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142B1 - 라벨 자동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라벨 자동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142B1
KR102361142B1 KR1020210134823A KR20210134823A KR102361142B1 KR 102361142 B1 KR102361142 B1 KR 102361142B1 KR 1020210134823 A KR1020210134823 A KR 1020210134823A KR 20210134823 A KR20210134823 A KR 20210134823A KR 102361142 B1 KR102361142 B1 KR 102361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plate
case
label attachmen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호평
Original Assignee
문호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호평 filed Critical 문호평
Priority to KR1020210134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00Labelling flat essentially-rigid surfaces
    • B65C1/02Affixing labels to one flat surface of articles, e.g. of packages, of flat bands
    • B65C1/025Affixing labels to one flat surface of articles, e.g. of packages, of flat bands the label being picked up by the article to be labelled, i.e. the labelling head remaining station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00Labelling flat essentially-rigid surfaces
    • B65C1/02Affixing labels to one flat surface of articles, e.g. of packages, of flat bands
    • B65C1/021Affixing labels to one flat surface of articles, e.g. of packages, of flat bands the label being applied by movement of the labelling head towards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65C9/1869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and being transferred directly from the backing strip onto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65C9/1876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and being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 B65C9/1884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and being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the suction means being a movable vacuum arm or p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30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2009/0087Details of handling backing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들면 박스류, 병류 등 다양한 케이스의 다양한 위치에 라벨을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케이스 형상 및 부착 위치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라벨을 자동으로 자유롭게 부착가능한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중앙에 관통공(10)이 천공되고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베이스(1)와 상기 고정베이스(1) 이면 일측 양쪽에 구비된 제1 브라켓(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베이스(1)를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 하부에는 상기 고정베이스(1)의 승하강을 가능하도록 하는 승하강 수단부(3)와 상기 고정베이스(1) 이면 타측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10) 중앙까지 연장 형성된 끝단에 회동축(40)이 구비된 고정바(4)와 상기 회동축(40) 외주부에 라벨부재(P)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부(5)와 상기 회동축(4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주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롤러(60)가 구비된 회동판(6)과 상기 회동판(6) 표면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라벨부착 가압부(7)와 상기 고정베이스(1)의 일방에는 제품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이송하는 케이스 이송수단부(8)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는,
상기 회동판(6)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는 판상의 고정판(70); 상기 결합공과 일치하는 위치로 긴 장공형태의 체결공(72)이 구비되어 고정구로 상기 결합공과 체결공(72)을 체결 고정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판상의 길이조절바(71); 상기 길이조절바(71)의 끝단에는 라벨부재(P)에서 이형지(R)와 분리된 라벨(L)만 부착하는 제1 라벨부착롤러(73); 상기 제1 라벨부착롤러(73)의 후방에는 라벨부재(P)가 안내롤러(60)에 의해 이송되어 이형지(R)와 라벨(L)이 분리 가능한 이송분리판(74);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박스류, 병류 등 다양한 케이스의 다양한 위치에 라벨을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케이스 형상 및 부착 위치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라벨을 자동으로 자유롭게 부착가능하므로 기존의 특정 케이스 형상이나 특정 위치에 따라 별도의 장치를 적용해서 라벨을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며 이로서 비용절약 등 경제성 및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라벨 자동 부착장치{Label attachment device}
본 발명은 라벨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들면 박스류, 병류 등 다양한 케이스의 다양한 위치에 라벨을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케이스 형상 및 부착 위치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라벨을 자동으로 자유롭게 부착가능한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에 의해 완성된 케이스에는 케이스에 수용되는 제품사양이나 기타 주의사항을 표시하거나 또는 고유번호와 같은 식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라벨이 부착된 후 출하될 수 있다.
