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272B1 -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 - Google Patents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272B1
KR101582272B1 KR1020140054457A KR20140054457A KR101582272B1 KR 101582272 B1 KR101582272 B1 KR 101582272B1 KR 1020140054457 A KR1020140054457 A KR 1020140054457A KR 20140054457 A KR20140054457 A KR 20140054457A KR 101582272 B1 KR101582272 B1 KR 10158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attachment part
pivot
terminal
eccentric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299A (ko
Inventor
올레 린덴
Original Assignee
엑시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시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엑시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40132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2Camera support structures, e.g. attachment means,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에 관한 것이고, 마운트는 베이스(10), 터미널(21)을 구비한 부착 부품(20) 및 제1 피봇(15)과 제2 피봇(16)을 가지는 편심 힌지(14)를 포함하며, 제2 피봇(16)은 설치 평면(42)에 평행한 제1 방향(X)과 설치 평면(42)에 수직인 제2 방향(Z)으로 한정되는 평면에서 제1 피봇(1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부착 부품(20)은 편심 힌지(14)에 의해서 베이스(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여기서 부착 부품(20)은 베이스(10)에 연결될 때, 터미널(21)에 접근 가능한 개방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닫힘 위치에서 제1 피봇(15)과 제2 피봇(16) 사이의 거리(d)는 제1 방향(X)의 제1 요소(dx)와 제2 방향(Z)의 제2 요소(dz)를 가지며, 제1 요소(dx)는 제2 요소(dz)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운트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MOUNT FOR A WIRED DEVICE}
본 발명은 여러 유형의 장치를 위한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 및 마운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유형의 마운트가 다른 종류의 유선 장치를 위해 존재한다. 유선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 이외에도,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그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실내 및 실외용으로 제작된 마운트가 있으며, 벽이나 천장과 같은 다른 설치 위치를 위한 마운트도 존재한다.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의 한가지 유형은 베이스(base)와 커버(cover)를 포함한다. 커버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이스에 배치될 수 있고, 전체 유선장치 또는 그것의 일부는 밀폐된 보호 공간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보호 공간은 유선 장치의 설치 및 유지를 하는 동안 선호되는 접근성을 가질 수 있다.
감시 카메라와 같은 몇몇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지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빌딩 벽과 같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된다. 마운트와 유선 장치에 접근하는 것은, 작업을 할 때 설치 및 유지를 하는 인원이 사다리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에 서있기를 요구한다. 이러한 위치는 작업을 더욱 도전적으로 만든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마운트 베이스를 벽에 체결하는 동안 또는 유선 또는 전기 장치를 유선 장치에 연결하는 동안, 베이스로부터 그것을 떼어낼 때, 커버를 들고 있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한 가지 해결책은 힌지에 의하여 커버를 베이스에 체결하는 것이다. 힌지는 커버의 위치를 개방 위치로 할 수 있고, 여기서 작업자는 커버를 들고 있을 필요 없이 상기 보호 공간(일반적으로 베이스의 내부)으로의 접근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베이스와 커버를 부착하는 것은 꽤 무거울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의 설치를 다루기 힘들게 할 수 있다. 또한, 힌지는 커버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것은 보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운트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고 싶을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좋은 밀폐는 베이스에 관하여 커버의 정확한 위치에 의해서 가능하고, 커버의 제한된 위치 가능성에 의해서 방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마운트에 커버를 체결하는 것은, 예를 들어 커버와 베이스의 나사 구멍이 서로 맞도록 요구되는 나사에 의해서 체결하는 것은 어려워질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향상된 마운트가 분명히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 장치를 위한 향상된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이고, 마운트 및/또는 그것의 유선 장치를 설치 및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으며, 마운트는 설치 평면에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base), 유선 장치를 위한 터미널(terminal)을 구비하는 부착 부품(attachment part) 및 베이스에 부착되는 제1 피봇(pivot)과 제2 피봇을 가지는 편심 힌지를 포함한다. 제2 피봇은 설치 평면에 평행한 제1 방향(X) 및 설치 평면에 수직한 제2 방향(Z)에 의해서 한정되는 평면에서 제1 피봇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부착 부품은 베이스에 관한 부착 부품의 상대 이동을 함으로써, 편심 힌지에 의해서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부착 부품은 베이스에 연결될 때에는 편심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관절 운동을 함으로써 터미널로의 접근성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open position)와 닫힘 위치(clos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닫힘 위치에서 터미널은 부착 부품과 베이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 안에 위치하며, 편심 힌지는 밀폐된 공간 밖에 배치된다. 닫힘 위치에서 제1 피봇과 제2 피봇의 거리는 제1 방향(X)의 제1 요소와 제2 방향(Z)의 제2 요소를 가지며, 제1 요소는 제2 요소보다 크다.
