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771B1 -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771B1
KR101835771B1 KR1020150179240A KR20150179240A KR101835771B1 KR 101835771 B1 KR101835771 B1 KR 101835771B1 KR 1020150179240 A KR1020150179240 A KR 1020150179240A KR 20150179240 A KR20150179240 A KR 20150179240A KR 101835771 B1 KR101835771 B1 KR 10183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ight emitting
control unit
lighting modu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666A (ko
Inventor
홍진표
정동호
정은주
박정욱
강호주
정현미
김성훈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엠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투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7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H05B37/0281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Electrically powered illum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장착되며 외부광의 실내 유입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차광용 스크린을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된 블라인드 유니트와, 스크린에 직접 또는 간접 조명이 가능하게 설치된 조명모듈과, 조명모듈과 스크린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고, 제어유니트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에 기록된 외출기간 동안 설정된 야간시간에 스크린이 하강하게 제어하고, 설정된 주간시간에 스크린이 승강하게 제어하며, 조명모듈을 설정된 가동시간 동안 가동되게 제어한다. 이러한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에 의하면, 장기 외출시 스크린을 통해 마치 주거자가 있는 것처럼 조명 연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smart blind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장기 외출시 차광용 스크린 및 조명을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가동하여 거주자가 있는 것처럼 연출할 수 있도록 된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창문에는 채광의 정도를 조절하거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블라인드(blind)가 설치되어 있다.
블라인드는 개폐방법에 따라 수직이동식과 수평이동식으로 나누어지며, 작동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전동식 블라인드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차광판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131842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573058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한편, 주거용 건물 예를 들면, 주택 또는 아파트의 경우 주거자가 휴가 또는 그 밖의 이유로 장기간 건물을 비우는 경우 야간의 조명 비점등에 의해 쉽게 비주거상태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이러한 비주거상태 노출은 도난에 취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장기 외출시 차광용 스크린 및 조명을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가동하여 거주자가 있는 것처럼 연출할 수 있도록 된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외부광의 실내 유입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차광용 스크린을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된 블라인드 유니트와; 상기 스크린에 직접 또는 간접 조명이 가능하게 설치된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과 상기 스크린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에 기록된 외출기간 동안 설정된 야간시간에 상기 스크린이 하강하게 제어하고, 설정된 주간시간에 상기 스크린이 승강하게 제어하며, 상기 조명모듈을 설정된 가동시간동안 가동되게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움직임을 검출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검출하는 침입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주소로 침입감지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발광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광 출사방향에 대향되게 장착되어 상기 스크린을 통해 실내에 가상의 인체가 있는 것과 같은 그림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그림자 패턴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그림자 패턴 형성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어레이 방향을 따라 상호 다른 문양의 그림자 패턴이 광투과를 차단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그림자 패턴 형성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각각의 광출사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렌즈의 표면에는 광을 차단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그림자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유니트에는 장기외출모드시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온/오프 및 디밍 구동하여 구동하여 상기 스크린을 통해 상호 다른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형성 테이블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에 의하면, 장기 외출시 스크린을 통해 마치 주거자가 있는 것처럼 조명 연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의 본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본체를 제어하는 블라인드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의 조명모듈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모듈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의 본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본체를 제어하는 블라인드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100)은 본체(110), 블라인드 유니트(130), 조명모듈(140), 침입감지센서(170), 제어유니트(18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블라인드 유니트(130)가 내장되며 후술되는 조명모듈(140), 침입감지센서(170) 및 제어유니트(18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110)는 설치대상 건물의 창문(미도시)의 채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천정 또는 벽에 결합부재(미도시)로 고정되게 설치하면 된다.
블라인드 유니트(130)는 본체(110)에 장착되며 외부광의 실내 유입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차광용 스크린(131)과, 스크린(131)을 정역 회전하여 승하강하는 모터(133)을 구비한다.