제품이 수용되는 케이스에 수작업으로 라벨을 부착하는 것은 많은 작업인원, 시간, 노력이 필요하였고,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오부착, 접착부 훼손 등이 발생 할 수 있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라벨 부착을 자동화하여야 한다는 기술적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종래에 예컨대 국내 특허 등록 제10-0291445호 (2001년 03월 12일 등록) "라벨 자동 분리 및 부착장치"의 등록공보에는, 조립 컨베이어 라인에서 그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전자제품에 사 양이나 제조연월일 등이 표시된 라벨을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는 라벨 자동 분리 및 부착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전자제품이 이송되고 있는 컨베이어 옆에, 롤 상에서 연속 공급되는 라벨시트에서 라벨만을 흡착하여 상승시킨 후 제품의 라벨부착면까지 회전 및 푸시함으로써 라벨을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라벨시트 상의 라벨들은 일단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라벨 플레이트 상에서 이형지와 분리되는데, 이형지와 분리된 상태의 라벨은 라벨 플레이트 상에서 일정시간 동안 정지된 상태로 대기 하다가 흡착헤드에 의해 흡착됨으로써 이형지로부터 분리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롤 상에서 공급되는 라벨시 트는 간헐적으로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이동 및 정지가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 이동길이를 하나의 라벨 길이 만큼씩으로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 나아가 라벨은 흡착헤드에 의해 라벨 플레이트에서부터 제품까지 이송되어야 하는데, 제품이 컨베이어 라인 상에서 이동중에 있기 때문에, 흡착헤드와 제품이 일렬로 정렬되어야 하는 정밀 제어가 필요하였다.
한편 종래에 또 다른 예로서 국내 특허 등록 제10-1200783호 (2012년 11월 07일 등록) "라벨부착장치"의 등록공 보에는, 라벨이송부에서 공급되는 라벨을 흡출장치에서 흡착하거나 출착하고, 이 흡출장치를 회전구동부가 회전 시킨 후 대기중인 제품에 직선이동시켜 라벨이 제품 표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부착장 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라벨이송부에서 공급된 라벨은, 별도의 박리를 위한 구성이 없이, 흡출장치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흡착하거나 출착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라벨은 이형지에 부착된 상태로 공급되는데, 비록 이형지와 라벨 사이의 부착력이 약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형지에 부착된 라벨을 흡착하여 박리시키는 것은 꽤 강한 흡착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라벨을 이형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하고, 라벨 이송 제어를 단순하게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함은 물론이고,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상기 선행자료들은 제품 케이스의 특정 형상과 특정 위치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어 다양한 형상이나 다양한 위치에 라벨을 부착할 수 있는 기술은 현재 존재치 아니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14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07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967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112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케이스의 다양한 위치에 라벨을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케이스 형상 및 부착 위치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라벨을 자동으로 자유롭게 부착가능한 라벨 자동 부착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중앙에 관통공(10)이 천공되고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베이스(1)와 상기 고정베이스(1) 이면 일측 양쪽에 구비된 제1 브라켓(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베이스(1)를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 하부에는 상기 고정베이스(1)의 승하강을 가능하도록 하는 승하강 수단부(3)와 상기 고정베이스(1) 이면 타측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10) 중앙까지 연장 형성된 끝단에 회동축(40)이 구비된 고정바(4)와 상기 회동축(40) 외주부에 라벨부재(P)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부(5)와 상기 회동축(4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주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롤러(60)가 구비된 회동판(6)과 상기 회동판(6) 표면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라벨부착 가압부(7)와 상기 고정베이스(1)의 일방에는 제품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이송하는 케이스 이송수단부(8)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는,
상기 회동판(6)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는 판상의 고정판(70); 상기 결합공과 일치하는 위치로 긴 장공형태의 체결공(72)이 구비되어 고정구로 상기 결합공과 체결공(72)을 체결 고정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판상의 길이조절바(71); 상기 길이조절바(71)의 끝단에는 라벨부재(P)에서 이형지(R)와 분리된 라벨(L)만 부착하는 제1 라벨부착롤러(73); 상기 제1 라벨부착롤러(73)의 후방에는 라벨부재(P)가 안내롤러(60)에 의해 이송되어 이형지(R)와 라벨(L)이 분리 가능한 이송분리판(74);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상기 승하강 수단부(3)는 일측에 구비된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M1)와 연결된 벨트(30)가 구동되고 상기 벨트(30)의 구동에 의해 제1 로드(31)가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상기 권취부(5)는 상기 회동축(40) 외주부에 구비된 외통체(50) 양단에 각각 차단판(51)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51) 사이 상기 외통체(50)에 라벨부재(P)가 권취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상기 회동판(6)의 소정의 위치에는 라벨부재(P)의 이형지(R)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판(6) 이면 하단에 모터(M2)가 구비되어 있고 표면에는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이형지회수롤러(6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상기 회동판(6)의 소정의 위치에는 라벨부재(P)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롤러(62)가 두개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는, 상기 회동판(6)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는 판상의 고정판(70); 상기 결합공과 일치하는 위치로 긴 장공형태의 체결공(72)이 구비되어 고정구로 상기 결합공과 체결공(72)을 체결 고정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판상의 길이조절바(71); 상기 길이조절바(71)의 끝단에는 라벨부재(P)에서 이형지(R)와 분리된 라벨(L)만 부착하는 제1 라벨부착롤러(73); 상기 제1 라벨부착롤러(73)의 후방에는 라벨부재(P)가 안내롤러(60)에 의해 이송되어 이형지(R)와 라벨(L)이 분리 가능한 이송분리판(74); 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상기 케이스 이송수단부(8)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게 구비된 라벨 부착을 위한 케이스 이송 컨베어(80); 일측에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 구동을 위한 모터(M3);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 하부 중앙에는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로드(81)의 인입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모터(M4); 를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삭제
