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650B1 - 흡연 부스 - Google Patents

흡연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650B1
KR102533650B1 KR1020220068431A KR20220068431A KR102533650B1 KR 102533650 B1 KR102533650 B1 KR 102533650B1 KR 1020220068431 A KR1020220068431 A KR 1020220068431A KR 20220068431 A KR20220068431 A KR 20220068431A KR 102533650 B1 KR102533650 B1 KR 10253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air
booth
spac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홍
Original Assignee
동광프리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광프리즘(주) filed Critical 동광프리즘(주)
Priority to KR102022006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tobacco smo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는 로드셀을 통해 이용자의 체중 변화에 따른 인원 증감을 실시간 체크하여 인원 증감에 따라 에어컨, 공기정화수단, 제연수단, 조명등 및 LED 표시부 등과 같은 전기적 시스템을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기기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쾌적한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흡연자들의 간접 흡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부스 본체에서 이루어지는 상황을 유무선으로 모니터링 관제부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흡연 부스 곁에 상주하거나 직접 가지 않더라도 흡연 부스의 상황을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시간당 이용자 수, 일일 누적 이용자 수 등 흡연 부스의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데이터를 수집 활용하면서 흡연 부스 내의 시스템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흡연 부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연 부스{Smoking booth}
본 발명은 흡연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 수에 따라 시스템의 운영이 단계적으로 제어되는 흡연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에는 순수한 잎담배 외에 담배의 향을 좋게 하기 위한 각종의 향료, 담배 맛을 맵지 않도록 일정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 담뱃불이 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연제 등이 첨가된다.
담배는 흡연 시 연기가 발생하게 되며, 연기에는 아크로레인, 페놀, 벤조피렌, 일산화탄소, 질소화합물, 나이트로자민, 니코틴 등 많은 발암물질과 몸에 해로운 성분이 다량 함유된다.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우리나라의 흡연율은 감소 추세에 있지만, 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정, 사무실, 음식점, 길거리 등에서 간접흡연의 경험을 갖고 있으며, 많은 수의 흡연자들도 간접흡연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현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에 관한 법적/제도적 규제는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관리/규제의 어려움과 흡연자의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흡연부스의 설치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72332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39988호(이하, “선행문헌2”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4912호(이하, “선행문헌3”이라 한다) 등의 선행 특허문헌에 게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 내지 3에 따른 흡연부스들은 내부에 흡연자가 들어가 흡연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공기정화장치 등의 공조시스템을 통해 내부 공기를 환기 및 정화시켜 흡연자들이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흡연부스는 관리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즉, 이용자가 없는 경우에도 공조시스템과 내부 조명등이 계속해서 작동하게 되므로 에너지 낭비가 심하게 되고, 관리자가 수시로 흡연부스를 방문해서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용자의 수를 파악할 수 없어 이용자 수 변동에 따른 최적의 운영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1 내지 3의 기술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71881호(이하, “선행문헌4”라 한다)에 게시되어 있다.
선행문헌4에 따른 흡연부스는 출입문과 공간 내에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를 설치하여 이용자 수를 감지하며 이를 토대로 각종 장치의 작동 유무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흡연부스의 경우 이용자 수에 따라 내부 시스템이 운영되므로 시스템 운영에 있어서 효율적인 부분이 있으나, 도로변이나 야외 설치 시 흡연부스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이 흡연부스에 접근하거나 야생동물이 흡연부스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오작동하여 내부 시스템의 공회전이 발생하게 되고 에너지의 손실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 운영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즉시 파악할 수 없으며, 관리자가 수시로 방문하여 시스템 운영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는 로드셀을 통해 이용자의 체중 변화에 따른 인원 증감을 실시간 체크하여 인원 증감에 따라 에어컨, 공기정화수단, 제연수단, 조명등 및 LED 표시부 등과 같은 전기적 시스템을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기기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쾌적한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흡연자들의 간접 흡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부스 본체에서 이루어지는 상황을 유무선으로 모니터링 관제부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흡연 부스 곁에 상주하거나 직접 가지 않더라도 흡연 부스의 상황을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시간당 이용자 수, 일일 누적 이용자 수 등 흡연 부스의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데이터를 