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653A -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653A
KR20220094653A KR1020200186087A KR20200186087A KR20220094653A KR 20220094653 A KR20220094653 A KR 20220094653A KR 1020200186087 A KR1020200186087 A KR 1020200186087A KR 20200186087 A KR20200186087 A KR 20200186087A KR 20220094653 A KR20220094653 A KR 20220094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ibration
duct
circulation facility
steriliz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진
하성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8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4653A/ko
Publication of KR2022009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조화기 또는 에어컨과 같은 공기순환설비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공기순환설비의 진동을 감지하여 일정시간동안 간격을 두고서 살균소자를 가동시켜 살균소자의 수명이 연장되고 전력의 소모가 적으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시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개선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ir sterilization system for air circul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조화기 또는 에어컨과 같은 공기순환설비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공기순환설비의 진동을 감지하여 일정시간동안 간격을 두고서 살균소자를 가동시켜 살균소자의 수명이 연장되고 전력의 소모가 적으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시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개선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주거공간이나 작업공간에 있어서 공기의 순환은 필수적이며 따라서 모든 건축물들은 건축법등과 같이 정해진 법에 의하여 설계되어지고 설치되어지는 환기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환기 시스템들은 크게 자연순환식과 강제순환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공공건물이나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 등
거의 대부분의 주택들은 이들이 병합설치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실내공기의 순환과 함께 사람이 활동하는 공간에 대한 공기조화 및 냉난방시설은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 건물내의 난방 및 온도유지는 아파트나 단독주택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에서는 바닥에 설치된 난방배관에 의하며, 공공건축물, 일반사무실이나 병원 등과 같은 다중이용 건축물들은 천정의 디퓨저를 통한 냉난방 온도유지 또는 벽체부분의 설비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양계장 등과 같이 동물의 사육시설에 있어서는 밀폐된 내부공간에서 원할한 사육을 위해서 충분한 공기공급이 필수적이고, 동물 등의 사육을 위해 밀폐된 공간에서 다량의 동물들을 양식하는 과정에서는 내부의 공기는 혼탁해지게 마련이므로, 동물들의 쾌적한 내부환경 유지를 위해서는 청정공기의 공급이 중요한 사항인 것이다.
이러한 동물의 사육시설에서 청정공기가 공급되지 않고 더러운 공기가 혼합되어 있는 조건에서는 많은 병원균과 바이러스가 발생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이러한 공기가 여러가지 불결한 공기가 혼합된 더러운 불량한 환경에서는 현재 치유가 어렵고 전염력이 강하게 되는 많은 변종을 발생시키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생되게 되어 인류는 많은 어려움을 갖고 엄청안 비용을 치루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97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 또는 에어컨과 같은 공기순환설비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에 대하여 일정한 값으로 설정된 진동값의 이상으로 진동되면 그 진동값을 감지하여 살균소자를 가동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시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개선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살균소자의 수명이 연장되고 전력의 소모가 적게 소모되어 에너지가 절약되는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 또는 재순환을 시키는 환기팬과, 외부의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 유입된 외기와 재순환된 공기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여과기, 여과기에서 여과된 맑은 공기를 실내로 넣어주는 급기팬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와,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순환 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로부터 순환 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실내로 순환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급기팬 또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설비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상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에 설치되거나 가동시 진동이 발생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일정한 값으로 설정된 진동값의 이상으로 진동되면 이를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의 진동값의 이상이면 이를 감지하고 공기조화기내에 설치된 살균소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가동신호에 따라 가동되어 상기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시키는 공기살균부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냉매가 