상기 고정베이스(1)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라벨부착부(720)는, 후면 일측에 모터(M5)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상기 모터(M5)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주동롤러(7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 가까이에 제1 회동축(722)이 구비된 고정부재(723); 상기 제1 회동축(722)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는 제2 브라켓(724)에 회동되는 가압롤러(725)가 구비된 회동플레이트(726); 상기 고정부재(723)의 하부 일측에는 판재(727)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판재(727) 전면에는 제2 에어실린더(728)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에어실린더(728)의 상면에는 다양한 길이를 갖는 케이스(B)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바(729)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에어실린더(728) 일측에는 피동롤러(730)가 구비된 가변부재(731); 를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상기 지지바(729)는 일측에 제1 장공(732)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케이스(B)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차단판(7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729)의 제1 장공(732)에 고정구로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에어실린더(728)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고정공(733)이 한쌍을 이루면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상기 고정베이스(1)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라벨부착부(740)는, 상기 고정베이스(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정의 위치에 길게 이동장공(741)이 천공되어 있는 수직플레이트(742); 상기 이동장공(741)에 관통하여 착탈 결합되는 제2 회동축(743)이 구비된 고정브라켓(753); 상기 제2 회동축(743)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 가능하며 일측에 제2 라벨부착롤러(744)가 구비된 회동바(745); 상기 제2 라벨부착롤러(744)가 돌출 가능하도록 개구부(7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746)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길게 케이스이탈방지판(74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이탈방지판(747)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공(748)이 복수개 이상 천공되어 있으며 양단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749)을 이루는 수평플레이트(750); 를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와,
상기 케이스이탈방지판(747)은, 'ㄴ'자 형상으로 상기 수평플레이트(750)와 접하는 수평부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연장편(751)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편(751)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제2 장공(752)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박스류, 병류 등 다양한 케이스의 다양한 위치에 라벨을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케이스 형상 및 부착 위치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라벨을 자동으로 자유롭게 부착가능하므로 기존의 특정 케이스 형상이나 특정 위치에 따라 별도의 장치를 적용해서 라벨을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며 이로서 비용절약 등 경제성 및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요부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작동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고정베이스를 회동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고정베이스를 회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1 라벨부착부를 결합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1 라벨부착부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2 라벨부착부를 결합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2 라벨부착부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3 라벨부착부를 결합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2 라벨부착부의 작동상태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요부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작동상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고정베이스를 회동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고정베이스를 회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1 라벨부착부를 결합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1 라벨부착부의 작동상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2 라벨부착부를 결합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2 라벨부착부의 작동상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3 라벨부착부를 결합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라벨 자동 부착장치에서 제2 라벨부착부의 작동상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핵심은 기존 선행자료와 달리 다양한 형상의 케이스는 물론이고 케이스의 어떤 부위에도 라벨(L)의 부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본 발명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형태의 케이스 뚜껑 상면에 라벨(L)을 부착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병 또는 원통형의 병 케이스 측면에 라벨(L)을 부착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형태의 케이스 뚜껑 상면의 내주면이 다단으로 즉 홈 형태로 단턱을 이루는 형태의 경우 상기 홈내에 라벨(L)을 부착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케이스의 경우 원통형 외주면 전체에 라벨(L)을 부착하거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태의 케이스에서 상면과 측면을 거쳐서 라벨(L)을 부착하는 경우등 다양한 어떤 형태의 케이스(B)든 또는 케이스의 어떤 특정 부위에 라벨(L)을 부착하든 본 발명으로 다양하게 실시 적용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핵심으로 이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지시부호 1은 고정베이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베이스(1)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어떤 실시예에서도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구성이며 구체적으로는 중앙에 관통공(10)이 천공되고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베이스(1)에 하기에 기재하는 구성요소가 결합된 것이다.
