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673B1 -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673B1
KR101915673B1 KR1020180052982A KR20180052982A KR101915673B1 KR 101915673 B1 KR101915673 B1 KR 101915673B1 KR 1020180052982 A KR1020180052982 A KR 1020180052982A KR 20180052982 A KR20180052982 A KR 20180052982A KR 101915673 B1 KR101915673 B1 KR 10191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power
refrigerator
engin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연섭
Original Assignee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써멀마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6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92Compressor drive is electric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 상기 엔진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실의 냉동, 적재실의 냉장, 에어콘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컴프레셔; 상기 엔진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실의 냉동, 적재실의 냉장, 에어콘, 차량 전기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전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자동차 배터리; 상기 컴프레셔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컴프레셔는 자동차 배터리의 설정 전압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은 엔진의 작동 여부에 따라 컴프레셔를 구성하는 메인냉동기와 서브냉동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자동차 배터리 또는 냉동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제어부를 이용하여 컴프레셔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실의 냉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동차용 냉동시스템{Refrigeration system for refrigerators}
본 발명은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패하기 쉬운 식품 등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적재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냉동ㆍ냉장 화물차량은 냉각시스템의 컴프레셔 구동을 위하여 차량 엔진 구동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였고, 이에 따라 냉동ㆍ냉장 화물차량은 컨테이너를 고정 부착하는 차량 컨테이너 일체형으로 제작되었으며, 일명 냉동탑차라는 호칭으로 제작 및 공급되어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화석 연료 사용에 대한 회의 및 지구 온난화에 대한 대책으로 전기 차량에 대한 요구가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소위 하이브리드 차량이 급속히 발전하였으며, 이미 승용 목적의 차량에서는 많은 발전을 이뤄,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 화물 차량의 경우에는, 인지하는 바와 같이, 중량화물 운송을 위해 아직 전기에너지만을 의존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것에 한계가 있지만 냉동용 화물차량과 같이 특수목적으로 운행하는 화물차량의 경우에는 차량 운행과 관련된 동력 생산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더라도, 부속 목적인 냉동과 관련해서는 전기 등의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리고 상기 냉동용 화물차량은 적재실에 부패하기 쉬운 식품과 같은 물품을 저온으로 보관하면서 운송하는 차량으로 운전 방식에 따라 기계식, 액체 질소식, 축냉식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기계식 냉동용 화물차량은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냉동기(Refrigerator)의 작동에 의하여 적재실에 실려 있는 물품을 냉동 및 냉장시키게 된다.
이러한 냉동용 화물차량의 냉동기는 냉동사이클(Refrigerating cycle)의 구성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증발기(Evaporator), 압축기(Compressor), 응축기(Condenser)와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용 화물차량의 구조는 등록특허 제10-1161615호, 등록특허 제10-0983259호, 등록특허 제10-1201550호 등의 특허문헌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특허문헌들의 냉동차는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전기의 전력에 의하여 냉동기를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동용 화물차량은 적재실의 냉동을 위하여 엔진을 항상 구동시켜야 하므로 연료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냉동용 화물차량의 식품 창고와 같이 공기의 청정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장소에 정차하는 경우, 엔진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매연 등에 의하여 공기가 오염되어 실내 환경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16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2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5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엔진의 작동 여부에 따라 컴프레셔를 구성하는 메인냉동기와 서브냉동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자동차 배터리 또는 냉동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컨버터를 이용하여 컴프레셔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엔진 정지 및 컴프레셔의 정지시 전기 컴프레셔를 통해 적재실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에 있어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 상기 엔진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실의 냉동, 적재실의 냉장, 에어콘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컴프레셔; 상기 엔진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실의 냉동, 적재실의 냉장, 에어콘, 차량 전기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전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자동차 배터리; 상기 컴프레셔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컴프레셔는 자동차 배터리의 설정 전압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컴프레셔는 자동차 배터리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작동하는 메인냉동기와 제어부를 구성하는 컴프레셔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동력에 따라 작동하는 서브냉동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냉동기 전원부; 상기 컴프레셔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컴프레셔 전원 공급부; 상기 컴프레셔를 제어하는 컴프레셔 제어부; 상기 자동차 배터리를 통해 전원의 공급 여부와 전압을 확인하는 배터리 전원 확인부; 및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 제어부는 자동차 배터리 측정전압과 냉동기 전원부의 전압이 측정되는 전원 확인부의 측정전압에 따라 컴프레셔의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동차 배터리의 측정전압 또는 냉동기 전원부의 측정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의 