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598A -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 Google Patents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598A
KR20190063598A KR1020170162505A KR20170162505A KR20190063598A KR 20190063598 A KR20190063598 A KR 20190063598A KR 1020170162505 A KR1020170162505 A KR 1020170162505A KR 20170162505 A KR20170162505 A KR 20170162505A KR 20190063598 A KR20190063598 A KR 20190063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alue
amount
angl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재
Original Assignee
안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재 filed Critical 안영재
Priority to KR102017016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3598A/ko
Publication of KR2019006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06B7/0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with one ventilation wing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창문에 부착되고, 감지된 환경 정보 또는 수신된 기상 정보를 기반으로 창문의 개방 정도를 결정하여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이 개시된다. 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은 창문에 설치되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채광량(採光量)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보조창문에 있어서, 상기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가림막; 상기 가림막이 상기 창문의 창틀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가림막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장치로 채광 및 통풍을 차단하거나, 채광량 및 통풍량을 조절 가능하고, 사람이 직접 개폐를 조작하지 않아도, 창문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되, 다양한 환경 및 기후 조건의 변화에 따라 창문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어,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Intelligent auxiliary windows that control the amount of light and ventilation}
본 발명은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에 부착되고, 감지된 환경 정보 또는 수신된 기상 정보를 기반으로 창문의 개방 정도를 결정하여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창문에는 블라인드 또는 커튼이 설치되고, 사람이 직접 블라인드 또는 커튼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채광의 정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블라인드 또는 커튼은 채광의 정도는 조절 가능하지만, 통풍을 차단하거나 통풍량의 조절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고, 다양한 환경 및 기후 조건에 따른 적절한 채광량 및 통풍량을 조절하기 어려우며, 조건이 변화할 때마다 사람이 직접 블라인드 또는 커튼의 주변까지 이동하고 개폐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창문에 설치되어 채광량 및 통풍량을 조절 가능하되,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다양한 환경 및 기후 조건의 변화에 따라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7-0071666호(발명의 명칭: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치로 채광 및 통풍을 차단하거나, 채광량 및 통풍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이 직접 개폐를 조작하지 않아도, 창문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되, 다양한 환경 및 기후 조건의 변화에 따라 창문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은 창문에 설치되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채광량(採光量)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보조창문에 있어서, 상기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가림막; 상기 가림막이 상기 창문의 창틀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가림막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은 상기 보조창문이 설치된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 프레임을 제어하여,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기설정된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1 습도값을 측정하는 제1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2 습도값을 측정하는 제2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습도값이 상기 제1 습도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제2 습도값과 상기 제1 습도값의 차이값과 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의 풍속을 감지하여 풍속값을 측정하는 풍속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속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풍속값과 반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의 조도(照度)를 감지하여 조도값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과 반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농도값을 측정하는 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농도값과 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은 대기 중에 포함된 황사 수치값 또는 미세먼지 수치값이 포함된 기상 정보를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기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 프레임을 제어하여,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미세먼지 수치값 또는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수신된 미세먼지 수치값 또는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수신된 미세먼지 수치값 또는 황사 수치값에 반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은 상기 보조창문이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창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각도 조절 프레임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빗물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 프레임은, 상기 창틀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가림막이 상측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장치로 채광 및 통풍을 차단하거나, 채광량 및 통풍량을 조절 가능하고, 사람이 직접 개폐를 조작하지 않아도, 창문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되, 다양한 환경 및 기후 조건의 변화에 따라 창문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어,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이 창문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이하, '보조창문'이라 한다)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이 창문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보조창문은, 하나의 장치로 통풍 및 채광을 차단하고, 통풍량 및 채광량을 조절하며, 사람이 직접 개폐를 조작하지 않아도, 창문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되, 다양한 환경 및 기후 조건의 변화에 따라 창문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보조창문은 가림막(100), 각도 조절 프레임(200), 감지부(300), 통신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막(100)은, 창문을 통한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차양이 가능하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마련되며, 필요에 따라 반투명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각도 조절 프레임(200)은 가림막(100)이 창문의 창틀에 고정되도록 하고, 가림막(10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각도 조절 프레임(200)은, 힌지 부재(210) 및 구동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부재(210)는 가림막(100)과 연결되어 구동력에 의해 가림막(100)의 각도를 조절하며, 구동 부재(220)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내장된 모터(미도시)가 힌지 부재(210)와 연결되어 힌지 부재(21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와 같이, 본 보조창문은 창문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도 조절 프레임(200)은 개방된 측의 창틀에 고정되고, 각도 조절 프레임(200)과 연결된 가림막(100)이 창틀과 밀착되어, 개방된 일측을 덮음으로써, 건물의 외부(S1)로부터의 채광 및 통풍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와 같이, 힌지 부재(210)는 구동 부재(22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가림막(100)의 각도가 조절되어,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보조창문은 건물의 내부 방향으로 노출된 창틀에 부착되며, 각도 조절 프레임(200)은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보조창문은 다양한 크기 및 비율로 제조되어 기존에 마련된 창문에 추가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지부(300)는 보조창문이 설치된 걸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를 위해, 동작 센서(미도시), 제1 습도 센서(미도시), 제2 습도 센서(미도시), 풍속 센서(미도시), 조도 센서(미도시) 및 농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센서(미도시)는 기설정된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여기서 기설정된 공간은 보조창문이 부착되는 창문이 설치된 방 또는 사무실과 같이 보조창문의 개폐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공간일 수 있다.