지시부호 2는 회전축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2)는 도 2, 도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1) 이면 일측 양쪽에 구비된 제1 브라켓(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베이스(1)를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지시부호 3은 승하강수단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하강수단부(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 하부에 상기 고정베이스(1)의 승하강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 수단부(3)는 일측에 구비된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M1)와 연결된 벨트(30)가 구동되고 상기 벨트(30)의 구동에 의해 제1 로드(31)가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삭제
지시부호 4는 고정바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바(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1) 이면 타측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10) 중앙까지 연장 형성된 끝단에 회동축(40)이 구비된 것이다.
지시부호 5는 권취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부(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40) 외주부에 라벨부재(P)가 권취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부(5)는 상기 회동축(40) 외주부에 구비된 외통체(50) 양단에 각각 차단판(51)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51) 사이 상기 외통체(50)에 라벨부재(P)가 권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510의 권취된 라벨부재(P)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외통체(50)는 상기 회동축(40)과 별개로 회동가능하도록 된 구조로서 예를들면 베어링 등으로 결합되어 회동축(40)과 독립적으로 권취된 라벨부재(P)가 하기에서 설명하는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풀릴때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6은 회동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판(6)은 도 1, 도 3,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4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주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롤러(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회동판(6)의 소정의 위치에는 라벨부재(P)의 이형지(R)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판(6) 이면 하단에 모터(M2)가 구비되어 있고 표면에는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이형지회수롤러(6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동판(6)의 소정의 위치에는 라벨부재(P)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롤러(62)가 두개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회동판(6)은 상기 회동축(40)에 의해 작업자가 임의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회동판(6)의 회동으로 인하여 다양한 케이스(B) 및 다양한 케이스(B)에 대양한 위치에 라벨(L)을 부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지시부호 7은 라벨부착 가압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판(6) 표면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것으로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는,
상기 회동판(6)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는 판상의 고정판(70)와, 상기 결합공과 일치하는 위치로 긴 장공형태의 체결공(72)이 구비되어 고정구로 상기 결합공과 체결공(72)을 체결 고정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판상의 길이조절바(71)와, 상기 길이조절바(71)의 끝단에는 라벨부재(P)에서 이형지(R)와 분리된 라벨(L)만 부착하는 제1 라벨부착롤러(73)와, 상기 제1 라벨부착롤러(73)의 후방에는 라벨부재(P)가 안내롤러(60)에 의해 이송되어 이형지(R)와 라벨(L)이 분리 가능한 이송분리판(74)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공(72)을 이용하여 길이조절바(7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케이스(B)와 상기 제1 라벨부착롤러(73)의 간격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이와 같은 기능은 미세한 오차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는 모터(M2)에 의해 구동되는 이형지회수롤러(61)의 회동에 의해 외통제(50)에 권취된 라벨부재(P)가 안내롤러(60) 등을 거치면서 상기 이송분리판(74)를 통해 라벨(L)과 이형지(R)이 분리되어 이형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회수롤러(61)에 권취되고 상기 라벨(L)은 케이스(B)의 특정 부위에 부착되는데 이때 상기 제1 라벨부착롤러(73)가 가압하여 부착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8은 케이스 이송수단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1)의 일방에는 제품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이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 이송수단부(8)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게 구비된 라벨 부착을 위한 케이스 이송 컨베어(80)와, 일측에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 구동을 위한 모터(M3)와,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 하부 중앙에는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로드(81)의 인입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모터(M4) 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이유는 케이스(B)의 크기 및 라벨(L)의 부착 위치가 다양하기 때문에 케이스(B)의 맞게 조절하여야 하며 이와 가티 조절함으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승하강수단부(3) 또한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에 맞게 높낮이의 조절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에 설명한 구성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병 뚜껑이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박스형태의 상면 등 어떤 형태의 케이스(B)라도 수평적인 상면에 라벨(L)을 부착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베이스(1)가 케이스 이송수단부(8)의 후방에 수직으로 위치하여야 하는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이나 또는 박스의 측면에 라벨(L)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베이스(1)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가능하지 아니하므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1)를 사익 회전축(2)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수평되게 회전시켜 상기 회동축(40)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판(6)의 라벨부착 가압부(7)가 케이스 이송 컨베어(80)에 안착 이송되는 케이스(B)의 라벨 부착부위와 일치토록 하되 이때 상기 승하강수단부(3)의 조절 또한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셋팅을 한 연후에 외통체(50)에 라벨부재(P)를 권취시킨 후 전원공급하고 컨트롤부(C)의 조정한 후 작동을 시키면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사익 안내롤러(60)을 거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부착 가압부(7)에 도달하면 이송분리판(74)에서 이형지(R)과 라벨(L)이 분리되면서 상기 제1 라벨부착롤러(73)의 가압에 의해 라벨(L)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B)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다.