회전수는 설정회전수로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 제어부는 자동차 배터리 측정전압과 냉동기 전원부의 전압이 측정되는 전원 확인부의 측정전압에 따라 컴프레셔의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자동차 배터리의 측정전압 또는 냉동기 전원부의 측정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의 회전수는 설정회전수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 제어부는 자동차 배터리 측정전압과 냉동기 전원부의 전압이 측정되는 전원 확인부의 측정전압에 따라 컴프레셔의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자동차 배터리 측정전압 또는 냉동기 전원부의 측정전압이 설정 전압과 일정한 차이를 가지면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의 일 측에는 엔진 정지시 적재실 또는 에어콘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기 컴프레셔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기 컴프레셔는 자동차 배터리의 설정 전압에 따라 설정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의 일 측에는 엔진 정지시 적재실 또는 에어콘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기 컴프레셔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기 컴프레셔는 서브냉동기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서브냉동기의 작동시 정지되고, 상기 서브냉동기의 정지시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 컴프레셔는 일정 전압에서 적재실 내부의 온도와 설정온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설정된 회전수로 자동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실에는 설정온도보다 낮을 때 냉기를 흡수하고, 설정온도보다 높을 때 흡수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보상수단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되,
상기 냉각보상수단은 하부가 개방되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 상부에 장착되는 흡입기;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 중앙에 배치되고 회전축의 끝단으로 다수개의 연결바가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연결바에 각각 장착되고, 점성을 가지는 유체로 형성되어 냉기를 흡수하며, 일 측에는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열 흡수부재;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밸브;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 하부에 장착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흡입기, 모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냉각보상수단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은 엔진의 작동 여부에 따라 컴프레셔를 구성하는 메인냉동기와 서브냉동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자동차 배터리 또는 냉동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제어부를 이용하여 컴프레셔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실의 냉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냉동기와 서브냉동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전기 컴프레셔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순차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냉각 보상 수단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냉동기와 서브냉동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컨버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전기 컴프레셔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순차도이다.
먼저, 본원발명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10)이 적용되는 냉동차는 엔진(20), 상기 엔진(20)의 시동을 위한 시동장치(30), 상기 엔진(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40), 상기 엔진(20)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50), 상기 발전기(50)의 전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자동차 배터리(60),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실(70), 상기 엔진(20)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공급받아 적재실(70)의 냉동과 냉장 또는 에어콘을 구동시키는 컴프레셔(80), 상기 컴프레셔(8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동차를 구성하는 엔진(20), 시동장치(30), 전자제어장치(40), 발전기(50), 자동차 배터리(60)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엔진, 시동장치, 전자제어장치, 발전기, 자동차 배터리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10)은 엔진(20)에 장착되는 자동차 배터리(60)의 설정 전압에 따라 제어부(90)를 통해 컴프레셔(80)를 자동제어하여 물품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적재실(70)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은 개략적으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20), 상기 엔진(20)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실(70)의 냉동과 냉장 또는 에어콘을 구동시키는 하나의 컴프레셔(80), 상기 엔진(20)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공급받아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실(70)의 냉동과 냉장 또는 에어콘 또는 차량 전기를 구동시키는 하나의 발전기(50)로 구성되어, 상기 엔진(20)에 장착되는 배터리(60)의 설정 전압에 따라 제어부(90)를 통해 자동으로 컴프레셔(8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보충설명하면, 종래의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은 하나의 발전기와 트윈 컴프레셔 시스템으로 두 개의 트윈 컴프레셔가 모두 엔진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트윈 컴프레셔의 작동시 연료 소비량이 증가하는 반면, 본원발명인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은 하나의 발전기(50)와 하나의 컴프레셔(80)로 구성됨에 따라 연료 소비량을 줄이면서도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컴프레셔(80)는 적재실(70)의 중앙에 배치되는 메인냉동기(81)와 상기 적재실(70)의 일 측에 장착되는 서브냉동기(8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컴프레셔(80)는 자동차 배터리(60)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작동하는 메인냉동기(81)와 상기 제어부(90)에서 공급되는 동력에 따라 작동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서브냉동기(82)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는 전원이 공급되면, 압축기(83)는 자동차 배터리(60)의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저온저압의 냉매증기를 고온고압의 냉매증기로 만들어서 응축기(84)로 보내게 된다.
이후, 상기 응축기(84)는 고온고압의 냉매증기를 고열원으로 열을 방출하도록 냉각시켜서 고온고압의 냉매액으로 응축시키며 팽창밸브(85)를 통과한 고온고압의 냉매액은 저온저압의 냉매액으로 되어 증발되고 증발기(86)는 팽창밸브(85)를 통과한 저온저압의 냉매액이 증발하면서 저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온저압의 냉매증기가 된다.
