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527B1 -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527B1
KR102360527B1 KR1020210102970A KR20210102970A KR102360527B1 KR 102360527 B1 KR102360527 B1 KR 102360527B1 KR 1020210102970 A KR1020210102970 A KR 1020210102970A KR 20210102970 A KR20210102970 A KR 20210102970A KR 102360527 B1 KR102360527 B1 KR 10236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ving
camera
disposed
d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
이재서
Original Assignee
이한기술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기술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한기술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H04N5/2252
    • H04N5/2256
    • H04N5/225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돔형 감시카메라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10); 상기 고정케이스(10)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는 무빙케이스(20); 상기 고정케이스(10) 및 무빙케이스(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케이스(10) 및 무빙케이스(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모듈(30); 상기 무빙케이스(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케이스(70); 상기 회전케이스(20)에 조립되어 제자리에서 함께 회전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반구형태의 돔케이스(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Dome type observation camera that can slide up and down}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감시카메라는 특정 장소에 감시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감시카메라는 카메라의 자동 또는 원격 제어 여부에 따라 고정형 감시카메라와 능동형 감시카메라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형 감시카메라는 촬영 방향이 일정하게 고정된 반면, 능동형 감시카메라는 촬영 방향이 카메라의 동작 제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능동형 감시카메라는 줌 카메라와 팬 틸트 구동부의 보호, 인테리어 등의 목적으로 투명한 반구형 투시창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야간 감시를 위한 적외선 램프가 카메라와 함께 반구형 투시창 내에 배치되면, 적외선 램프에서 방사된 적외선 중 일부가 반구형 투시창에서 난반사를 일으켜 카메라에 유입됨으로써 카메라 영상을 왜곡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형 감시카메라에서는 카메라에 결합되는 완충 구조물을 통해 카메라를 반구형 투시창에 밀착시킴으로써 반구형 투시창에서 난반사된 적외선이 카메라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반구형 투시창을 카메라 촬영 영역과 적외선 조사 영역으로 분리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었다.
하지만, 능동형 감시카메라에서는 카메라의 팬 틸트 동작에 의해 카메라와 반구형 투시창 사이의 간격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완충 구조물을 통해 카메라를 반구형 투시창에 밀착시키기 어렵고 반구형 투시창 전체가 카메라 촬영 영역이 될 수 있으므로 반구형 투시창을 카메라 촬영 영역과 적외선 조사 영역으로 분리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고정형 감시카메라에서와 같은 난반사 방지 구조를 능동형 감시카메라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능동형감시카메라에서는 반구형 투시창을 사용하지 않고 카메라와 적외선 램프가 분리된 구조를 통해 난반사에 의한 영상 왜곡을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53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015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825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140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36608호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외선램프에 의한 카메라의 영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돔형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돔형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돔형 감시카메라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10); 상기 고정케이스(10)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는 무빙케이스(20); 상기 고정케이스(10) 및 무빙케이스(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케이스(10) 및 무빙케이스(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모듈(30); 상기 무빙케이스(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케이스(70); 상기 회전케이스(20)에 조립되어 제자리에서 함께 회전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반구형태의 돔케이스(40);를 포함한다.
