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427B1 -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427B1
KR102531427B1 KR1020220088810A KR20220088810A KR102531427B1 KR 102531427 B1 KR102531427 B1 KR 102531427B1 KR 1020220088810 A KR1020220088810 A KR 1020220088810A KR 20220088810 A KR20220088810 A KR 20220088810A KR 102531427 B1 KR102531427 B1 KR 102531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uilding
inlet
ventilation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대평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평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대평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2008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23Building characterised by incorporated canalis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설비 장치로서, 상기 건축물에 형성되는 배기구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배기관와, 상기 배기구에 체결된 상기 배기관에 체결되는 송풍팬과, 상기 건축물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과에 체결된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건축물에 형성되는 유입구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구에 체결된 유입관에 형성되어, 유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와, 상기 배기관과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순환연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는 상기 순환연결관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순환연결관에 안내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동형환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구동형환기수단은 상기 순환연결관에 형성되는 환기구와, 상기 순환연결관에 형성된 환기구에 관통되게 끼움되는 환기관과, 상기 환기관에 체결되는 환기팬과, 상기 환기관의 외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개폐모터와,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개폐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환기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도어와, 상기 순환연결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연결관을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져, 건축물에 순환연결관과 송풍팬 및 필터부로 이루어진 기계설비 장치를 마련하여, 건축물의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정화한 후 재차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과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한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Heat exchange mechanical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s }
본 발명은 건축 기계설비 기술 분야 중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순환연결관과 송풍팬 및 필터부로 이루어진 기계설비 장치를 마련하여, 건축물의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정화한 후 재차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과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한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냉, 난방 시스템은 실내에 냉,온풍기를 설치하고, 냉,온풍기로 부터 발생되는 냉풍 또는 온풍에 의해 실내의 온도를 낮추거나 높이도록 된다.
이 방식은 이용이 편리하고 열효율도 높으며, 관리비도 용이하게 책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 온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방식은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여 관로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냉, 난방상식에 의해 설비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 난방 시스템은 실내를 냉, 난방 후 공기정화를 위한 환기를 위해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를 공기를 유입시켜야 하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재차 냉각 또는 가열시켜야 하므로 냉, 난방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냉, 난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0-1466652호 등록특허 제10-121695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에 순환연결관과 송풍팬 및 필터부로 이루어진 기계설비 장치를 마련하여, 건축물의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정화한 후 재차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과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한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설비 장치로서, 상기 건축물에 형성되는 배기구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배기관와, 상기 배기구에 체결된 상기 배기관에 체결되는 송풍팬과, 상기 건축물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과에 체결된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건축물에 형성되는 유입구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구에 체결된 유입관에 형성되어, 유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와, 상기 배기관과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순환연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는 상기 순환연결관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순환연결관에 안내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동형환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구동형환기수단은 상기 순환연결관에 형성되는 환기구와, 상기 순환연결관에 형성된 환기구에 관통되게 끼움되는 환기관과, 상기 환기관에 체결되는 환기팬과, 상기 환기관의 외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개폐모터와,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개폐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환기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도어와, 상기 순환연결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연결관을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설비 장치의 시공방법로서, 상기 건축물의 벽체를 타공하여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배기공을 형성시키는 건축물 배기공 형성단계와, 상기 건축물에 형성된 배기공에 배기관을 끼워 고정시키는 배기공 배기관 체결단계와, 상기 배기공에 체결된 배기관의 내부에 송풍팬을 체결하는 배기관 송풍팬 체결단계와,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도록 상기 건축물에 제어부를 설치하는 건축물 제어부 설치단계와, 상기 건축물의 벽체를 타공하여 유입공을 형성시키는 건축물 유입공 형성단계와, 상기 건축물에 형성된 유입공에 유입관을 끼워 고정시키는 유입공 유입관 체결단계와, 상기 배기공에 체결된 배기관에 일단을 끼워 관연결하고, 타단을 상기 유입공에 체결된 유입관에 끼워 관연결하여, 상기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유입공을 통해 실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연결관 설치단계와, 상기 유입공에 체결된 상기 유입관에 체결하여, 상기 순환연결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필터부를 형성시는 유입관 필터부 형성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관을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시킨 후 상기 유입관을 통해 실내에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건축물에 순환연결관과 송풍팬 및 필터부로 이루어진 기계설비 장치를 마련하여, 건축물의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정화한 후 재차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과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한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의 구동형환기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의 구동형환기수단을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의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의 구동형환기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의 구동형환기수단을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의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라 명명함)는 건축물(100)의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설비 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기계설비 장치(10)는 배기관(20)과 송풍팬(30)과 제어부(40)와 유입관(50)과 필터부(60)와 순환연결관(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관(20)은 상기 건축물(100)에 형성되는 배기구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배기관(20)은 상기 배기구에 끼움된 후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재질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팬(30)은 상기 배기구에 체결된 상기 배기관(20)에 체결된다.
