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403A -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403A
KR20130034403A KR1020110098389A KR20110098389A KR20130034403A KR 20130034403 A KR20130034403 A KR 20130034403A KR 1020110098389 A KR1020110098389 A KR 1020110098389A KR 20110098389 A KR20110098389 A KR 20110098389A KR 20130034403 A KR20130034403 A KR 20130034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light guide
housing
cove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복
김경근
Original Assignee
박승복
김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복, 김경근 filed Critical 박승복
Priority to KR102011009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4403A/ko
Publication of KR2013003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03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interposition of elements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variable light transmissivity, e.g. liquid crystal elements or electrochrom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에 의할 때 실내의 조도가 실외 조도에 비해 일정치 이상 밝을 때 도광판의 광산란 패턴을 향해 LED 소자로부터 빛을 조사함으로써 외부에서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아니하여도 조도 변화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할 뿐 아니라 솔라패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실내 전기배선과 연결하는 등의 복잡한 설치과정이 필요 없으며, 기성의 창짝이나 방충망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외부로부터의 감시나 도촬에 의한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WINDOW SCREENING APPARATUS EQUIPPED WITH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은 외부에서 창문을 통해 실내를 들여다 볼 수 없도록 시야를 차단하는 창문가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문은 대체로 채광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를 사용하는데, 커튼 등으로 가리지 않는다면 외부에서 실내가 들여다보여 자칫 사생활이 침해될 소지가 있다.
특히, 외부의 조도가 낮은 야간에는 실내 조명이 켜질 경우 관찰이 더욱 용이해지므로 커튼이나 블라인더로 가리지 않는다면 사생활이 침해될 소지가 더욱 크다고 하겠다.
뿐만 아니라, 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각종 광학장비나 촬영기구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무단으로 촬영된 영상이 유포되는 등 사생활이 침해되는 사례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회사와 가정을 막론하고 외부로부터의 육안에 의한 관찰이나 감시를 피할 수 있는 수단의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한편, 이와 같은 사생활 침해 방지의 목적에서 외부로부터의 시야를 차단하는 특수 유리가 사용되기도 하나,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됨은 물론, 가시광선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므로 채광의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주거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주거용 또는 사무용 건축물의 창문의 주요 기능인 채광과 환기, 통풍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시야를 차단함으로써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새로운 수단의 개발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광판을 통한 빛을 산란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시야를 차단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라셀을 통해 주간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에 구동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충기피 파장을 이용함으로써 도광판을 이용한 발광에 따른 해충의 유입을 미연에 차단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일 측면은 사각 평판형상의 하우징(110);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광산란 패턴(121)을 가지는 투명재질의 평판 도광판(120);
상기 도광판(120)의 일측에서 상기 광산란 패턴(121)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130);
소정의 시야차단 조건 충족시 상기 발광수단(13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140);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에 구비되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솔라패널(150 : Solar Panel);
상기 솔라패널(160)에 의해 생산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160);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방향으로 구비되어 실내 조도를 측정하는 내측 조도센서(171); 및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으로 구비되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외측 조도센서(172);을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110)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내부가 천공되며, 상기 도광판(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실장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천공된 부분을 메우며,
상기 제어기판(140)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발광수단(130)은 LED(Light Emitting Diode)이며,
상기 제어회로(140)는 상기 내측 조도센서(171) 및 상기 외측 조도센서(172)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발광수단(13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하우징(110)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내부가 천공되는 사각 평판형상의 하우징(110);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광산란 패턴(121)을 가지는 투명재질의 평판으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천공 부위를 메우는 도광판(120);
상기 하우징(110) 내부 상기 도광판(120)의 일측에 실장되어 상기 광산란 패턴(121)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130); 및
소정의 시야차단 조건 충족시 상기 발광수단(13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140)을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110)의 가로, 세로 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기성 창짝의 가로, 세로 길이와 동일하게 제조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좌우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는 상기 기성 창짝이 설치되는 창틀에 체결되는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할 때 도광판을 통한 빛의 산란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시야를 차단함으로써 육안에 의한 관찰은 물론 편광 필터 등의 필터를 구비한 광학장비에 의한 촬영으로부터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해충이 기피하는 600~610nm 파장을 갖는 LED를 이용하여 도광판 일측단에서 빛을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해충기피제나 해충을 박멸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주간에 솔라셀을 이용하여 전력을 축적하였다가 적극적인 시야의 교란이 필요한 야간에 사용함으로써 유지비용이 낮아 경제적임은 물론, 기존 창틀에 시공시 별도의 전기배선이 불필요하므로 설치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외 조도의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벌어져 외부로부터의 관찰이나 감시가 용이해진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작동을 시키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한편, 기왕에 구비하는 도광판의 패턴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기능성의 제공에서 더 나아가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외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도광판에 구현되는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외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가 창틀에 설치되었을 때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의 외측면을 도시하며, 도 1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가 창틀에 설치되었을 때 실내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의 내측면을 도시한다.
