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128B1 -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128B1
KR102605128B1 KR1020230053338A KR20230053338A KR102605128B1 KR 102605128 B1 KR102605128 B1 KR 102605128B1 KR 1020230053338 A KR1020230053338 A KR 1020230053338A KR 20230053338 A KR20230053338 A KR 20230053338A KR 102605128 B1 KR102605128 B1 KR 102605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auxiliary
guide plate
coupled
auxiliar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플러스
Priority to KR102023005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92Spools or cassettes f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4Supporting web roll cantile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2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a single end flange (e.g. with a conical end flange); formed with one end of greater diameter than th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형지에 라벨이 부착된 상태의 라벨롤이 끼움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바; 상기 롤러설치바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원형 가이드판;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1 연결바; 상기 제1 연결바의 일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1 보조바;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바와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2 연결바; 상기 제2 연결바의 일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2 보조바; 및 상기 메인바의 일측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이탈방지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Unwinder device for label application}
본 발명은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라벨 부착 공정에 있어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벨(label)은 영숫자, 바코드, 일련번호, 2D 코드, QR 코드, 주소, 맞춤형 정보, 그래픽 등의 데이터가 표기되어 고객에게 제조업체, 제품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광고 매체이기도 하며 제조업체의 제품 추적에도 사용될 수 있어 식품, 의약품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의 판매를 위한 생산, 포장 등의 공정에서 제품의 각종 정보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고 효율적인 라벨 작업은 성공적인 제조와 물류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라벨 작업이 잘 수행되면 생산 공정을 원활히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시간과 비용이 낭비된다는 문제가 있어 최근 자동으로 제품에 라벨을 부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라벨 부착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라벨 부착기는 라벨롤을 언와인딩하는 구성요소(언와인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언와인더는 다양한 종류의 라벨이 감겨있는 롤(라벨롤)을 언와인딩 하는 구성요소로, 라벨롤를 적절하게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언와인더는 라벨롤을 단단하게 고정하면서도 라벨 부착 공정에 맞추어 적절한 속도로 언와인딩되어야 한다.
종래의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들은 단순히 라벨롤을 걸쳐 놓는 수준이거나, 언와인딩 속도에 따라 라벨롤이 움직여 라벨 부착 공정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4330호(2022.01.1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라벨 부착 공정에 따라 언와인딩 속도 변화가 있더라도 라벨롤의 이형지가 풀어지는 것에 대한 일정함을 유지하여 최종적인 라벨 부착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이용 언와인딩 장치는 이형지에 라벨이 부착된 상태의 라벨롤이 끼움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바; 상기 롤러설치바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원형 가이드판;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1 연결바; 상기 제1 연결바의 일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1 보조바;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바와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2 연결바; 상기 제2 연결바의 일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2 보조바; 및 상기 메인바의 일측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이탈방지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이용 언와인딩 장치는 상기 메인바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되, 일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면으로 구성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면부의 끝단에 절곡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걸림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이용 언와인딩 장치는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메인바 체결부;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설치되는 제1 보조바 체결부;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바와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제2 보조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이용 언와인딩 장치는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설치되는 고정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에는 메인바 지지부, 제1 보조바 탄성조절부 및 제2 보조바 탄성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 지지부는 상기 메인바 체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보조바 탄성조절부는 상기 제1 보조바 체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보조바를 