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553B1 -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553B1
KR102521553B1 KR1020230023284A KR20230023284A KR102521553B1 KR 102521553 B1 KR102521553 B1 KR 102521553B1 KR 1020230023284 A KR1020230023284 A KR 1020230023284A KR 20230023284 A KR20230023284 A KR 20230023284A KR 102521553 B1 KR102521553 B1 KR 102521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cctv camera
adjustable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준
Original Assignee
티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CCTV카메라를 천정체에 설치하기 위한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 CCTV카메라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하는 지지부재 내에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되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CCTV카메라를 하단에 장착한 지지부재가 승강작동과 함께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에 상호간 직교설치되는 제1리브 및 제2리브에 의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역의 관찰감시가 가능토록 하기 위해, 건물 또는 구조물에 공간 상부측에 구비되는 천정체(2); 상기 천정체(2)의 하단면에서 상향 함몰되는 제1수용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 상에서 상향 단턱지게 함몰되는 제2수용홈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홈부(13)에 수평 이격되는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 상에서 상향 단턱지게 함몰되는 제3수용홈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홈부(13) 내에서 수평설치되는 제1힌지축(85)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85)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1리브(84); 상기 제1리브(84)의 하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수용홈부(11) 내에 상부측이 일부삽입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대(81); 상기 고정대(81)의 하단부에는 수평설치되는 제2힌지축(88)을 갖춘 제2리브(87)가 구비되고, 상기 제2힌지축(88)은 상기 제1힌지축(85)과 직교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리브(87) 상에 제2힌지축(88)에 의해 좌,우방향 회전가능하게 하향으로 다단 연결되는 지지부재(30);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제2리브(87) 상에서 하향 연결되는 상단지지대(31)와, 상기 상단지지대(31) 상에서 하향 연결되어 슬라이딩 승강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하단지지대(35)로 구성되고, 상기 하단지지대(35)의 하단부에 연결 구비되는 플러그박스(71); 상기 플러그박스(71)의 하단부에 연결 구비되는 CCTV카메라(70); 상기 CCTV카메라(70)에 연결되어 상향 연장되면서 상기 플러그박스(71), 하단지지대(35), 상단지지대(31) 및 고정대(81)의 내측을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하여 천정체(2)의 제3수용홈부(15)로 삽입되는 케이블(9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91)이 삽입되는 천정체(2)의 제3수용홈부(15)는,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에 맞닿는 개방입구측 폭이 확개되고 상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향 축소형태로 된 경사면(17)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7)의 상단부에서 상부측으로 수직방향 연장되는 수직면(16)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7)을 통한 케이블(91)이 삽입이 용이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Height-adjustable and multi-directional angle-adjustable cable-embedded CCTV camera elevating bracket}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CTV카메라를 천정체에 설치하기 위한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 CCTV카메라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하는 지지부재 내에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되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CCTV카메라를 하단에 장착한 지지부재가 승강작동과 함께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에 상호간 직교설치되는 제1리브 및 제2리브에 의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역의 관찰감시가 가능토록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주택을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공간,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는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 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폐쇄회로 감시 장치인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런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방식으로, 송신 영상에서 수신 영상까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관련 대상 이외의 일반 대중이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관리하고자 하는 다수의 감시 영역을 각각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무실에 설치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감시 화면을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원하는 장면만을 VCR(Video Cassette Recorder)을 이용하여 녹화하기도 한다. 또한, 특별히 감시하고자 하는 장소에 광센서 장치 등을 설치하여 침입 여부가 확인될 때 VCR을 자동 녹화 시키는 시스템도 존재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장소에 다수개의 비디오 카메라를 각각 고정 설치하여야 하는데, 비디오 카메라를 벽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 폐쇄회로 텔레비전 브라켓을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폐쇄회로 텔레비전 브라켓(210)은 내부에 카메라가 고정 결합된 카메라하우징(212)과, 카메라하우징(212)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어 카메라하우징(21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판(214)과, 각도 조정판(214)의 내측에 볼트(220) 체결되어 각도 조정판(214)을 지지하는 체결판(216)과, 상측 선부에 상기 체결판(216)을 고정 결합시키고 체결 고정된 카메라 하우징(212)을 지지하는 지지대(218)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폐쇄회로 텔레비전 브라켓은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하여 벽면체 브라켓을 설치하여 고정시킨 후에 별도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설치는 물론이며 유지 및 보수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6145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CCTV카메라를 