순환되어 압축되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코일에서 열교환되고 이를 송풍팬을 사용하여 냉풍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공기조화기와,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순환 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로부터 순환 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실내로 순환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급기팬 또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설비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상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에 설치되거나 가동시 진동이 발생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일정한 값으로 설정된 진동값의 이상으로 진동되면 이를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의 진동값의 이상이면 이를 감지하고 공기조화기내에 설치된 살균소자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가동신호에 따라 가동되어 상기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시키는 공기살균부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은,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시키고 또는 실내의 공기의 온도를 이용하기 위하여 여과시켜 재순환을 시키는 환기팬과 외부의 공기의 배기하거나 유입시켜 유입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 유입된 외기와 재순환된 공기의 불순물을 걸러주고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는 여과기, 여과기에서 여과되고 적절한 온도로 유지된 맑은 공기를 실내로 넣어주는 급기팬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와; 또는 냉매가 순환되어 압축되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코일에서 열교환되고 이를 송풍팬을 사용하여 냉풍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공기조화기와;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순환 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로부터 순환 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실내로 순환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급기팬 또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설비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상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에 설치되거나 가동시 진동이 발생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일정한 값으로 설정된 진동치의 이상으로 진동되면 이를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의 진동치의 이상이면 이를 감지하고 공기조화기내에 설치된 살균소자를 작동시키는 공기살균부가 구비되어, 공기조화기 또는 에어컨과 같은 공기순환설비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일정한 값으로 설정된 진동치의 이상으로 진동되면 그 진동치를 감지하여 살균소자를 가동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시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개선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이 설치된 공기순환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이 설치된 공기순환설비의 콘트롤러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의 작동이 도시된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이 설치된 공기순환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의 작동이 도시된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이 설치된 공기순환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이 설치된 공기순환설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 또는 재순환을 시키는 환기팬(21)과, 외부의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22)와, 유입된 외기와 재순환된 공기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여과기(23)와, 여과기에서 여과된 맑은 공기를 실내로 넣어주는 급기팬(24)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2)와, 상기 공기조화기(2)로부터 순환 공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덕트(3)와 실내(R)로부터 배기된 공기를 배기하거나 다시 상기 환기팬(21)으로 공급하는 배기/순환 덕트(3')와, 상기 덕트(3)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실내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급기부(4)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설비(B)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공기조화기(2)상에 설치되거나 덕트(3)상에 설치된다.