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596Y1 -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596Y1
KR200175596Y1 KR2019970043495U KR19970043495U KR200175596Y1 KR 200175596 Y1 KR200175596 Y1 KR 200175596Y1 KR 2019970043495 U KR2019970043495 U KR 2019970043495U KR 19970043495 U KR19970043495 U KR 19970043495U KR 200175596 Y1 KR200175596 Y1 KR 200175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pport
bracket
tilt bracket
camera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798U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3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59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2Camera support structures, e.g. attachment means,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아암의 안착부에는 좌우로 회전되는 지지 브라켓을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의 상측에는 틸트 브라켓을 설치하며, 틸트 브라켓에는 카메라 하우징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는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는 볼트홀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부가 형성된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브라켓이 안착되도록 일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아암; 상기 틸트 브라켓과 지지아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틸트 브라켓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하측에 고정된 틸트 브라켓을 상기 지지 브라켓과 함께 상기 지지아암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본 고안은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아암의 안착부에는 좌우로 회전되는 지지 브라켓을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의 상측에는 틸트 브라켓을 설치하며, 틸트 브라켓에는 카메라 하우징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주택을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공간,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는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폐쇄회로 감시장치인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런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방식으로, 송신 영상에서 수신 영상까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관련 대상 이외의 일반 대중이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관리하고자 하는 다수의 감시영역을 각각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무실에 설치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감시화면을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원하는 장면만을 VCR(video cassette recorder)을 이용하여 녹화하기도 한다.
또한, 특별히 감시하고자 하는 장소에 광센서장치 등을 설치하여 침입 여부가 확인될 때 VCR을 자동 녹화시키는 시스템도 존재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장소에 다수개의 비디오 카메라를 각각 고정 설치하여야 하는데, 비디오 카메라를 벽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카메라 고정구가 필요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카메라 지지장치(10)는 내부에 카메라가 고정 결합된 카메라 하우징(12)과, 카메라 하우징(12)의 하면에 고정 결합되어 카메라 하우징(12)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판(14)과, 각도 조정판(14)의 내측에 볼트(20) 체결되어 각도 조정판(14)을 지지하는 체결판(16)과, 상측선부에 상기 체결판(16)을 고정결합시키고 체결 고정된 카메라 하우징(12)을 지지하는 지지대(18)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에서는 구성이 복잡하고 취급이 불편하며,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지아암의 안착부에는 좌우로 회전되는 지지 브라켓을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의 상측에는 틸트 브라켓을 설치하며, 틸트 브라켓에는 카메라 하우징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는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는 볼트홀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부가 형성된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브라켓이 안착되도록 일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아암; 상기 틸트 브라켓과 지지아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틸트 브라켓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하측에 고정된 틸트 브라켓을 상기 지지 브라켓과 함께 상기 지지아암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1 은 종래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를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카메라 하우징 120:틸트 브라켓
122:플랜지 122a:볼트홀
124:만곡부 124a:가이드장홈
130:지지아암 132:안착부
134:고정부 140:지지브라켓
142:안착부 200:베이스
210:볼트 220:너트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를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카메라 지지장치(100)는 카메라 하우징(110)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는 볼트홀(122a)을 갖는 플랜지(122)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카메라 하우징(1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부(124)가 형성된 틸트 브라켓(120); 상기 틸트 브라켓(120)이 안착되도록 일측에는 안착부(1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베이스(200)에 고정되도록 고정부(134)가 형성된 지지아암(130); 상기 틸트 브라켓(120)과 지지아암(1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틸트 브라켓(120)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하는 지지 브라켓(140); 상기 카메라 하우징(110)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110)의 하측에 고정된 틸트 브라켓(120)을 상기 지지 브라켓(140)과 함께 상기 지지아암(13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카메라 하우징(110)의 하측에는 틸트 브라켓(120)이 고정 설치되는 바, 플랜지(122)의 볼트홀(122a)에 볼트(210)를 관통하여 카메라 하우징(110)에 틸트 브라켓(120)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카메라 하우징(110)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틸트 브라켓(120)의 양측에는 볼트홀(122a)을 갖는 플랜지(122)가 형성되어 있고, 틸트 브라켓(120)의 중간에는 카메라 하우징(1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124)에는 가이드 장홈(124a)이 형성되는 바, 가이드 장홈(124a)은 틸트 브라켓(120)을 전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틸트 브라켓(120)이 안착되도록 지지아암(130)의 일측에는 안착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아암(130)의 타측에는 베이스(200)에 고정되도록 고정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132)의 중간에는 볼트(210)가 삽입되는 볼트홀(130a)이 형성되며, 이 볼트홀(130a)은 상기 틸트 브라켓(120)의 가이드 장홈(124a)과 연통된다.
지지 브라켓(140)은 틸트 브라켓(120)과 지지아암(130)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틸트 브라켓(120)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틸트 브라켓(120)의 만곡부(124)는 지지 브라켓(140)의 안착부(142)에 안착되어 있으며, 지지 브라켓(140)은 다시 지지아암(130)의 안착부(132)에 놓여진다.
지지 브라켓(140)은 틸트 브라켓(120)이 전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신이 지지아암(130)의 안착부(132)상에서 좌우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카메라 하우징(110)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지지아암(130)의 안착부(132) 중간에는 틸트 브라켓(120)의 가이드 장홈(124a)과, 지지 브라켓(140)의 볼트홀(140a)과 연통되는 볼트홀(130a)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210)를 하방으로 부터 상방으로 진행하여 볼트홀(130a)(140a) 및 가이드 장홈(124a)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틸트 브라켓(120)의 가이드 장홈(124a) 상측에서 너트(220)를 조여서 틸트 브라켓(120)을 지지아암(130)에 고정한다.
틸트 브라켓(120)은 플랜지(122)의 볼트홀(122a)에 볼트(210)를 관통시켜서 카메라 하우징(110)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베이스(200)에 지지아암(130)의 고정부(134)를 볼트(210)로 고정하여 지지아암(130)을 고정 설치한다.
지지아암(130)의 안착부(132) 상면에는 볼트홀(130a)을 일치한 상태에서 지지 브라켓(140)을 올려 놓는다.
지지 브라켓(140)의 상측에는 볼트홀(140a)과 가이드 장홈(124a)을 일치한 상태에서 틸트 브라켓(120)을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볼트(210)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진행시켜서 틸트 브라켓(120) 및 지지 브라켓(140)을 지지아암(130)에 볼트(210) 결합한다.
그 다음, 틸트 브라켓(120)의 플랜지(122)에 형성된 볼트홀(122a)에 볼트(210)를 관통시켜서 카메라 하우징(110)을 틸트 브라켓(120)에 고정함으로써 고정 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카메라 하우징(1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조여져 있는 볼트(210)를 약간 푼다.
볼트(210)를 약간 푼 상태에서 카메라 하우징(110)을 손으로 잡고 전후로 회전시키면, 틸트 브라켓(120)이 지지 브라켓(140)의 상측면에서 전후로 회전되면서 카메라 하우징(110)의 전후 각도가 조절된다.
그 다음, 카메라 하우징(110)을 손으로 잡고 좌우로 회전시키면, 지지 브라켓(140)이 지지아암(130)의 안착부(132)상에서 좌우로 회전되면서 카메라 하우징(110)의 좌우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카메라 하우징(110)이 소정각도로 조절된 후에는 볼트(210)를 조여서 카메라 하우징(110)의 설치각이 변동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서는 볼트(210)를 지지아암(130)의 안착부(132)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진행하여 지지 브라켓(140), 틸트 브라켓(120) 및 카메라 하우징(110)을 상호 고정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편의상의 경우이며, 그 반대로 볼트(210)를 틸트 브라켓(120) 상방에서 하방으로 진행시켜서 각 부품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써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사용의 편리함이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 하우징을 돌리면 틸트 브라켓 및 지지 브라켓에 의해서 카메라 하우징의 방향이 조절되는 것이다.