천정체에 설치하기 위한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 CCTV카메라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하는 지지부재 내에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되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CCTV카메라를 하단에 장착한 지지부재가 승강작동과 함께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에 상호간 직교설치되는 제1리브 및 제2리브에 의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역의 관찰감시가 가능토록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서, 건물 또는 구조물에 공간 상부측에 구비되는 천정체(2); 상기 천정체(2)의 하단면에서 상향 함몰되는 제1수용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 상에서 상향 단턱지게 함몰되는 제2수용홈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홈부(13)에 수평 이격되는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 상에서 상향 단턱지게 함몰되는 제3수용홈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홈부(13) 내에서 수평설치되는 제1힌지축(85)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85)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1리브(84); 상기 제1리브(84)의 하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수용홈부(11) 내에 상부측이 일부삽입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대(81); 상기 고정대(81)의 하단부에는 수평설치되는 제2힌지축(88)을 갖춘 제2리브(87)가 구비되고, 상기 제2힌지축(88)은 상기 제1힌지축(85)과 직교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리브(87) 상에 제2힌지축(88)에 의해 좌,우방향 회전가능하게 하향으로 다단 연결되는 지지부재(30);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제2리브(87) 상에서 하향 연결되는 상단지지대(31)와, 상기 상단지지대(31) 상에서 하향 연결되어 슬라이딩 승강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하단지지대(35)로 구성되고, 상기 하단지지대(35)의 하단부에 연결 구비되는 플러그박스(71); 상기 플러그박스(71)의 하단부에 연결 구비되는 CCTV카메라(70); 상기 CCTV카메라(70)에 연결되어 상향 연장되면서 상기 플러그박스(71), 하단지지대(35), 상단지지대(31) 및 고정대(81)의 내측을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하여 천정체(2)의 제3수용홈부(15)로 삽입되는 케이블(9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91)이 삽입되는 천정체(2)의 제3수용홈부(15)는,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에 맞닿는 개방입구측 폭이 확개되고 상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향 축소형태로 된 경사면(17)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7)의 상단부에서 상부측으로 수직방향 연장되는 수직면(16)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7)을 통한 케이블(91)이 삽입이 용이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수직면(16)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케이블(91)의 외주연과, 상기 경사면(17)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케이블(91)의 외주연에 각각 케이블(91)을 감싸는 탄성링(93)을 고정 구비하여, 상기 탄성링(93)의 외주연이 각각 수직면(16) 및 경사면(17)에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91)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CCTV카메라(70)로부터 연결된 케이블(91)은 상기 플러그박스(71) 및 하단지지대(35)의 내측을 거쳐 상단지지대(31)의 상부측에 형성된 통공(32)으로 인출된 후, 상기 고정대(81)를 관통하여 제3수용홈부(15)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지지대(31)의 상부측 내측면에 코일 형태의 케이블(91)을 다단 안착시키도록 상호 수직이격되는 2∼4개의 받침편(37a)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2∼4개의 받침편(37a) 중 맨상단에 위치되는 받침편(37a)의 상부면이 상기 통공(32)의 하부면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하여 통공(32)을 통한 케이블(91)의 인출이 수평안내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지지대(35)의 하부측 내측면에 케이블(91)을 다단 안착시키도록 상호 수직이격되는 2∼4개의 받침편(37b)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2∼4개의 받침편(37b) 중 맨하단에 위치되는 받침편(37b)의 하부면이 플러그박스(71)의 상부면에 밀착 위치되게 하며, 상기 하단지지대(35)가 상단지지대(31) 상에서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길이가 확장된 상태에서 코일 형태로 형성된 케이블(91)의 길이가 확장조절되고, 상기 하단지지대(35)가 상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길이가 축소되면 상기 상단지지대(31)의 받침편(37a) 및 하단지지대(35)의 받침편(37b) 사이에 위치되는 코일 형태로 형성된 케이블(91)의 길이가 축소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지지대(31)의 받침편(37a) 및 하단지지대(35)의 받침편(37b)은 케이블(91)의 코일 형태에 의해 상단지지대(31) 및 하단지지대(35)의 내측면에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CCTV카메라를 천정체에 설치하기 위한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 CCTV카메라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하는 지지부재 내에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되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CCTV카메라를 하단에 장착한 지지부재가 승강작동과 함께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에 상호간 직교설치되는 제1리브 및 제2리브에 의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역의 관찰감시가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의 측면 설치실시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측단면 실시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상태 실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변형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CCTV카메라를 천정체에 설치하기 위한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 CCTV카메라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하는 지지부재 내에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되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CCTV카메라를 하단에 장착한 지지부재가 승강작동과 함께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에 상호간 직교설치되는 제1리브 및 제2리브에 의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역의 관찰감시가 가능토록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면 천정체(2), 제1리브(84), 고정대(81), 제2리브(87), 지지부재(30), 플러그박스(71), CCTV카메라(70) 및 케이블(9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건물 