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941B1 -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941B1
KR102361941B1 KR1020200045565A KR20200045565A KR102361941B1 KR 102361941 B1 KR102361941 B1 KR 102361941B1 KR 1020200045565 A KR1020200045565 A KR 1020200045565A KR 20200045565 A KR20200045565 A KR 20200045565A KR 102361941 B1 KR102361941 B1 KR 10236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refrigeration
evaporator
mod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544A (ko
Inventor
나연섭
Original Assignee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5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9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1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vehicle refrigeration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60P3/205Refrigerated goods vehicles with means for dividing the interior volume, e.g. movable walls or intermediate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92Compressor drive is electric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기 탑차의 적재실을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나누는 격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 및 상기 제1공간 또는 상기 제2공간에 마련된 증발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COOL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진 탑차의 적재실을 하나의 증발기만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냉동 또는 냉장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장 탑차 또는 냉동 탑차라고도 불리는 냉각용 특장차에는, 운전 객실 이외에 냉각 전용 공간인 탑 또는 고(庫)라고도 불리는 격실 형태의 공간이 별도로 마련된다.
해당 격실은 농,축,수산물이나, 화훼 그 밖의 신선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물류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적절한 냉각 기능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냉각 기능을 구비한 냉장/냉동 탑차로서는 크게 축냉 물질을 사용하는 축냉 방식 냉장/냉동 탑차와, 압축기를 포함한 냉각 유닛이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각 사이클 방식 냉장/냉동 탑차로 구분될 수 있다.
축냉 방식의 경우, 운행 중 자동차에 구비된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냉각 사이클 방식에 비해 차량의 운행 상태에 영향받지 않는 냉각 환경의 조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핵심이 되는 부품인 축냉판의 무게가 무거워 운행 효율을 떨어뜨리는점, 축냉판이 잠열을 흡수하여 상변화를 일이키는 시점에서는 더 이상 냉각 기능이 불가능하므로, 물류 보관/이동 가능 시간이 한정적이고 단속적인 점, 물류 보관/이동 중 축냉판이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류 보관, 이동 이외의 시간에는 충낼 물질의 상변화를 일으켜 놓아야 하는데, 이때 탑차 내부의 온도를 영하 30도 이하까지 낮추는 과정에 상당한 에너지 및 시간이 소모되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냉각 기능의 유지가 가능하고, 요구되는 바에 따라 냉각 정도의 조절이 용이하며, 자동차 운행 과정에서 엔진에서 발생되는 기계적인 동력이나 전력 등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냉각 사이클 방식 냉장/냉동 탑차 역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대표적인 구성으로, 냉각 사이틀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높은 동력을 필요로 하는 압축키의 동력을, 차량 운행용 엔진의 동력으로부터 동축 연결하여 사용하는 엔진 동축 압축기 구동 방식 냉각 유닛이 있는데, 기왕의 자동차 동력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나, 엔진의 동력을 나눠 쓰는 방식이므로 차량 출력 저하로 연료 소비가 증가 되는 점, 차량 운행시 엔진의 RPM 변화에 따라 냉방 성능이 급하게 변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점, 냉동기 성능이 차량 연비와 직접 관련되어 연료 소모량을 증가시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므로,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점, 통상 소모품인 벨트를 구동력 전달수단으로 사용하여 벨트 손상으로 인한 부품 교체시기가 짧고, 에너지 낭비, 소음 문제 등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는 또 다른 냉각 사이클 방식으로, 이른바 서브 엔진타입의 냉장/냉동 탑차가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방식은, 차량 운행에 사용되는 엔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별도의 엔진을 이용하여 차량과는 독립적 구동 냉각 유닛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당연히 차량의 운행 출력 저하나 RPM 변화에 따른 냉각 성능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보조 압축기 구동 동력원 설치로 차량의 총 중량 증가 및 공간의 활용도 저하에 따라 1~2톤 급의 소형 탑차에는 적합하지 않고 대형 차량(예를 들면 25톤급)에나 적용이 적합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비교적 소형의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압축기를 구동하고 그 동력을 차량용 발전기나 차량용 배터리 등으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형태의 전동 모터 압축기를 구비한 냉각 유닛 방식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예로, 일본 특허 출원 제1998-113332호에는,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를 구비하고, 전원을 발전기, 상용전원 및 배터리를 활용하여 이 중 가장 높은 전압을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탑차용 냉각 사이클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엔진 발전기의 전력을 냉각 유닛이 나눠쓰는 