수집 활용하면서 흡연 부스 내의 시스템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흡연 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 부스는 천장 및 바닥과 복수 개의 벽체로, 내부에 실내공간을 형성한 박스 형태를 이루고, 일측 벽체에는 흡연자가 흡연공간으로 출입하는 출입문을 구비하며, 상기 실내공간을 흡연공간, 공기정화실, 다용도실로 구분하는 부스본체; 상기 흡연공간의 천정에 구비되고, 상기 흡연공간의 상측 기류를 유입하여, 상측 기류에 포함된 담배연기를 제거하는 제연수단; 상기 공기정화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연공간의 실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여 미세먼지가 포함된 혼탁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수단; 상기 흡연공간에 바닥면에 구비되고, 이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공기청정수단과, 제연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스본체의 흡연공간은 복수 개의 흡연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로드셀은 복수 개로 구획된 상기 흡연영역의 바닥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획된 흡연영역 경계선상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감지된 이용자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흡연영역에 선택적으로 바람을 방출하여 에어커튼을 구현하는 에어커튼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해당 흡연영역의 경계선상 바닥, 또는 해당 흡연영역의 경계선상 바닥과, 천정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연수단은 흡연공간의 혼탁공기를 외부로 송풍하고, 청정공기를 흡연공간 실내로 송풍하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에서 복수 개로 분기되는 분기덕트와, 상기 분기덕트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연공간의 천정면에 매립되는 디퓨져와, 상기 메인덕트와 연결되어, 혼탁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팬과, 상기 메인덕트와 연결되어, 청정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연수단의 디퓨져는 상기 구획된 흡연영역들 각각의 천정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로드셀에 의해 감지된 이용자 여부에 따라 해당 흡연영역의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실내공기에 포함된 담배연기를 제거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에 의해 감지된 이용자 체중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와, 상기 유무선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도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달하는 모니터링 관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 부스는 바닥에 설치되는 로드셀을 통해 이용자의 체중 변화에 따른 인원 증감을 실시간 체크하여 인원 증감에 따라 에어컨, 공기정화수단, 제연수단, 조명등 및 LED 표시부 등과 같은 전기적 시스템을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기기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쾌적한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흡연자들의 간접 흡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부스 본체에서 이루어지는 상황을 유무선으로 모니터링 관제부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흡연 부스 곁에 상주하거나 직접 가지 않더라도 흡연 부스의 상황을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시간당 이용자 수, 일일 누적 이용자 수 등 흡연 부스의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데이터를 수집 활용하면서 흡연 부스 내의 시스템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의 외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의 출입문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의 제연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연수단의 디퓨져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공간의 바닥을 구획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의 에어커튼수단이 구동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실에 구비된 공기정화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실과 흡연공간의 공기순환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실과 공조수단을 연계한 상태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용자 수에 따라 시스템이 운영이 단계적으로 제어되는 흡연 부스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10)는 부스본체(100)와, 공기정화수단(200), 제연수단(300), 로드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부스본체(100)를 살펴보면, 상기 부스본체(100)는 천장 및 바닥과 복수 개의 벽체로, 내부에 실내공간을 형성한 박스 형태를 이루고, 일측 벽체에는 흡연자가 흡연공간(110)으로 출입하는 출입문(101)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벽체는 강화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출입문(101)은 미닫이식 문으로 자동식, 수동식 또는 반자동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스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부스본체(1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10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스본체(100)의 외면에는 흡연공간(110)의 공기조화를 위한 에어컨 실외기(103)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에어컨 실외기(103)는 상기 부스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컨 실내기(104)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103) 및 에어컨 실내기(104)의 가공에 따라 상기 부스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흡연공간(110)은 항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스본체(100)에는 실내공기 배기부(105) 및 외부공기 유입부(10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실내공기 배기부(105)는 상기 부스본체(100)의 상면에 