스크린(131)은 모터(133)의 회전축에 결합된 감개심(132)의 회전에 의해 구형으로 형성된 수용하우징(134) 내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31a는 스크린(131)의 하단에 스크린(131)의 두께 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수용 하우징(134)으로의 진입이 차단되며 스크린(131)의 원할한 승하강을 위해 자중을 부여하는 스토퍼용 봉이다.
스크린(131)은 광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천 또는 그 밖의 소재로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모터(133)는 후술되는 스크린 구동부(181)에 구동된다.
조명모듈(140)은 스크린(131)에 직접 또는 간접 조명이 가능하게 본체(110)에 설치되어 있다.
조명모듈(140)은 본체(110)에 상호 대향되게 장착된 광원모듈(150)과, 그림자 패턴 형성부(160)를 구비한다.
광원모듈(150)은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로기판(152)에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151)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광원모듈(150)에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151)의 개수 및 이격간격은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광원모듈(150)에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151)는 각각 고유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후술되는 제어유니트(180)에 의해 장기 외출시 야간에 구동시 일부 개수만 선택 구동하되 일정주기로 선택되어 구동되는 발광다이오드의 어드레스를 달리 적용하거나 랜덤으로 적용하여 외부에서 주거자가 있는 것처럼 연출할 수 있다.
그림자 패턴 형성부(160)는 장기 외출시 주거자 연출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그림자 패턴 형성부(160)는 발광 다이오드(151)의 광 출사방향에 대향되게 장착되며 스크린(131)을 통해 실내에 가상의 인체가 있는 것과 같은 그림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림자 패턴 형성부(160)의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51)들 중 일부의 발광다이오드(151)에 대해 대향되는 위치에 어레이 방향을 따라 상호 다른 문양의 그림자 패턴(161a 내지 161c)이 광투과를 차단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그림자 패턴 형성부(160)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소재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된 투광판(162)에 인체 형상의 문양을 광이 차단되는 색상으로 하여 형성된 그림자 패턴(161a 내지 161c)이 예시되어 있다.
그림자 패턴(161a 내지 161c)은 한 사람, 두 사람, 세사람 등 상호 다른 문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문양은 인체 연출효과를 낼 수 있게 도시된 예와 다르게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그림자 패턴 형성부(160)의 또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판(162) 상에 발광다이오드(151) 각각의 광출사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록렌즈(164)가 형성되어 있고, 볼록렌즈(164)의 표면에는 광을 차단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그림자 패턴((165)이 형성된 구조로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렌즈(164)에 각각 형성되는 그림자 패턴(165)들은 광조사시 상호 스크린(131)에 겹치면서 원하는 인체 연출용 문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침입감지센서(170)는 본체에 장착되며 감시대상 영역에 대해 움직임을 검출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검출한다.
침입감지센서(170)는 일 예로서, 스크린(131)이 차폐하는 창문을 통한 침입자의 침입이 있는지를 감시하도록 하방으로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적외선 광원(171)과,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는 광검출기(17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침입감지센서(170)는 광원(171)에서 설정된 주기마다 광을 출사하고, 광검출기(173)로부터 검출되는 광의 광량 및 검출시간을 이용하여 침입자의 침입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제어유니트(180)는 조명모듈(140)과 블라인드 유니트(130)이 구동을 제어하고, 참임감지센서(17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한다.
제어유니트(180)는 스크린 구동부(181), 발광구동부(183), 통신부(185), 기억부(187), 블라인딩 제어부(189)를 구비한다.
스크린 구동부(181)는 블라인딩 제어부(189)에 제어되어 스크린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모터(133)를 정역 구동한다.
발광구동부(183)는 블라인딩 제어부(189)에 제어되어 발광다이오드(151)들의 구동을 온/오프 및 휘도에 대한 디밍(dimming)을 제어한다.
여기서, 발광다이오드(151)들은 발광구동부(183)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온/오프/디밍 구동되거나 일정 개수씩 그룹핑된 발광다이오드(151)들끼리 독립적으로 온/오프/디밍 구동되도록 구축되어 있다.