물론 이형지(R)는 상기 이형지회수롤러(61)로 회수되는 것이다.
이하에는 상기 기본구성에 추가적인 구성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다양한 케이스 또는 다양한 라벨 부착부위를 본 발명으로 모두 부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플레이트(7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라벨부착부(710)는,
실린더(711)와 상기 실린더(711)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 가능한 라벨부착판(712)와 상기 라벨부착판(712)과 이격된 상태에서 케이스(B)를 안착 가능하도록 하는 안착판(713)와 상기 라벨부착판(712)에 에어를 인입출하여 라벨(L)을 흡착 및 탈락을 가능하도로 하여 케이스(B)의 특정부위에 라벨(L)을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에어실린더(714)와 상기 제1 플레이트(700)에 제1 라벨부착부(710)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라벨부착부(710)의 후방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라벨부착부(71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길이조절공(715)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이상의 길이조절판(71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병 뚜껑이나 박스형태의 뚜껑에서 상면 외주면에 테두리 즉, 단턱을 형성하여 그 내주면에 홈부를 형성한 후 그 홈부에 라벨(L)이 부착되는 형태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에어실린더(714)의 작동에 의해 상기 라벨부착판(712)가 안착판(713)에 위치한 케이스(B)의 상면 홈부에 정확하게 라벨(L)을 부착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회전축(2)을 이용하여 고정베이스(1)을 지면과 수직되게 세운 다음 상기 회동축(40)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판(6)을 도 9와 같이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가 지면과 수평되게 위치 시킨 다음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작동시키면 상기 이송분리판(74)에 의해 라벨(L)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에어실린더(714)에 의해 라벨부착판(712)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라벨(L)을 흡착한 다음 상기 흡착된 라벨(L)을 케이스(B) 상면 홈부에 하강하여 부착 가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판(713)의 높이 조절은 실린더에 의해 가능한 것이며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하고 상기 안착판(713)이나 또는 제1 에어실린더(714)의 좌우 이동은 매우 미세한 차이기 때문에 상기 길이조절공(715)에 상기 길이조절판(716)을 최적의 위치에 체결 조절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1)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라벨부착부(720)는,
후면 일측에 모터(M5)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상기 모터(M5)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주동롤러(7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 가까이에 제1 회동축(722)이 구비된 고정부재(723)와, 상기 제1 회동축(722)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는 제2 브라켓(724)에 회동되는 가압롤러(725)가 구비된 회동플레이트(726)와, 상기 고정부재(723)의 하부 일측에는 판재(727)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판재(727) 전면에는 제2 에어실린더(728)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에어실린더(728)의 상면에는 다양한 길이를 갖는 케이스(B)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바(729)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에어실린더(728) 일측에는 피동롤러(730)가 구비된 가변부재(731)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729)는 일측에 제1 장공(732)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케이스(B)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차단판(7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729)의 제1 장공(732)에 고정구로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에어실린더(728)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고정공(733)이 한쌍을 이루면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원통형의 케이스(B) 주로 병류가 해당되는데 원통형 외주면 전체 또는 거의 대부분에 라벨(L)을 부착하고자 할때 적용되는 것으로서,
우선, 회전축(2)을 이용하여 고정베이스(1)을 지면과 수직되게 세운 다음 상기 회동축(40)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판(6)을 도 11과 같이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가 11시방향으로 위치 시킨 다음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작동시키면 상기 이송분리판(74)에 의해 라벨(L)이 분리하면서 상기 라벨(L)은 상기 주동롤러(721)에 의해 상기 케이스(B)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라벨(L)을 부착하고자 하는 케이스(B)의 크기 길이 등등에 따라 가변부재(731)의 제2 에어실린더(728)에 의해 피동롤러(730)와 주동롤러(721)의 간격을 맞춘 다음 상기 지지바(729) 또한 상기 고정공(733)에 상기 제1 장공(732)을 맞춰서 고정구등으로 고정 시킨 다음, 상기 피동롤러(730)와 주동롤러(721) 위에 케이스(B)를 안착한 후 상기 가압롤러(725)로 상기 케이스(B)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모터(M5)의 구동에 의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동롤러(721)에 의해 라벨이 부착되는 것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1)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라벨부착부(740)는,