흡연공간(110)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흡연공간(110) 내부의 실내공기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외부공기 유입부(106)는 상기 부스본체(100)의 벽체 하부에 흡연공간(110)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상기 부스본체(100)의 흡연공간(110)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공기 배기부(105) 및 상기 외부공기 유입부(106)에는 각각 방충망과 함께 개폐도어(도시하지 않음)가 구비하어, 상기 제어부(500)의 선택적인 제어에 의해 개폐도어가 개폐되어 실내공기의 배기 및 외부공기의 유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본체(100)의 실내인 흡연공간(110) 천정에는 조명등(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일몰 이후 또는 볕이 들지 않는 기상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흡연공간(110)을 조명하고, 상기 부스본체(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이용자 수의 변동에 따른 상황을 표시해주는 LED 표시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등 및 LED표시부 역시,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그 구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흡연공간(110)의 천장에는 이용자들의 전체 허용 중량 초과 시 경고음을 발하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스본체(100)의 내부는 흡연공간(110), 공기정화실(120), 및 다용도실(130)로 구획되는데,
먼저 상기 흡연공간(110)은 이용자가 흡연을 위해 외부에서 출입하여 흡연하는 곳으로, 상기 흡연공간(110) 내부에는 담배 재 및 꽁초를 수거할 수 있는 재털이(107)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흡연공간(110)의 바닥에는 이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로드셀(Load Cell: 400)을 구비하는데, 상기 로드셀(400)은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연공간(110)의 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제어부(500)로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흡연공간(110)의 바닥(111)은 일정 비율로 복수 개의 흡연영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흡연영역 바닥에 상기 로드셀(40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획된 흡연영역의 경계선상에는 각각 바람을 방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수단(140)을 구비하는데, 상기 에어커튼수단(140)은 해당 흡연영역의 경계선상으로 강한 바람을 방출하여 해당 흡연영역과 근접하는 흡연영역으로 담배연기가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때 상기 에어커튼수단(140)은 흡연영역의 천장 중 흡연영역을 구획한 경계선상 위치와, 흡연영역의 바닥 중 흡연영역을 구획한 경계선상 위치에 각각 되어, 상기 흡연영역을 구획한 경계선상을 따라 위/아래로 모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흡연영역을 구획한 경계선상 중 흡연영역의 천장에 구비되어, 흡연영역의 천정에서 아래로만 에어커튼을 형성하거나, 또는 흡연영역을 구획한 경계선상 중 흡연영역의 바닥에 구비되어, 흡연영역의 바닥에서 위로만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커튼수단(140)은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커튼수단(140)은 해당 흡연영역에 이용자의 존재 여부를 상기 로드셀(400)로 확인하고, 상기 로드셀(400)에서 감지한 이용자 여부에 따라 해당 흡연영역에 대응하여 개별로 그 구동이 각각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연공간(110)의 상측에는 제연수단(30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연수단(300)은 상기 흡연공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흡연공간(110)의 상측 기류를 유입하여, 그 상측 기류에 포함된 담배연기를 제거한 후, 담배연기가 제거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제연수단(30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혼탁공기(담배연기가 포함된 공기)와 청정공기(담배연기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가 흐르는 메인덕트(310) 및 분기덕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덕트(320)는 실내 천정에 매립되어 청정공기를 실내로 유출하고 혼탁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디퓨져(3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덕트(310)는 혼탁공기를 외부로 송풍하고 청정공기를 실내로 송풍할 수 있도록, 제1송풍기(도시하지 않음) 및 제2송풍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메인덕트(310)는 외부메인덕트(311) 내부에 내부메인덕트(312)를 구비하는데, 상기 외부메인덕트(311)와 내부메인덕트(312)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부메인덕트(311)와 내부메인덕트(312) 사이로 청정공기가 유동하고, 내부메인덕트(312) 내부로는 상기 흡연공간(110)에서 유입된 혼탁공기가 유동한다.
상기 분기덕트(320)는 외부분기덕트(321) 내부에 내부분기덕트(322)를 구비하는데, 상기 내부분기덕트(322)와 외부분기덕트(321) 사이로 상기 외부메인덕트(311)와 내부메인덕트(312)의 사이로 흐르는 청정공기가 유입되어 흐르도록 상기 외부분기덕트(321)는 상기 외부메인덕트(311)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분기덕트(322)는 상기 내부메인덕트(311)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분기덕트(322) 내부로는 상기 흡연공간(110)에서 유입된 혼탁공기가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디퓨져(330)는 외부디퓨져(331)와 내부디퓨져(332)로 구비되고, 상기 외부디퓨져(331)는 분기덕트(320)의 외부분기덕트(321)와 연결되며, 상기 내부디퓨져(332)는 상기 분기덕트(320)의 내부분기덕트(322)와 연결되는데, 상기 외부디퓨져(331)와 내부디퓨져(332) 사이를 일정간격을 이격시켜 상기 외부디퓨져(331)와, 상기 내부디퓨져(332) 사이로 상기 외부분기덕트(321)와 내부분기덕트(322) 사이에서 토출되는 청정공기를 안내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내부디퓨져(332) 내부로는 상기 흡연공간(110)에서 유입된 혼탁공기가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1송풍기는 실외에 위치한 내부메인덕트(312)에 상기 제1송풍기의 흡입부가 연결되어, 상기 디퓨져(330)의 내부디퓨져(332)와 상기 분기덕트(320)의 내부분기덕트(322)와, 상기 메인덕트(310)의 내부메인덕트(312)를 통해 혼탁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한다.