방식으로써, 통상의 차량용 전력 부하를 위한 배터리 전원을 전동 모터의 동력원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충분하고 지속 가능한 냉각 성능을 답보하기 어렵고, 엔진 성능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위와 같은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기 에너지만을 이용하여 주행되는 냉동/냉장용 탑차(이하, '전기 탑차'라 함)가 현재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 탑차는, 냉각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폭 넓게 제공하고, 더불어, 차량 유지비와 주행비, 매연, 소음 등이 엔진을 동력원으로하여 주행되는 기존 탑차보다 낮기 때문에 장시간동안 물류를 싣고 운행되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기 탑차의 주행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만으로는 냉각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주행용 배터리의 용량이 부족한 관계로 인하여 적재실을 냉동시키거나 냉장시키는 냉각 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기 탑차의 적재실에는 냉동 물품 또는 냉장 물품이 적재되어 운반될 수 있기 때문에 적재실이 선택적으로 냉동 기능을 갖추거나 냉장 기능을 갖추어야할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다양한 냉각모드를 위하여 냉각 시스템을 제어할 때마다 많은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재실에 물품을 싣는 과정이나 적재실에서 물품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에 의하여 주행용 배터리가 쉽게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6456호의 '냉동 탑차용 전력공급 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행용 배터리와는 분리된 별도의 냉각용 배터리만을 이용하여 적재실에 형성된 격실을 효율적으로 냉동 또는 냉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된 적재실을 한 대의 증발기만을 이용하여 냉동 또는 냉장시키는데 목적이 있고, 아울러, 적재실을 선택적으로 냉동 또는 냉장하는데 있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냉각용 배터리의 효율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기 탑차의 적재실을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나누는 격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 및 상기 제1공간 또는 상기 제2공간에 마련된 증발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1공간 또는 상기 제2공간이 냉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에는 각각 외부와 연통되는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를 제어하는 냉동모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장 기능을 수행하는 제1냉장모드; 및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모두 냉장 기능을 수행하는 제2냉장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모드 및 상기 제1냉장모드는 상기 제1공간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모드 또는 상기 제1냉장모드에서 상기 개폐부 또는 상기 제1공간에 마련된 도어가 개방되면 냉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냉장모드에서 상기 제1공간에 마련된 도어 또는 상기 제2공간에 마련된 도어가 개방되면 냉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냉장모드에서 상기 개폐부가 차단되면, 상기 냉동모드 또는 상기 제1냉장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되도록 상기 냉동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에서 냉동 기능과 냉장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어느 하나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에 각각 마련된 도어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냉동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각용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공간 또는 상기 제2공간을 냉동 또는 냉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은, 냉동과 냉장 기능을 겸하는 격실을 운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를 격실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제어하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격실의 냉동 또는 냉장 효율을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은, 차량용 발전기나 주행용 배터리와는 무관한 별도의 냉각용 배터리만을 이용하여 격실을 냉동시키거나 냉장시키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전기 탑차의 주행에 따른 에너지 소비와는 무관하게 격실의 냉각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은, 냉동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과 냉장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을 선태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더불어, 냉장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구성도 제공하므로,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탑차의 적재실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모드일 경우에 전기 탑차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냉장모드일 경우에 전기 탑차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냉장모드일 경우에 전기 탑차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100)은, 전기 탑차의 적재실(10)을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으로 나누는 격벽(11)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공간(s1)과 상기 제2공간(s2)을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200); 및 상기 제1공간(s1) 또는 상기 제2공간(s2)에 마련된 