상기 부착 부품은 커버 기능과 그 안의 터미널로의 접근성을 제공한다. 터미널은 부착 부품이 개방 위치에 배치될 때, 적어도 터미널의 외부 부분에 접근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외부 부분은 터미널의 내부 부분의 커넥터(connector)들을 포함한다. 닫힘 위치에서, 터미널의 외부 부분은 밀폐된 공간을 마주하고, 따라서 접근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점은 다수의 피봇 즉, 적어도 두 개의 피봇을 가지는 편심 힌지가 다수의 방향으로 부착 부품이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피봇을 가지는 힌지를 구비한 부착 부품은 하나의 피봇을 가지는 힌지에 비하여 베이스에 대하여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부착 부품이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 부착 부품은 제2 피봇을 중심으로 하여 관절 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그의 작업 위치에 맞도록 부착 부품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제2 피봇으로 인하여, 부착 부품이 설치 평면에 수직한 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착 부품은 베이스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닫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 부품과 베이스 사이의 향상된 밀봉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봉은 밀봉 요소에 의해서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밀봉 요소는 베이스 또는 부착 부품에 배치되는 실링 림(sealing rim)일 수 있다. 닫힘 위치에서, 밀봉 요소는 부착 부품과 베이스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부착 부품이 닫힘 위치 및 근처에 위치할 때, 설치 평면에 평행한 제1 방향(X)을 따른 이동이 작도록 편심 힌지가 위치한다는 것이다. 제1 피봇과 제2 피봇 사이의 거리의 제1 방향의 제1 요소는 대응하는 제2 방향(Z)의 제2 요소보다 크기 때문에, 부착 부품의 어떠한 이동도 주로 제2 방향(Z) 즉, 설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부착 부품이 설치 평면에 평행한 제1 방향(X)으로의 움직임이 적기 때문에, 베이스 또는 설치 평면에 부착 부품을 결합하는 것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터미널이 부착 부품에 위치하고 부착 부품은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운트와 유선 장치의 설치는 두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가 예를 들어 빌딩 벽과 같은 설치 평면에 체결되고 필요한 케이블이 마운트에 설치되는 제1 단계와, 터미널을 포함하는 부착 부품이 베이스에 설치되고 구체적인 유선 장치의 설치 및 구성이 수행되는 제2 단계이다. 상기 단계들은 다른 시간대에 다른 사람에 의해서 분리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인 제1 단계는 전기 기사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제2 단계는 전문가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단계의 지식이 다른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한 명의 설치업자가 두 단계 모두를 수행하기 위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경우보다 적절한 설치업자의 그룹이 많다.
제1 방향(X)과 제2 방향(Z)에 의해서 한정되는 평면에 투영하여 볼 때, 제1 피봇은 베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피봇은 베이스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피봇은 베이스의 측면 확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부착 부품은 개방 위치에서 베이스의 기단부(proximal portion)에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편심 힌지는 부착 부품의 터미널으로의 접근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편심 힌지는, 제2 피봇이 베이스에 부착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위치와 부착 부품의 닫힘 위치를 위한 제2 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피봇은 제1 위치를 향하여 편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피봇은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머물기 쉬우며, 이 위치에서 베이스에 부착 부품을 설치하기 쉽다. 이러한 특징은 베이스에 부착 부품을 연결하는 단계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2 피봇은 스프링, 자기 요소(magnetic element), 스냅 어랜지먼트(snap arrangement)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하여 편향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유선 장치와 네트워크 스테이션(network station) 또는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 사이의 중간 장치로서 기능한다. 터미널은 유선장치의 복합 부분이 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터미널은 네트워크 신호, 전력 제어, 제어 신호, 감시 신호, 오디오 신호, 이미지 신호, 비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알람 신호 및 온/오프 스위치 제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밀폐된 공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케이블의 접근을 제공하는 케이블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은 유선 장치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된 공간은 외부 케이블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 부분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적부(volume)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 부분은 보호되고, 마운트의 바깥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이것의 장점은 부착 부품이 닫힘 위치를 이동하는 동안 외부 케이블이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기 유선 장치는 감시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장치는 부착 부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는 제1 방향(X)이 수평이 되도록 설치되기 위하여 구비된다. 그에 따라서, 제2 피봇의 이동은 중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부착 부품에 배치되는 제2 피봇은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떠한 위치에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를 설치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설치 평면에 베이스를 배치하는 것, 유선 장치를 위한 터미널이 구비된 부착 부품을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착 부품을 편심 힌지를 경유하여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 부착 부품을 터미널로의 접근성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에 배치하는 것, 터미널에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 그리고 부착 부품을 편심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관절 운동시킴으로써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닫힘 위치에서는 터미널이 부착 부품과 베이스에 의하여 형성된 밀폐된 공간 안에 위치되고 편심 힌지가 상기 밀폐 공간 밖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다수의 