지지하는 동시에 적어도 1개의 스프링과 결합되어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보조바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보조바 탄성조절부는 상기 제2 보조바 체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보조바를 지지하는 동시에 적어도 1개의 스프링과 결합되어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보조바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이용 언와인딩 장치는 일측이 상기 제1 보조바와 상기 제1 연결바 사이에 설치되고, 타측이 소형 보조 가이드바와 결합되는 보조 가이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형 보조 가이드바는 상기 제1 보조바의 길이 및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이형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는 라벨 부착 공정에 따라 언와인딩 속도 변화가 있더라도 라벨롤이 풀어지는 것에 대한 일정함을 유지하여 최종적인 라벨 부착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분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분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이형지에 라벨이 부착된 상태의 라벨롤이 끼움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바(100); 상기 메인바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원형 가이드판(200); 상기 원형 가이드판(200)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원형 가이드판(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1 연결바(300); 상기 제1 연결바(300)의 일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1 보조바(400); 상기 원형 가이드판(200)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바(500)와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원형 가이드판(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2 연결바(500); 상기 제2 연결바(500)의 일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2 보조바(600); 및 상기 메인바(100)의 타측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부(710)를 포함하는 이탈방지 가이드판(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라벨롤은 라벨이 부착된 이형지가 롤형태로 감긴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라벨롤은 메인바(1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메인바(100)는 상기 라벨롤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라벨롤의 폭과 동일하거나 어느 정도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라벨롤의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바(100)의 일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면으로 구성되는 평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부(110)의 양끝단에는 절곡되는 부분이 형성되는데, 이렇게 절곡되는 부분이 걸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라벨롤은 롤 형태로 이형지가 감긴 상태이기 때문에 가운데 원형홀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원형홀이 상기 메인바(100)에 끼움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메인바(100)에 평면부(110)가 형성되는 경우 라벨롤의 원형홀도 평면부(110) 대응하도록 평평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고, 라벨롤의 평평한 부분이 상기 평면부(110)에 대응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끼움 결합에 의해 라벨롤이 평면부(110)의 양끝단에는 절곡되는 부분에 걸리게 되어 고정될 수 있고, 라벨롤의 회전에 따라 메인바(100)도 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탁기용 언와인딩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 가이드판(200)의 배면에서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10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메인바 체결부(120); 상기 원형 가이드판(200)의 배면에서 설치되는 제1 보조바 체결부(310); 상기 원형 가이드판(200)의 배면에서 설치되며, 상기 제1 보조바 체결부(310)와 이결되어 설치되는 제2 보조바 체결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바 체결부(120), 제1 보조바 체결부(310) 및 제2 보조바 체결부(510)는 고정케이스(800)에 결합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는 제1 연결바(300)와 제1 보조바(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 보조바(400)는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가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보조바(400)는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가 걸린 상태에서 라벨 부착 공정에 따른 이형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는 제2 연결바(500)와 제2 보조바(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 보조바(600)도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가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제2 보조바(600)는 상기 제1 보조바(400)의 위치와 다른 곳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보조바(400)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가 걸리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에 설치된 것이 제1 보조바(400)이고, 아래쪽에 설치된 것이 제2 보조바(600)일 수 있는데, 도 7 및 도 8에서는 라벨롤로부터 인출되는 이형지가 제2 보조바(600)에 먼저 걸리고, 그 다음 상기 이형지가 제1 보조바(400)에 걸린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라벨 부착 공정에 따라 라벨롤로부터 이형지가 인출될 때, 너무 급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직하고 적당한 저항감이 작용하여 안정적인 이형지 인출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 부탁기용 언와인딩 장치는 상기 원형 가이드판(200)의 배면에서 설치되는 고정케이스(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케이스(800)의 내부에는 메인바 지지부(820), 제1 보조바 탄성조절부(830) 및 제2 보조바 탄성조절부(8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 