제1 습도 센서(미도시)는 건물의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건물의 외부의 습도값인 제1 습도값을 측정하는 센서이고, 제2 습도 센서(미도시)는 건물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건물의 내부의 습도값인 제2 습도값을 측정하는 센서이며, 풍속 센서(미도시)는 건물의 외부의 풍속을 감지하여 건물의 외부의 풍속값을 측정하는 센서이고, 조도 센서(미도시)는 건물의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값을 측정하는 센서이며, 농도 센서(미도시)는 건물의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이산화 탄소의 농도값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통신부(400)는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되며, 여기서 기상정보는 보조창문이 설치된 지역의 날씨, 대기 중에 황사가 포함된 정도를 나타내는 황사 수치값 및 대기 중에 미세먼지가 포함된 정도를 나타내는 미세먼지 수치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외부의 기상 서버란 보조창문에 기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서버일 수 있으며, 네이버, 다음 및 구글과 같은 포털사이트일 수 있다.
제어부(500)는 환경 정보 또는 기상 정보를 기반으로 창문을 통한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감지부(300)로부터 전송된 외부 정보 또는 통신부(400)로부터 전송된 기상 정보를 기반으로 창문의 개폐 여부와,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를 판단하고, 각도 조절 프레임(200)을 제어하여, 가림막(10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창문의 개폐 여부와,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어 건물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각도 조절 프레임(2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콘, 블루투스와 같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시간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2시부터 06시까지는 감지부(300) 및 통신부(40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창문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부(50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감지부(300)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S410), 제어부는 환경 정보가 감지되지 않으면(S410-N), 창문의 개폐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환경 정보가 감지될 때까지 대기하며, 환경 정보가 감지되면(S410-Y), 제어부(500)는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도 조절 프레임(200)을 제어하여 창문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한다(S420).
만약 창문이 개방되도록 한다면, 제어부(500)는 각도 조절 프레임(200)을 제어하여 가림막(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보조창문의 최초 상태는 가림막(100)이 창문의 창틀과 밀착되어 창문이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우선, 본 보조창문은 동작 센서(미도시)에 의해 기설정된 공간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S510).
그리고 제어부(500)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하고(S520),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다면(S520-N), 움직임이 감지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보조창문은 기설정된 공간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창문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었다면(S520-Y), 제1 습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제1 습도값이 측정될 수 있다(S530).
제1 습도값이 측정되면, 제어부(500)는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하고(S540),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S540-N), 다시 움직임이 감지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값을 비가 내리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 값으로 설정한다면, 이에 의해 제어부(500)는 비가 올 때 창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S550-Y), 제2 습도센서(미도시)가 제2 습도값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S550).
제2 습도값이 측정되면, 제어부(500)는 제2 습도값이 제1 습도값 이상인지 판단하고(S560), 제2 습도값이 제1 습도값 미만으로 판단되면(S560-N), 다시 움직임이 감지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습도값이 제1 습도값 이상이면(S560-Y), 제어부(500)는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제2 습도값에서 제1 습도값을 뺀 차이값을 계산하여, 가림막(100)이 차이값과 비례하도록 설정된 각도만큼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창문이 차이값과 비례하여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S570).