피봇 즉, 적어도 두 개의 피봇을 가지는 편심 힌지가 다수의 방향으로 부착 부품이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피봇을 가지는 힌지를 구비한 부착 부품은 하나의 피봇을 가지는 힌지에 비하여 베이스에 대하여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부착 부품이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 부착 부품은 제2 피봇을 중심으로 하여 관절 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그의 작업 위치에 맞도록 부착 부품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제2 피봇으로 인하여, 부착 부품이 설치 평면에 수직한 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착 부품은 베이스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닫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 부품과 베이스 사이의 향상된 밀봉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봉은 밀봉 요소에 의해서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밀봉 요소는 베이스 또는 부착 부품에 배치되는 실링 림(sealing rim)일 수 있다. 닫힘 위치에서, 밀봉 요소는 부착 부품과 베이스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부착 부품이 닫힘 위치 및 근처에 위치할 때, 설치 평면에 평행한 제1 방향(X)을 따른 이동이 작도록 편심 힌지가 위치한다는 것이다. 제1 피봇과 제2 피봇 사이의 거리의 제1 방향의 제1 요소는 대응하는 제2 방향(Z)의 제2 요소보다 크기 때문에, 부착 부품의 어떠한 이동도 주로 제2 방향(Z) 즉, 설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부착 부품이 설치 평면에 평행한 제1 방향(X)으로의 움직임이 적기 때문에, 베이스 또는 설치 평면에 부착 부품을 결합하는 것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터미널이 부착 부품에 위치하고 부착 부품은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운트와 유선 장치의 설치는 두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가 예를 들어 빌딩 벽과 같은 설치 평면에 체결되고 필요한 케이블이 마운트에 설치되는 제1 단계와, 터미널을 포함하는 부착 부품이 베이스에 설치되고 구체적인 유선 장치의 설치 및 구성이 수행되는 제2 단계이다. 상기 단계들은 다른 시간대에 다른 사람에 의해서 분리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인 제1 단계는 전기 기사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제2 단계는 전문가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단계의 지식이 다른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한 명의 설치업자가 두 단계 모두를 수행하기 위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경우보다 적절한 설치업자의 그룹이 많다.
상기 제1 태양의 특징 및 장점은 제2 태양에서도 적용가능하고 적절할 것이다. 과도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내용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과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베이스와 편심 힌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터미널을 구비한 부착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부착 부품의 개방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측면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부착 부품의 개방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편심 힌지의 제1 피봇 및 제2 피봇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마운트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고 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mount)의 베이스(base, 1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10)는 바닥판(bottom plate, 11) 및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side surface, 12)을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나사와 같은 적절한 체결 수단에 의해서 설치 평면에 설치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나사 구멍(18)은 베이스(10)의 설치를 위하여 베이스(10)에 구비된다. 또한, 나사 구멍(19)은 베이스(10)에 부착 부품(attachment part)의 설치를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설치 평면은 주로 벽과 같은 수직한 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설치 평면은 기둥 또는 전주와 같은 비평면에 의해서 지지되는, 설치 판 또는 설치 구조물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10)의 바닥판(11)은 마운트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베이스(10)는 바닥판(11)을 대체하는 벽면과 같은 설치 평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로 돌아가서 설명하면, 베이스(10)는 바닥판(11)에 배치되는 제1 케이블(cable) 입구(13a) 및 측면(12)에 배치되는 제2 케이블 입구를 포함한다. 케이블 입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케이블이 베이스(10)의 내부로의 접근성을 제공한다. 입구 커버(도시되지 않음)는 특정 케이블 입구가 사용되지 않을 때, 각각의 케이블 입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는 편심 힌지(eccentric hinge, 14)를 더 포함한다. 편심 힌지는 제1 피봇(15) 및 제2 피봇(16)을 포함한다. 제1 피봇(15)은 베이스(10)의 측면(12)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피봇(15)은 베이스(10)의 밑면에 부착된다. 제1 피봇(15) 및 제2 피봇(16)은 암(arm, 17)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 2에는, 베이스(10)에 연결되도록 배치된 부착 부품(20)이 터미널 측에서 보이는 대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 부품(20)은 터미널(terminal, 21)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21)은 유선 장치와 네트워크 스테이션(network station) 또는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 사이에서 중간 장치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터미널(21)은 별도의 장치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선 장치의 복합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터미널(21)은 유선 장치의 여러 가지 다른 기능들과 신호들을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수단의 비제한적인 예는 네트워크 신호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카드, 전력 제어 및/또는 스위치 온/오프를 처리하는 전력 스위치,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 프로세서 및 데이터 신호의 다양한 형태를 처리하는 CPU이다. 터미널(21)은 유선 장치를 제어하는 수단 및 유선 장치로부터 또는 유선장치로 전송되는 신호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21)은 유선 장치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장치 모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선 장치는 감시 카메라(26)이다. 감시 카메라(26)는 부착 부품(20)의 연장된 부분(25)에 배치된다.