또는 구조물에 공간 상부측에 천정체(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천정체(2)는 후술되는 고정대(81)를 포함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천정체(2)의 하단면에서 상향 함몰되는 제1수용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 상에서 상향 단턱지게 함몰되는 제2수용홈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홈부(13)에 수평 이격되는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 상에서 상향 단턱지게 함몰되는 제3수용홈부(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수용홈부(13) 내에서 수평설치되는 제1힌지축(85)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85)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1리브(8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리브(84)에 의해 후술되는 고정대(81), 지지부재(30) 및 CCTV카메라(70)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보다 넓은 지역의 관찰감시가 가능토록 구현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리브(84)의 하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수용홈부(11) 내에 상부측이 일부삽입 위치되도록 고정대(8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81)의 하단부에는 수평설치되는 제2힌지축(88)을 갖춘 제2리브(87)가 구비되고, 상기 제2힌지축(88)은 상기 제1힌지축(85)과 직교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81)의 상단면에는 고정대(81)와 제1리브(84)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수평플레이트(8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2리브(87) 상에 제2힌지축(88)에 의해 좌,우방향 회전가능하게 하향으로 다단 연결되는 지지부재(30)가 구비된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제2리브(87) 상에서 하향 연결되는 상단지지대(31)와, 상기 상단지지대(31) 상에서 하향 연결되어 슬라이딩 승강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하단지지대(35)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지지대(31)는 도 5에서와 같이 제2리브(87) 상에 제2힌지축(88)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제2힌지축(88)에 축연결된 내측기어(41)와 상단지지대(31)의 상부내측에 고정된 외측기어(4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제2힌지축(88)의 회전에 따라 상단지지대(31)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단지지대(35)는 상단지지대(31)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되는데, 이의 구현을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상단지지대(31)의 외면 양측에 권취조절체(51)가 구비되고, 상기 권취조절체(5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단지지대(31)의 외면 양측에 수직장공(34)을 수직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며, 상기 수직장공(34)의 내측에 위치되는 하단지지대(35)의 외면 양측에 고정핀(52)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조절체(51)와 고정핀(52)을 잇도록 와이어(53)를 연결하여, 상기 권취조절체(51)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3)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하단지지대(35)가 상단지지대(31) 상에서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구현하였다.
이때, 상기 제2리브(87)에 의해 고정대(81), 지지부재(30) 및 CCTV카메라(7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보다 넓은 지역의 관찰감시가 가능토록 구현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상단지지대(31) 및 하단지지대(35)의 상호 슬라이딩 구조에 의해 CCTV카메라(70)의 승강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1리브(84) 및 에 제2리브(87) 구조에 의해 고정대(81), 지지부재(30) 및 CCTV카메라(70)가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높이 조절과 함께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CCTV카메라(70)에 의한 관찰감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단지지대(35)의 하단부에 플러그박스(71)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박스(71)의 하단부에 CCTV카메라(70)가 연결 구비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CCTV카메라(70)에 연결되어 상향 연장되면서 상기 플러그박스(71), 하단지지대(35), 상단지지대(31) 및 고정대(81)의 내측을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하여 천정체(2)의 제3수용홈부(15)로 삽입되는 케이블(9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91)은 플러그박스(71), 하단지지대(35), 상단지지대(31) 및 고정대(81)의 내측을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케이블(91)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91)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CCTV카메라(70)로부터 연결된 케이블(91)은 상기 플러그박스(71) 및 하단지지대(35)의 내측을 거쳐 상단지지대(31)의 상부측에 형성된 통공(32)으로 인출된 후, 상기 고정대(81)를 관통하여 제3수용홈부(15)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블(91)이 삽입되는 천정체(2)의 제3수용홈부(15)는,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에 맞닿는 개방입구측 폭이 확개되고 상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향 축소형태로 된 경사면(17)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7)의 상단부에서 상부측으로 수직방향 연장되는 수직면(16)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7)을 통한 케이블(91)이 삽입이 용이토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면(16)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케이블(91)의 외주연과, 상기 경사면(17)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케이블(91)의 외주연에 각각 케이블(91)을 감싸는 탄성링(93)을 고정 구비하여, 상기 탄성링(93)의 외주연이 각각 수직면(16) 및 경사면(17)에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리브(84) 및 에 제2리브(87)의 작동에 의한 케이블(9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91)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 수직면(16) 및 경사면(17)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둘레홈부(94)가 형성되고, 상기 둘레홈부(94) 내에 탄성링(93)이 삽입안착되게 하면 탄성링(93)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홈부(94) 내에서 탄성링(9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본딩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상단지지대(31)의 상부측 내측면에 코일 형태의 케이블(91)을 다단 안착시키도록 상호 수직이격되는 2∼4개의 받침편(37a)을 구비토록 한다.