상기 제2송풍기는 실외에 위치한 상기 외부메인덕트(311)와 상기 내부메인덕트(312)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메인덕트(311)와 상기 내부메인덕트(312)의 사이에 청정공기를 송풍하여, 송풍된 청정공기가 메인덕트(310)와 분기덕트(320)를 경유하여 디퓨져(330)를 통해 실내로 송풍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메인덕트(312)의 혼탁공기가 상기 공기청정수단(200)을 경유하도록, 상기 공기청정수단(200)의 혼탁공기 관로가 상기 제1송풍기의 토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메인덕트(311)와 상기 내부메인덕트(312) 사이의 청정공기가 상기 공기청정수단(200)을 경유하도록, 상기 공기청정수단(200)의 청정공기 관로가 상기 제2송풍기의 흡입부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1, 2송풍기가 작동하면 디퓨져(330)를 통해 혼탁공기가 유입되어 분기덕트(320), 메인덕트(310), 공기청정수단(200)을 경유하고, 상기 공기청정수단(200)을 경유한 실내공기는 다시 메인덕트(310), 분기덕트(320), 디퓨져(330)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상기 외부디퓨져(331)와 내부디퓨져(332) 사이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외부개폐밸브(340)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개폐밸브(340)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때 상기 외부개폐밸브(340)는 원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341)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열된 고리 형태의 링부재 한 쌍이 상, 하로 서로 면접하면서 동축을 이루도록 겹쳐진 것으로, 고리 형태의 링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레버는 액추에이터의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으로 레버가 고리 형태의 링부재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을 축으로 회전시키면, 고리 형태의 링부재들의 관통홀(341)이 서로 연통하거나, 연통하지 않아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디퓨져(332) 내부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내부개폐밸브(350)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개폐밸브(350) 역시, 액추에이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때 상기 내부개폐밸브(350)는 원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내부개폐밸브(350) 일측에 힌지축이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은 외부로 관통시켜 액추에이터의 구동축과 연결한 구조로서 내부디퓨져(332) 상측 원통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개폐밸브(350)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힌지축이 회전하면, 힌지축을 축으로 90°각도로 회전하여 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디퓨져(330)는 상기 흡연공간(110) 중 복수 개로 구획된 흡연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천정에 구비되고, 상기 디퓨져(330)에 구비된 외부개폐밸브(340)와, 내부개폐밸브(350) 각각의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커튼수단(140)과 같이 해당 흡연영역에 이용자의 존재 여부를 상기 로드셀(400)로 확인하고, 상기 로드셀(400)에서 감지한 이용자 여부에 따라 해당 흡연영역에 대응하여 개별로 그 구동이 각각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수단(200)은 상기 흡연공간(110)과 구획된 상기 공기정화실(12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연공간(110)의 혼탁공기를 유입하여, 담배연기를 포함하는 혼탁공기에서 담배연기를 정화한다.
상기 공기정화수단(200)은 통상의 공기청정기와 같이 다중 필터로 구비하여, 유입된 상기 흡연공간(110)의 혼탁공기에서 담배연기 및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담배연기 및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청정공기를 상기 흡연공간(110)의 실내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정화실(120)은 상기 흡연공간(110)을 구분하는 격벽에는 연통하는 공기순환통로(121)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순환통로(121)를 통해 상기 흡연공간(110)의 혼탁공기가 상기 공기정화실(120)로 유입되어, 상기 공기정화수단(200)에 의해 담배연기 및 미세먼지 등을 제거된 후, 청정공기로 다시 상기 공기순환통로(121)를 통해 상기 공기정화실(120)에서 상기 흡연공간(110)으로 제공되는 순환루트를 이룰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정화실(120)는 상기 미스트분무노즐(210)에서 분무된 미스트는 혼탁 공기에 포함된 담배연기 및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혼탁 공기의 1차 정화를 실시한다 .