상기 돔케이스(40) 내부에 배치되고, 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를 상기 무빙케이스(20)에 조립시키고, 상기 제 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50)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모듈(100);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5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회전모듈(200); 상기 고정케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무빙케이스(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무빙케이스(20)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케이스(20)에 조립되고, 야간 촬영 시 상기 돔케이스(40) 외측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램프(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램프(60)는 상기 돔케이스(40)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무빙케이스(2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정케이스(10)는, 상기 구조물(1)에 밀착되는 플레이트부(11); 상기 플레이트부(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관통부(12); 및 상기 플레이트부(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13);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케이스(20)는, 상기 고정가이드(13)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무빙바디(21); 상기 제 1 무빙바디(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무빙바디(2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빙바디(21)의 상단(21a)에 센서(23)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23)가 상기 플레이트부(11)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무빙케이스에 결합된 돔케이스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높낮이를 변화시켜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적외선램프를 돔케이스 외부에 배치하여 카메라의 영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슬라이드구동모듈이 작동을 통해 카메라가 배치된 작동어셈블리를 상하 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 1 슬라이드모듈 측에 처짐방지모듈이 배치되고 제 2 슬라이드모듈 측에 슬라이드구동모듈이 배치되기 때문에, 작동어셈블리의 상하 이동 시 어느 한쪽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돔형 감시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작동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케이스 및 무빙케이스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드구동모듈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작동어셈블리의 슬라이드 이동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돔형 감시카메라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돔형 감시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작동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케이스 및 무빙케이스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드구동모듈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작동어셈블리의 슬라이드 이동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돔형 감시카메라는, 구조물(1, 본 실시예에서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10)와, 상기 고정케이스(10)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는 무빙케이스(20)와, 상기 고정케이스(10) 및 무빙케이스(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케이스(10) 및 무빙케이스(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모듈(30)과, 상기 무빙케이스(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케이스(20)와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케이스(70)와, 상기 회전케이스(20)에 조립되어 제자리에서 함께 회전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반구형태의 돔케이스(40)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돔케이스(40) 내부에 배치되고, 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50)와, 상기 무빙케이스(20)에 조립되고, 야간 촬영 시 상기 돔케이스(40) 외측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램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카메라(50)를 상기 무빙케이스(20)에 조립시키고, 상하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50)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모듈(100)과,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5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회전모듈(200)과, 상기 고정케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무빙케이스(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무빙케이스(20)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구동모듈(300) 및 슬라이드모듈(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부품들의 조립체를 작동어셈블리라 정의하고, 천장에 고정된 부품들을 고정어셈블리라 정의한다.
고정케이스(10)는 천장(1)에 밀착되는 플레이트부(11)와, 상기 플레이트부(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관통부(12)와, 상기 플레이트부(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13)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천장에 밀착된다. 플레이트(11)는 고정가이드(13)의 외측으로 더 연장된 플레이트플랜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플랜지(14)에 체결부재(16)가 설치되어 고정케이스(10)를 천장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플랜지(14) 및 고정가이드(13)는 직교하게 배치된다.
저면에서 볼 때, 플레이트부(11)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 관통부(12)가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부(11)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을 제 1 회전축(C1)으로 정의한다.
관통부(12)는 천장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전축(C1) 상에 배치된다. 관통부(12)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2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a)을 통해 상기 천장(1)에서 연결된 케이블(미도시)등이 돔케이스(40) 또는 무빙케이스(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회전축(C1)이 관통홀(12a)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고정가이드(13)는 플레이트부(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다. 저면에서 볼 때, 고정가이드(13)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가이드(1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고정가이드(13)의 상단(13a)이 플레이트부(11)에 결합되고 하단(13b)이 무빙케이스(2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가이드(13)의 하측면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개구된 면을 통해 상기 무빙케이스(2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빙케이스(20)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무빙케이스(20)는 상기 고정가이드(13)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무빙케이스(20)의 상하 방향 길이가 고정가이드(13)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무빙케이스(20)의 외측면 및 고정가이드(13)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모듈(30)이 배치된다.
상기 무빙케이스(20)는, 상기 슬라이드모듈(3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13)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무빙바디(21)와, 상기 제 1 무빙바디(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무빙바디(22)를 포함한다.
제 1 무빙바디(21) 및 제 2 무빙바디(22)는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무빙바디(21)의 외경보다 제 2 무빙바디(22)의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무빙케이스(20)는 상기 제 1 무빙바디(21) 및 제 2 무빙바디(22) 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걸림단(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케이스(20)가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걸림단(25)이 상기 고정가이드(13)의 하단(13b)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무빙케이스(2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1 무빙바디(21)의 상단(21a)에 포토센서 또는 리미트센서와 같은 센서(23)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23)가 상기 플레이트부(11)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걸림단(25) 및 하단(13b)의 상호걸림을 통해, 상기 무빙케이스(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센서(23)에 전달되는 과도한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슬라이드모듈(30)은 제 1 무빙바디(21) 및 고정가이드(13)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무빙케이스(20)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모듈(30)은 적어도 2개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좌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슬라이드모듈(31)이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슬라이드모듈(32)이라 한다.
