': 베이스프레임
127b': 가이드 판
131: 실내공기 유입관 132: 실내공기 배출관
133: 외부공기 유입관 134: 외부공기 배출관
141: 제1송풍팬 142: 제2송풍팬
145: 바이패스용 송풍팬
150: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
151: 유입부 153: 수평배출안내부
155: 직교배출안내부 161: 수평개폐부재
161a: 개폐볼 161b: 로드
165: 직교개폐부재 165a: 개폐볼
165b: 로드
170: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
171: 유입부 173: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
175: 외부공기유입안내부 181: 외부유입개폐부재
181a: 개폐볼 181b: 로드
190: 열교환유닛 190': 물받이
200: 필터부재
210: 저밀도 프리필터 220: 중밀도 미듐필터
230: 고밀도 필터

Claims (12)

  1. 제1격벽(111)과, 상기 제1격벽(111)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토록 구비되는 제2격벽(112)과, 상기 제2격벽(112)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3격벽(113)에 의해 내부공간이 외부배출안내공간(121),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과 연통되는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구획되며,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의 일 측에 실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실내공기 유입관(131)이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의 일 측에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안내되는 실내공기 배출관(132)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공기유입안내공간(125)의 일 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관(133)이 구비되고,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일 측에 외부공기 또는 바이패스된 실내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는 외부공기 배출관(134)이 구비되며,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 내부에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으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측정센서(121')가 설치되는 케이스(110);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134)을 통해 실내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송풍팬(141);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으로 송풍 안내하는 제2송풍팬(142);
    상기 케이스(110)의 제3격벽(113) 일 측으로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실내공기가 바이패스 유도될 경우에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 바이패스 유도되는 실내공기를 송풍시키는 바이패스용 송풍팬(145);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으로부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134)을 통해 실내 측으로 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면서 안내되도록 하는 열교환유닛(190); 및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과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안내되는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정화처리하는 필터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을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200)를 거친 후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안내되면서 상기 열교환유닛(190)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134)을 통해 실내 측으로 냉각된 공기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의 상기 필터부재(200) 일 측에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127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가이드 판(127b')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확산가이드 유닛(127')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200)는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으로부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 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처리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부터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을 향하여 저밀도 프리필터(210), 중밀도 미듐필터(220), 고밀도 필터(230) 순으로 밀착되는 다수의 필터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공간(123) 내부에 설치되며, 실내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을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거나, 바이패스시켜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 및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133)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으로 안내하거나,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에 의해 안내되는 바이패스되는 실내공기를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겸 실내유입안내 유닛(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은,
    일 측에 상기 외부배출안내공간(121)으로부터 안내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입부(151)와,
    상기 유입부(151)와 대향되어 상기 유입부(15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평배출안내부(153) 및
    상기 수평배출안내부(153)와 유입부(151)가 연결되는 중앙에 일 측으로 직교하여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부(15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공간(125) 측으로 안내하는 직교배출안내부(155)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은,
    일 측에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으로부터 안내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입부(171)와,
    상기 유입부(171)와 직교하여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측으로, 상기 유입부(17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안내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 및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와 대향되어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133)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를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측으로 안내하는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배출안내 유닛(150)의 유입부(15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배출안내부(153)로 안내되거나 상기 직교배출안내부(155)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배출안내부(15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평개폐부재(161)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수평개폐부재(161)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수평배출안내부(153)를 밀폐시키는 개폐볼(161a)과, 상기 개폐볼(161a) 타단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볼(161a)을 일정길이 왕복운동시키는 로드(161b)를 포함하고,
    상기 직교배출안내부(15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직교개폐부재(165)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직교개폐부재(165)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직교배출안내부(155)를 밀폐시키는 개폐볼(165a)과, 상기 개폐볼(165a) 타단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볼(165a)을 일정길이 왕복운동시키는 로드(165b)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의 상기 유입부(171)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를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으로 안내되거나, 상기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를 거쳐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외부유입개폐부재(181)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외부유입개폐부재(181)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를 밀폐시키는 개폐볼(181a)과, 상기 개폐볼(181a) 타단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개폐볼(181a)을 일정길이 왕복운동시키는 로드(18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이패스겸 외부유입안내 유닛(170)의 상기 바이패스실내유입안내부(173)와 외부공기유입안내부(175)는 상기 유입부(171)와 연통되어 상호 대향되되 각각 2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닛(190)은 증발기(evaporator)로 제공되는 한편,
    하부에 열교환 시 발생하는 수분을 집수하는 물받이(190')가 설치되며, 상기 물받이(190')는 상기 열교환유닛(190)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을 일 측으로 집수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건축물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룸(R1, R2, R3)에 대하여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실내유입안내공간(127)으로부터 외부공기 또는 바이패스된 실내공기를 실내 측으로 배출시키는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134)이 상기 다수의 룸(R1, R2, R3)과 대응되어 다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외부공기 배출관(134)과 대응되어 상기 제1송풍팬(141)도 다수 개로 구비되는 한편,
    일단이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룸(R1, R2, R3)을 향하여 분기되는 구조의 환기덕트용 라인들(VL1, VL2, VL3)을 통해 상기 다수의 룸(R1, R2, R3)으로부터 상기 실내공기 유입관(131) 측으로 실내공기가 안내되며,
    상기 다수 개의 외부공기 배출관(134)과 대응되어 다수 개로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룸(R1, R2, R3)을 각각 연결하는 배출덕트용 라인들(EL1, EL2, EL3)을 통해 각각의 상기 외부공기 배출관(134)로부터 각각의 상기 룸(R1, R2, R3)으로 외부공기나 바이패스된 실내공기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20160128092A 2016-10-05 2016-10-05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1741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092A KR101741226B1 (ko) 2016-10-05 2016-10-05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092A KR101741226B1 (ko) 2016-10-05 2016-10-05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226B1 true KR101741226B1 (ko) 2017-06-15