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가동시 진동이 발생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일정한 값으로 설정된 진동값의 이상으로 진동되면 이를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61)와,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감지된 진동값이 일정값의 이상이면 가동되는 공기살균부(62)와,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설정된 진동값이 도달되면 이를 인지하고 상기 공기살균부(62)의 가동을 지시하는 콘트롤러(5)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2)의 외측에는 공기조화기(2)를 조작하는 콘트롤러(5)가 부착되고, 상기 콘트롤러(5)는 본 발명의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일부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공기조화기와 같은 진동이 발생되는 장소에 부착되어 공기순화설비의 가동시에 진동값을 취득하여 공기살균부의 가동을 제어하여 공기살균부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전력을 절감하는 기능을 갖음과 아울러 실내에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순환 덕트(3')는, 실내(R)로부터 배기된 공기를 배기덕트(3a')를 통하여 배기하거나 다시 순환덕트(3b')를 통하여 상기 환기팬(21)으로 공급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배기덕트(3a')와 순환덕트(3b')로 분기되는 분기지점(3c')에 상기 공기조화기(2)에 의하여 작동되는 힌지회동판(3d')이 배치되어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배기/순환 상태를 결정하여 작동시키고, 상기 순환덕트(3b')의 내부에는 순환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3e')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상기 공기조화기(2)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61)와,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감지된 진동값이 일정값의 이상이면 가동되는 공기살균부(62)와,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설정된 진동값이 도달되면 이를 인지하고 상기 공기살균부(62)의 가동을 지시하는 콘트롤러(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진동감지센서(61)는 공기조화기(2)에 근접한 부분의 덕트(3)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살균부(62)는 상기 덕트(3)의 중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러(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고 전원이 온/오프 되는 전원부(51)와, 작동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52)와,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3)와, 필요한 통신을 송수신하는 송수신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52)는 이벤트가 발생한 진동값과 공기살균부를 가동하는 시간을 저장하나 이에 제한된 것이 아니고, 이동이 가능한 마이크로 SD 카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살균부(62)는 UV 램프가 사용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UV-C 자외선램프의 파장이 253.7 nm 의 단파 자외선을 갖는 자외선램프가 사용되며, 직렬/병렬 상태로 최대 5개의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작동은, 상기 공기조화기(2)가 가동되면 일정한 진동이 발생되게 되고 , 상기 진동감지센서(61)는 이러한 진동을 감지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콘트롤러(5)로 송신하거나 진동이 설정된 데시벨의 이상으로 감지되면 이를 상기 콘트롤러(5)로 송신하고, 상기 콘트롤러(5)에서는 설정된 데시벨 이상으로 진동이 감지되면 송수신부(54)를 통하여 공기살균부(62)에 가동신호를 송신하거나 진동감지센서(61)에서 송신된 설정 데시벨 이상의 진동을 인식하여 이를 송수신부(54)를 통하여 공기살균부(62)에 가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공기살균부(62)가 가동되게 되면서 덕트(3)의 내부에서 실내(R)로 공급되는 공기가 살균되게 되어 살균된 공기가 실내(R)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작동을 도 3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순환설비(B)의 공기조화기(2)가 가동되면(S1), 공기조화기(2)를 통하여 공기가 덕트(3)를 통하여 실내(R)로 공급되게 되면서, 진동감지센서(61)에서 덕트(3)의 진동을 감지하고(S2), 이를 콘트롤러(5)로 송신하여 콘트롤러(5)의 제어부(53)에서는 수신된 진동값이 설정된 진동값과를 비교하고(S3), 수신된 진동값이 설정된 진동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다시 S2 단계로 귀환하고, 수신된 진동값이 설정된 진동값보다 클 경우에는 로그 기록 저장 단계로 진행하여 저장하고(S4), 공기살균부(62)를 가동시키는 신호를 공기살균부(62)로 송출하고(S5), 공기살균부(62)를 가동시켜, 덕트(3)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살균부(62)를 지나면서 공기가 살균된 상태로 실내(R)로 공급되게 되고 공기순환설비(B)의 사용이 종료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도 종료(S6)되면서 가동이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상기 진동감지센서(61)는 공기조화기(2)에 근접한 부분의 덕트(3)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 트리거부(61a)가 밀착되게 부착설치되며, 상기 트리거부(61a)는 진동감지센서(61)에 진동값을 인지하고 인지된 진동값의 설정치 이상이면 바로 공기살균부(62)에 가동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공기살균부(62)는 상기 덕트(3)의 중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서, 제1실시예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작동이, 콘트롤러(5)를 거치지 않고, 진동감지센서(61)에 진동값을 인지하고 인지된 진동값의 설정치 이상이면 바로 공기살균부(62)에 가동신호를 송신하는 트리거부(61a)가 설치되어 가동 트리거신호를 상기 공기살균부(62)에 송신하여 상기 공기살균부(62)가 가동되게 되면서 덕트(3)의 내부에서 실내(R)로 공급되는 공기가 살균되게 되는 방식으로 작동되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게 할 수도 있을 것이고, 더욱 간단하게는 진동감지센서(61)와 공기살균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작동을 도 5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순환설비(B)의 공기조화기(2)가 가동되면(S1), 공기조화기(2)를 통하여 공기가 덕트(3)를 통하여 실내(R)로 공급되게 되면서, 진동감지센서(61)에서 덕트(3)의 진동을 감지하고(S2),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감지된 진동값이 설정된 진동값과를 비교하고(S7), 감지된 진동값이 설정된 진동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다시 S2 단계로 귀환하고, 감지된 진동값이 설정된 진동값보다 클 경우에는 트리거부(61a)가 작동되어 공기살균부(62)를 가동시키고(S8), 