상기 터미널(21)은 내부 케이블을 통하여 감시 카메라(26)에 연결되고, 외부 케이블에 의해서 외부 장치에 연결된다. 내부 케이블은 부착 부품(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터미널(21)과 유선 장치는 대안적으로 단일의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내부 케이블은 단일의 장치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 케이블은 베이스(1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 입구(13a, 13b)를 통하여 공급된다. 외부 배선은 터미널(21)에 위치한 커넥터 수단(22)에 의해서 터미널(21)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2)는 터미널(21)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블 입구는 외부 케이블의 밀폐된 통로를 제공하는 그로밋(grommet)(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다른 기능들과 신호들을 처리하는 수단은 터미널(21)의 내부에 배치된다. 신호 및 기능의 다른 형태가 처리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커넥터, 전력 커넥터, 이미지 테이터 커넥터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커넥터(22)가 구비된다.
상기 부착 부품(20)은 피봇핀(pivot pin, 23)을 더 포함한다. 피봇핀(23)에 의하여, 부착 부품(20)은 편심 힌지(14)를 통하여 베이스(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봇핀(23)은 베이스(10)에 관하여 부착 부품(20)의 상대 이동에 의하여, 즉 피봇핀(23)에 의하여 부착 부품(20)을 제2 피봇(16)에 걸어줌으로써 제2 피봇(16)에 연결가능하다. 또한, 피봇핀(23)은 암(17)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착 부품(20)이 베이스(10)에 부착될 때의 부착 부품(20)의 움직임을 도 3a 내지 도 3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마운트와 유선 장치를 설치하는 동안에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제공되며 또한, 일례로, 베이스의 내부로 접근이 필요할 때인 보수 작업 중에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한 베이스(10)에 대한 부착 부품(20)의 상대 이동에 의해서, 부착 부품(20)은 베이스(10)에 연결되고 도 3a의 개방 위치로 배치된다. 개방 위치에서 터미널(21)의 적어도 한 부분으로는 마운트의 전방에 위치한, 즉 베이스(10)와 설치 평면을 마주한 작업자가 접근 가능하다. 개방 위치에서, 부착 부품(20)은 제2 피봇(16)을 중심으로 관절 운동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 대한 위치는 미세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편심 힌지(14)는 제2 피봇(16)이 부착 부품(20)의 연결을 위한 위치,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봇(16)의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피봇(16)은 이 위치를 향해 움직이고, 머물기 쉽다. 이러한 특징은 베이스(10)에 관한 부착 부품(20)의 상대적인 동작에 의해, 즉 제2 피봇(16) 위에 부착 부품(20)을 배치함으로써 베이스(10)에 부착 부품(20)을 연결하는 단계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2 피봇(16)은 스프링, 자기 요소(magnetic element), 스냅 어렌지먼트(snap arrangement)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에 의하여 편향될 수 있다.