상기 고정베이스(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정의 위치에 길게 이동장공(741)이 천공되어 있는 수직플레이트(742)와, 상기 이동장공(741)에 관통하여 착탈 결합되는 제2 회동축(743)이 구비된 고정브라켓(753)과, 상기 제2 회동축(743)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 가능하며 일측에 제2 라벨부착롤러(744)가 구비된 회동바(745)와, 상기 제2 라벨부착롤러(744)가 돌출 가능하도록 개구부(7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746)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길게 케이스이탈방지판(74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이탈방지판(747)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공(748)이 복수개 이상 천공되어 있으며 양단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749)을 이루는 수평플레이트(75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이탈발지판(747)은, 'ㄴ'자 형상으로 상기 수평플레이트(750)와 접하는 수평부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연장편(751)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편(751)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제2 장공(752)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삭제
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각형상의 케이스(B)에서 평평한 면에 라벨(L)을 부착하지만 간혹적으로 면과 면사이 절곡된 사이에 라벨(L)을 부착하는 케이스(B) 또한 종종있는데 이와 같은 케이스(B)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회전축(2)을 이용하여 고정베이스(1)을 지면과 수직되게 세운 다음 상기 회동축(40)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판(6)을 도 13과 같이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가 12시방향으로 위치 시킨 다음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작동시키면 상기 이송분리판(74)에 의해 라벨(L)이 분리하면서 상기 개구부(746)으로 인축되면서 동시에 상기 케이스(B)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되어 진입하면 상기 제2 라벨부착롤러(744)에 의해 케이스(B) 전면 소정의 위치에 라벨(L)이 부착되고 동시에 상기 케이스(B)가 계속 밀고 들어오면 상기 회동바(745)가 제2 회동축(743)을 기준으로 미는 힘에 의해 회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2 라벨부착롤러(744)가 케이스(B) 저면 소정의 위치에 라벨(L)을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박스류, 병류 등 다양한 케이스의 다양한 위치에 라벨을 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케이스 형상 및 부착 위치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라벨을 자동으로 자유롭게 부착가능하므로 기존의 특정 케이스 형상이나 특정 위치에 따라 별도의 장치를 적용해서 라벨을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며 이로서 비용절약 등 경제성 및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고정베이스 2 ; 회전축
3 ; 승하강 수단부 4 ; 고정바
5 ; 권취부 6 ; 회동판
7 ; 라벨 부착가압부 8 ; 케이스 이송수단부
10 ; 관통공 20 ; 제1 브라켓
30 ; 벨트 31 ; 제1 로드
40 ; 회동축 50 ; 외통체
51 ; 차단판 60 ; 안내롤러
61 ; 이형지회수롤러 62 ; 텐션롤러
70 ; 고정판 71 ; 길이조절바
72 ; 체결공 73 ; 제1 라벨부착롤러
74 ; 이송분리판 80 ; 케이스 이송컨베어
81 ; 제2 로드 700 ; 제1 플레이트
710 ; 제1 라벨부착부 711 ; 실린더
712 ; 라벨부착판 713 ; 안착판
714 ; 제1 에어실린더 715 ; 길이조절공
716 ; 길이조절판 720 ; 제2 라벨부착부
721 ; 주동롤러 722 ; 제1 회동축
723 ; 고정부재 724 ; 제2 브라켓
725 ; 가압롤러 726 ; 회동플레이트
727 ; 판재 728 ; 제2 에어실린더
729 ; 지지바 730 ; 피동롤러
731 ; 가변부재 732 ; 제1 장공
733 ; 차단판 740 ; 제3 라벨부착부
741 ; 이동장공 742 ; 수직플레이트
743 ; 제2 회동축 744 ; 제2 라벨부착롤러
745 ; 회동바 746 ; 개구부
747 ; 케이스이탈방지판 748 ; 관통공
749 ; 경사면 750 ; 수평플레이트
751 ; 연장편 752 ; 제2 장공
B ; 케이스 C ; 컨트롤부
L ; 라벨 M1,M2,M3,M4,M5 ; 모터
P ; 라벨부재 R ; 이형지
753 ; 고정브라켓

Claims (12)

  1. 중앙에 관통공(10)이 천공되고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베이스(1)와 상기 고정베이스(1) 이면 일측 양쪽에 구비된 제1 브라켓(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베이스(1)를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 하부에는 상기 고정베이스(1)의 승하강을 가능하도록 하는 승하강 수단부(3)와 상기 고정베이스(1) 이면 타측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10) 중앙까지 연장 형성된 끝단에 회동축(40)이 구비된 고정바(4)와 상기 회동축(40) 외주부에 라벨부재(P)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부(5)와 상기 회동축(4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주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롤러(60)가 구비된 회동판(6)과 상기 회동판(6) 표면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된 라벨부착 가압부(7)와 상기 고정베이스(1)의 일방에는 제품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이송하는 케이스 이송수단부(8)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는,
    상기 회동판(6)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는 판상의 고정판(70);
    상기 결합공과 일치하는 위치로 긴 장공형태의 체결공(72)이 구비되어 고정구로 상기 결합공과 체결공(72)을 체결 고정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판상의 길이조절바(71);
    상기 길이조절바(71)의 끝단에는 라벨부재(P)에서 이형지(R)와 분리된 라벨(L)만 부착하는 제1 라벨부착롤러(73);
    상기 제1 라벨부착롤러(73)의 후방에는 라벨부재(P)가 안내롤러(60)에 의해 이송되어 이형지(R)와 라벨(L)이 분리 가능한 이송분리판(74);