덕트(3)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살균부(62)를 지나면서 공기가 살균된 상태로 실내(R)로 공급되게 되고 공기순환설비(B)의 사용이 종료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도 종료(S9)되면서 가동이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제1실시예의 상기 콘트롤러(5)나 제2실시예의 상기 진동감지센서(61)의 트리거부(61a)에는 상기 공기조화기(2)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1 ~ 100% 까지의 진동데시벨의 진동값을 임의의 범위, 예를 들면, 10 ~ 40%의 범위내에서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는 설정부(도시되지 않음)가 당연히 설치되어 있으므로, 최적치의 진동값을 설정할 수가 있게 되어 원하는 최적치의 진동값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편리하게 최적의 상태에서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콘트롤러(5)나 상기 진동감지센서(61)의 트리거부(61a)에서의 진동데시벨을 조정하는 방법은 상기 기기내에 표시된 진동데시벨표시부(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설정 진동값을 원하는 수치로 변경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순환되어 압축되는 실외기(1)와, 상기 실외기(1)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코일에서 열교환되고 이를 송풍팬(21)을 사용하여 냉풍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고 공급하는 공기조화기(2)와, 상기 공기조화기(2)로부터 공급된 냉풍 또는 온풍을 실내로 공급하는 덕트(3)와, 상기 덕트(3)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실내(R)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실내기(4)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설비(B)에 설치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2)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61)와,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감지된 진동값이 일정값의 이상이면 가동되는 공기살균부(62)와,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설정된 진동값이 도달되면 이를 인지하고 상기 공기살균부(62)의 가동을 지시하는 콘트롤러(5)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진동감지센서(61)는 공기조화기(2)에 근접한 부분의 덕트(3)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살균부(62)는 상기 덕트(3)의 중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상기 진동감지센서(61)는 공기조화기(2)에 근접한 부분의 덕트(3)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 트리거부(61a)가 밀착되게 부착설치되며, 상기 트리거부(61a)는 진동감지센서(61)에 진동값을 인지하고 인지된 진동값의 설정치 이상이면 바로 공기살균부(62)에 가동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공기살균부(62)는 상기 덕트(3)의 중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서, 제1실시예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작동이, 콘트롤러(5)를 거치지 않고, 진동감지센서(61)에 진동값을 인지하고 인지된 진동값의 설정치 이상이면 바로 공기살균부(62)에 가동신호를 송신하는 트리거부(61a)가 설치되어 가동 트리거신호를 상기 공기살균부(62)에 송신하여 상기 공기살균부(62)가 가동되게 되면서 덕트(3)의 내부에서 실내(R)로 공급되는 공기가 살균되게 되는 방식으로 작동되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게 할 수도 있을 것이고, 더욱 간단하게는 진동감지센서(61)와 공기살균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의 작동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하고, 이를 도 5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순환설비(B)의 공기조화기(2)가 가동되면(S1), 공기조화기(2)를 통하여 공기가 덕트(3)를 통하여 실내(R)로 공급되게 되면서, 진동감지센서(61)에서 덕트(3)의 진동을 감지하고(S2),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감지된 진동값이 설정된 진동값과를 비교하고(S7), 감지된 진동값이 설정된 진동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다시 S2 단계로 귀환하고, 감지된 진동값이 설정된 진동값보다 클 경우에는 트리거부(61a)가 작동되어 공기살균부(62)를 가동시키고(S8), 덕트(3)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살균부(62)를 지나면서 공기가 살균된 상태로 실내(R)로 공급되게 되고 공기순환설비(B)의 사용이 종료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도 종료(S9)되면서 가동이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은, 공기조화기상에 설치되며 상기 덕트에 설치되거나 가동시 진동이 발생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일정한 값으로 설정된 진동치의 이상으로 진동되면 이를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의 진동치의 이상이면 이를 감지하고 공기조화기내에 설치된 살균소자를 작동시키는 공기살균부가 구비되어, 공기조화기 또는 에어컨과 같은 공기순환설비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일정한 값으로 설정된 진동치의 이상으로 진동되면 그 진동치를 감지하여 살균소자를 가동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시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개선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면서도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가 있게 되어 경제성이 있게 공기 살균 시스템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은, 일반적인 공기 살균 시스템을 제조하는 산업분야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A .....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B ..... 공기순환설비
2 ..... 공기조화기 3 ..... 덕트
4 ..... 실내기 5 ..... 콘트롤러