지지부(820)는 상기 메인바 체결부(120)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1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바 지지부(8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 체결부(120)가 인입되어 결합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케이스(800)의 전면 내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바 탄성조절부(830)는 상기 제1 보조바 체결부(31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보조바를 지지하는 동시에 적어도 1개의 스프링(860)과 결합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860)과 결합되는 상기 제1 보조바 탄성조절부(8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보조바(400)의 움직임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보조바 탄성조절부(8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바 체결부(310)가 인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측면 부분에 3개의 돌출부(831)가 형성되고, 상기 3개의 돌출부(831)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스프링(86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860)과 결합되는 3개의 돌출부(831)는 서로 동일한 각이 되도록(ex.120도) 배치되어 어는 한 부분으로 기울지 않은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보조바 탄성조절부(830)와 스프링(860)의 조합 구성에 의해 제1 보조바(400)가 라벨 부착 공정에 따라 조금씩 움직이더라도 빠른 시간안에 원래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보조바 체결부(310)에는 1개의 돌출스토퍼(83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스토퍼(832)는 상기 제1 보조바 체결부(310) 회전 시 상기 고정케이스(800)의 측면에 부딪혀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스토퍼(832)에 의해 상기 제1 보조바 체결부(310)의 회전이 제한되어 제1 보조바 체결부(310)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보조바 탄성조절부(850)는 상기 제2 보조바 체결부(51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보조바를 지지하는 동시에 적어도 1개의 스프링(860)과 결합되어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860)과 결합되는 상기 제2 보조바 탄성조절부(8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보조바(400)의 움직임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보조바 탄성조절부(8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바 체결부(510)가 인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스프링(860)이 결합되어 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보조바(600)가 라벨 부착 공정에 따라 조금씩 움직이더라도 빠른 시간안에 원래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는 보조 가이드 연결부(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가이드 연결부(900)는 일측이 상기 제1 보조바(400)와 상기 제1 연결바(500) 사이에 설치되고, 타측이 소형 보조 가이드바(95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가이드 연결부(900)는 일측이 상기 제1 보조바(400)와 상기 제1 연결바(5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형 보조 가이드바(950)와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소형 보조 가이드바(95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면, 상기 보조 가이드 연결부(9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형 보조 가이드바(950)는 소형화되어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 보조바(200)의 길이 및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형 보조 가이드(950)의 길이 방향(축 방향)과 상기 제1 보조바(200)의 길이 방향(축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소형 보조 가이드바(950)는 이형지를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는 이탈방지 가이드판(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데, 이탈방지 가이드판(700)은 상기 메인바(100)의 타측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710), 상기 결합부(71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710)는 상기 메인바(100)의 타측 끝단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720)는 상기 결합부(71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720)는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바(100)의 일측 끝단에 상기 결합부(710) 결합될 수 있도록 내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라벨롤이 상기 메인바(100)에 끼움된 상태에서 이탈방지 가이드판(700)이 상기 메인바(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관계에 의해 라벨롤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710)가 상기 메인바(100)에 결합된 정도에 따라 상기 라벨롤이 축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는 상기 제1 보조바(400)에 걸리는 이형지가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형지가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라벨 부착 공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보조 가이드판(4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가이드판(450)은 전체적으로 원형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보조바 체결부(510)에 인입 설치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 보조 가이드바(950)가 인입되어 움직이는 공간이 되는 소형 보조 가이드(951)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보조 가이드판(450)은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판(700)과 조합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이형지가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이형지는 라벨롤로부터 인출되는데, 상기 메인바(100) → 상기 제2 보조바(600) → 상기 제1 보조바(400)의 순서로 인출된다.