이에 의해, 장마 빨래 건조 등에 의하여, 건물 내 습도가 높아질 경우, 건물 내 습도를 외부 습도에 맞추어 내부 습도를 낮춰 줄 수 있어, 곰팡이균 번식 등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창문을 개방할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면 창문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고,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도 창문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특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특성과 동일하게 진행되지만, 제어부(500)는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하여(S640),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S640-Y), 풍속 센서(미도시)에 의해 건물 외부의 풍속이 감지되어 풍속값이 측정되고(S650), 제어부(500)는 풍속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S660).
풍속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S660-N), 제어부(500)는 창문의 폐쇄가 유지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하며, 풍속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S660-Y), 풍속값과 반비례하여 가림막(100)의 각도를 결정하여, 창문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S670).
이에 의해, 건물 외부의 풍속이 변화하여도,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통풍량은 일정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풍속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풍속값이 아닌, 조도 센서(미도시) 및 농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조도값 또는 농도값에 따라 창문의 개방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조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조도값에 반비례하여 가림막(100)의 각도를 결정함으로써,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채광량이 일정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농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농도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창문의 개방 정도가 농도값과 비례하도록 함으로써, 건물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면 자동으로 환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제2 습도값이 제1 습도값 이상인지 판단하고(S730), 제2 습도값이 제1 습도값 이상인 경우(S730-Y), 창문이 차이값과 비례하도록 기설정된 정도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S735).
창문이 개방되면, 동작 센서에 의해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고(S740), 제어부(50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여(S745),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다면(S745-N), 창문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S770).
한편,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었다면(S745-Y), 제1 습도 센서에 의해 제1 습도값이 측정되며(S750), 제어부(500)는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하여(S755),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S755-N), 창문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S770).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S755-Y), 제2 습도 센서에 의해 제2 습도값이 측정되도록 하고(S760), 측정된 제2 습도값이 제1 습도값 이상인지 판단하여(S765), 제2 습도값이 제1 습도값 미만일 경우(S765-N), 창문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S770).
한편, 제2 습도값이 제1 습도값 이상일 경우(S765-Y), 제2 습도값과 제1 습도값의 차이값과 비례하도록 기설정된 정도로 창문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며(S735), 이에 의해, 변화된 환경 정보에 대응하여 개방 정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차이값에 의해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가 결정되지 않고, 풍속값, 조도값 및 농도값에 의해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가 결정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순서로 개폐여부 또는 개방되는 정도가 각 값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은 우선, 통신부(400)에 의해 외부 서버로부터 황사 수치값을 수신하고(S810), 제어부(500)는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S820).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S830)-Y, 제어부(500)는 통신부(400)가 외부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수치값을 수신하도록 하여(S830), 미세먼지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S830).
이때, 미세먼지 수치값이 수신되거나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되는 과정이 황사 수치값을 수신하거나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과정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미세먼지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S840-Y), 제어부(500)는 창문이 황사 수치값 또는 미세먼지 수치값과 반비례하도록 기설정된 정도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S850).
이때,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는 황사 수치값과 미세먼지 수치값의 평균값과 반비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황사 수치값과 미세먼지 수치값 중 더 큰 값과 반비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거나(S820-N), 미세먼지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S840-N), 제어부(500)는 창문이 폐쇄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400)는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기설정된 시간마다 황사 수치값 및 미세먼지 수치값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500)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수신된 황사 수치값 또는 미세먼지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창문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 정보와 기상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창문의 개폐 및 개방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 동작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고(S910), 제어부(50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여(S920),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면(S920-Y), 통신부(400)에 의해 황사 수치값이 수신되도록 하고(S930),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하여(S940),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S940-Y), 통신부(400)에 의해 미세먼지 수치값이 수신되도록 하여(S950), 미세먼지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S960). 그리고 제어부(500)는 미세먼지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이면(S960-Y), 황사 수치값 또는 미세먼지 수치값과 반비례하여 창문이 개방되도록 할 수있다(S970),