이하,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의 외측면이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설치시 외부에서 바라본 측면을, 내측면이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설치시 실내에서 바라본 측면을 각각 지칭한다.
한편, 도 1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천공된 사각 평판형상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천공된 내부를 메우는 투명재질의 도광판(120),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솔라패널(150)을 구비한다.
이외에도 일측단에 실외의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외측 조도센서(172)가 구비된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하우징(110)의 일측단에 방법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범모드 셀렉터(180)와 실내의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내측 조도센서(171)가 더 구비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는 이외에도 발광수단(130), 제어기판(140), 배터리(160)을 더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바람직하게는 기성 창틀에 설치되는 창짝 또는 방충망과 호환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두께 또한 기성의 창짝이나 방충망의 두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형상 또한 기성의 창짝처럼 평판형상에 그 내부가 사각형 모양으로 창유리가 노출되는 크기만큼 천공된 듯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충분한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천공된 부분은 창유리 대신 도광판(120)이 수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도광판(120)은 창유리와 마찬가지로 투명재질이며, 그 재질은 아크릴 기타 투명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도광판(12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소정의 패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광산란 패턴(121)이 구비된다.
이러한 광산란 패턴(121)은 바람직하게는 V커팅됨으로써 형성되며, 그 형상은 단순하게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라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발광수단(130)은 이와 같은 하우징(110) 내부, 도광판(120)의 일측에 실장되어 상기 광산란 패턴(121)을 향해 빛을 조사한다.
이러한 발광수단(130)은 낮은 전력소모량과 작은 크기, 균일한 광조사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LED(Light Emitting Diode)소자일 수 있다.
이때, LED소자는 바람직하게는 600~610nm 파장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발광수단(130)에 의한 빛의 조사시 자칫 외부의 주광성 해충을 유인하는 결과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해충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다.
그러나, 주광성 해충이 기피하는 600~610nm 파장의 LED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한다.
종래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의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구간을 갖는 연속적인 파장 범위(예를 들어, 380~800nm)를 가지며 따라서 이와 같은 주광성 해충을 유인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어려우나, 우수한 파장 특성을 보이는 LED소자의 장점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판(140)은 일정한 조건의 충족시 상기 발광수단(130)이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판(140)이 발광수단(13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일정한 조건이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내와 실외의 조도 차이가 일정 수준을 넘거나, 실외의 조도가 충분히 낮아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기판(140)은 바람직하게는 PCB기판에 형성된 회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a)에 도시된 솔라패널(150 : Solar Panel)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에 구비되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를 변환한다.
하우징(110)이 창틀에 설치되면 대체로 지면과 수직을 이룰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이때, 솔라패널(150)의 효율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태양과의 각도인 바, 솔라패널(150)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실장될 수도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세워질 수 있다.
도 1의 (a)에서는 솔라패널(150)이 하우징(110)의 외측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는 배터리(1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솔라패널(150)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가 창틀에 설치되면, 주간에 상기 솔라패널(150)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생산되고, 이와 같이 생산된 전류에 의해 상기 배터리(160)가 충전된다.