Family

ID=5921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092A KR101741226B1 (ko) 2016-10-05 2016-10-05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2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919B1 (ko) 2019-04-04 2020-08-06 (주)에스엠에이씨케이 환기시스템
KR102159458B1 (ko) 2019-11-11 2020-09-23 (주)에스엠에이씨케이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102186962B1 (ko) 2020-09-17 2020-12-04 (주)에스엠에이씨케이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102193156B1 (ko) 2020-05-18 2020-12-18 김상동 기능성 공기 청정 환기시스템
KR102266030B1 (ko) 2020-04-08 2021-06-17 (주)에스엠에이씨케이 기능성 환기시스템
KR102531427B1 (ko) * 2022-07-19 2023-05-15 대평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69B1 (ko) * 2012-08-08 2013-01-25 (주)구츠 이슬 비산 방지 구조를 갖는 팬 코일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69B1 (ko) * 2012-08-08 2013-01-25 (주)구츠 이슬 비산 방지 구조를 갖는 팬 코일 유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919B1 (ko) 2019-04-04 2020-08-06 (주)에스엠에이씨케이 환기시스템
KR102159458B1 (ko) 2019-11-11 2020-09-23 (주)에스엠에이씨케이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102266030B1 (ko) 2020-04-08 2021-06-17 (주)에스엠에이씨케이 기능성 환기시스템
KR102193156B1 (ko) 2020-05-18 2020-12-18 김상동 기능성 공기 청정 환기시스템
KR102186962B1 (ko) 2020-09-17 2020-12-04 (주)에스엠에이씨케이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102531427B1 (ko) * 2022-07-19 2023-05-15 대평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226B1 (ko)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1521875B1 (ko)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
KR102118791B1 (ko) 실내 공조장치
KR101717374B1 (ko) 열회수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열회수환기 제어방법
KR100519309B1 (ko) 신선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한 공조시스템
CN106352401A (zh) 空调
KR100565593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1758644B1 (ko) 공청형 전열교환기
US20230055517A1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70044092A (ko) 외기흡입장치가 구비된 코너 스탠드형 에어컨
KR20050010346A (ko) 공기조화기
US20220178597A1 (en) Ventilation device and integrate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CN212657812U (zh) 一种恒温正压洁净车间系统
KR101762354B1 (ko) 온도조절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KR20180075005A (ko) 냉난방이 가능한 환기장치
CN210951672U (zh) 智能化全品质空调
CN112856624A (zh) 智能化全品质空调
KR102601433B1 (ko) 수냉식 냉난방 및 바이러스 케어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2606894B1 (ko) 방역효율성을 높인 전열교환기가 구비된 수직기류형 냉난방 시스템
WO2023017581A1 (ja) 外気調和機、外気調和システム、及び外気調和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200445081Y1 (ko) 오염공기의 배기가 가능한 환기장치
KR102419205B1 (ko) 열회수 환기장치
KR20220081255A (ko) 환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공조 시스템
CN106196442A (zh) 一种收费亭环境控制装置
KR20240042971A (ko) 콤팩트형 전열교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