증발기(11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격벽(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실(1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누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1)은 적재실(11)의 내부 공간을 균등하게 나눌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는, 적재실(11)의 내부 공간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지도록 일측으로 편중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격벽(11)이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됨에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이 적재실(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200)는, 격벽(11)에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11)에 의하여 구획된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200)는, 격벽(11)을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다양한 공지의 개폐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개폐부(200)가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되는 도어의 형태로 격벽(11)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로 구현되어 격벽(11)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제1공간(s1)과 상기 제2공간(s2)의 운전모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격벽(11)에서 개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부(200)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의 활용 방식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200)에 의하여 나누어진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에는 각각 도어(d1, d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공간(s1)에 마련된 제1도어(d1) 또는 제2공간(s2)에 마련된 제2도어(d2)를 통하여 작업자는 하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공간(s1)에 물품을 싣거나 제1공간(s1)에 적재된 물품을 꺼낼 시에는 제1도어(d1)가 사용될 수 있고, 제2공간(s2)에 물품을 싣거나 제2공간(s2)에 적재된 물품을 꺼낼 시에는 제2도어(d2)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앞에서 설명되었던 개폐부(200)가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10)를 제어하거나, 제1공간(s1) 또는 제2공간(s2)이 냉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냉각 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증발기(110),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동기를 제어하여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던가, 또는, 제1공간(s1) 또는 제2공간(s2)이 냉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기 탑차의 적재실이 냉동과 냉장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데 있어서, 그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선택적으로 냉동시키거나 냉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냉각 시스템(100)은, 상기 제1공간(s1)과 상기 제2공간(s2)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10)를 제어하는 냉동모드(m1);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장 기능을 수행하는 제1냉장모드(m2); 및 상기 제1공간(s1)과 상기 제2공간(s2)이 모두 냉장 기능을 수행하는 제2냉장모드(m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모드(m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냉동시키는 운전모드라 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는, 증발기(110)가 마련된 공간을 냉동시키는 운전모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는 증발기(110)가 마련된 제1공간(s1)이 냉동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고, 반대로, 도 4에서는 증발기(110)가 마련된 제2공간(s2)이 냉동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증발기(110)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에 각각 마련되는 것보다는, 위와 같이,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마련되어 그 공간을 냉동시키거나 냉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기 에너지만을 이용하여 주행되고 적재실을 냉각시키는 전기 탑차에 두 개의 증발기(110)가 장착되면, 적재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의 소비가 커질 수밖에 없어서 장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적재실을 효율적으로 냉동/냉장 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간에만 증발기(110)를 마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중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공간(s1)에 증발기(110)를 마련하는 것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냉동모드(m1)는 소정 공간의 온도를 영하 20도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공간(s1)을 냉동시키는 것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냉동모드(m1)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1)에 마련된 개폐부(200)와 상기 증발기(110)가 배치된 공간(s1, s2)의 도어(d1, d2)는 차단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만약, 증발기(110)가 제1공간(s1)에 마련되었을 경우에, 냉동모드(m1)가 시작되면 제1공간(s1)이 영하 20도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바, 이때, 개폐부(200) 또는 제1공간(s1)에 마련된 제1도어(d1)가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냉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개폐부(200)와 제1공간(s1)에 마련된 제1도어(d1)는, 예컨대, 작업자가 