통신부(185)는 통신망(19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블라인딩 가동설정정보를 수신하여 블라인딩 제어부(189)에 제공하고, 전송대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기억부(187)에는 블라인딩 제어부(189)에 제어되며 기록대상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기억부(187)에는 블라인딩 가동설정정보에 대응되는 스케줄 테이블(188a)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스케줄 테이블(188a)은 장기외출시 이용하도록 설정된 스케줄에 관한 정보로서 주간 8시에 스크린을 승강시키고, 야간 8시에 스크린을 하강시도록 하는 스크린 승강 또는 하강 시간이 시간대별 및 장기외출기간 동안에 대해 설정된 것을 말한다.
또한, 기억부(187)에는 장기외출모드시 발광다이오드(151)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디밍 구동하여 스크린(131)을 통해 상호 다른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형성 테이블(188b)이 기록되어 있다.
패턴 형성 테이블(188b)에 기록된 그림자 형성패턴들은 발광다이오드(151) 각각에 대한 선택적 구동패턴, 휘도 등에 대해 상호 달리 적용함으로써 스크린(131)을 통해 표시되는 음영을 포함한 이미지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 예로서, 패턴 형성 테이블(188b)에 기록된 그림자 형성패턴들은 설정된 순번으로 순차적으로 적용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블라인딩 유니트(130) 및 조명모듈(140)의 구동과 관련된 가동설정을 지원하고, 설정된 가동설정 정보를 통신망(190)을 통해 제어유니트(180)로 전송할 수 있도록 된 블라인딩 조정모듈(21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 적용되고, 응용프로그램으로서 블라인딩 조정모듈(210)이 탑재된 것을 적용하면 된다.
블라인딩 조정모듈(210)은 로딩되면 장기외출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장기외출을 선택하면, 외출기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블라인딩 조정모듈(210)은 장기외출로 선택되면, 외출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를 제어유니트(180)에 전송한다.
제어유니트(180)의 블라인딩 제어부(189)는 통신망(19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가 통신부(185)를 통해 수신되면, 가동설정정보를 기억부(187)에 기록하고, 기록된 외출기간 동안 설정된 야간시간에 스크린(131)이 하강하게 스크린 구동부(181)를 제어함과 아울러 조명모듈(140)을 구동하고, 설정된 주간시간에 스크린(131)이 승강하게 제어한다.
특히, 블라인딩 제어부(189)는 스크린(131)이 하강한 야간시간에 조명모듈(140)을 설정된 가동시간 동안 스크린(131)에 그림자 패턴이 표시되게 발광구동부(183)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조명모듈(14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설정된 패턴형성 테이블(188b)에 기록된 그림자 형성 패턴에 대응되게 발광다이오드(151)가 선택 구동되게 발광구동부(183)를 제어한다. 또한, 설정된 주기마다 다음 차수의 그림자 형성 패턴에 대응되게 발광다이오드(151)가 선택 구동되게 발광구동부(183)를 제어한다.