제어회로(140)는 물론 발광소자(130), 조도센서(171, 172), 타이머(190) 등의 전기소자는 이와 같이 주간에 충전된 배터리(16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동작한다.
이하 제어회로(140)가 발광소자(130)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주광하에서는 창유리를 통한 빛의 반사와 굴절에 의하여 외부에서 실내를 관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하나, 야간에 실내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는 빛의 반사에 의한 시야의 가림이 전혀 없을 뿐 아니라 실내의 밝은 조명에 의해 외부에서의 관찰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제어회로(140)가 발광소자(130)를 동작시키는 조건은 저녁이 되는 등 실외의 조도가 충분히 낮아지되, 실내에 조명이 켜져 실내의 조도가 실외 조도에 비해 크게 높은 경우 그 조건이 만족된다.
즉, 내측 조도센서(171)에 의해 측정된 실내 조도와 외측 조도센서(172)의 차이가 일정값 이상으로 큰 경우 발광소자(130)를 발광시킨다.
이때, 반대로 실외의 조도가 실내 조도에 비해 더 높은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한편, 실외 조도와 실내 조도의 차이가 클수록 명도의 차이에 의해 외부에서의 육안 식별이 용이해지므로 제어회로(140)는 조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발광소자(13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킨다.
즉, 초저녁이 되어 태양광에 의한 빛의 반사나 굴절이 없어지게 되면 외부로부터의 시야 차단을 위해 제어회로(140)가 발광소자(130)를 동작시키는데, 밤이 깊어 조도의 차이가 더 커지면 발광소자(130)를 통한 빛의 밝기를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시야 차단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도 4의 (a)는 창틀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의 발광수단(130)이 동작하지 않고 있는 모습을, 도 4의 (b)는 창틀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의 발광수단(130)이 동작하는 모습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에 의할 때 투명재질의 도광판(120)을 통해 충분히 시야가 확보되나, 도 4의 (b)에 의할 때 광산란 패턴을 통한 빛의 산란에 의해 외부에서 실내가 전혀 육안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실내외 조도차이에 의하여 자동으로 동작한다. 즉, 야간에 사용자가 실내 조명을 켜면 실내외 조도 차이가 커지므로 제어회로(140)가 자동으로 발광수단(130)을 발광시키며, 사용자가 실내 조명을 끄면 조도 차이가 작아지므로 제어회로(140)가 자동으로 발광수단(130)의 발광을 중지시킨다.
이에 의해 전류 소모량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실내 조명을 끈 이후에도 불필요하게 동작하여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등, 생활의 불편함으로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특히, 실내외 조도의 차이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실내의 조명 시설과의 전기적 연결이 불필요하며, 따라서 시공이 간편해진다.
한편, 제어회로(140)에 의한 발광수단(130)의 제어는 주로 이와 같은 실내외 조도차에 의해 이루어지나, 사용자가 방범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조금 상이하게 동작한다.
즉, 사용자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방범모드 셀렉터(180)를 조작하여 "방범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회로(140)는 외부의 조도가 충분히 낮아진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발광수단(130)을 발광시킨다. 즉, 실내 조명이 켜지지 않은 상황에서도 발광수단(130)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에 실내 조명이 켜진 것으로 직감되며 거주자의 부재를 노린 각종 범죄가 예방될 수 있다.
방범모드 셀렉터(180)는 바람직하게는 셀렉트 스위치이며, 조작 노브를 한쪽으로 누르거나 미는 것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한편, 저녁이 되어 외부의 조도가 낮아진 경우 제어회로(140)는 발광수단(130)을 발광시키는데 이때, 일정 시간이 더 경과하면 자동으로 발광수단(130)의 발광을 중단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는 일정 시간의 경과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190);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어회로(140)는 사용자에 의해 "방법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저녁이 되어 상기 발광수단(130)을 발광시키는 경우, 상기 타이머(190)를 동작시킨다.
한편, 타이머(190)는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5시간")이 경과하면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제어회로(140)는 타이머(190)로부터의 신호 발생시 상기 발광수단(130)의 발광을 중단시킨다.