제 1 슬라이드모듈(31) 및 제 2 슬라이드모듈(32)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 1 슬라이드모듈(31) 및 제 2 슬라이드모듈(32)은, 제 1 무빙바디(21)에 결합되는 제 1 레일(33)과, 상기 고정가이드(13)에 배치되는 제 2 레일(34)을 포함한다.
제 1 레일(33) 및 제 2 레일(34)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 1 레일(33) 및 제 2 레일(34) 사이에 마찰을 저감시키는 베어링 또는 롤러와 같은 마찰저감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레일 및 제 2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회전케이스(70)는 제 2 무빙바디(22)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회전케이스(70)는 무빙케이스(20)에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무빙케이스(20)의 상하 방향 슬라이드 이동 시,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케이스(70)의 외측면 및 제 2 무빙바디(22)의 내측면 사이에 마찰을 저감시키는 베어링(75)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회전케이스(70)는 제 2 무빙바디(2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1 회전바디부(71)와, 상기 제 1 회전바디부(71)의 내측면에서 반경반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돔케이스(40)가 거치되는 제 2 회전바디부(72)와, 상기 제 1 회전바디부(71)의 외측면에서 반경반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3 회전바디부(73)를 포함한다.
제 1 회전바디부(7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2 무방바디(22)의 내측면에 밀찰될 수 있다.
제 2 회전바디부(72)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돔케이스(40)의 외측 가장자리가 거치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돔케이스(40)는 상기 제 2 회전바디부(72)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제 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 3 회전바디부(73)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3 회전바디부(73) 보다 상기 제 2 회전바디부(72)가 더 낮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전바디부(72)와 같은 높이에 링커버(8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커버(80)는 제 2 무빙바디부(22)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 1 링커버부(81)와, 제 1 링커버부(81)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링커버부(82)를 포함한다.
링커버(80)는 무빙케이스(20)에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커버(80)는 제 2 무빙바디(22)에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무빙케이스(2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링커버부(82)는 제 2 무빙바디부(22)의 하단 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제 2 링커버부(82) 및 제 2 무빙바디부(22) 사이에 제 3 회전바디부(73)가 배치된다.
상기 제 3 회전바디부(73)는 제 2 링커버부(82) 및 제 2 무빙바디부(22)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 3 회전바디부(73)는 제 2 링커버부(82)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 2 링커버부(82)와 제 2 회전바디부(72)가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제 1 링커버부(81)는 고정가이드(13)의 수직방향 하측에 일렬로 배치된다.
무빙케이스(20)의 상측 이동 시, 제 1 링커버부(81)의 상단(81a)이 고정가이드(13)의 하단(13b)에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무빙케이스(20)의 과도한 상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1 링커버부(81)의 상단(81a)은 걸림단(25)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약간 낮게 위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걸림단(25) 및 제 1 링커버부(81)의 상단(81a)이 2중으로 무빙케이스(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무빙케이스(20)의 상측 이동 시, 하단(13b)이 걸림단(25)에 먼저 접촉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한 후 제 1 링커버부(81)의 상단과 상호 걸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무빙케이스(20)의 상측 이동을 2중으로 제한하고, 센서(23)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제 2 링커버부(82)가 회전케이스(70)의 하단을 감싸기 때문에 회전커버부(70)가 무빙케이스(20)에서 분리되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케이스(70)에 걸리는 하중은 베어링(75) 및 제 3 회전바디부(73)로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돔케이스(40)는 상측이 개구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돔케이스(40)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에 상기 카메라(50)가 배치된다.
돔케이스(40)는, 반구형태로 형성된 돔바디(41)와, 상기 돔바디(41)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돔플랜지(42)를 포함한다.