상기 미스트분무노즐(210)의 하부에는 경사판(220)을 구비하는데, 상기 경사판(220)은 미스트의 낙하로 생성된 물방울을 받아 하측으로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판(220)의 하부에는 제1집수조(230)를 구비하여, 상기 경사판(220)을 따라 하측으로 유도된 물방울을 집수한다.
그리고 상기 정화덕트(240)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관체로 , 상기 공기정화실(120)의 상측에 입구를 배치하고, 상기 공기정화실(120)의 하측에 출구를 배치하 여, 상기 공기정화실(120)의 상측에서 미스트가 혼합된 혼탁 공기를 흡입하여 출구로 안내한다.
이때 상기 정화덕트(240)의 중공 중 입구측에는 송풍팬(241)을 구비하여, 미스트가 혼합된 혼탁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정화덕트(240)의 중공을 따라 유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정화덕트(240)는 혼탁 공기의 정화량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정화덕트(240)의 길이 중 어느 한 지점에는 응축코일(250)을 구비하는데, 상기 응축코일(250)은 상기 정화덕트(240)를 유동하는 미스트에 냉기를 제공하여 혼탁 공기에 포함된 담배연기 및 미세먼지를 흡착한 미스트를 응축시켜, 혼탁 공기에서 담배연기 및 미세먼지와 미스트를 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이때 상기 응축코일(250)은 공조수단인 에어컨에서 제공하는 팽창된 냉매를 유입하여 이를 증발시켜, 냉매의 증발열로 인해 생성된 냉기를 미스트가 혼합된 혼탁 공기에 제공하여, 혼탁 공기에 혼합된 미스트의 응축으로 혼탁 공기에서 담배연기 및 미세먼지와 미스트를 분리하여 공기의 2차 정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화덕트(240)의 길이 중 상기 응축코일(250) 후방에는 공기배출구(260)를 형성하는데, 상기 공기배출구(260)는 유도덕트(261)를 통해 상기 흡연공간(110)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코일(25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상기 에어커튼수 단(140)이 구비되는 흡연공간(110)의 하부로 안내되어, 상기 흡연공간(110)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덕트(240)의 출구 하부에는 제2집수조(27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2집수조(270)는 상기 정화덕트(240)를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응축코일(250)에 의해 미스트의 응축으로 생성된 물방물을 집수한다.
이때 상기 제2집수조(270)는 제1집수조(230)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집수 조(230)에서 집수된 물을 받아 함께 집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10)는 에어컨 실외기(103)와, 에어컨 실내기(104)를 대신하여, 공조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공조수단은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유출하는 압축기(410)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41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410)에서 유출된 냉매를 유입하여, 유입된 냉매를 외기와의 열교환으로 응축시켜 유출하는 실외기(420)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기(42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라 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420)에서 유출된 냉매를 유입하여, 유입된 냉매를 팽창시켜 유출하는 팽창밸브(430)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밸브(43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흡연공간(110)으로 제공되는 급기를 냉각하는 냉각코일(440)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코일(440)의 일측에 구비되어, 급기를 상기 흡연공간(1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에어커튼수단(140)으로 송풍하는 송풍기(4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응축코일(250)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라인으로 상기 팽창밸브(430)와, 상기 냉각코일(44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밸브(430)에서 유출되는 팽창된 냉매를 유입하여, 그 냉매를 증발시켜 냉매의 증발로 발생하는 냉기(증발열)로 혼탁 공기에 포함된 미스트를 응축시킨다.
또한, 상기 제2집수조 (270) 내부에는 예냉각수단(460)을 구비하는데, 상기 예냉각수단(460)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라인으로 상기 압축기(410)와 실외기(4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집수조(270)에 모인 물과 냉매를 서로 열교환시켜 , 상기 압축기(410)에서 실외기(420)로 유동하는 냉매를 예비냉각한다.