이러한 그림자 형성 패턴에 따라 외부에서는 스크린(131)을 통해 마지 주거자가 활동하고 있는 것처럼 연출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딩 제어부(189)는 침입감지센서(170)로부터 침입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통신주소로 침입감지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기와는 별도로 마련된 원격조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스크린(131)의 승하강을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100)에 의하면, 장기 외출시 스크린(131)을 통해 마치 주거자가 있는 것처럼 조명 연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본체 130: 블라인드 유니트
131: 스크린 140: 조명모듈
170: 침입감지센서 180: 제어유니트

Claims (6)

  1. 삭제
  2.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외부광의 실내 유입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차광용 스크린을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된 블라인드 유니트와;
    상기 스크린에 직접 또는 간접 조명이 가능하게 설치된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과 상기 스크린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에 기록된 외출기간 동안 설정된 야간시간에 상기 스크린이 하강하게 제어하고, 설정된 주간시간에 상기 스크린이 승강하게 제어하며, 상기 조명모듈을 설정된 가동시간동안 가동되게 제어하며,
    상기 본체에는 움직임을 검출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검출하는 침입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침입감지센서로부터 침입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주소로 침입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3.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외부광의 실내 유입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차광용 스크린을 승하강할 수 있도록 된 블라인드 유니트와;
    상기 스크린에 직접 또는 간접 조명이 가능하게 설치된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과 상기 스크린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장기외출 가동설정정보에 기록된 외출기간 동안 설정된 야간시간에 상기 스크린이 하강하게 제어하고, 설정된 주간시간에 상기 스크린이 승강하게 제어하며, 상기 조명모듈을 설정된 가동시간동안 가동되게 제어하며,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발광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광 출사방향에 대향되게 장착되어 상기 스크린을 통해 실내에 가상의 인체가 있는 것과 같은 그림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그림자 패턴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자 패턴 형성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어레이 방향을 따라 상호 다른 문양의 그림자 패턴이 광투과를 차단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자 패턴 형성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각각의 광출사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렌즈의 표면에는 광을 차단하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 그림자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에는 장기외출모드시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온/오프 및 디밍 구동하여 상기 스크린을 통해 상호 다른 조명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형성 테이블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KR1020150179240A 2015-12-15 2015-12-15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KR10183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240A KR101835771B1 (ko) 2015-12-15 2015-12-15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240A KR101835771B1 (ko) 2015-12-15 2015-12-15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666A KR20170071666A (ko) 2017-06-26
KR101835771B1 true KR101835771B1 (ko) 2018-03-08

Family

ID=5928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240A KR101835771B1 (ko) 2015-12-15 2015-12-15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211B1 (ko) 2018-08-24 2019-11-06 이승주 Led 간접조명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598A (ko) 2017-11-30 2019-06-10 안영재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CN109064698B (zh) * 2018-09-26 2021-02-1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居民安防预警方法和居民安防预警系统
KR102162264B1 (ko) * 2020-03-11 2020-10-12 (주)코마츠코리아 Uv 살균 기능을 가진 스피드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3990A1 (ja) * 2012-07-17 2014-01-23 三菱化学株式会社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3990A1 (ja) * 2012-07-17 2014-01-23 三菱化学株式会社 照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211B1 (ko) 2018-08-24 2019-11-06 이승주 Led 간접조명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666A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771B1 (ko)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CA2953490C (en) Controlling motorized window treatments in response to multiple sensors
US105753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commissioning based on smart sensors
ES2884075T3 (es) Aparatos, sistemas y procedimientos de ajuste automatizado de un sistema de control de iluminación inteligente
RU264250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свещением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внутри помещения
CN102770617B (zh) 用于结合外部照明和人工照明的系统
US20080231464A1 (en) Targeted switching of electrical appliances and method
US20050189078A1 (en) Automated venetian blinds
RU2673309C2 (ru) Световой экран, использующий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е освещение для создания непрозрачности и защиты в окнах
CA2957405A1 (en) Motorized window treatment monitoring and control
JP6030555B2 (ja) 物体のための窓
KR101601946B1 (ko) 조명 시스템
CN115777038A (zh) 用于检测眩光状况的传感器
CN110115110A (zh) 用于防止入室盗窃的安全装置
CN109906667A (zh) 照明装置
KR101671928B1 (ko) 창호용조명구비보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조명구비보안모듈시스템 및 조명구비보안블라인드
KR101191917B1 (ko) 태양광 발전 및 자연 채광이 가능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시스템
KR101530312B1 (ko) 실내 조명 제어 시스템
JP2008008102A (ja) 日射遮蔽装置のリモコン装置
US20030188836A1 (en) Automated venetian blinds
CN115777039A (zh) 用于检测眩光状况的传感器
JP2018141293A (ja) 遮蔽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608332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JP2017142965A (ja) センサシステム及びセンサ装置
KR20130034403A (ko)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