다음으로, 증발기(86)에서 증발된 냉매증기는 다시 압축기(83)로 보내져서 순환되고 증발기(86)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는 적재실(70)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컴프레셔(80)를 구성하는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는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설정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의 회전수를 설정회전수로 낮추고, 설정 전압이 높으면 상기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의 회전수를 설정회전수로 높이며, 설정 전압이 일정하면 상기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를 정지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는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인 경우(예를 들면 12V에서 13V, 또는 24V에서 26V 전압이 상승한 경우)에는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를 설정된 최대 회전수로 동작시키게 되고,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인 경우(예를 들면 12V이하, 또는 24V이하로 전압이 낮춰진 경우)에는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의 회전수를 설정된 회전수로 낮추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전압이 컴프레셔(80)의 최대 회전수 전압과 최저 회전 전압의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컴프레셔(80)를 PWM제어를 통해 일정의 회전수로 작동시켜 일정 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컴프레셔(8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는 냉동기 전원부(91), 상기 컴프레셔(8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컴프레셔 전원 공급부(92), 상기 컴프레셔(80)를 제어하는 컴프레셔 제어부(93), 상기 자동차 배터리(60)를 통해 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 및 전압을 확인하는 배터리 전원 확인부(94) 및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9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90)는 엔진(20)의 작동시 발전기(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냉동기 전원부(91)와 배터리 전원 공급부(92)에 공급하고, 상기 컴프레셔 제어부(93)는 엔진(20)의 작동 여부 또는 전압에 따라 자동차 배터리(60)의 전원 또는 냉동기 전원부(91)의 전원을 컴프레셔(80)에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프레셔 제어부(93)는 엔진(20)의 작동시 자동차 배터리(60)의 전원을 컴프레셔(80)를 구성하는 메인냉동기(81)에 전원을 공급하고, 엔진(20)의 정지 또는 엔진(20)을 통한 전압이 낮을 경우에 컴프레셔(80)를 구성하는 서브냉동기(8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95)는 엔진(2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컴프레셔(80)를 구성하는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을 선택작동시키는 선택 스위치, 자동차 배터리(60)의 전압에 따라 컴프레셔(8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선택 스위치, 알람 발생시 세그먼트에 알람 이력 표시하는 스위치와 표시창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는 컴프레셔(80)를 구성하는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의 안전을 위하여 설정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의 회전을 낮추고, 설정 전압이 높으면 상기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의 회전을 높이며, 설정 전압과 일정한 차이를 가지면 상기 메인냉동기(81)와 서브냉동기(82)는 정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은 상기 엔진(20)의 일 측에 엔진(20)의 정지시 적재실(70)과 에어콘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 컴프레셔(1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컴프레셔(100)는 엔진(20) 정지 또는 컴프레셔(80)의 정지시 자동으로 일정시간동안 작동하여 적재실(70)과 에어콘에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 컴프레셔(100)는 서브냉동기(82)의 작동에 여부에 따라 연동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컴프레셔(100)는 엔진 정지시 저장된 배터리 양만큼 작동하는 서브냉동기(82)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서브 냉동기(82)의 작동시 정지되고, 상기 서브 냉동기(82)의 정지시 작동하여 적재실(70)과 에어콘에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 컴프레셔(100)는 일정 전압에서 적재실(70)의 내부 온도에 따라 설정된 회전수로 자동조절되어 에너지 사용을 최소함과 동시에 필요시 강력한 냉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전기 컴플레셔(100)는 설정온도와 적재실(70)의 내부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에는 도시된 도 5와 같은 냉각 보상 수단(110)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 보상 수단(110)은 적재실(70)의 냉기를 설정된 온도에서 흡수한 후 상기 적재실(70)의 온도가 설정이상일 때 저장된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보상 수단(110)은 하부가 개방되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착공간(111a)이 구비되는 케이스(111), 상기 케이스(111)의 상부에 장착되는 흡입기(112), 상기 케이스(111)의 중앙에 배치되고 회전축의 끝단으로 다수개의 연결바(113a)가 장착되는 모터(113), 상기 모터(113)의 연결바(113a)에 각각 장착되어 냉기를 흡수하고 일 측에는 온도센서(115)가 장착되는 유체로 형성되는 열 흡수부재(114), 상기 케이스(111)의 장착공간(111a)에 장착되고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밸브(116), 상기 케이스(111)의 하부에 장착되는 온도센서(117), 상기 흡입기(112), 모터(113), 개폐밸브(116)를 제어하는 냉각보상수단 제어부(118)를 포함한다.