상기 송풍팬(30)은 상기 배기구에 끼움된 후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건축물(100)의 실내의 공기를 상기 배기관(20)을 통해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건축물(100)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과에 체결된 송풍팬(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건축물(100)의 내벽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송풍팬(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유입관(50)은 상기 건축물(100)에 형성되는 유입구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유입관(50)은 상기 유입구에 끼움된 후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재질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60)는 상기 유입구에 체결된 유입관(50)에 형성되어, 유입관(5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 필터부(6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망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입구의 내면에 부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한 망 이외에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된 합성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공기정화필터를 상기 유입구에 끼운 후 내면에 나사체결 또는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순환연결관(70)은 상기 배기관(20)과 상기 유입관(50)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순환연결관(70)의 일단이 상기 배기관(20)에 끼움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관(50)에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송풍팬(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기관(20)으로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필터부(60)를 통해 정화된 후 재차 상기 유입관(50)을 통해 건축물(100)의 실내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실내에 설치된 냉,온풍기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된 상태에서 환기를 위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정화된 후 실내로 유입되어, 배출시 온도편차를 줄여 유입시킬 수 있어, 온도조절을 위해 냉,온풍기의 구동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50)과 상기 배기관(20)을 연결하는 상기 순환연결관(70)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순환연결관(70)에 안내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동형환기수단(80)이 더 마련된다.
상기 구동형환기수단(80)은 상기 순환연결관(70)에 형성되는 환기구(81)와, 상기 순환연결관(70)에 형성된 환기구(81)에 관통되게 끼움된 후 접착되어 고정되는 환기관(82)과, 상기 환기관(82)에 내부에 끼움된 후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환기팬(83)과, 상기 환기관(82)의 외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개폐모터(84)와, 상기 개폐모터(84)의 회전축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개폐모터(84)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환기관(82)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도어(85)와, 상기 순환연결관(70)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순환연결관(70)을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전달하는 감지센서(86)로 이루어져, 화재나 재난상황이 발생시 유독가스나 분진을 상기 감지센서(86)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4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환기팬(83)과 상기 개폐모터(84)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환기팬(83)과 상기 개폐모터(8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순환연결관(70)을 통해 이동하는 유독가스나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환기팬(83)과 상기 개폐모터(84) 및 상기 감지센서(86)는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독가스 및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86)는 상기 필터부(60)의 정화범위를 넘어서는 유독가스나 부진 및 먼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전달하게 되고,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관(20)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의 와류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배기관(20)을 따라 이동하는 바람이 상기 와류홈에 안내되어 소용돌이 형태로 회전되면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관(20)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 분리된 후 이동되어 상기 필터부(60)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순환연결관(70)에 섬유재로 이루어진 분진섬유관을 끼운 후 접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섬유관의 내면에 섬유재로 이루어진 융털들이 부착하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순환연결관(70)을 통해 이동되는 먼지나 분진이 상기 섬유관 및 상기 융털에 걸림되어, 먼지나 분진이 상기 유입관(5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페도어의 내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밀착패널을 부착하여, 상기 탄성밀착패널이 상기 환기관(82)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기관(20)의 내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이물질탈거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물질탈거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배기관(20)에 전달되어, 상기 배기관(20)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 분리된 후 이동되어 상기 필터부(60)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100)의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설비 장치(10)의 시공방법은 상기 건축물(100)의 벽체를 타공하여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배기공을 형성시키는 건축물 배기공 형성단계(S1)와, 상기 건축물(100)에 형성된 배기공에 배기관(20)을 끼워 고정시키는 배기공 배기관 체결단계(S2)와, 상기 배기공에 체결된 배기관(20)의 내부에 송풍팬(30)을 체결하는 배기관 송풍팬 체결단계(S3)와, 상기 송풍팬(30)을 제어하도록 상기 건축물(100)에 제어부(40)를 설치하는 건축물 제어부 설치단계(S4)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건축물(100)의 벽체를 타공하여 유입공을 형성시키는 건축물 유입공 형성단계(S5)와, 상기 건축물(100)에 형성된 유입공에 유입관(50)을 끼워 고정시키는 유입공 유입관 체결단계(S6)와, 상기 배기공에 체결된 배기관(20)에 일단을 끼워 관연결하고, 타단을 상기 유입공에 체결된 유입관(50)에 끼워 관연결하여, 상기 배기관(2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유입공을 통해 실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연결관 설치단계(S7)와, 상기 유입공에 체결된 상기 유입관(50)에 체결하여, 상기 순환연결관(7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필터부(60)를 형성시는 유입관 필터부 형성단계(S8)를 거치면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30)의 구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배기관(20)을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필터부(60)에 의해 정화시킨 후 상기 유입관(50)을 통해 실내에 공급하도록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기계설비 장치 20 : 배기관
30 : 송풍팬 40 : 제어부
50 : 유입관 60 : 필터부
70 : 순환연결관 80 : 구동형환기수단
81 : 환기구 82 : 환기관
83 : 환기팬 84 : 개폐모터
85 : 개폐도어 86 : 감지센서
100 : 건축물 S1 : 건축물 배기공 형성단계