21 ..... 환기팬 22 ..... 댐퍼
23 ..... 여과기 24 ..... 급기팬
51 ..... 전원부 52 ..... 저장부
53 ..... 제어부 61 ..... 진동감지센서
61a ..... 트리거부 62 ..... 공기살균부

Claims (2)

  1.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냉풍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고 공급하는 공기조화기(2)와, 상기 공기조화기(2)로부터 공급된 냉풍 또는 온풍을 실내로 공급하는 덕트(3)와, 상기 덕트(3)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실내(R)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실내기(4)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설비(B)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상기 공기조화기(2)의 가동시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도록 공기조화기(2) 또는 덕트(3)에 설치되는 진동감지센서(61)와,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감지된 진동값이 일정값의 이상이면 가동되며 상기 덕트(3)내에 설치되는 공기살균부(62)와,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서 설정된 진동값이 도달되면 이를 인지하고 상기 공기살균부(62)의 가동을 지시하는 콘트롤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2.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냉풍 또는 열풍을 발생시키고 공급하는 공기조화기(2)와, 상기 공기조화기(2)로부터 공급된 냉풍 또는 온풍을 실내로 공급하는 덕트(3)와, 상기 덕트(3)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 실내(R)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실내기(4)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설비(B)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상기 진동감지센서(61)는 공기조화기(2)에 근접한 부분의 덕트(3)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 부착설치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61)에 진동값을 인지하고 인지된 진동값의 설정치 이상이면 바로 공기살균부(62)에 가동신호를 송신하는 트리거부(61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살균부(62)는 상기 덕트(3)의 중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거나,
    상기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A)은, 상기 진동감지센서(61)와 공기살균부(6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KR1020200186087A 2020-12-29 2020-12-29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KR20220094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087A KR20220094653A (ko) 2020-12-29 2020-12-29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087A KR20220094653A (ko) 2020-12-29 2020-12-29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653A true KR20220094653A (ko) 2022-07-06

Family

ID=8239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087A KR20220094653A (ko) 2020-12-29 2020-12-29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46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427B1 (ko) * 2022-07-19 2023-05-15 대평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772Y1 (ko) 2003-04-15 2003-07-12 이대균 공기살균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772Y1 (ko) 2003-04-15 2003-07-12 이대균 공기살균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427B1 (ko) * 2022-07-19 2023-05-15 대평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열교환 기계설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3555B2 (en) Multiple zone climate control system
KR102008625B1 (ko) 천장 부착 외기 도입형 공기청정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CN111237913A (zh) 一种中央空调风道用空气消毒机
CN207635494U (zh) 无尘间洁净度的控制系统
JP6940896B1 (ja) 換気空調システム
WO2022237802A1 (zh) 杀菌净化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空调器
KR20170140527A (ko) 공기조화기
KR20220094653A (ko) 공기순환설비용 공기 살균 시스템
CN111336589A (zh) 一种使空调室内机实现健康功能的方法
CN104374013A (zh) 一种船用消音除菌组合式空调
CN102657885A (zh) 空调器的风道灭菌装置及控制方法
CN201827986U (zh) 婴幼儿游泳馆专用空调系统
JP2004225927A (ja) 空調装置、空調方法
JP2007071495A (ja) 空気調和機
WO2021261283A1 (ja) 空調方法、空調システム、uv処理装置
CN115200189A (zh) 一种多功能智慧中央空调控制系统
WO2019006518A1 (en) AIR TREATMENT SYSTEM
WO2021098530A1 (zh) 智能空调系统
JP2021177111A (ja) 空調システム
CN111594930A (zh) 一种用于风机盘管的杀毒除菌控制装置
KR20230077314A (ko) 실내공기 온도조절 및 탈취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 연동방식의 지능형 조명제어시스템
CN217482874U (zh) 风机盘管装置及空调设备
KR100650987B1 (ko) 저소음형 공조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수술실 공조 시스템
EP3926246B1 (en) A dynamic air supply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air flow in a clean room
CN212987437U (zh) 一种用于风机盘管的杀毒除菌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