상기 개방 단계에서, 작업자는 터미널(21)의 외부에 위치한 커넥터(22)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입구(13a)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부 케이블(30)은 다른 커넥터(22)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블(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입구(13b)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피봇핀(23)은 베이스(10)에 관하여 부착 부품(20)의 기단부(proximal portion)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피봇핀(23)과 편심 힌지(14)의 암(17)은 터미널(21)로의 접근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제2 피봇(16)에 의하여, 부착 부품(20)은 제2 피봇(16)을 중심으로 관절 운동함으로써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b는 평면도이고, 도 3a의 개방 위치와 도 3c에 도시된 닫힘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를 도시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터미널(21)로 접근할 수 없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품(20)이 본질적으로 베이스(10)를 따라 위치할 때, 부착 부품(20)은 베이스(10)에 대해서 커버를 형성한다. 이 위치에서, 베이스(10)와 부착 부품(20)에 의해서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이 위치에서, 터미널(21)은 밀폐된 공간과 마주하게 되어 보호된다. 케이블 입구(13a)와 커넥터(22)의 사이에 위치한 외부 케이블의 부분은 밀폐된 공간에 의해서 형성되는 용적부(volume) 안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21)과 밀폐된 공간의 내부를 위한 최적화된 보호를 얻기 위하여, 밀폐된 공간을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부착 부품(20)은 편심 힌지(14)에 의해서, 베이스(10)를 향하여 닫힘 위치로 불리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베이스(10)의 후면에서 바라본 도 3c에서, 부착 부품(20)은 닫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10)를 향한 부착 부품(20)의 이동은 제2 피봇(16)이 제1 피봇(15)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것에 의하여 가능해진다. 밀봉은, 도 3a에 도시된, 베이스의 측면(12) 위에 배치된 실링 림(sealing rim, 31)에 의해서 강화된다. 또한, 실링 림(31)은 부착 부품(20)의 가장 자리 부분 주위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편심 힌지(14)의 본 발명에 따른 독창적 위치 결정 및 기능에 대해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은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마운트의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4e는 부착 부품(20)의 개방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을 나타낸다.
도 4a에서, 부착 부품(20)은 개방 위치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그 안에 있는 터미널(21)로의 접근성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10)는 설치 판(42) 형태의 설치 평면에 부착된다. 설치 판(42)은 순차적으로 벽(41)에 배치된다.
상기 편심 힌지(14)는 베이스(10)의 밑면 즉, 위에서 바라본 베이스(10)의 측면(12) 반대편에 구비된다. 편심 힌지(14)는 제1 방향(X)과 제2 방향(Z)에 의해서 한정되는 평면에 배치된다. 제1 방향(X)은 설치 평면에 평행하고, 제2 방향(Z)은 설치 평면에 수직이다. 그러므로 제2 피봇(16)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Z)에 의해서 한정되는 평면에서 제1 피봇(15)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부착 부품(20)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밀폐 이동(closing movement)과 밀봉 이동(sealing movement)의 조합에 의한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부착 부품(20)은 먼저 밀폐 이동 하에서 움직이고, 그 후에 주로 제2 방향(Z)으로 향하는 밀봉 이동 하에서 움직인다. 밀폐 이동은 부착 부품(20)이 제2 피봇(16)을 중심으로 하여 관절 운동함으로써 수행된다. 밀봉 이동은 부착 부품(20)과 제2 피봇(16)이 제1 피봇(15)에 대하여 관절 운동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4b에서, 부착 부품(20)은 밀폐 이동의 일부를 수행하고 있다.
도 4c에서, 부착 부품(20)은 밀폐 이동의 전부를 수행하고 있고, 베이스(10)를 따라 베이스(10)의 앞쪽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서, 베이스(10)와 부착 부품(20)에 의해서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된 공간을 밀봉하기 위해서, 부착 부품(20)은 베이스(10)를 향하여 밀봉 이동을 수행한다.
도 4d에서, 부착 부품(20)은 밀봉 이동의 일부를 수행한다. 도 4e에서 밀봉 이동이 완료된다. 이제, 부착 부품(20)은 닫힘 위치에 놓인다.
이 경우, 제1 피봇(15)과 제2 피봇(16) 사이의 거리(d) 즉, 암(17)의 길이가 제1 방향(X)과 제2 방향(Z)에서 보았을 때의 닫힌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거리(d)는 제1 방향(X)의 제1 요소(dX) 및 제2 방향(Z)의 제2 요소(dZ)를 갖는다.
상기 편심 힌지(14)가 요소(dZ)보다 요소(dX)가 더 크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부착 부품(20)의 밀봉 이동은 제2 방향(Z)을 따라 즉, 필수적으로 베이스(10)와 설치 평면을 향하도록 수행된다. 또한, 닫힘 위치에 위치할 때에, 부착 부품(20)의 어떠한 이동도 필수적으로 제2 방향(Z)을 따라 수행될 것이다.
물론, 밀봉 이동은 제1 피봇(15)을 중심으로 한 관절 운동이지만, 관절 운동 원(circle)의 일부를 따라 수행되는데, 여기서 제2 방향(Z)의 이동은 최대화되고, 제1 방향(X)의 이동은 최소화된다. 그러므로, 베이스(10)를 향한 부착 부품(20)의 이동이 베이스(10)를 향한 제2 방향(Z)으로 주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제1 피봇(15)은 제2 피봇(16)을 고려하여 위치된다.