한편, 제어부(50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S920-N),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S940-N), 또는 미세먼지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S960-N)에는 창문의 폐쇄가 유지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경 정보와 기상 정보가 조합되어 창문의 개폐 또는 개방되는 정도가 결정되는 과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대입되어 수행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살시예에 따른 보조창문은 비가 내리는 경우에도 실내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보조창문이 개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보조 창문은 건물의 외부에 노출된 창문의 창틀 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보조창문이 건물 외부에 노출되어 고정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의 상단에 각도 조절 프레임(200)이 고정되고, 가림막(100), 각도 조절 프레임(200), 감지부(300), 통신부(400) 및 제어부(500) 외에도, 빗물 차단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빗물 차단부(600)는 창틀의 상단에 고정되되 각도 조절 프레임(200)의 상측에 고정되어 각도 조절 프레임(200)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각도 조절 프레임(200)은, 도 10의 b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가림막(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창문의 개방 정도를 결정하되, 가림막(100)에 의해 개방된 창문으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림막(100)이 전류에 의해 투과율이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500)는 가림막(100)에 공급되는 전류의 차단 여부 또는 정도를 결정하여 투과율이 변경되도록 하여 채광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가림막 200: 각도 조절 프레임
210: 힌지 부재 220: 구동 부재
300: 감지부 400: 통신부
500: 제어부 600: 빗물 차단부
S1: 건물의 외부 S2: 건물의 내부

Claims (10)

  1. 창문에 설치되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채광량(採光量)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보조창문에 있어서,
    상기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가림막;
    상기 가림막이 상기 창문의 창틀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가림막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문이 설치된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 프레임을 제어하여,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기설정된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1 습도값을 측정하는 제1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2 습도값을 측정하는 제2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습도값이 상기 제1 습도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제2 습도값과 상기 제1 습도값의 차이값과 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의 풍속을 감지하여 풍속값을 측정하는 풍속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속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풍속값과 반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외부의 조도(照度)를 감지하여 조도값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과 반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건물의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농도값을 측정하는 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농도값과 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9. 제1항에 있어서,
    대기 중에 포함된 황사 수치값 또는 미세먼지 수치값이 포함된 기상 정보를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기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조절 프레임을 제어하여,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미세먼지 수치값 또는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수신된 미세먼지 수치값 또는 황사 수치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일 경우, 상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수신된 미세먼지 수치값 또는 황사 수치값에 반비례하여 상기 개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문이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창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각도 조절 프레임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빗물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 프레임은,
    상기 창틀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가림막이 상측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창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KR1020170162505A 2017-11-30 2017-11-30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KR20190063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505A KR20190063598A (ko) 2017-11-30 2017-11-30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505A KR20190063598A (ko) 2017-11-30 2017-11-30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598A true KR20190063598A (ko) 2019-06-10

Family

ID=66848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505A KR20190063598A (ko) 2017-11-30 2017-11-30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35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87B1 (ko) * 2020-11-04 2021-04-05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자동개폐형 복도 창문
CN114165155A (zh) * 2021-12-07 2022-03-11 吴芃 一种门窗智能调节导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666A (ko) 2015-12-15 2017-06-26 엠투테크 주식회사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666A (ko) 2015-12-15 2017-06-26 엠투테크 주식회사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87B1 (ko) * 2020-11-04 2021-04-05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자동개폐형 복도 창문
CN114165155A (zh) * 2021-12-07 2022-03-11 吴芃 一种门窗智能调节导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0427A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겸용하는 창호 시스템
EP3011232B1 (en) Air curtain device measuring a temperature profile and method there for
CN106320888B (zh) 玻璃结构建筑气候感应控制装置
KR101754622B1 (ko) 창문 개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90063598A (ko) 채광량 및 통풍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지능형 보조창문
KR20080100917A (ko) 지능형 창호 시스템
CN110761657A (zh) 一种智能窗及其控制方法
JP2004514075A (ja) 雨センサ装置
JP6763680B2 (ja) 通風システム
JP2015048629A (ja) 電動突き出し窓
KR20190095039A (ko) 스마트 윈도우
KR20200094591A (ko)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창호시스템
KR20190053577A (ko) 창호 개폐 조절 장치
JP7199861B2 (ja) 換気システム、自動ドアシステムおよび換気方法
JP2015124483A (ja) シャッタ装置
CN106246037B (zh) 玻璃结构房屋建筑风力感应开关窗控制系统
KR20200073941A (ko)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KR20200090396A (ko) 창문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00095663A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170023434A (ko) 차량의 환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N211422295U (zh) 一种智能窗
KR102047178B1 (ko) 환기가 가능한 자동 미세먼지 차단 블라인드
KR20170123885A (ko) 조도센서를 이용한 자동 블라인드 제어 장치
KR20200002176A (ko) 스마트 창문
JP2018031576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調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