돔플랜지(42)는 제 2 회전바디부(72)의 상측에 거치되고, 돔케이스(40)는 회전케이스(70)와 함께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적외선램프(60)는 링커버(8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적외선램프(60)는 제 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외선램프(60)는 제 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4개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적외선램프(60)들은 제 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적외선램프(60)는 제 1 적외선램프, 제 2 적외선램프, 제 3 적외선램프 및 제 4 적외선램프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적외선램프(60)는 링커버(80)의 제 1 링커버부(81) 외측면에 결합되는 램프케이스(61)와, 상기 램프케이스(61) 내측에 배치되는 램프부(62)와, 상기 램프부(62) 및 램프케이스(61)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램프축(63)을 포함한다.
램프케이스(61)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램프부(62)가 배치된다.
램프축(63)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램프부(62)는 램프축(63)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램프축(63)의 마찰에 의해 램프부(62)가 소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 1 적외선램프, 제 2 적외선램프, 제 3 적외선램프 및 제 4 적외선램프는 각기 다른 각도로 조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램프부(62)는 제 1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외선을 방사하기 때문에 카메라(5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램프부(62)가 돔케이스(40)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방사된 적외선으로 인한 카메라(50)와 영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적외선램프(60)는 링커버(80)에 배치되기 때문에, 카메라(50)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카메라(50)는 돔케이스(4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적외선램프, 제 2 적외선램프, 제 3 적외선램프 또는 제 4 적외선램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화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 1 적외선램프, 제 2 적외선램프, 제 3 적외선램프 및 제 4 적외선램프가 적외선을 방사하는 방향과 카메라(50)가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향이 별개로 구분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카메라(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적외선램프, 제 2 적외선램프, 제 3 적외선램프 및 제 4 적외선램프 중 1개 또는 2개를 작동시킬 수 있고, 카메라(50)가 향하지 않는 방향의 적외선램프들은 작동 대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회전모듈(100)은 상기 무빙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되는 수평회전플레이트(110)와, 상기 수평회전플레이트(110)에 배치되는 수평회전모터(120)와, 상기 수평회전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수평구동기어(130)와, 상기 수평구동기어(130)와 치합되는 수평종동기어(140)를 포함한다.
수평회전플레이트(110)는 무빙케이스(20)에 조립되고, 상기 무빙케이스(2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평회전모터(120)는 수평회전플레이트(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수평구동기어(130) 및 수평종동기어(140)는 수평회전플레이트(1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수평회전플레이트(110) 하측에 배치된다.
수평구동기어(130) 및 수평종동기어(140)는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수평종동기어(140)의 회전축(141)은 상기 제 1 중심축(C1) 상에 배치된다.
수평회전모터(120)의 모터축은 수평회전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수평구동기어(130)에 결합된다.
수평종동기어(140)에 카메라하우징(90)이 조립되고, 상기 카메라하우징(90)은 상기 수평종동기어(140)에 조립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하우징(90)의 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면이 하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카메라하우징(90)은 수평종동기어(140)에 결합된 제 1 하우징부(91)와, 제 1 하우징부(91)의 일측단에서 하측을 향하게 배치된 제 2 하우징부(92)와, 상기 제 1 하우징부(91)의 타측단에서 하측을 향하게 배치된 제 3 하우징부(93)를 포함한다.
제 2 하우징부(92) 및 제 3 하우징부(93)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제 2 하우징부(92) 및 제 3 하우징부(93) 사이에 상기 카메라(50)가 배치된다.
카메라하우징(90)에 상기 상하회전모듈(200)이 조립된다.
상기 상하회전모듈(200)은, 상기 케메라하우징(90)에 배치되는 상하회전모터(220)와, 상기 상하회전모터(2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상하구동기어(230)와, 상기 상하구동기어(230)와 치합되는 상하종동기어(240)를 포함한다.
상하회전모듈(200)은 제 2 하우징부(92) 또는 제 3 하우징부(9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회전모듈(200)은 제 3 하우징부(93) 내측면에 배치된다.