상기 편심 힌지(14)의 위치는 또한 부착 부품(20)이 닫힘 위치 및 그 근처에 위치할 때, 제1 방향(X)에서 부착 부품(20)의 이동이 제2 방향(Z)에서의 이동보다 작을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면, 이러한 특징은 베이스(10) 또는 설치 평면에 부착 부품(20)의 체결을 완화한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나사 구멍(24)은 베이스의 나사 구멍(19)을 통하여 베이스(10)에 부착 부품(20)을 체결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나사 구멍(24)은 마운트 및 설치 판(42)을 마주보고 위치하는 작업자에게 용이한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 방향(Z)에 배치된다. 작업자는 측면 즉, 제1 방향(X)으로 부착 부품(20)의 상당한 어떤 이동도 없이, 제2 방향(Z)을 따라 배치되는 나사에 의해서 부착 부품(20)을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피봇(15)은 밀폐 이동 시의 제2 피봇(16)의 시작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제2 방향(Z)에 대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피봇(15)의 위치는 밀봉 이동을 하는 동안, 부착 부품(20)의 제1 방향(X) 이동과 제2 방향(Z) 이동 사이의 최적 관계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피봇(15)은 제2 피봇(16)과 같이 케이블 입구(13a)의 같은 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편심 힌지(14)의 암(17)은 케이블 입구(13a)에 배치된 어떤 외부케이블에 대해서도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배치된 케이블 입구를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에서는, 제1 피봇은 부착 부품(20)의 밀봉 이동 동안, 제1 방향(X)의 요소와 제2 방향(Z)의 요소의 더 나은 비율을 얻기 위하여 제2 피봇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방향(X)은 수평적으로 배치되고 즉, 수직 연장을 갖지 않는다. 그에 의해서, 제2 피봇(16)의 이동은 중력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착 부품(20)이 배치된 제2 피봇(20)은 중력에 의한 영향을 받을 필요없이 어떠한 위치에도 있을 수 있다.
숙련자는 밀폐 이동과 밀봉 이동이 순차적인 순서로 실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 및 밀봉 이동들은 편심 힌지(14)에 의해서 병행해서, 순서대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위에서 설명한 마운트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단계(601)에서, 베이스(10)가 설치 평면에 설치된다.
제2 단계(602)에서, 터미널(21)을 구비한 부착 부품(20)은, 편심 힌지(14)를 통하여 베이스(10)에 대하여 부착 부품(20)이 상대 이동함으로써, 베이스(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단계(603)에서, 부착 부품(20)은 터미널(21)로의 접근성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단계(602)와 제3 단계(603)는 단일의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제4 단계(604)에서, 외부 케이블은 터미널(21)에 연결된다.
제5 단계(605)에서, 부착 부품(20)은 편심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관절 운동하여 닫힘 위치로 이동되고, 여기서 터미널(21)은 부착 부품(20)과 베이스(10)에 의해서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 안에 위치한다. 편심 힌지(14)는 밀폐된 공간 밖에 배치된다. 이러한 단계는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단계 즉, 밀폐 이동과 밀봉 이동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각기 다른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10)를 설치하는 단계(601)는 일반적인 설치 업자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외부 케이블을 베이스(1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 입구를 통해서 배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품(20)을 연결하는 단계(602), 부착 부품을 배열하는 단계(603),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604), 부착 부품(20)을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605)의 순차적인 단계들은 당해 유선 장치의 유형에 전문화된 작업자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만약 유선 장치가 감시 카메라인 경우, 베이스(10)와 관련된 처음 단계는 전기기사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부착 부품(20)과 관련된 마지막 단계는 당해 카메라의 구체적 유형 또는 카메라 설치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작업자에 의해서 수행될 것이다. 처음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마지막 단계의 전문성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 반대도 마찬가지이므로, 적절한 설치 작업자의 수는 한 설치 작업자가 모든 설치 단계를 수행하는 것에 비해 많을 것이다. 또한 처음 단계와 마지막 단계는 서로 다른 시간대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를 형성하고 수행하는 방법의 자유도는 증가하고, 그에 따라 설치 절차가 간략화된다.