이때, 상기 2∼4개의 받침편(37a) 중 맨상단에 위치되는 받침편(37a)의 상부면이 상기 통공(32)의 하부면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하여 통공(32)을 통한 케이블(91)의 인출이 수평안내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단지지대(35)의 하부측 내측면에 케이블(91)을 다단 안착시키도록 상호 수직이격되는 2∼4개의 받침편(37b)을 구비토록 한다.
이때, 상기 2∼4개의 받침편(37b) 중 맨하단에 위치되는 받침편(37b)의 하부면이 플러그박스(71)의 상부면에 밀착 위치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하단지지대(35)가 상단지지대(31) 상에서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길이가 확장된 상태에서 코일 형태로 형성된 케이블(91)의 길이가 확장조절되고,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하단지지대(35)가 상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길이가 축소되면 상기 상단지지대(31)의 받침편(37a) 및 하단지지대(35)의 받침편(37b) 사이에 위치되는 코일 형태로 형성된 케이블(91)의 길이가 축소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2∼4개의 다단으로 구비된 받침편(37a,37b) 사이에서는 케이블(91)의 길이 축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2∼4개의 다단으로 구비된 받침편(37a,37b) 사이에서는 케이블(91)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단지지대(31)의 받침편(37a) 및 하단지지대(35)의 받침편(37b)은 케이블(91)의 코일 형태에 의해 상단지지대(31) 및 하단지지대(35)의 내측면에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2∼4개의 다단으로 구비된 받침편(37a,37b)은 케이블(91)의 형태와 동일한 코일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케이블(91)의 보다 안정적인 위치 지지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에 의하면, CCTV카메라를 천정체에 설치하기 위한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 CCTV카메라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하는 지지부재 내에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되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CCTV카메라를 하단에 장착한 지지부재가 승강작동과 함께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에 상호간 직교설치되는 제1리브 및 제2리브에 의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역의 관찰감시가 가능토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천정체 11 : 제1수용홈부
13 : 제2수용홈부 15 : 제3수용홈부
30 : 지지부재 31 : 상단지지대
35 : 하단지지대 70 : CCTV카메라
71 : 플러그박스 81 : 고정대
84 : 제1리브 85 : 제1힌지축
87 : 제2리브 88 : 제2힌지축
91 : 케이블

Claims (7)

  1.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서,
    건물 또는 구조물에 공간 상부측에 구비되는 천정체(2); 상기 천정체(2)의 하단면에서 상향 함몰되는 제1수용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 상에서 상향 단턱지게 함몰되는 제2수용홈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홈부(13)에 수평 이격되는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 상에서 상향 단턱지게 함몰되는 제3수용홈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홈부(13) 내에서 수평설치되는 제1힌지축(85)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85)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1리브(84);
    상기 제1리브(84)의 하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수용홈부(11) 내에 상부측이 일부삽입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대(81); 상기 고정대(81)의 하단부에는 수평설치되는 제2힌지축(88)을 갖춘 제2리브(87)가 구비되고, 상기 제2힌지축(88)은 상기 제1힌지축(85)과 직교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리브(87) 상에 제2힌지축(88)에 의해 좌,우방향 회전가능하게 하향으로 다단 연결되는 지지부재(30);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제2리브(87) 상에서 하향 연결되는 상단지지대(31)와, 상기 상단지지대(31) 상에서 하향 연결되어 슬라이딩 승강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하단지지대(35)로 구성되고,
    상기 하단지지대(35)의 하단부에 연결 구비되는 플러그박스(71);
    상기 플러그박스(71)의 하단부에 연결 구비되는 CCTV카메라(70);
    상기 CCTV카메라(70)에 연결되어 상향 연장되면서 상기 플러그박스(71), 하단지지대(35), 상단지지대(31) 및 고정대(81)의 내측을 비노출 내장된 상태로 통과하여 천정체(2)의 제3수용홈부(15)로 삽입되는 케이블(9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91)이 삽입되는 천정체(2)의 제3수용홈부(15)는, 상기 제1수용홈부(11)의 상부면에 맞닿는 개방입구측 폭이 확개되고 상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향 축소형태로 된 경사면(17)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7)의 상단부에서 상부측으로 수직방향 연장되는 수직면(16)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7)을 통한 케이블(91)이 삽입이 용이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16)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케이블(91)의 외주연과, 상기 경사면(17)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케이블(91)의 외주연에 각각 케이블(91)을 감싸는 탄성링(93)을 고정 구비하여, 상기 탄성링(93)의 