    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수단부(3)는 일측에 구비된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M1)와 연결된 벨트(30)가 구동되고 상기 벨트(30)의 구동에 의해 제1 로드(31)가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5)는 상기 회동축(40) 외주부에 구비된 외통체(50) 양단에 각각 차단판(51)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51) 사이 상기 외통체(50)에 라벨부재(P)가 권취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6)의 소정의 위치에는 라벨부재(P)의 이형지(R)를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판(6) 이면 하단에 모터(M2)가 구비되어 있고 표면에는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이형지회수롤러(6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6)의 소정의 위치에는 라벨부재(P)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롤러(62)가 두개이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이송수단부(8)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게 구비된 라벨 부착을 위한 케이스 이송 컨베어(80);
    일측에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 구동을 위한 모터(M3);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 하부 중앙에는 상기 케이스 이송 컨베어(8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로드(81)의 인입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모터(M4);
    를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착 가압부(7)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플레이트(7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라벨부착부(710)는,
    실린더(711);
    상기 실린더(711)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 가능한 라벨부착판(712);
    상기 라벨부착판(712)과 이격된 상태에서 케이스(B)를 안착 가능하도록 하는 안착판(713);
    상기 라벨부착판(712)에 에어를 인입출하여 라벨(L)을 흡착 및 탈락을 가능하도로 하여 케이스(B)의 특정부위에 라벨(L)을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에어실린더(714);
    상기 제1 플레이트(700)에 제1 라벨부착부(710)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라벨부착부(710)의 후방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라벨부착부(71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길이조절공(715)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이상의 길이조절판(716);
    를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1)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라벨부착부(720)는,
    후면 일측에 모터(M5)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상기 모터(M5)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주동롤러(7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 가까이에 제1 회동축(722)이 구비된 고정부재(723);
    상기 제1 회동축(722)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는 제2 브라켓(724)에 회동되는 가압롤러(725)가 구비된 회동플레이트(726);
    상기 고정부재(723)의 하부 일측에는 판재(727)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판재(727) 전면에는 제2 에어실린더(728)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에어실린더(728)의 상면에는 다양한 길이를 갖는 케이스(B)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바(729)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에어실린더(728) 일측에는 피동롤러(730)가 구비된 가변부재(731);
    를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729)는 일측에 제1 장공(732)이 천공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는 케이스(B)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차단판(7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729)의 제1 장공(732)에 고정구로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에어실린더(728)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고정공(733)이 한쌍을 이루면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1)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라벨부착부(740)는,
    상기 고정베이스(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정의 위치에 길게 이동장공(741)이 천공되어 있는 수직플레이트(742);
    상기 이동장공(741)에 관통하여 착탈 결합되는 제2 회동축(743)이 구비된 고정브라켓(753);
    상기 제2 회동축(743)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 가능하며 일측에 제2 라벨부착롤러(744)가 구비된 회동바(745);
    상기 제2 라벨부착롤러(744)가 돌출 가능하도록 개구부(7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746)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길게 케이스이탈방지판(74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이탈방지판(747)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관통공(748)이 복수개 이상 천공되어 있으며 양단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749)을 이루는 수평플레이트(750);
    를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이탈방지판(747)은,
    'ㄴ'자 형상으로 상기 수평플레이트(750)와 접하는 수평부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연장편(751)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편(751)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제2 장공(752)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라벨 자동 부착장치.