Claims (1)

  1.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하우징을 고정 설치하는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는 볼트홀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부가 형성된 틸트 브라켓;
    상기 틸트 브라켓이 안착되도록 일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아암;
    상기 틸트 브라켓과 지지아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틸트 브라켓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설치각도를 전후, 좌우로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하측에 고정된 틸트 브라켓을 상기 지지 브라켓과 함께 상기 지지아암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KR2019970043495U 1997-12-30 1997-12-30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KR200175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495U KR200175596Y1 (ko) 1997-12-30 1997-12-30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495U KR200175596Y1 (ko) 1997-12-30 1997-12-30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98U KR19990030798U (ko) 1999-07-26
KR200175596Y1 true KR200175596Y1 (ko) 2000-04-01

Family

ID=1951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495U KR200175596Y1 (ko) 1997-12-30 1997-12-30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5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69B1 (ko) * 2007-07-30 2008-03-20 박수자 카메라 고정장치
KR101494871B1 (ko) * 2013-06-18 2015-02-23 대윤통신(주)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94872B1 (ko) * 2013-06-18 2015-03-19 주식회사 누리플랜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40871B1 (ko) * 2013-06-18 2014-10-22 임혜진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94869B1 (ko) * 2013-06-18 2015-03-19 현강테크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2535859B1 (ko) * 2016-06-17 2023-05-24 한화비전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114125231A (zh) * 2021-11-23 2022-03-01 南通环典计算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施工环境监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98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5369B1 (en) Housing for a surveillance camera
US7440027B2 (en) Mounting assembly for camera
US5121215A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190061951A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KR200175596Y1 (ko)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KR100671223B1 (ko) 돔형 적외선 감시카메라
KR20070092792A (ko) 돔 카메라
KR200286343Y1 (ko) 감시용 카메라 지지장치
KR20040072788A (ko) 감시카메라 장치
KR100709561B1 (ko) 돔카메라
EP0976117B1 (en) Sounder
KR101622588B1 (ko) 돔형 감시카메라용 설치 높낮이 조절형 마운팅 브래킷
KR200200321Y1 (ko) 돔형 카메라의 지지 고정장치
KR19990004772U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카메라고정구
KR200252099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돔 카메라
KR200190661Y1 (ko) 돔형상 감시 카메라용 하우징
KR100383735B1 (ko) 감시용 카메라의 하우징 체결 장치
KR200286337Y1 (ko) 콤비 돔형 감시 카메라의 틸트 조절장치
KR102521553B1 (ko) 높이 조절 및 다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내장형 cctv카메라 승강식 브라켓
CN112136320A (zh) 三轴圆顶式监控摄像机
JP2605026Y2 (ja) 天井・壁面兼用取付具
JP3230276B2 (ja) モジュールタイプ監視カメラ
KR200305288Y1 (ko) Cctv 카메라 고정대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TWI777851B (zh) 多功能防盜攝影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