즉, 상기 냉각 보상 수단(110)은 냉각보상수단 제어부(118)의 작동에 따라 적재실(70)의 온도를 온도센서(117)를 통해 측정한 후, 상기 적재실(7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흡입기(112)를 작동시켜 적재실(70)의 냉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113)는 일정속도로 회전작동하고, 상기 연결바(113a)에 장착되는 열 흡수부재(114)는 냉기를 흡수하며, 상기 열 흡수부재(114)에 장착되는 온도센서(115)를 통해 설정된 온도로 열 흡수부재(114)가 도달하면 개폐밸브(116)를 차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적재실(70)의 온도를 온도센서(117)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한 후 상기 적재실(7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개폐밸브(116)를 개방하여 열 흡수부재(114)에 저장된 열을 적재실(70)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기(112)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20), 상기 엔진(20)의 시동을 위한 시동장치(30), 상기 엔진(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40), 상기 엔진(20)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기(50), 상기 발전기(50)의 전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자동차 배터리(60),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실(70)이 구비되는 냉동차에 자동차 배터리(60)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작동하는 메인냉동기(81)와 상기 제어부(90)에서 공급되는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작동하는 서브냉동기(82)로 구성되는 컴프레셔(80)를 장착한다.
그리고 냉동차의 일 측으로 냉동기 전원부(91), 상기 컴프레셔(8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컴프레셔 전원 공급부(92), 상기 컴프레셔(80)를 제어하는 컴프레셔 제어부(93), 상기 자동차 배터리(60)를 통해 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 및 전압을 확인하는 배터리 전원 확인부(94) 및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95)로 구성되는 제어부(9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냉동차용 냉동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동차의 주행이나 정차 등에 따른 엔진(20)의 작동시 제어부(90)를 구성하는 컴프레셔 제어부(93)는 자동차 배터리(60)의 전원을 컴프레셔(80)를 구성하는 메인냉동기(81)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후, 상기 메인냉동기(81)는 압축기(83), 응축기(84), 팽창밸브(85), 증발기(86)가 순환작동하여 발생하는 냉각된 공기를 적재실(70)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냉동기(81)는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메인냉동기(81)를 설정된 최대 회전수로 동작시키게 되고,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메인냉동기(81)의 회전수를 낮추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냉동차의 주차 등에 따른 엔진(20)의 정지시 제어부(90)를 구성하는 컴프레셔 제어부(93)는 냉동기 전원부(91)에 저장된 전원을 컴프레셔(80)를 구성하는 서브냉동기(8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후, 상기 서브냉동기(82)는 압축기(83), 응축기(84), 팽창밸브(85), 증발기(86)가 순환작동하여 발생하는 냉각된 공기를 적재실(70)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브냉동기(82)는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메인냉동기(81)를 설정된 최대 회전수로 동작시키게 되고,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서브냉동기(82)의 회전수를 낮추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20 : 엔진
30 : 시동장치 40 : 전자제어장치
50 : 발전기 60 : 자동차 배터리
70 : 적재실 80 : 컴프레셔
90 : 제어부 100 : 전기 컴프레셔

Claims (10)

  1.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에 있어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 상기 엔진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실의 냉동, 적재실의 냉장, 에어콘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컴프레셔; 상기 엔진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실의 냉동, 적재실의 냉장, 에어콘, 차량 전기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전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자동차 배터리; 상기 컴프레셔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컴프레셔는 자동차 배터리의 설정 전압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고, 자동차 배터리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작동하는 메인냉동기와 제어부를 구성하는 컴프레셔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동력에 따라 작동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냉동기 전원부;
    상기 컴프레셔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컴프레셔 전원 공급부;
    상기 컴프레셔를 제어하는 컴프레셔 제어부;
    상기 자동차 배터리를 통해 전원의 공급 여부와 전압을 확인하는 배터리 전원 확인부; 및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셔 제어부는 자동차 배터리 측정전압과 냉동기 전원부의 전압이 측정되는 전원 확인부의 측정전압에 따라 컴프레셔의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자동차 배터리의 측정전압 또는 냉동기 전원부의 측정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의 회전수는 설정회전수로 작아지는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셔 제어부는 자동차 배터리 측정전압과 냉동기 전원부의 전압이 측정되는 전원 확인부의 측정전압에 따라 컴프레셔의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자동차 배터리의 측정전압 또는 냉동기 전원부의 측정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의 회전수는 설정회전수로 높아지는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셔 제어부는 자동차 배터리 측정전압과 냉동기 전원부의 전압이 측정되는 전원 확인부의 측정전압에 따라 컴프레셔의 메인냉동기 또는 서브냉동기를 작동시키되,
    상기 자동차 배터리 측정전압 또는 냉동기 전원부의 측정전압이 설정 전압과 일정한 차이를 가지면 정지되는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일 측에는 엔진 정지시 적재실 또는 에어콘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기 컴프레셔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기 컴프레셔는 자동차 배터리의 설정 전압에 따라 설정시간 동안 작동되는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일 측에는 엔진 정지시 적재실 또는 에어콘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기 컴프레셔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기 컴프레셔는 서브냉동기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서브냉동기의 작동시 정지되고, 상기 서브냉동기의 정지시 작동되는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컴프레셔는 일정 전압에서 적재실 내부의 온도와 설정온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설정된 회전수로 자동조절되는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실에는 설정온도보다 낮을 때 냉기를 흡수하고, 설정온도보다 높을 때 흡수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보상수단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되,
    상기 냉각보상수단은,
    하부가 개방되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 상부에 장착되는 흡입기;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 중앙에 배치되고 회전축의 끝단으로 다수개의 연결바가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연결바에 각각 장착되고, 점성을 가지는 유체로 형성되어 냉기를 흡수하며, 일 측에는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열 흡수부재;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밸브;
    상기 케이스의 장착공간 하부에 장착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흡입기, 모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냉각보상수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동차량용 냉동 시스템.