KR1020210134823A 2021-10-12 2021-10-12 라벨 자동 부착장치 KR102361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823A KR102361142B1 (ko) 2021-10-12 2021-10-12 라벨 자동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823A KR102361142B1 (ko) 2021-10-12 2021-10-12 라벨 자동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142B1 true KR102361142B1 (ko) 2022-02-14

Family

ID=8025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823A KR102361142B1 (ko) 2021-10-12 2021-10-12 라벨 자동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4892A (zh) * 2022-09-23 2022-11-25 青州偶园纸品有限公司 彩色皱纹纸加工用贴标装置
KR102605128B1 (ko) * 2023-04-24 2023-11-23 주식회사 필플러스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445B1 (ko) 1998-07-15 2001-06-01 윤종용 라벨 자동 분리 및 부착장치
JP2007076653A (ja) * 2005-09-12 2007-03-29 Lintec Corp ラベル供給装置
JP2009179387A (ja) * 2008-01-31 2009-08-13 Sato Knowledge & Intellectual Property Institute ラベル貼付装置
KR101200783B1 (ko) 2011-08-22 2012-11-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라벨부착장치
KR101269670B1 (ko) 2009-02-17 2013-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벨 자동 부착 장치
JP6847920B2 (ja) * 2016-03-30 2021-03-24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ラベル被嵌システム
KR20210111203A (ko) 2020-11-17 2021-09-10 (주)메카시스 라벨 부착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445B1 (ko) 1998-07-15 2001-06-01 윤종용 라벨 자동 분리 및 부착장치
JP2007076653A (ja) * 2005-09-12 2007-03-29 Lintec Corp ラベル供給装置
JP2009179387A (ja) * 2008-01-31 2009-08-13 Sato Knowledge & Intellectual Property Institute ラベル貼付装置
KR101269670B1 (ko) 2009-02-17 2013-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벨 자동 부착 장치
KR101200783B1 (ko) 2011-08-22 2012-11-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라벨부착장치
JP6847920B2 (ja) * 2016-03-30 2021-03-24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ラベル被嵌システム
KR20210111203A (ko) 2020-11-17 2021-09-10 (주)메카시스 라벨 부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4892A (zh) * 2022-09-23 2022-11-25 青州偶园纸品有限公司 彩色皱纹纸加工用贴标装置
CN115384892B (zh) * 2022-09-23 2023-10-13 青州偶园纸品有限公司 彩色皱纹纸加工用贴标装置
KR102605128B1 (ko) * 2023-04-24 2023-11-23 주식회사 필플러스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142B1 (ko) 라벨 자동 부착장치
WO1997020739A1 (de)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und applizieren von etikett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ieser vorrichtung
CN206494235U (zh) 退板式取标贴标机构
CN111924248B (zh) 一种全自动贴标柔性生产设备
WO2017152542A1 (zh) 自动贴标签装置和方法以及组装治具和方法
CN113978872A (zh) 一种瓶装饮用水生产用贴标机
CN114919938A (zh) 一种板材装卸机器人上下料系统
JP6702715B2 (ja) テープ材巻きロールの自動移載装置及びラベル貼着機
CN208802234U (zh) 一种贴标扫描一体机
KR101468806B1 (ko) 라벨 부착 장치
CN211443061U (zh) 一种轮转机齿轮传动定位贴标系统
TWI481530B (zh) Labeling Machine
US68306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bels to a series of objects moving in multiple columns
CN209972982U (zh) 自动化贴标机
CN215044458U (zh) 一种薄膜封切包装机的贴标机构
CN214876220U (zh) 一种玻璃贴标签机构
KR101790082B1 (ko) 바코드 라벨 공급 장치
KR101005540B1 (ko) 스티커 라벨링장치
JP4031211B2 (ja) 帯状体の接続装置
KR200479040Y1 (ko) 화장품 용기의 라벨 부착 장치
CN113401459A (zh) 一种纺织卷筒标记用纺织品贴标装置及其使用方法
CN219115937U (zh) 一种乳品厂方盒产品贴标机
CN105035449A (zh) 一种自动贴标签机
CN214777175U (zh) 一种贴标机构及其证书制作设备
CN220181316U (zh) 一种自动贴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