이에 의하여 실내에서 사용자가 일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것처럼 위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기성 창문 샤시에 설치되는 방충망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창문을 열어 환기하는 경우 도광판(120)에 의한 공기의 유동 차단이 환기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120)은 그 표면에 다수개의 통풍구(122)가 천공될 수 있다.
이때, 광산란 패턴(121)에 통풍구(122)가 천공될 경우, 패턴(121)을 따라서 빛이 산란되는 효과가 현저하게 낮아질 수 있으므로 가급적 광산란 패턴(121)을 피하여 천공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의 다른 일 측면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는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기성 샤시의 창틀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창짝이나 방충망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의 하우징(110)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내부가 천공되는 사각 평판형상을 가지되, 가로, 세로 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기성 창짝의 가로, 세로 길이와 동일하게 제조된다.
건축규격상 창틀과 창짝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하우징(110)은 바람직하게는 국내 건축규격에 의한 창짝의 가로, 세로 길이와 같은 가로 세로 길이를 가진다.
한편, 이러한 하우징(110)은 상하좌우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상기 기성 창짝이 설치되는 창틀에 체결되는 결합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기성 창짝 또는 방충망의 상하면과 일측면에는 창틀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10)의 상하좌우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는 이와 같은 기성 창짝의 요철이 동일하게 형성이 된다.
이에 의해 기성 창짝이나 방충망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기존 건축자재와의 호환성이 담보된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100)를 구입하여 기존 주택, 사무실 건물 등에 설치된 샤시의 창짝을 떼어내거나 또는 방충망을 떼어내고 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솔래패널(15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뿐 아니라, 모든 동작이 조도센서(171, 172)에 의해 감지되는 조도변화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실내의 전기배선과 연결하는 등의 번거로운 설치절차도 생략될 수 있어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는 건축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틀 샤시 및 그 유관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10 : 하우징
120 : 도광판
121 : 광산란 패턴 122 : 통풍구
130 : 발광수단
140 : 제어기판
150 : 솔라패널(Solar Panel)
160 : 배터리
170 : 조도센서
171 : 내측 조도센서 172 : 외측 조도센서
180 : 방범모드 셀렉터
190 : 타이머

Claims (25)

  1. 상기 하우징(110)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내부가 천공되는 사각 평판형상의 하우징(110);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광산란 패턴(121)을 가지는 투명재질의 평판으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천공 부위를 메우는 도광판(120);
    상기 하우징(110) 내부 상기 도광판(120)의 일측에 실장되어 상기 광산란 패턴(121)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130); 및
    소정의 시야차단 조건 충족시 상기 발광수단(13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140)을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110)의 가로, 세로 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기성 창짝의 가로, 세로 길이와 동일하게 제조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좌우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는 상기 기성 창짝이 설치되는 창틀에 체결되는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130)은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130)은 600~610nm 파장을 갖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에 구비되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솔라패널(150 : Solar Panel); 및
    상기 솔라패널(160)에 의해 생산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160);를 구비하되,
    상기 솔라패널(160)의 집광판은 상기 하우징(1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창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방향으로 구비되어 실내 조도를 측정하는 내측 조도센서(171); 및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으로 구비되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외측 조도센서(17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40)는 상기 내측 조도센서(171) 및 상기 외측 조도센서(172)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발광수단(13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40)는 상기 내측 조도센서(171) 및 상기 외측 조도센서(172)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발광수단(13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방범모드 셀렉터(18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방법모드 셀렉터(180)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회로(140)는 상기 외측 조도센서(172)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일정값 미만일 때 상기 발광수단(130)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의 경과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19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회로(140)는 상기 방법모드 셀렉터(180)가 선택되어 상기 발광수단(130)을 발광시키는 경우, 상기 타이머(190)를 동작시키되, 상기 타이머(190)로부터 신호 발생시 상기 발광수단(130)의 발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패턴(121)은 상기 도광판(120)의 일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따라 V커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120)의 표면에 다수개의 통풍구(122)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122)는 상기 도광판(120)의 일측면에 상기 광산란 패턴(121)이 형성되지 아니한 위치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3.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광산란 패턴(121)을 가지는 투명재질의 평판 도광판(120);