물품을 하역하기 위하여 잠시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냉동기를 정지시켜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냉장모드(m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냉장시키는 운전모드라 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는, 증발기(110)가 마련된 공간을 냉장시키는 운전모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는, 증발기(110)가 마련된 제1공간(s1)이 냉장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고, 반대로, 도 4에서는 증발기(110)가 마련된 제2공간(s2)이 냉장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1냉장모드(m2)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1)에 마련된 개폐부(200)와 상기 증발기(110)가 배치된 공간(s1, s2)의 도어(d1, d2)는 차단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증발기(110)가 제1공간(s1)에 마련되었을 경우에, 제1냉장모드(m2)가 시작되면 상기 제1공간(s1)이 0~2도씨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바, 이때, 개폐부(200) 또는 제1공간(s1)에 마련된 제1도어(d1)가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냉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개폐부(200)와 제1공간(s1)에 마련된 제1도어(d1)는, 예컨대, 작업자가 물품을 하역하기 위하여 잠시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냉동기를 정지시켜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냉장모드(m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s1)과 상기 제2공간(s2)을 모두 냉장시키는 운전모드라 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는, 증발기(110)가 마련된 공간과 그 이웃한 공간을 함께 냉장시키는 운전모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는, 증발기(110)가 마련된 제1공간(s1)과 그 이웃한 공간인 제2공간(s2)이 함께 냉장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2냉장모드(m3)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1)에 마련된 개폐부(200)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즉, 증발기(110)로부터 발생된 냉기가 제2공간(s2)으로 용이하게 절단되기 위히서 개폐부(200)는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증발기(110)가 제1공간(s1)에 마련되었을 경우에, 제2냉장모드(m3)가 시작되면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이 0~2도씨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바, 이때, 제공간(s1)에 마련된 제1도어(d1) 또는 제2공간(s2)에 마련된 제2도어(d2)가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냉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공간(s1)에 마련된 제1도어(d1) 또는 제2공간(s2)에 마련된 제2도어(d2)는, 예컨대, 작업자가 물품을 하역하기 위하여 잠시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냉동기를 정지시켜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냉장모드(m3)에서 격벽(11)에 마련된 개폐부(200)가 차단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냉동기의 작동을 정지할 수도 있다. 개폐부(200)가 차단되면 증발기(110)가 마련된 제1공간(s1)에서 제2공간(s2)으로 냉기가 유동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제2공간(s2)이 기설정된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제2냉장모드(m3)에서는 개폐부(200)가 지속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냉장모드(m3)에서 격벽(11)에 마련된 개폐부(200)가 차단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냉동모드(m1) 또는 상기 제1냉장모드(m2)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되도록 냉동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2냉장모드(m3)에서 개폐부(200)가 차단되면, 증발기(110)가 마련된 제1공간(s1)을 냉동모드(m1)로 운전하거나 제1냉장모드(m2)로 운전해야하는바, 제어부(300)는 그 각각의 모드에 대응하여 냉동기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동모드(m1)와 제1냉장모드(m2) 및 제2냉장모드(m3)에서 개폐부(200)와 상기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310)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100)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10)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 및 격벽(11)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및 개폐부(200)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냉동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10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각용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용 배터리는, 전기 탑차의 주동력원인 주행용 배터리와는 분리된 구성요소로서, 오로지 적재실(10)에 형성된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100)은, 차량용 알터네이터 또는 주행용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오로지 별도의 냉각용 배터리에 의해서만 전력을 공급받는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냉각용 배터리는, DC200V~DC400V의 전압을 가질 수 있고, 10~12KW의 전력을 냉각 시스템(10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지하다. 즉, 외부 전원으로부터 금속 충전되고, 더불어, 장시간 동안 적재실의 냉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냉각 시스템 110 : 증발기
200 : 개폐부 300 : 제어부
310 : 센서부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d1 : 제1도어
d2 : 제2도어

Claims (10)