그리고 상기 다용도실(130) 내부에는 소화기(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되며, 상기 다용도실(130)과 흡연공간(110) 사이의 벽면에는 작은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선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흡연공간(110)의 일측 벽면에는 실내 공기조화를 위해 에어컨 실내기(104)가 설치되고, 상기 흡연공간(110)의 일측 벽면 중 에어컨 실내기(104) 아래쪽에는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10)는 원격으로 그 시스템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부스본체(100)에 설치되는 제어부(500)에는 데이터 수집부(510), 유무선 통신부(520)가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510)는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제어된 상기 로드셀(400), 제연수단, 공기정화수단, 에어커튼수단, 에어컨 실외기, 에어컨 실내기, LED표시기 등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특히, 로드셀(400)로부터는 이용자의 체중 정보를 실시간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유무선 통신부(52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510)에서 수집한 정보를 유무선 방식에 의해 모니터링 관제부(530)로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관제부(530)에서 송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500)를 제어신호 전달하여, 상기 부스본체(100)에 설치되는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모니터링 관제부(530)를 통해 부스본체(100)에서 일어나고 있는 각종 상황을 체크한 후,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흡연공간(110)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체중 변동에 따라 각종 전기 기기들의 작동 상황이 실시간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용자가 없을 경우 조명등, 에어컨(실내기, 실외기), 공기정화수단(200) 및 제연수단(300) 등의 동작을 자동 정지되고, 이용자가 있을 경우에만 각 기기들이 작동하도록 제어되며, 로드셀(400)에서 측정되는 이용자의 체중 변동에 따라 각 기기들이 단계별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기기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부스는 바닥에 설치되는 로드셀을 통해 이용자의 체중 변화에 따른 인원 증감을 실시간 체크하여 인원 증감에 따라 에어컨, 공기정화수단, 제연수단, 조명등 및 LED 표시부 등과 같은 전기적 시스템을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기기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쾌적한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흡연자들의 간접 흡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부스 본체에서 이루어지는 상황을 유무선으로 모니터링 관제부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흡연 부스 곁에 상주하거나 직접 가지 않더라도 흡연 부스의 상황을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시간당 이용자 수, 일일 누적 이용자 수 등 흡연 부스의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데이터를 수집 활용하면서 흡연 부스 내의 시스템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흡연 부스 100: 부스본체
101: 출입문 102: 받침대
103: 에어컨 실외기 104: 에어컨 실내기
105: 실내공기 배기부 106: 외부공기 유입부
107: 재털이
110: 흡연공간 111: 바닥
120: 공기정화실 130: 다용도실
140: 에어커튼수단 200: 공기정화수단
210: 미스트분무노즐 220: 경사판
230: 제1집수조 240: 정화덕트
250: 응축코일 260: 공기배출구
270: 제2집수조 300: 제연수단
310: 메인덕트 311: 외부메인덕트
312: 내부메인덕트 320: 분기덕트
321: 외부분기덕트 322: 내부분기덕트
330: 디퓨져 331: 외부디퓨져
332: 내부디퓨져 340: 외부개폐밸브
350: 내부개폐밸브 400: 로드셀
500: 제어부 510: 데이터 수집부
520: 유무선 통신부 530: 모니터링 관제부

Claims (9)

  1. 천장 및 바닥과 복수 개의 벽체로, 내부에 실내공간을 형성한 박스 형태를 이루고, 일측 벽체에는 흡연자가 흡연공간으로 출입하는 출입문을 구비하며, 상기 실내공간을 흡연공간, 공기정화실, 다용도실로 구분하는 부스본체;
    상기 흡연공간의 천정에 구비되고, 상기 흡연공간의 상측 기류를 유입하여, 상측 기류에 포함된 담배연기를 제거하는 제연수단;
    상기 공기정화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연공간의 실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여 미세먼지가 포함된 혼탁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수단;
    상기 흡연공간에 바닥면에 구비되고, 이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로드셀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공기청정수단과, 제연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연수단은
    상기 흡연공간의 혼탁공기를 외부로 송풍하고, 청정공기를 상기 흡연공간 실내로 송풍하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에서 복수 개로 분기되는 분기덕트와,
    상기 분기덕트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연공간의 천정면에 매립되는 디퓨져와,
    상기 메인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혼탁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팬과,
    상기 메인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청정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팬을 포함하는 흡연 부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본체의 흡연공간은