상하구동기어(230) 및 상하종동기어(24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제 3 하우징부(93)의 내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종동기어(240)에 카메라(50)가 결합되고, 상기 상하종동기어(240)의 회전각도 만큼 상기 카메라(5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카메라(50)의 일측은 제 2 하우징부(92)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은 상기 상하종동기어(24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카메라(50)의 상하 회전중심을 제 2 중심축(C2)으로 정의한다.
한편, 상기 돔케이스(40) 내주면을 따라 스크린(1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140)은 상기 돔케이스(4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직방향 단면이 호 형상일 수 있다.
스크린(140)은 적외선램프(60) 및 카메라(50) 사이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카메라(50)의 일측 및 타측을 가리게 배치되며, 카메라(50)의 전방 및 후방 측은 개구된다.
상기 스크린(140)은 카메라(50)의 좌측 및 우측을 가려 외부 빛이 렌즈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은, 상기 플레이트부(11)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13)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무빙케이스(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은, 상기 고정케이스(10)의 플레이트부(11)에 조립되고, 상기 플레이트부(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연장바디(310)와, 상기 연장바디(310)에 배치된 슬라이드모터(320)와, 상기 슬라이드모터(3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슬라이드구동기어(330)와, 상기 슬라이드구동기어(330)와 치합되는 슬라이드종동기어(340)와, 상기 무빙케이스(20)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종동기어(340)와 치합되는 슬라이드랙(350)을 포함한다.
슬라이드랙(35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무빙바디(21)의 내측면에 조립된다. 슬라이드랙(350)은 제 1 무빙바디(21)의 높이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바디(310)는 플레이트부(11)에서 수직 방향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드랙(35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장바디(310)의 하단측에 슬라이드모터(320)가 배치된다.
슬라이드구동기어(330) 및 슬라이드종동기어(340)는 연장바디(3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슬라이드모터(320)의 구동 시, 슬라이드구동기어(330) 및 슬라이드종동기어(340)가 회전되면서 슬라이드랙(35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큰 직경의 슬라이드구동기어(330)와 작은 직경의 슬라이드종동기어(340)를 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랙(350)의 이동거리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슬라이드랙(350)에 전달된 부하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모터(320)는 스템모터가 사용된다.
슬라이드모터(320)가 수평회전플레이트(110)에 가능한 가깝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슬라이드랙(350)의 상하 이동거리를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바디(310)의 하단에 센서(24)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24)를 통해 수평회전플레이트(110)의 상승 높이를 감지한다.
수평회전플레이트(110)가 연장바디(3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수평회전모듈(100)이 작동될 경우, 연장바디(310) 또는 수평회전플레이트(110)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센서(24)는 포토센서 또는 홀센서와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가 사용되는 바람직하다.
센서(24)가 상기 수평회전플레이트(110)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수평회전플레이트(110)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돔형 감시카메라의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작동어셈블리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모듈(400)이 더 배치된다.
처짐방지모듈(400)은 작동어셈블리를 지지하여 슬라이드랙(350) 및 슬라이드종동기어(340)의 치합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제 1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일측에 처짐방지모듈(400)이 배치되고, 타측에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이 배치된다.
처짐방지모듈(400)은 슬라이드랙(350) 반대편에 위치되고, 작동어셈블리 일측의 처짐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처짐방지모듈(400)은 제 1 슬라이드모듈(31) 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은 제 2 슬라이드모듈(32) 측에 배치된다.
처짐방지모듈(400)은, 수평회전플레이트(110)에 배치된 제 1 앵커(410)와, 상기 플레이트부(11)에 배치된 제 2 앵커(420)와, 상기 플레이트부(110)에 배치된 처짐방지모터(430)와, 상기 처짐방지모터(430)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드럼(440)과, 일단이 상기 제 1 앵커(410)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앵커(420)를 경유하여 타단이 상기 드럼(440)에 고정되는 와이어(450)를 포함한다.
제 2 앵커(420)는 상기 와이어(450)을 지지하는 롤러(425)를 포함하고, 상기 와어어(450)는 상기 롤러(425)를 감싸게 배치된다.