KR1020180052982A 2018-05-09 2018-05-09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KR10191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82A KR101915673B1 (ko) 2018-05-09 2018-05-09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82A KR101915673B1 (ko) 2018-05-09 2018-05-09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673B1 true KR101915673B1 (ko) 2018-11-06

Family

ID=6432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982A KR101915673B1 (ko) 2018-05-09 2018-05-09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6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38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KR20210136539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36536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36533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47Y1 (ko) 2003-11-11 2004-02-14 이봉수 복수의 증발기에 의한 구획공간별 개별 온도제어가가능한 냉동탑차
JP2005045883A (ja) * 2003-07-24 2005-02-17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ト車両
JP2010188940A (ja) 2009-02-19 2010-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輸送用冷凍機及び輸送用冷凍機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5883A (ja) * 2003-07-24 2005-02-17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ト車両
KR200341847Y1 (ko) 2003-11-11 2004-02-14 이봉수 복수의 증발기에 의한 구획공간별 개별 온도제어가가능한 냉동탑차
JP2010188940A (ja) 2009-02-19 2010-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輸送用冷凍機及び輸送用冷凍機の制御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38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KR20210136539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36536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36533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KR102381234B1 (ko) * 2020-05-08 2022-03-31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381249B1 (ko) * 2020-05-08 2022-03-31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403749B1 (ko) * 2020-05-08 2022-05-30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KR102403751B1 (ko) * 2020-05-08 2022-05-30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673B1 (ko) 냉동차용 냉동시스템
US9975403B2 (en)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EP3271198B1 (en) All electric architecture truck unit
WO2016038838A1 (ja) 冷凍装置及びコンテナ用冷凍システム
EP2694304B1 (en) Semi-electric mobile refrigerated system
EP2315985B1 (en) Continuous compressor envelope protection in a refrigeration system
EP3481657B1 (en) Dual compressor transportation refrigeration unit
KR100816642B1 (ko) 냉동탑차용 냉동장치
EP2643177B1 (en) Current limit control on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KR101399253B1 (ko) 냉동차량의 냉동시스템
KR102162926B1 (ko) 냉장/냉동 탑차용 냉각 시스템
EP3371527B1 (en)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US10144291B2 (en) Continuous voltage control of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KR101945399B1 (ko) 냉동차용 냉동 시스템
KR20140087960A (ko) 차량용 냉각장치
KR101038671B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20090083543A (ko) 고출력 발전기를 구비한 냉동차량용 냉동장치
JP4282117B2 (ja) 冷凍システム、冷凍システム付冷凍車、冷蔵システム、冷蔵システム付冷蔵車、冷房システム及び冷房システム付普通乗用車
JP5404138B2 (ja) エンジン駆動式冷凍装置
KR101254466B1 (ko) 냉동탑차용 냉동장치
US1197004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frosting a transport climate control system evaporator
KR102361941B1 (ko) 전기 탑차의 냉각 시스템
JP2000105045A (ja) 冷凍装置及び、車両搭載冷凍庫
JP2000105018A5 (ja) 冷凍システム、冷凍システム付冷凍車、冷蔵システム、冷蔵システム付冷蔵車、冷房システム及び冷房システム付普通乗用車
JP2003097872A (ja) 陸上輸送用冷凍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