S2 : 배기공 배기관 체결단계 S3 : 배기관 송풍팬 체결단계
S4 : 건축물 제어부 설치단계 S5 : 건축물 유입공 형성단계
S6 : 유입공 유입관 체결단계 S7 : 순환연결관 설치단계
S8 : 유입관 필터부 형성단계

Claims (2)

  1. 건축물의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설비 장치로서,
    상기 건축물에 형성되는 배기구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구에 체결된 상기 배기관에 체결되는 송풍팬과, 상기 건축물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과에 체결된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건축물에 형성되는 유입구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구에 체결된 유입관에 형성되어, 유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와, 상기 배기관과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순환연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는 상기 순환연결관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순환연결관에 안내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동형환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구동형환기수단은,
    상기 순환연결관에 형성되는 환기구와,
    상기 순환연결관에 형성된 환기구에 관통되게 끼움되는 환기관과,
    상기 환기관에 체결되는 환기팬과,
    상기 환기관의 외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개폐모터와,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개폐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환기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도어와,
    상기 순환연결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순환연결관을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내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밀착패널을 부착하여, 상기 탄성밀착패널이 상기 환기관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배기관의 내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이물질탈거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물질탈거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배기관에 전달되어, 상기 배기관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 분리된 후 이동되어 상기 필터부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며,
    상기 순환연결관에 섬유재로 이루어진 분진섬유관을 끼운 후 접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분진섬유관의 내면에 섬유재로 이루어진 융털들이 부착하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순환연결관을 통해 이동되는 먼지나 분진이 상기 분진섬유관 및 상기 융털에 걸림되어, 먼지나 분진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2. 삭제
KR1020220088810A 2022-07-19 2022-07-19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31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10A KR102531427B1 (ko) 2022-07-19 2022-07-19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10A KR102531427B1 (ko) 2022-07-19 2022-07-19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427B1 true KR102531427B1 (ko) 2023-05-15

Family

ID=8639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10A KR102531427B1 (ko) 2022-07-19 2022-07-19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42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386A (ja) * 1999-01-20 2000-07-25 Ooyodo Diesel Kk ダクト類の清掃方法及び装置
KR100623526B1 (ko) * 2005-05-23 2006-09-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환기 제어 방법
KR200431245Y1 (ko) * 2006-09-08 2006-11-23 김재휘 지하공기를 이용한 공조장치
KR100789810B1 (ko) * 2002-01-24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1216955B1 (ko) 2010-04-09 2013-01-02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외기온도 연동식 난방제어장치
KR20140105143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공기조화시스템
KR101466652B1 (ko) 2013-12-23 2014-1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동주택 중앙 냉, 난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41226B1 (ko) * 2016-10-05 2017-06-15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20220094653A (ko) * 2020-12-29 2022-07-06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386A (ja) * 1999-01-20 2000-07-25 Ooyodo Diesel Kk ダクト類の清掃方法及び装置
KR100789810B1 (ko) * 2002-01-24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0623526B1 (ko) * 2005-05-23 2006-09-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환기 제어 방법
KR200431245Y1 (ko) * 2006-09-08 2006-11-23 김재휘 지하공기를 이용한 공조장치
KR101216955B1 (ko) 2010-04-09 2013-01-02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외기온도 연동식 난방제어장치
KR20140105143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공기조화시스템
KR101466652B1 (ko) 2013-12-23 2014-1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동주택 중앙 냉, 난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41226B1 (ko) * 2016-10-05 2017-06-15 주식회사 세명에이씨케이 냉방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20220094653A (ko) * 2020-12-29 2022-07-06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258B1 (ko) 외기냉방 겸용 전열교환 환기장치
EP1775519A2 (en) Air conditioner
KR20170103133A (ko) 환기장치
KR20190050879A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US20160298863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Ozone And Fine Dust Cleaning
CN103029549B (zh) 车内空气调节系统
WO2013015595A2 (ko) 외기냉방 환기장치
KR100984118B1 (ko) 외기냉방 겸용 전열 교환 폐열회수 환기유니트
CN111059624B (zh) 新风装置、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KR101221240B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16084962A (ja) 空気調和換気装置及び建屋内の空気調和換気方法
KR102531427B1 (ko)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EP3696469A1 (en) Hybrid ventilation system
CN107062451A (zh) 一种水洗式空气净化新风系统
CN101769582A (zh) 一种恒热源房间内的通风降温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115697B1 (ko) 폐열 회수형 환풍기의 급기 및 배기장치
KR102115696B1 (ko)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폐열 회수형 환기장치
KR102602746B1 (ko) 스마트 공조장치
RU176378U1 (ru) Приточно-очистительная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0844292B1 (ko) 공기정화 및 온도보상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KR102143407B1 (ko) 열교환 환기 장치
KR102541284B1 (ko) 창호용 공기정화 시스템
CN211290437U (zh) 高效节能多卧室串联通风建筑结构
KR100670668B1 (ko) 공기 공급장치
CN205505217U (zh) 一种水媒热交换换气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