즉 상기 메인바(100)가 이형지의 출발점이 되고, 상기 제1 보조바(400)가 마지막으로 이형지를 걸어주는 지점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는 출발점인 상기 메인바(100)에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판(700)이 전면으로 과도하게 위치하여 이형지가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지막 지점인 상기 제1 보조바(400)에서 상기 제1 보조 가이드판(450)이 후면으로 과도하게 위치하여 이형지가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출발점에서 전면을 제한하고 마지막 지점에서 후면을 제한함으로써 출발점부터 마지막 지점까지 평행하게 이형지가 설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에는 위와 같은 구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개념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 (A)의 경우가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판(700)과 상기 제1 보조 가이드판(45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이형지(P)가 비스듬하게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 (B)의 경우가 상기 제1 보조바(400) 및 상기 제1 보조 가이드판(450)의 구성에 의해 이형지(P)가 유동되는 위치가 제한되어 바르게 이형지(P)가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메인바
200: 원형 가이드판
300: 제1 연결바
400: 제1 보조바
500: 제2 연결바
600: 제2 보조바
700: 이탈방지 가이드판
800: 고정케이스

Claims (5)

  1.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에 있어서,
    이형지에 라벨이 부착된 상태의 라벨롤이 끼움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바;
    상기 메인바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원형 가이드판;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1 연결바;
    상기 제1 연결바의 일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1 보조바;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바와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제2 연결바;
    상기 제2 연결바의 일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라벨롤의 이형지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2 보조바;
    상기 메인바의 일측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이탈방지 가이드판;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메인바 체결부;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설치되는 제1 보조바 체결부;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바와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제2 보조바 체결부; 및
    상기 원형 가이드판의 배면에서 설치되는 고정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부에는 메인바 지지부, 제1 보조바 탄성조절부 및 제2 보조바 탄성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 지지부는 상기 메인바 체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보조바 탄성조절부는 상기 제1 보조바 체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보조바를 지지하는 동시에 적어도 1개의 스프링과 결합되어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보조바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보조바 탄성조절부는 상기 제2 보조바 체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보조바를 지지하는 동시에 적어도 1개의 스프링과 결합되어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보조바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되, 일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면으로 구성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면부의 끝단에 절곡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걸림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1 보조바와 상기 제1 연결바 사이에 설치되고, 타측이 소형 보조 가이드바와 결합되는 보조 가이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형 보조 가이드바는 상기 제1 보조바의 길이 및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이형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KR1020230053338A 2023-04-24 2023-04-24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KR10260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338A KR102605128B1 (ko) 2023-04-24 2023-04-24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338A KR102605128B1 (ko) 2023-04-24 2023-04-24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128B1 true KR102605128B1 (ko) 2023-11-23

Family

ID=8897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338A KR102605128B1 (ko) 2023-04-24 2023-04-24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1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18B1 (ko) * 2012-07-20 2013-01-17 장한봉 자동 라벨접착장치
KR20220004330A (ko) 2020-07-03 2022-01-11 (주)그랜드벨 라벨부착기
KR102361142B1 (ko) * 2021-10-12 2022-02-14 문호평 라벨 자동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18B1 (ko) * 2012-07-20 2013-01-17 장한봉 자동 라벨접착장치
KR20220004330A (ko) 2020-07-03 2022-01-11 (주)그랜드벨 라벨부착기
KR102361142B1 (ko) * 2021-10-12 2022-02-14 문호평 라벨 자동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6768B1 (en) Advertising display device
JP2012246015A (ja) 薬剤包装装置における巻回ロールの支持軸
US7484902B2 (en) Ribbon cassette for mailing machine
US20070031171A1 (en) Refillable tape cassette
US6910819B2 (en) Printer cartridge
JP5850951B2 (ja) 修正テープ分与装置及び修正テープ分与装置内の修正テープの再引張方法
KR102605128B1 (ko) 라벨 부착기용 언와인딩 장치
ES2465665T3 (es) Aparato y método de empalme
US2928619A (en) Supply roll support and coupling device
ES2937961T3 (es) Disposición de soporte de cinta
WO2011030579A1 (ja) テープカセット
JPS5862085A (ja) リボンカ−トリツジ
WO2002038476A1 (es) Dispensador de cinta correctora, adhesiva y similares
JP6108024B2 (ja) 薬剤包装装置における巻回ロール及びその支持軸、並びにその支持軸への巻回ロールの取付構造
JP6032304B2 (ja) 薬剤包装装置における巻回ロール及びその支持軸、並びにその支持軸への巻回ロールの取付構造
CA2040788A1 (en) Cartridge for label
CN112714698B (zh) 可折叠的色带补充盒
EP1904392B1 (en) Splic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40829A (ko) 표찰 케이스
US741988A (en) Holder for toilet-paper.
JPH10116033A (ja) 下げ札
JP4312870B2 (ja) ラベルプリンタ
WO1993008556A1 (en) Rolled up message display
SE504752C2 (sv) Färgbandkasett för skrivmaskin eller likna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