당해 기술에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이 결코 위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반대로, 많은 수정과 변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범위 안에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성 장치는 스피커, 마이크, 광원, 디스플레이, 비디오 프로젝터, 가전 기구(home appliance), 컴퓨터, 자동 판매기, 발권 장치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Claims (14)

  1.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는 마운트에 있어서,
    설치 평면(42)에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10);
    감시 카메라를 위한 터미널(21)을 구비한 부착 부품(20); 및
    상기 베이스(10)에 부착된 제1 피봇(15) 및 제2 피봇(16)을 가지는 편심 힌지(14)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피봇(16)은, 설치 평면(42)에 평행한 제1 방향(X)과 설치 평면(42)에 수직인 제2 방향(Z)에 의해서 한정되는 평면에 있는 제1 피봇(1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부착 부품(20)은, 편심 힌지(14)에 의하여 베이스(10)에, 베이스(10)와 관련된 부착 부품(20)의 상대 이동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부착 부품(20)은, 베이스(10)에 설치될 때, 터미널(21)로의 접근성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와 터미널이 부착 부품(20)과 베이스(10)에 의해서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 안에 위치하게 되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편심 힌지(14)를 중심으로 하여 관절 운동함으로써 이동 가능하고, 편심 힌지(14)는 밀폐된 공간 밖에 배치되며,
    상기 닫힘 위치에서 제1 피봇(15)과 제2 피봇(16) 사이의 거리(d)는 제1 방향(X)의 제1 요소(dX)와 제2 방향(Z)의 제2 요소(dZ)를 가지며, 제1 요소(dX)는 제2 요소(dZ)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봇(15)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Z)에 의해서 한정되는 평면에 투영하여 볼 때, 베이스(10) 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품(20)은 개방 위치에서 베이스(10)의 기단부에서 베이스(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힌지(14)는 제2 피봇(16)이 베이스(10)에 부착 부품(20)의 연결을 위한 제1 위치와 부착 부품(20)의 닫힘 위치를 위한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봇(16)은 제1 위치를 향하여 편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봇은 스프링, 자기 요소, 스냅 어랜지먼트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 위치에서 공간을 밀봉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밀봉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21)은 네트워크 신호, 전력 제어, 제어 신호, 감시 신호, 오디오 신호, 이미지 신호, 비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알람 신호, 및 온/오프 스위치 제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밀폐된 공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케이블(30)을 위한 접근을 제공하는 케이블 입구(13a, 1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21)은 감시 카메라,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외부 케이블(30)이 연결되는 커넥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공간은 외부 케이블(3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 부분의 저장을 위한 저장 용적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는 부착 부품(20)의 한 부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방향(X)이 수평이 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14. 감시 카메라 마운트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치 평면에 베이스를 배치하는 단계(601);
    감시 카메라를 위한 터미널을 구비하는 부착 부품을 편심 힌지를 통하여 부착 부품을 베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602);
    상기 터미널으로의 접근성을 제공하는 개방 위치에 부착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603);
    상기 터미널에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604); 및
    상기 부착 부품을 편심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관절 운동함으로써 부착 부품과 베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에 터미널이 위치하고 편심 힌지는 밀폐된 공간 바깥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605)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마운트를 설치하는 방법.
KR1020140054457A 2013-05-07 2014-05-07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 KR101582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66860.0 2013-05-07
EP13166860.0A EP2801744B1 (en) 2013-05-07 2013-05-07 Mount for a wired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299A KR20140132299A (ko) 2014-11-17
KR101582272B1 true KR101582272B1 (ko) 2016-01-11

Family

ID=4836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457A KR101582272B1 (ko) 2013-05-07 2014-05-07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94294B2 (ko)
EP (1) EP2801744B1 (ko)
JP (1) JP5808453B2 (ko)
KR (1) KR101582272B1 (ko)
TW (1) TWI5548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1334B (zh) * 2016-03-22 2018-02-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蓬莱市供电公司 一种固定于摄像机支架下方的接头线盒
EP3396939B1 (en) * 2017-04-24 2019-08-14 Axis AB Camera housing and camera mount arrangement
WO2020183377A1 (en) * 2019-03-11 2020-09-17 Allbro (Pty) Ltd Camera mounting arrangement
EP3754423B1 (en) * 2019-06-20 2021-05-19 Axis AB Audio unit arrangement and a camera
US11754220B2 (en) * 2020-03-09 2023-09-12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Modular camera mounts usable with security camera or access control applications
US11592727B2 (en) 2020-03-09 2023-02-28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Modular camera mounts and cameras for security, surveillance, and access control applications
CN113701025A (zh) * 2020-05-22 2021-1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支架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348A (en) 1874-07-21 Improvement in hinges for safe-docrs
US325333A (en) 1885-09-01 Ole flagstad
US1470429A (en) 1922-10-27 1923-10-09 William E Dunbar Swivel bracket
US4414576A (en) * 1981-09-25 1983-11-08 Vicon Industries, Inc. Housing assembly for electrical apparatus
DE3533988A1 (de) 1985-09-24 1987-04-02 Hamacher Gmbh Gehaeuse od. dgl.