와이어(450)의 일단은 제 1 앵커(410)에 고정되고, 타단은 드럼(440)에 고정된다.
처짐방지모터(43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와이어(450)를 감거나 풀 수 있다.
처짐방지모터(430)는 슬라이드모터(320)와 동기화되어 작동된다.
상기 롤러(425)에 상기 와이어(450)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센서(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어셈블리의 하강 또는 상승 시 걸림이 발생될 경우, 와이어(450)의 장력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진다.
상기 와이어(450)의 장력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질 경우, 슬라이드랙(35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모터(320)를 작동시켜 걸림을 자동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수회 반복하여도 장력이 기준치로 회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모듈(31) 측에 걸림이 발생되어 작동어셈블리가 정상적으로 이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장애신호를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고정케이스 20 : 무빙케이스
30 : 슬라이드모듈 40 : 돔케이스
50 : 카메라 60 : 적외선램프
70 : 회전케이스 80 : 링커버
90 : 카메라하우징 100 : 수평회전모듈
200 : 상하회전모듈 300 : 슬라이드구동모듈
400 : 처짐방지모듈

Claims (5)

  1. 돔형 감시카메라로서,
    구조물(1)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10);
    상기 고정케이스(10)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무빙케이스(20);
    상기 고정케이스(10) 및 무빙케이스(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케이스(10) 및 무빙케이스(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모듈(30);
    상기 무빙케이스(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무빙케이스(2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회전케이스(70);
    상기 회전케이스(70)에 조립되어 제자리에서 함께 회전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반구형태의 돔케이스(40);
    상기 돔케이스(40) 내부에 배치되고, 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50);
    상기 카메라(50)를 상기 무빙케이스(20)에 조립시키고, 상기 제 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50)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모듈(100);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5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회전모듈(200); 및
    상기 고정케이스(10)에 고정되고, 상기 무빙케이스(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무빙케이스(20)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케이스(10)는,
    상기 구조물(1)에 밀착되는 플레이트부(11); 상기 플레이트부(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관통부(12); 및 상기 플레이트부(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가이드(13);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케이스(20)는,
    상기 고정가이드(13)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무빙바디(21);
    상기 제 1 무빙바디(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무빙바디(21)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제 2 무빙바디(22); 및
    상기 제1 무빙바디(21)와 상기 제2 무빙바디(22)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무빙케이스(2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단(25)을 포함하며,
    상기 돔형 감시카메라는,
    상기 제2 무빙바디(22)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1 링커버부(81); 및 상기 제1 링커버부(81)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링커버부(82);로 구성된 링커버(80); 및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링커버(80)에 조립되는 복수의 적외선램프(60)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램프(60)들 각각은,
    상기 제1 링커버부(8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램프케이스(61); 상기 램프케이스(61)의 내측에 배치되는 램프부(62); 및 상기 램프케이스(61)와 상기 램프부(62)를 연결하는 램프축(63);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62)는, 상기 램프축(63)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 중심축(C1)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외선을 방사하며,
    상기 카메라(50)의 제자리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적외선램프(60)들 중 상기 카메라(50)가 향하는 방향에 배치된 적외선램프(60)가 작동되는, 돔형 감시카메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빙바디(21)의 상단(21a)에 센서(23)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23)가 상기 플레이트부(11)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드구동모듈(3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제공하는 돔형 감시카메라.