    상기 도광판(120)의 일측에서 상기 광산란 패턴(121)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130); 및
    소정의 시야차단 조건 충족시 상기 발광수단(13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1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사각 평판형상의 하우징(110)을 더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110)은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내부가 천공되며, 상기 도광판(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실장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천공된 부분을 메우며,
    상기 제어기판(140)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130)은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130)은 600~610nm 파장을 갖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에 구비되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솔라패널(150 : Solar Panel); 및
    상기 솔라패널(160)에 의해 생산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160);를 구비하되,
    상기 솔라패널(160)의 집광판은 상기 하우징(1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창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방향으로 구비되어 실내 조도를 측정하는 내측 조도센서(171); 및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방향으로 구비되어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외측 조도센서(17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40)는 상기 내측 조도센서(171) 및 상기 외측 조도센서(172)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발광수단(13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40)는 상기 내측 조도센서(171) 및 상기 외측 조도센서(172)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발광수단(13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방범모드 셀렉터(180);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방법모드 셀렉터(180)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회로(140)는 상기 외측 조도센서(172)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값이 일정값 미만일 때 상기 발광수단(130)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의 경과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19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회로(140)는 상기 방법모드 셀렉터(180)가 선택되어 상기 발광수단(130)을 발광시키는 경우, 상기 타이머(190)를 동작시키되, 상기 타이머(190)로부터 신호 발생시 상기 발광수단(130)의 발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패턴(121)은 상기 도광판(120)의 일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따라 V커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120)의 표면에 다수개의 통풍구(122)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122)는 상기 도광판(120)의 일측면에 상기 광산란 패턴(121)이 형성되지 아니한 위치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KR1020110098389A 2011-09-28 2011-09-28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KR20130034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89A KR20130034403A (ko) 2011-09-28 2011-09-28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89A KR20130034403A (ko) 2011-09-28 2011-09-28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403A true KR20130034403A (ko) 2013-04-05

Family

ID=4843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89A KR20130034403A (ko) 2011-09-28 2011-09-28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44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046A (ko) * 2014-09-30 2016-04-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창호용조명구비보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조명구비보안모듈시스템 및 조명구비보안블라인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046A (ko) * 2014-09-30 2016-04-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창호용조명구비보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조명구비보안모듈시스템 및 조명구비보안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3762B2 (ja) 内部空間における照明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機器
US11870127B2 (en) Wireless control device having an antenna illuminated with visible light
CN102770617B (zh) 用于结合外部照明和人工照明的系统
RU2568790C2 (ru) Окно для здания
US201502264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lighting parameter in a light management system based on user action
JP2010526405A (ja) 照明窓
KR102156708B1 (ko) 프로젝터 하우징
KR101835771B1 (ko) 스마트 블라인드 시스템
KR20130034403A (ko) 도광판을 구비한 창문가림 장치
JP4809124B2 (ja) 照明器具および建築部材
JP5762338B2 (ja) 室内光視環境制御システム
KR100986297B1 (ko) 건축물의 공간 차단장치
CN210049645U (zh) 一种多功能雨棚和智能快递柜
CN111742106B (zh) 具有照明单元的窗户
JP5414235B2 (ja) 制御装置、照明装置及び制御方法
RU92179U1 (ru) Электронный термометр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 дверную или оконную систему и дверная или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оснащенная таким термометром
KR100985868B1 (ko) 차광장치를 이용한 중앙제어식 경관조명시스템
KR100770971B1 (ko) 기능성 건축용 붙박이 창.
KR101462505B1 (ko) 확장모듈이 결합된 led 등기구
KR102637449B1 (ko) 유골 봉안 케이스
JP6008526B2 (ja) 開閉体装置
JP2016181407A (ja) 照明システム
JP3108328U (ja) 窓の室内側に設置する防犯ライト
KR20190133905A (ko) 건축물의 차광 디스플레이 창 시스템
KR20030063578A (ko) 빛의 직진성을 이용한 차광 통기성 브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