    복수 개의 흡연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복수 개로 구획된 상기 흡연영역의 바닥에 각각 구비되는 흡연 부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획된 흡연영역 경계선상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감지된 이용자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흡연영역에 선택적으로 바람을 방출하여 에어커튼을 구현하는 에어커튼수단을 더 포함하는 흡연 부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수단은
    해당 흡연영역의 경계선상 바닥, 또는 해당 흡연영역의 경계선상 바닥과, 천정에 각각 구비되는 흡연 부스.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연수단의 디퓨져는
    상기 구획된 흡연영역들 각각의 천정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로드셀에 의해 감지된 이용자 여부에 따라 해당 흡연영역의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실내공기에 포함된 담배연기를 제거하는 흡연 부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수단은
    상기 제연수단과 연결되고, 환기수단에 의해 유입되는 혼탁 공기에 미스트를 분무하는 복수 개의 미스트분무노즐과,
    상기 미스트분무노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미스트의 낙하로 생성된 물방울을 받아 하측으로 유도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판을 따라 하측으로 유도된 물방울을 집수하는 제1집수조와,
    내부에 중공을 갖는 관체로, 상기 공기정화실의 상측에 입구를 배치하고, 상기 공기정화실의 하측에 출구를 배치하여, 상기 공기정화실의 상측에서 미스트가 혼합된 혼탁 공기를 흡입하여 출구로 안내하는 정화덕트와,
    상기 정화덕트의 길이 중 어느 한 지점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덕트를 유동하는 미스트에 냉기를 제공하여 미스트를 응축시켜, 혼탁 공기를 정화하는 응축코일과,
    상기 정화덕트의 길이 중 상기 응축코일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응축코일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와,
    상기 정화덕트의 출구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미스트의 응축으로 생성된 물방물을 집수하는 제2집수조를 포함하는 흡연 부스.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에 의해 감지된 이용자 체중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와,
    상기 유무선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도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달하는 모니터링 관제부를 포함하는 흡연 부스.
KR1020220068431A 2022-06-03 2022-06-03 흡연 부스 KR102533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31A KR102533650B1 (ko) 2022-06-03 2022-06-03 흡연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431A KR102533650B1 (ko) 2022-06-03 2022-06-03 흡연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650B1 true KR102533650B1 (ko) 2023-05-19

Family

ID=8654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431A KR102533650B1 (ko) 2022-06-03 2022-06-03 흡연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6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140B1 (ko) * 2006-08-28 2006-12-13 노영환 공조기 및 환기장치를 이용한 금연·흡연구역 구획시스템
KR20140102041A (ko) * 2013-02-13 2014-08-21 (주)에토 흡연용 부스
KR101471881B1 (ko) * 2014-07-16 2014-12-10 노완상 실내환기 및 살균처리용 친환경 흡연부스
KR200493105Y1 (ko) * 2018-04-11 2021-02-01 황창곤 흡연부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140B1 (ko) * 2006-08-28 2006-12-13 노영환 공조기 및 환기장치를 이용한 금연·흡연구역 구획시스템
KR20140102041A (ko) * 2013-02-13 2014-08-21 (주)에토 흡연용 부스
KR101471881B1 (ko) * 2014-07-16 2014-12-10 노완상 실내환기 및 살균처리용 친환경 흡연부스
KR200493105Y1 (ko) * 2018-04-11 2021-02-01 황창곤 흡연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4624B (zh) 超级集成安全与空气净化系统
JP4262771B1 (ja) 空気調和機
JP2005003321A (ja) 換気システム
EP1007887B1 (en) A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RU2482398C2 (ru) Воздушный кондиционер
CN1963325A (zh) 空气调节器
JP2009002602A (ja) 空気調和機
JP7418852B2 (ja) ダクト式空調換気システム
KR20180065226A (ko) 공기청정 지능형 흡연부스
KR20160025211A (ko) 강제 흡배기 방식의 흡연부스 환기시스템
JP2024036429A (ja) 空調換気システム
KR102533650B1 (ko) 흡연 부스
JP2009002601A (ja) 空気調和機
KR20150103483A (ko) 지능형 흡연실
KR101347650B1 (ko) 공기정화 및 에너지 절약형 흡연방
CN104006482B (zh) 一种室内空气定向平流净化系统
JP2002195623A (ja) 建物の空気質変換システムとそれを設けた建物
JP4171769B1 (ja) 空気調和機
JPH09308755A (ja) 遊技場における空調システム
KR102353316B1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정화 흡연 부스
KR102473138B1 (ko) 흡연 부스
JP2011163635A (ja) 換気空調装置
KR102362046B1 (ko) 공기청정 시스템
JP2009002604A (ja) 空気調和機
KR20180127595A (ko) 복합 환경제어용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