  1.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기 탑차의 적재실을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나누는 격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 및
    상기 제1공간 또는 상기 제2공간에 마련된 증발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1공간 또는 상기 제2공간이 냉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에는 각각 외부와 연통되는 도어가 마련되고,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를 제어하는 냉동모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만 냉장 기능을 수행하는 제1냉장모드; 및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모두 냉장 기능을 수행하는 제2냉장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냉동모드 및 상기 제1냉장모드는 상기 제1공간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모드 또는 상기 제1냉장모드에서 상기 개폐부 또는 상기 제1공간에 마련된 도어가 개방되면 냉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냉장모드에서 상기 제1공간에 마련된 도어 또는 상기 제2공간에 마련된 도어가 개방되면 냉동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냉장모드에서 상기 개폐부가 차단되면, 상기 냉동모드 또는 상기 제1냉장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되도록 상기 냉동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에서 냉동 기능과 냉장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어느 하나의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에 각각 마련된 도어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냉동기를 제어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각용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공간 또는 상기 제2공간을 냉동 또는 냉장시키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중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는, 작업자가 물품을 하역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45565A 2020-04-14 2020-04-14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KR10236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65A KR102361941B1 (ko) 2020-04-14 2020-04-14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65A KR102361941B1 (ko) 2020-04-14 2020-04-14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544A KR20210127544A (ko) 2021-10-22
KR102361941B1 true KR102361941B1 (ko) 2022-02-11

Family

ID=7827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565A KR102361941B1 (ko) 2020-04-14 2020-04-14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9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8Y1 (ko) 2002-09-26 2003-01-14 형제산업(주) 냉동탑용 칸막이
JP2008162406A (ja) 2006-12-28 2008-07-17 Torantekkusu:Kk 間仕切り装置
KR101250307B1 (ko) * 2012-10-16 2013-04-03 (주)동인써모 온도기록 저장 및 출력 기능을 갖춘 차량용 냉동고 컨트롤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383B1 (ko) * 2010-09-10 2012-10-23 정웅부 냉장실이 마련된 냉동고
KR101613943B1 (ko) * 2014-02-21 2016-04-20 주식회사 리우스 혼합 송풍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온 컨테이너
KR101991241B1 (ko) * 2017-11-16 2019-06-20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배터리 전력 공급에 의한 차량용 냉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8Y1 (ko) 2002-09-26 2003-01-14 형제산업(주) 냉동탑용 칸막이
JP2008162406A (ja) 2006-12-28 2008-07-17 Torantekkusu:Kk 間仕切り装置
KR101250307B1 (ko) * 2012-10-16 2013-04-03 (주)동인써모 온도기록 저장 및 출력 기능을 갖춘 차량용 냉동고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544A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700B2 (en) Integrated charging unit for passive refrigeration system
EP1145089B1 (en) Hybrid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107923665B (zh) 具有节能器的多隔室运输制冷系统
EP3481657B1 (en) Dual compressor transportation refrigeration unit
KR100816642B1 (ko) 냉동탑차용 냉동장치
US6751966B2 (en) Hybrid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105008160A (zh) 用于控制冷凝器风扇和蒸发器风扇的运转的方法和系统
KR101915673B1 (ko)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KR101506187B1 (ko) 하이브리드 축냉시스템
KR102361941B1 (ko)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JP2002130891A (ja) 冷凍・冷蔵車
JP2017144932A (ja) 車両用冷凍装置
KR200165489Y1 (ko) 축냉식 냉동·냉장차
KR200378905Y1 (ko) 냉동차량을 위한 냉동기 시스템
JP2004012059A (ja) 蓄冷板方式による冷凍・冷蔵庫温度管理車
EP3408118B1 (en) Air curtai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ainers
JP2018036015A (ja) 車両用冷凍装置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2004245469A (ja) 冷凍車
JP2016070602A (ja) 収蔵装置
JPH1026459A (ja) 貨物温調庫
JPH11344278A (ja) 複数温度帯軽冷凍車
CN218197828U (zh) 一种冷链物流车温控系统
JP2002206838A (ja) 荷室に車載用冷蔵庫を有するバン型車両
EP4086537A1 (en) Refrigeration plant using a cryogenic fluid as cold source
JP2003097872A (ja) 陸上輸送用冷凍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