외주연이 각각 수직면(16) 및 경사면(17)에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91)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CCTV카메라(70)로부터 연결된 케이블(91)은 상기 플러그박스(71) 및 하단지지대(35)의 내측을 거쳐 상단지지대(31)의 상부측에 형성된 통공(32)으로 인출된 후, 상기 고정대(81)를 관통하여 제3수용홈부(15)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대(31)의 상부측 내측면에 코일 형태의 케이블(91)을 다단 안착시키도록 상호 수직이격되는 2∼4개의 받침편(37a)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2∼4개의 받침편(37a) 중 맨상단에 위치되는 받침편(37a)의 상부면이 상기 통공(32)의 하부면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하여 통공(32)을 통한 케이블(91)의 인출이 수평안내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대(35)의 하부측 내측면에 케이블(91)을 다단 안착시키도록 상호 수직이격되는 2∼4개의 받침편(37b)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2∼4개의 받침편(37b) 중 맨하단에 위치되는 받침편(37b)의 하부면이 플러그박스(71)의 상부면에 밀착 위치되게 하며,
    상기 하단지지대(35)가 상단지지대(31) 상에서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길이가 확장된 상태에서 코일 형태로 형성된 케이블(91)의 길이가 확장조절되고, 상기 하단지지대(35)가 상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길이가 축소되면 상기 상단지지대(31)의 받침편(37a) 및 하단지지대(35)의 받침편(37b) 사이에 위치되는 코일 형태로 형성된 케이블(91)의 길이가 축소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대(31)의 받침편(37a) 및 하단지지대(35)의 받침편(37b)은 케이블(91)의 코일 형태에 의해 상단지지대(31) 및 하단지지대(35)의 내측면에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KR1020230023284A 2023-02-22 2023-02-22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KR102521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284A KR102521553B1 (ko) 2023-02-22 2023-02-22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284A KR102521553B1 (ko) 2023-02-22 2023-02-22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553B1 true KR102521553B1 (ko) 2023-04-14

Family

ID=8594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284A KR102521553B1 (ko) 2023-02-22 2023-02-22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5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455B1 (ko) 2012-11-21 2013-05-10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케이블접속구가 구비된 돔형 감시카메라
KR20190020599A (ko) * 2017-08-21 2019-03-04 윤형준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cctv 승강식 브라켓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455B1 (ko) 2012-11-21 2013-05-10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케이블접속구가 구비된 돔형 감시카메라
KR20190020599A (ko) * 2017-08-21 2019-03-04 윤형준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cctv 승강식 브라켓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308B1 (ko) Cctv카메라의 위치변경용 브라켓과 높이조절용 폴대가 구비된 포터블 함체
US9952485B1 (en) Video surveillance camera having a separable and removable gimbal
AU2018326447B2 (en) Lamp post with functional modules
US10874028B2 (en) Smart wall
US7559707B2 (en) Screen system
KR100314967B1 (ko) 감시카메라시스템및그시스템을이용한감시방법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EP3780573B1 (en) Multi-view camera and lens adjustment device
KR101582272B1 (ko)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
KR101724068B1 (ko)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US11209120B1 (en) Camera mount plate and module access slide for poles used for roadside electronic systems
KR102521553B1 (ko)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KR20190020599A (ko)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cctv 승강식 브라켓 구조체
KR102198523B1 (ko) 장소 이동이 용이한 승강식 영상녹화장치
KR200490442Y1 (ko) 감시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는 천정형 브라켓 장치
KR20040072788A (ko) 감시카메라 장치
KR102355543B1 (ko) 장소 이동이 용이한 승강식 영상녹화장치
KR101928885B1 (ko) 매립형 케이블 매니저
KR20180040796A (ko) 돔형 카메라 브라켓
EP0829073B1 (en) Surveillance system
KR20100004022U (ko)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20140119590A (ko) 360도 영상 출력 시스템의 엘리베이션장치
CN213693953U (zh) 一种居民小区用门禁防破坏监控设备
KR19990004772U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카메라고정구
KR200286343Y1 (ko)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