FR2616476B1 (fr) * 1987-06-11 1995-05-24 Crouzet Sa Dispositif d'ouverture pour coffrets
USPP8090P (en) 1991-05-13 1993-01-05 Oglevee, Ltd. Variety of geranium named Prince
US5984177A (en) * 1996-08-16 1999-11-16 Transaction Technology, Inc. Multiple configuration automatic teller machine
US6259476B1 (en) * 1998-09-02 2001-07-10 Kenneth L. Greene Lighting fixutre with a covert security camera
JP3753871B2 (ja) * 1998-10-15 2006-03-08 ティーオーエー株式会社 カメラハウジング
DE29914275U1 (de) 1999-08-14 1999-11-11 Graf Alfred Türbandzwischenstück
CA2299830A1 (en) * 2000-03-02 2001-09-02 Silent Witness Enterprises Ltd. Hinge for an enclosure
US6378173B1 (en) 2000-03-08 2002-04-30 Silent Witness Enterprises, Ltd. Hinge for an enclosure
US6449431B1 (en) * 2001-07-16 2002-09-10 Non Typical Inc. Enclosure for wildlife surveillance system and security apparatus therefore
US20030039094A1 (en) * 2001-08-22 2003-02-27 Sarkinen Scott A. Closure for equipment case having an integrated display
JP4504732B2 (ja) 2004-05-07 2010-07-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監視カメラ用のカメラ取付装置
DE202005018350U1 (de) 2004-12-03 2006-01-12 Julius Blum Gmbh Stellantrieb zum Bewegen einer Möbelklappe
TWM298056U (en) * 2006-04-19 2006-09-21 Chains Technology Co Ltd Improved monitor base structure
EP1931131A1 (en) 2006-12-04 2008-06-11 Thomson Licensing Double hinge monitor mount
CN202121692U (zh) 2011-07-12 2012-01-18 旗瀚科技有限公司 内置电源盒的球形摄像机
GB201202699D0 (en) * 2012-02-16 2012-04-04 Overview Ltd Camera housing
TWM440380U (en) * 2012-04-12 2012-11-01 Star Internat Telecomm Co Ltd G Improved structure of support bracket of surveillance device
CN202791244U (zh) 2012-09-18 2013-03-13 国家电网公司 摄像头的位置调整装置和视频监控装置
CN103067652B (zh) 2012-12-25 2015-07-29 天津市亚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角装视频监控装置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1744A1 (en) 2014-11-12
JP2014225869A (ja) 2014-12-04
KR20140132299A (ko) 2014-11-17
US9594294B2 (en) 2017-03-14
TWI554821B (zh) 2016-10-21
US20140334810A1 (en) 2014-11-13
JP5808453B2 (ja) 2015-11-10
EP2801744B1 (en) 2016-12-14
CN104141870A (zh) 2014-11-12
TW201502686A (zh)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272B1 (ko) 유선 장치를 위한 마운트
US6768055B1 (en) Cable entry box
US20080205018A1 (en) Rack mounted access/security expansion control panel
KR102051210B1 (ko) 카메라 하우징 장치
MX2007003752A (es) Ensamble de recinto de bajo trabajo.
US20080236887A1 (en) Mounting assembly
JP6907699B2 (ja) 照明器具
KR200460707Y1 (ko) 홈 오토메이션 제어기용 수납박스
JP2009240124A (ja) 制御盤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4504732B2 (ja) 監視カメラ用のカメラ取付装置
JP2008092666A (ja) 配線ダクトおよび配線ダクト製造方法
JP2006317312A (ja) 耐圧防爆型監視装置及び耐圧防爆型容器
CN113811926B (zh) 相机安装布置
JP2022115245A (ja) カメラ機器取付箱及びカメラ機器の設置方法
KR200485665Y1 (ko) 전원 어댑터 내장형 cctv용 하이 박스
CN104141870B (zh) 用于有线设备的支架
US20220143814A1 (en) Reconfigurable controller base for robotic arm
CN112310908B (zh) 接线盒和电子设备装配系统
JP2018194368A (ja) キャビネット
JP7118534B2 (ja) 電気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2018053656A (ja) 下地金物、下地金物を具備する防火構造及び下地金物の装着方法
KR200486400Y1 (ko) 돔형 카메라 장치
KR20180040793A (ko) 카메라 장착 단자함
JP2008150161A (ja) エレベーター制御盤
KR20150014174A (ko) 엘리베이터 도어에 설치된 모니터의 보호덮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