KR1020210102970A 2021-08-05 2021-08-05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KR10236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970A KR102360527B1 (ko) 2021-08-05 2021-08-05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970A KR102360527B1 (ko) 2021-08-05 2021-08-05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527B1 true KR102360527B1 (ko) 2022-02-09

Family

ID=8026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970A KR102360527B1 (ko) 2021-08-05 2021-08-05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5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2884A (zh) * 2022-03-08 2022-05-27 杜剑波 一种基于计算机系统的可实现动态视觉追踪的监控设备
KR102661202B1 (ko) * 2023-10-27 2024-04-26 글로벌정보통신(주) 시그널 기능을 갖는 ptz 카메라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47Y1 (ko) * 2004-12-09 2005-03-10 고윤화 외장형 적외선 엘이디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KR20060101577A (ko) 2005-03-21 2006-09-26 블루마린시스템(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제어 무인 이동감시 카메라
JP2011124706A (ja) * 2009-12-09 2011-06-2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ドーム型カメラ
KR20110114098A (ko)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영국전자 파노라마 카메라 및 팬틸트줌 카메라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 장치와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238250B1 (ko) 2011-05-03 2013-0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101336608B1 (ko) 2012-04-19 2013-12-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트윈모터부·차동기어박스부를 통한 초대형 감시카메라 ptz구동장치
KR101445381B1 (ko) 2012-05-24 2014-10-06 주식회사 영국전자 감시용 카메라 장치
JP2015087737A (ja) * 2013-03-01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装置の制御方法
KR20150141778A (ko) * 2014-06-10 2015-12-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90020599A (ko) * 2017-08-21 2019-03-04 윤형준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cctv 승강식 브라켓 구조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47Y1 (ko) * 2004-12-09 2005-03-10 고윤화 외장형 적외선 엘이디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KR20060101577A (ko) 2005-03-21 2006-09-26 블루마린시스템(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제어 무인 이동감시 카메라
JP2011124706A (ja) * 2009-12-09 2011-06-2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ドーム型カメラ
KR20110114098A (ko)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영국전자 파노라마 카메라 및 팬틸트줌 카메라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 장치와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238250B1 (ko) 2011-05-03 2013-0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101336608B1 (ko) 2012-04-19 2013-12-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트윈모터부·차동기어박스부를 통한 초대형 감시카메라 ptz구동장치
KR101445381B1 (ko) 2012-05-24 2014-10-06 주식회사 영국전자 감시용 카메라 장치
JP2015087737A (ja) * 2013-03-01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装置の制御方法
KR20150141778A (ko) * 2014-06-10 2015-12-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90020599A (ko) * 2017-08-21 2019-03-04 윤형준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cctv 승강식 브라켓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2884A (zh) * 2022-03-08 2022-05-27 杜剑波 一种基于计算机系统的可实现动态视觉追踪的监控设备
CN114542884B (zh) * 2022-03-08 2024-01-23 杜剑波 一种基于计算机系统的可实现动态视觉追踪的监控设备
KR102661202B1 (ko) * 2023-10-27 2024-04-26 글로벌정보통신(주) 시그널 기능을 갖는 ptz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527B1 (ko)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돔형 감시카메라
JP6675436B2 (ja) カメラ装置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CN101686325B (zh) 用于监视摄像机的复合球型窗
US3819856A (en) Camera capsule
KR101725118B1 (ko)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KR101011636B1 (ko) 돔형 감시카메라
KR101729484B1 (ko)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CN102736363A (zh) 照明装置
CN103141088A (zh) 防止利用监控摄像机拍摄用照明的漫反射的装置
CN105027554A (zh) 摄像机装置及控制摄像机装置的方法
US20090059003A1 (en) Monitoring camera
JP2001302130A (ja) 昇降機のペイロードレセプタクルを移動させる補助装置および昇降機シャフト内のケージの位置および動作をモニタする装置
KR20210112792A (ko) 조명광의 난반사를 방지하는 팬 모션 카메라
KR101835771B1 (ko)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KR200455617Y1 (ko) 적외선 카메라의 빛 차단장치
US202300167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evacuation by using laser
KR20200095968A (ko) 회전식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다기능 승강 폴 시스템
CN112305834B (zh) 一种户外用隐藏式摄像监控装置
JP5150423B2 (ja) 自動ドア用反射型センサ
JP6504598B2 (ja) ドーム型カメラ
KR102521553B1 (ko)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KR20210026094A (ko) Ptz 카메라와 외부 조명기가 연동된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13444Y1 (ko) 전동식 리프터
JP7218457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